KR20100045588A -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 Google Patents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588A
KR20100045588A KR1020080104577A KR20080104577A KR20100045588A KR 20100045588 A KR20100045588 A KR 20100045588A KR 1020080104577 A KR1020080104577 A KR 1020080104577A KR 20080104577 A KR20080104577 A KR 20080104577A KR 20100045588 A KR20100045588 A KR 20100045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tended
slot
suction
air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 훙 후앙
Original Assignee
롱 훙 후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 훙 후앙 filed Critical 롱 훙 후앙
Priority to KR102008010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5588A/ko
Publication of KR2010004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레인지 후드의 배면은 격벽에 인접하고, 상기 레인지 후드는 공기 송풍 장치 및 흡입 장치를 포함한다. 공기 송풍 장치는 카운터 탑의 정면에 마련된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공기는 상향 송풍된다. 흡입장치는 카운터 탑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향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 기계와 연결된 연장된 흡입 개구부를 포함한다. 연장 흡입 개구부는 연장 흡입 개구부가 격벽을 향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 위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연장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다. 흡입 기계의 작동에 의하여, 거이 2차원인 공기 커튼은 연장된 흡입 개구부 및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 사이에 형성된다. 가스 또는 경사 공기 커튼과 격벽 사이의 해로운 가스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를 통하여 흡입된다. 결과적으로, 오염물질의 방출이 감소되고 대기 난류로부터 결과지어진 해로운 가스를 흡수의 간섭에 거스르는 능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DEVICE}
본 발명은 가스, 증기, 미립자, 또는 혼합된 형태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 공기 커튼(oblique air curtain)과 벽(wall) 사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카운터 탑(counter top) 위의 경사 공기 커튼을 발생시키는 레인지 후드(range hoo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실험실 또는 먼지가 많은 공장(dust factories)은 기름기가 있는 입자들을 구비한 가스 또는 독성 가스를 발생시키며, 이들은 이 장소에 있는 사람들에게 해롭고 환경을 오염시킨다.
예로서 통상적인 주방 후드에 대하여 알아보자,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는 파이프(12)가 수용되어 있는 캐비넷(15)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다. 파이프(12)는 조리도구(cook ware)로부터 후드에 의하여 흡수된 가스를 가이드하고(guide) 주방으로부터 가스를 방출한다. 캐비넷(15)은 벽면(14)과 다른 벽면(13) 상의 다른 캐비넷(16)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벽면(14)에는 후드(10)가 연결되고 다른 벽면(13)은 상기 벽면(14)에 수직이며 후드(10)의 측면과 접하고 있다. 오븐(18)은 카운터 탑(17)에 설치되고 두 개의 버너(19)를 포함한다. 카운터 탑(17)은 또 다른 케비넷(20)의 상부에 연결된다. 후드(10)는 두 개의 흡입팬(11)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11)은 조리도구(cookware)로부터 후드(10)로 가는 가스를 흡입하도록 버너(19)의 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는 파이프(12)를 통하여 주방 밖으로 방출된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레인지 후드(range hood, 10)는 작업 공간에서 사용되는 캐노피 후드(canopy hood)와 유사하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흐름의 상향 속도(upward speed)는 흡입면(suction face) 아래의 하향 거리(downward distance)의 증가로 빠르게 감소한다. 흡입 개구부(suction opening)의 직경의 약 1.5배보다 더 큰 거리에서,상향 속도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고 흡입력은 가스를 효과적으로 잡아끌기에 충분하도록 크지 않다. 따라서, 카노피 후드 아래의 효과적인 흡입 거리는 일반적으로 흡입 개구부의 직경의 약 1.5배 이내이다. 게다가, 카노피 후드의 흡입 흐름 영역의 특징 때문에, 가스 흐름은 팬(fans), 공기조절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사람의 이동, 문 또는 창문의 열고 닫음 등으로부터 발생한 공기 흐름과 같은 통풍(draft)에 의하여 쉽게 영향받는다. 이러한 간섭 공기흐름이 존재하는 경우,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노피 후드 아래의 흐름 영역(flow field)은 급격히 변형되고 포획영역(capture zone)은 구분되는 스팀라인(dividing streamline)에 포함된 반타원형과 같은 면적이 된다. 흡입 속도에 대한 간섭 공기 흐름 속도의 비율이 더 크게 존재할수록, 포획 영역은 더 작아진다. 이런 상태가 발생할 때, 후드의 아래에서 발생한 기름기 있는 입자, 독성 가스, 또는 오염물질은 주위환경을 극히 불확실 적으로 분산되고 따라서 벽에 더 쉽게 부착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흡입된다. 이런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가장 직관적을 이해가능한 방법들 중 하나는 오염물질의 위치를 향하여 가능한 낮게 카노피 후드를 설치하는 것이다. 실질적인 적용으로, 그러나, 테이블 위와 카노피 후드 사이의 공간에서 손 또는 기구들(tools)에 의한 조리도구 또는 장치의 이동과 움직임때문에 너무 낮게 설치될 수 없다. 팬(fans), 공기조절장치(air conditioning device), 사람의 이동, 문 또는 창문의 열고 닫음 등에 의하여 발생한 통풍 흐름(draft current)이 후드 주위에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따라서 종래의 후드는 만족할만한 성능을 거이 가질 수 없다.
도15는 세 개의 교차-흐름 팬(cross-flow fan, 21)이 세 개의 상향-발생하는 슬롯 제트(upward-issuing slot jets)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븐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상에 설치되는 개선된 레인지 후드를 보여준다. 이 설계는 주위환경에서 발생한 통풍 흐름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뒷벽(14)과 협동하는 세 개의 교차-흐름 팬(21)을 사용하도록 마련되었다. 그러나, 오븐 위의 영역이 세 개의 팬(21)과 뒷벽(14)에 의하여 발생한 세 개의 제트(jet)에 의하여 에워싸져 있기 때문에, 에워싸진 영역의 낮은 부분 주위의 오염물질은 격렬한 3차원 회전(tumbling) 및 혼란스런 소용돌이를 구비한 불안정하고 혼돈된 흐름 움직임을 나타낼 것이다. 이런 배치가 흐름의 불안정성을 필연적으로 유발하는 이유는 불균형 양 및 운동량 보존 법칙(unbalanced mass and momentum convervation law)이다. 유발된 교란된 분산은 오븐 위의 거리에서 설치된 캐노피 후드를 통하여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감소시킨다. 오븐 위의 영역 주위에 머무르는 기름기가 있는 입자와 오염물질의 거주 시간은 흐름의 소용돌이치는 움직임 때문에 더 길어지고, 이는 통풍 흐름(draft current)이 통과하여 지나갈 때(pass over), 즉 교차 흐름에 의하여 분산된 영역에서 고농도 기름기가 있는 입자와 오염물질이 축적될 때 매우 위험해 진다. 게다가, 세 개의 교차-흐름(cross-flow) 팬(fans)에 의하여 유발된 소용돌이 흐름 구조의 혼란스러운 움직임은 버너의 불꽃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즉 불꽃의 흔들림 또는 소멸과 같이 영향을 미칠 것이고 불타는 효율(burning efficiency)을 감소시킨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방 후드는 종래의 주방 후드에 의하여 발생한 공기흐름의 나쁜 유체 동력(poor fluid dynamic)의 결과로서 가스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기체, 또는 혼합된 형태의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카운터 탑(counter top)의 일측면에 마련된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elongate air blow slot)과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에 측면으로 위에서 평행한 연장된 흡입 장치(elongate suction device)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경사 공기 커튼(oblique air curtain)은 가스 방출을 감소시키고 대기 난류로부터 결과지워진 추론(inference)에 반하는(against)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사 단일 공기 커튼(oblique single air curtain)과 격벽 사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예를 들어, 가스, 기체, 또는 미립자 형태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과 함께 위치하는 후드의 뒤에서 카운터 탑의 앞에 배치된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갖는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연장된 흡입 개구부는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 위에서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다. 이런 배치에 의하여, 보충 공기는 공기 커튼(air curtain)의 2개의 "개구 측면(open sides)"으로부터 포획 영역(capture zone)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되며, 그 결과 흐름 범위(flow field)는 엄격한 의미에서는 아닐지 모르지만 "2차원" 처럼 행동한다. 3차원, 불안정한 혼란스런 소용돌이 흐름이 나타나지 않고 그 결과 공기 커튼과 격벽 사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카운터 탑의 상부의 거리에 위치한 연장 흡입 장치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흡입되고 감소될 수 있는 불꽃에 영향을 미친다.
앞에서 언급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며, 오염물질 제거 장치는 공기 송풍 장치 및 흡입 장치를 포함하며,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뒤는 격벽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공기 송풍 장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이 마련되어 있고, 연장 공기 송풍 슬롯은 카운터 탑의 오염물질 방출 출구의 정면에 위치하며 상기 출구를 통하여 공기는 상향하여 송풍된다. 흡입장치는 카운터 탑의 위에 위치하고, 흡입 기계(suction machine)와 연결된 연장 흡입 개구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연장 흡입 개구부는 연장 흡입 개구부가 격벽을 향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 위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연장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다.
본 발명은 또한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며,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는 공기 송풍 장치 및 흡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의 뒤는 격벽에 인접한다. 공기 송풍 장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이 마련되고, 연장 공기 송풍 슬롯은 카운터 탑 위에 및 오븐의 정면에 배치되며, 여기서 공기는 슬롯을 통하여 상향 송풍된다. 흡입 장치는 카운터 탑의 위에 배치되고 연장 흡입 개구브를 포함하며, 연장 흡입 개구부는 흡입 기계와 연결된 연장 흡입 개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 흡입 개구부는 연장 흡입 개구부가 격벽을 향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 위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연장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다.
따라서, 흡입 기계가 작동할 때, 공기는 거이 2차원 경사 공기 커튼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통하여 송풍되고 연장된 흡입 개구부에 의하여 끌려진다. 그 결과 가스 방출(gas escape)은 감소되고 대기 난류로부터 결과지워진 추론(inference)에 반하는(against)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임)을 참고할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명백해진다.
가스, 기체, 또는 혼합된 형태의 오염물질이 효과적을 제거된다.
도1a-1c는 평면 제트(planar jet), 흡입 슬롯, 상기 제트와 상기 흡입 슬롯의 조합에 각각 연관된 단순화된 흐름 영역(simplified flow field)의 핸드 스케치(hand sketches)를 나타낸다. 도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트(50)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노즐(51)로부터 배출된다. 전개과정 동안에, 주위의 공기는 거이 제트(50)와 함께 제트 경계(jet boundary)를 통하여 안쪽으로 동반된다. 따라서, 제트(50)는 아래 흐름 영역의 바깥으로 팽창한다. 팽창의 형태는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의 특징적인 체제(characteristic regime)에 의존할 것이다. 아래 흐름 노즐(51)은 약 80 노즐 직경 거리 내에 있고, 운동량 보존이 관찰된다. 제트(jet)는 약 100~150 노즐 직경 거리의 아래 흐름 노즐(51)(a distance about 100~150 nozzle diameters downstream the nozzle) 후에 팽창하고, 파괴되며 분산된다. 제트(50)의 전재과정 동안에, 운동양, 질량 및 열의 지속적인 교환이 제 트(50)와 근방의 주위 공기 사이에서 발생한다. 도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입 슬롯(53)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공기를 이끈다. 흡입 슬롯(53) 주의를 흐르는 공기는 도면번호 52로 표시된다. 활성 흡입 영역(active suction area)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입 슬롯(53)으로부터 흡입 슬롯(53)의 약 1.5배 직경까지의 아래 흐름 거리(downstream distance) 내에 위치한다. 제트의 개개의 용도는 초기의 분산(dispersion)에 이르게 되고, 흡입 슬롯의 개개의 용도는 유효 흡입 범위를 넘어서는 거리에서 나쁜 흡입 능력에 이르게 된다.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트(50)와 흡입 슬롯(53)이 거리에서 직면하여 배치될 때, 두개의 물리적 장치 사이 내에서 흐름 영역은 흡입 슬롯(53)에 의하여 제공된 흡입력과 노즐(51)로부터 발생한 제트의 레이놀즈 수에 따라 변한다. 앞에서 언급한 요인들이 적절히 조정되면, 유효 흡입 범위를 넘어서는 개개의 흡입 슬롯의 나쁜 흡입 능력과 개개의 제트의 초기 분산 특성이 푸시-풀 효과(push-pull effect)라고 불리는 흡입과 제트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개선된다. 이것이 발생함에 따라, 어느 수준으로 측면 통풍의 간섭을 저지할 수 있는 공기 커튼이 확립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기 송풍 장치(6)와 흡입 장치(61)를 포함하고, 이들의 뒤는 격벽(69)에 인접한다. 공기 송풍 장치(6)는 연장된 공기 송풍 장치(63)가 마련되고, 연장된 공기 송풍 장치(63)는 카운터 탑(6')의 오염물질 방출 출구(64)의 전방에 위치하고 이를 통하여 공기가 상향 송풍된다. 흡입 장치(61)는 카운터 탑(6')의 위에 배치되고 연장된 흡입 개구부(60)를 포함한다. 연장된 흡입 개구부(60)는 아래방향을 향하는 흡입 부분을 형성하고 공기로 이끌기(drawing) 위한 흡입 기계(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게다가, 연장 흡입 개구부(60)는 연장 흡입 개구부(60)가 격벽을 향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6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로 있는 방식으로 연장 공기 송풍 슬롯(63)에 평행하다. 실제로, 연장 흡입 개구부(60)는 복수의 흡입 구멍을 정렬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흡입 장치(61)는 카운터 탑(6')으로부터의 거리에 위치하고 두개의 구부러진 플랜지(62)는 흡입 장치(61)의 연장된 흡입 개구부(60)의 두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연장된 흡입 개구부(60)에 의하여 유도된 상향-이끔 흡입 흐름(upward-drawing suction flow)과 과련된 카운터 탑(6')의 정면 단부에 위치한 연장 공기 송풍 슬롯(63)으로부터 발생한 상향-송풍 제트(upward-blowing jets)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경사진 공기 커튼(65)를 형성하고, 그 결과 공기 커튼(65)과 격벽(69) 사이의 공기는 연장 흡입 개구부(60)를 통하여 바깥으로 빠져나가고 부드럽게 위로 밀려질 수 있다. 카운터 탑(6') 위의 두개의 측면은 왼쪽이 개구되고(open)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69)과 경사 단일 공기 커튼(65) 사이의 영역으로 자연스럽게 제공될 수 있는 보충 공기가 통과하는 그리드 또는 기공판(porous board)이 장착되며, 그 결과 공기 흐름은 안정적이다.
실제에서, 격벽(69)을 향하여 연장하는 연장 흡입 개구부(60)의 한 측면에의 플랜지(62)는 평탄한 판일 수 있고 평탄한 판의 한 측면은 격벽의 표면에 기대어 있다. 플랜지(6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621)과 망원판(telescopic plate)을 포함한다. 고정판(621)은 격벽(69)을 향하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60)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망원판(622)은 노출된 또는 에워싸진 격벽(69)과 흡입 장치(61) 사이의 공간을 만들기 위하여 고정판(621)에 대하여 연장되거나 또는 끌어들여질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63)으로부터 격벽(69)을 향하는 방향(631)으로 송풍되고 θ°의 각도로 카운터 탑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실제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66)은 카운터 탑(6')의 오염물질 방출 출구(64)의 뒤에 마련되고, 즉 연장 공기 송풍 슬롯(63)과 격벽(69)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개의 연장 공기 송풍 슬롯(63, 66)은 평행한 방식으로 카운터 탑(6')의 오염물질 방출 출구(64)의 앞과 뒤에 마련되고 공기는 이런 슬롯(63, 66)을 통하여 상향 송풍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가 공개되어 있는데, 상기 레인지 후드는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레인지 후드의 뒤는 격벽(82)에 인접한다. 레인지 후드는 공기 송풍 장치(7)와 흡입 장치(70)를 포함한다. 공기 송풍 장치(7)는 카운터 탑(77)의 오븐(79)의 앞에 위치하는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80)이 마련되고 공기는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80)을 통하여 상향 송풍된다. 흡입 장치(70)는 카운터 탑(77)의 위에 위치하고 흡입 기계(72)와 연결된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를 포함한다.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81)가 격벽을 향하는 연장 공기 송풍 슬롯(80)으로부터 이격되어 위로 있는 방식으로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80)에 평행하다. 실제로,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는 복수의 흡입 구멍을 갖는 그리드(grid)일 수 있다.
흡입 장치(70)는 아래방향을 향하는 흡입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와 상기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의 두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두개의 플랜지(71)를 포함한다. 흡입 장치(70)는 상향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축받이(pedestal, 78)로부터 특정 높이에 위치한다. 연장 흡입 개구부(81)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축받이(78) 위의 캐비넷(cabinet, 75) 내에 위치하는 흡입 기계(72)와 연결된다. 파이프(721)는 방(room)의 밖으로 개구되고(opened) 또는 방으로부터 오염물질을 가져오는 필터/기름-분리 장치/기름-수집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두개의 플랜지(71)는 흡입 장치(70)의 연장 흡입 개구부(81)의 두개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공기 송풍 장치(7)는 카운터 탑(77) 상의 축받이(78)의 오븐(79)의 정면 단부에 위치한다. 실제로, 공기 송풍 장치(7)는 송풍기(blower)와 통신하는 연장된 공기 송풍 그루브(groove)이고 송풍기는 흡입 기계(72)와 협력한다. 게다가, 공기 송풍 장치(7)는 상향-송풍 공기 제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흡입 기계(72)와 협력하는 교차 흐름 팬(cross flow fan)일 수 있다.
공기 송풍 장치(7)로부터 발생한 상향-송풍 공기 제트가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를 갖는 흡입 장치(70)에 의하여 발생한 상향 흡입 흐름과 결합하는 오븐(79)의 정면 단부에 설치됨에 의하여, 경사 단일 공기 커튼 흐름 구조는 포획영역으로부터 오염물질이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축받이(78)의 뒤에서 격벽(82)에 기름진 입자들이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게다가, 카운터 탑(77) 상의 두개의 측면이 개구되고, 그 결과 공기는 흡입 동작을 공급하기 위하여 격벽과 단 일 경사 공기 커튼 사이의 영역으로 흡입된다. 이런 방법에 의해, 흐름 영역은 거이 "2차원"을 유지할 수 있다. 카운터 탑(77) 위의 두개의 측면은 작은 흐름 저항(small flow resistance)으로 격벽과 단일 경사 공기 커튼 사이의 영역으로 공기가 잡아끌리도록 허용하는 기공판 또는 그리드(grid)를 가질 수 있고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를 통하여 밖으로 빠져나간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서 가스 방법(tracer gas method)은 본 발명과 종래의 레인지 후드의 포획 효율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흡입 장치는 카운터 탑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설치되고 큰 직립판(upright board)가 팬에 의하여 또는 에어콘 또는 카운터에 의한 사람의 이동에 의해 발생한 공기 흐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0.35m/s의 속도로 흔들린다. 순수한 SF6가스는 카운터 탑 위에 배치된 가스 방출 장치에 의한 지속적인 유속으로 제공된다. SF6의 속도와 농도가 흡입 파이프의 원거리 단면(remote cross section)에서 검출된다. 포획 효율은 계산될 수 있으며, 포획 효율은 가스 방출 장치로부터 방출된 순수한 SF6가스의 유속에 의하여 분할된 흡입 파이프를 관통하여 흐르는 SF6의 유속으로서 정의된다. 결과는 도8에 공개되어 있다. 명백하게, 단일 경사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는 종래의 레인지 후드보다 상당히 더 높은 포획 효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레인지 후드의 참조 흐름(reference flow)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능력이 종래의 레인지 후드보다 더 높다.
실제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80')은 카운 터 탑(77)의 오븐(79)의 뒤에 제공되고, 즉 연장된 공기 흐름 슬롯(80)과 격벽(82) 사이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두개의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80, 80')은 평행한 방식으로 카운터 탑(77)의 오븐(79)의 앞과 뒤에 제공되고 공기는 이런 슬롯들(80, 80')을 통하여 상향 송풍될 수 있다.
도10과 도11은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기름을 수집하도록 흡입 장치(70)의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 기름 수집 장치(9)를 나타낸다.
실제에서,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는 플랜지(71)로부터 약간 돌출되고 하향한다. 기름 수집 장치(9)는 상부가 개구된(open) 사각 박스이고, 기본판(base board, 91), 기본판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제1측면패널(92), 제1직립판(93), 제2직립판(94) 및 제2측면 패널(95)을 포함한다. 필터(96)는 기본판(91)에 연결된다. 제1공간(97)은 제1측면 패널(92), 제1직립판(93) 및 기본판(91) 사이로 정의되고, 제2공간(98)은 제2측면 패널(95), 제2직립판(94) 및 기본판(91) 사이로 정의된다. 두개의 지지판(support plate, 99)은 필터(96) 위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직립판(93, 94) 사이에서 연결된다.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와 결합하도록 기름 수집 장치(9)를 위로 밀때, 제1 및 제2측면 패널(92, 95)은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의 두개의 바깥측면과 결합된다.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는 흡수되고 필터(96)를 통하여 통과하며, 기름 안개(oil mist)는 기름진 입자로 응축되고 연장된 흡입 개구부(81)의 내부에 부착된다. 응축된 유지(grease)는 중력 효과에 의하여 흡입 장치(70)의 내부를 따라 흐르 고 제1 및 제2공간(97, 98)으로 떨어진다. 제1 및 제2공간(97, 98)에 수집된 유지(grease)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81)로부터 기름 수집 장치(9)를 제거함에 의하여 청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보호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도1A-1C는 본 발명의 풀-푸시 공기 커튼(pull-push air curtain)에 사용되는 기초 이론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laser doppler velocimeter, LDV)에 의하여 검사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실시예의 흐름 범위 결과(flow field result)를 나타낸다.
도4-6은 본 발명의 오염물질 제거 장치의 3개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사용상태의 본 발명의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후드와 종래의 후드 양자에 대한 팬(fan), 에어콘, 사람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한 통풍(draft)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큰 직립의 판자를 이용함에 의한 포획 효율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9는 사용상태의 본 발명의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후드에 사용된 기름 수집 장치를 나타낸다.
도11은 본 발명의 후드와 기름 수집 장치의 연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2는 종래의 레인지 후드를 나타낸다.
도13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laser doppler velocimeter, LDV)에 의하여 검 사될 때 후드 개구부 아래의 중심축 상의 비차원(non-dimensional) 상향 속도를 나타낸다.
도14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laser doppler velocimeter, LDV)에 의하여 검사될 때 종래의 후드의 포획 영역이 교차 통풍(cross draft)의 영향에 종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15는 좌, 우 및 전방 상향-송풍 제트(upward-blowing jet)를 갖는 종래의 레인지 후드를 나타낸다.

Claims (6)

  1.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제거장치의 뒤는 격벽에 인접하고,
    상기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카운터 탑(conter top)의 오염물질 방출 출구의 정면에 위치하는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가지며,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통하여 공기가 상향 송풍되는 공기 송풍 장치와;
    상기 카운터 탑의 위에 위치하고 흡입 기계와 연결되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된 흡입 개구부는 상기 연장 흡입 개구부가 상기 격벽을 향하는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에 있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며, 그 결과 상기 흡입 기계가 가스 방출을 감소시키고 대기 난류로부터 결과지워진 추론(inference)에 거스르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작동할 때 거이 2차원인 경사 공기 커튼는 상기 연장된 흡입 개구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고, 상기 카운터 탑의 상기 오염물질 방출구의 뒤에 위치하는 다른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더 포함하며, 공기는 상기 다른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통하여 상향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가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송풍되는 방향은 격벽을 향하고 상기 카운터 탑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저거장치.
  4. 오염물질 제저장치를 이용하는 경사 단일 공기 커튼 레인지 후드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제거장치의 뒤는 격벽에 인접하며,
    상기 레인지 후드는,
    오븐의 정면과 카운터 탑 상에 위치하는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이 마련된 공기 송풍 장치와; 여기서 공기는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향 송풍되고,
    상기 카운터 탑의 위에 위치하고 흡입 기계와 연결되는 연장된 흡입 개구부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된 흡입 개구부는 상기 연장 흡입 개구부가 상기 격벽을 향하는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에 있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며, 그 결과 상기 흡입 기계가 가스 방출을 감소시키고 대기 난류로부터 결과지워진 추론(inference)에 거스르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작동할 때 거이 2차원인 경사 공기 커튼는 상기 연장된 흡입 개구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에 평행하고, 상기 카운터 탑의 상기 오염물질 방출구의 뒤에 위치하는 다른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더 포함하며, 공기는 상기 다른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을 통하여 상향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공기가 상기 연장된 공기 송풍 슬롯으로부터 송풍되는 방향은 격벽을 향하고 상기 카운터 탑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KR1020080104577A 2008-10-24 2008-10-24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KR20100045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577A KR20100045588A (ko) 2008-10-24 2008-10-24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577A KR20100045588A (ko) 2008-10-24 2008-10-24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588A true KR20100045588A (ko) 2010-05-04

Family

ID=4227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577A KR20100045588A (ko) 2008-10-24 2008-10-24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5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56B1 (ko) * 2010-12-15 2013-09-10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외풍에 보호될 수 있는 레인지 후드
CN115722497A (zh) * 2022-11-14 2023-03-03 曹钢 一种用激光清除油烟机积碳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56B1 (ko) * 2010-12-15 2013-09-10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외풍에 보호될 수 있는 레인지 후드
CN115722497A (zh) * 2022-11-14 2023-03-03 曹钢 一种用激光清除油烟机积碳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5949A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JP3188116U (ja) 通風に抗しうるレンジフード
US20100000512A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US10471482B2 (en) Exhaus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pture and containment
EP2240726B1 (en) Exhaust hood with an exhaust enhancement apparatus
JP4145922B2 (ja) 排気方法および局所換気方法、ならびに排気装置、局所換気装置および換気システム
EP2175204A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EP1657494A1 (en) Exhaust hood
EP2138771B1 (en)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dual-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KR100741786B1 (ko) 배기 후드
JP2001056142A (ja) 台所用換気システム
KR20100045588A (ko)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경사 단일 공기커튼 레인지 후드
CN101598360B (zh) 污染物排放装置及使用该装置的双气帘式排油烟机
JP2010007920A (ja) 汚染物排出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したツインエアカーテン式排煙装置
CA2743409C (en) Range hood capable of resisting draft
JP2010107173A (ja) 汚染物質排出装置およびその汚染物質排出装置を使用したエアカーテン式レンジフード
KR20100003806A (ko)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이중-공기커튼랜지후드
TWI361263B (en) A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an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AU2014271273B2 (en) Exhaus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apture and containment
TWI341916B (ko)
JP2023041371A (ja) 飛沫捕集装置
CN101713559A (zh) 污染物排放装置及使用该装置的斜向单气帘式排油烟机
TWM356084U (en) Contaminant exhaust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curtain type range hood using the same
TWM413824U (en) Range hood having capability of resisting air flow disturb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