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942A -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942A
KR20100044942A KR1020080103941A KR20080103941A KR20100044942A KR 20100044942 A KR20100044942 A KR 20100044942A KR 1020080103941 A KR1020080103941 A KR 1020080103941A KR 20080103941 A KR20080103941 A KR 20080103941A KR 20100044942 A KR20100044942 A KR 2010004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unit
unit
bracke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955B1 (ko
Inventor
김선종
Original Assignee
김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종 filed Critical 김선종
Priority to KR102008010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에 잠금되는 록킹유닛을 상측에 위치한 강화도어 지지대에 고정하고, 상기 록킹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강화도어 손잡이와 일체되게 고정한 기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을 별도의 브라켓에 고정하여 그 브라켓을 강화도어의 손잡이에 고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어프레임(50)에 강화도어(100)가 장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화도어(100)의 중간부에는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80)을 통과하는 나선봉(20)에 의해 손잡이(207)가 장착되고, 상기 강화도어(100)의 지지대(60)에 고정수단(13)으로 고정되어 상기 도어프레임(50)에 데이볼트(204)가 잠금되거나 그 잠금을 해재하는 전자식 록킹유닛(206)이 설치되고, 상기 록킹유닛(206)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제어유닛(200)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방법(미도시)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손잡이(207)를 고정하는 나선봉(20)을 통과시켜 상기 관통공(8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9)와, 상기 나선봉(20)이 통과되는 통공(210)이 형성된 지지부(211)를 갖는 브라켓(212)을 제공한다.
록킹유닛, 제어유닛, 송출유닛, 버튼유닛, 브라켓,

Description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a}
본 발명은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에 잠금되는 록킹유닛을 상측에 위치한 강화도어 지지대에 고정하고, 상기 록킹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강화도어 손잡이와 일체되게 고정한 기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을 별도의 브라켓에 고정하여 그 브라켓을 강화도어의 손잡이에 고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리문이 많이 장착된다. 이러한 유리문은 출입구에 도어프레임(2)을 설치하고, 이 도어프레임(2)에 도어패널(6,8)을 힌지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패널(6,8)은 강화유리판(6)
의 상하단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지지대(8)를 장착한 것으로, 이 지지대(8)가 상기 도어프레임(2)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패널(6,8)의 중간부 소정위치에는 관통공(10)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0)에는 긴 바형상의 손잡이(12)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 손잡이(12)를 밀거나 당겨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강화유리판()에 본원은 미공개된 출원번호10-2008-0102168호 출원일 2008.10.17자에 출원한 강화도어 잠금장치를 출원한 바 그 구성과 실시예를 도시한 7,8,9도에 의해 살펴보기로 한다.
강화도어의 손잡이 높이 부분에 고정수단(13)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록킹유닛(3)에 데이터값을 송출하는 제어유닛(4)과;
상기 제어유닛(4)으로부터 데이터값을 수신받는 제어컨트롤부(미도시)가 있고, 이 제어컨트롤부의 전기적신호에 따라 전원(5)의 전류를 공급받거나 차단받는 감속모터(6)가 있으며, 이 감속모터(6)의 구동축과 서로 기어물림(8)되어 동작하는 동작부(9)가 있고, 이 동작부(9)가 데이볼트부(10)를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후퇴시켜 도어프레임(10')의 구멍에 상기 데이볼트부(10)를 삽입시키거나 후퇴시키는 구성을 포함한 록킹유닛(3)과; 상기 록킹유닛(3)을 지지대(12)에 고정수단(13)으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용자는 제어유닛(4)의 숫자 버튼 및 터치방식으로 숫자를 입력하면 그 데이터는 강화도어 상측에 있는 록킹유닛(3)에 송출한다. 이 송출은 무선/내지는 유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렇게 송출된 데이터값을 수신받은 록킹유닛(3)의 제어컨트롤부(미도시)는 전원(5)의 전류를 감속모터(6)에 공급한다.
그 전류를 공급받은 감속모터(6)는 그 감속모터(6)의 구동축에 형성된 소기어(7')와 기어물림된 동작부(9)가 동작하여 데이볼트부(10)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데이볼트부(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잠금이 되고,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열림이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미리설정한 제어컨트롤부와 제어유닛(4)이 제어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주고받아 이루어지고 그 제어데이터는 이용자가 입력한다.
1) 상기 구성중에서 본원은, 강화도어(100)의 관통공(80)에 제어유닛(200)을 고정한 브라켓(212)을 설치하는 과제이다,
2) 또 강화도어(100)의 관통공(80)에 제어유닛(200)을 설치한 브라켓(212)을 설치하되, 강화도어의 실내측(A)에 상기 강화도어(100)의 상측에 설치된 록킹제어(206)부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유닛(231)을 고정하고, 실외측(B)은 송출유닛(231)과 전선으로 연결된 버튼유닛(214)을 설치하는 과제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시한 도면에 의거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프레임(50)에 강화도어(100)가 장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화도어(100)의 중간부에는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80)을 통과하는 나선봉(20)에 의해 손잡이(207)가 장착되고, 상기 강화도어(100)의 지지대(60)에 고정수단(13)으로 고정되어 상기 도어프레임(50)에 데이볼트(204)가 잠금되거나 그 잠금을 해재하는 전자식 록킹유닛(206)이 설치되고, 상기 록킹유닛(206)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제어유닛(200)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방법(미도시)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손잡이(207)를 고정하는 나선봉(20)을 통과시켜 상기 관통공(8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9)와, 상기 나선봉(20)이 통과 되는 통공(210)이 형성된 지지부(211)를 갖는 브라켓(2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12)에 고정된 제어유닛(200)은 록킹유닛(206)으로 송출하는 송출유닛(213)과, 이 송출유닛(213)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버튼유닛(214)으로 양분시켜, 강화도어의 실내측(A)은 상기 강화도어(100)의 상측에 설치된 록킹제어(206)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유닛(213)이 고정되고, 상기 강화도어(100)의 실외측(B)은 상기 송출유닛(213)의 전선(215)을 관통공(80)을 경유시켜 연결한 버튼유닛(214)을 설치한 구성이다.
또, 상기 브라켓(212)의 지지부(211)에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내측에 전선홈(230)과 상기 브라켓이 튼튼하도록 보강대(2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방법(미도시)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손잡이(207)를 고정하는 나선봉(20)을 통과시켜 상기 관통공(8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9)와, 상기 나선봉(20)이 통과되는 통공(210)이 형성된 지지부(211)를 갖는 브라켓(212)을 제고 함으로서 제어유닛(200)은 손잡이와 함께 완벽하게 고정된다.
2), 또 브라켓(212)에 고정된 제어유닛(200)은 록킹유닛(206)으로 송출하는 송출 유닛(213)과, 이 송출유닛(213)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버튼유닛(214)으로 양분시켜, 강화도어의 실내측(A)은 상기 강화도어(100)의 상측에 설치된 록킹제어(206)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유닛(213)이 고정되고, 강화도어(100)의 실외측(B)은 상기 송출유닛(213)의 전선(215)을 관통공(80)을 경유시켜 연결한 버튼유닛(214)을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송출유닛(213)의 전자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실내측에 위치하고, 버튼유닛(214)은 실외측에 위치함으로 버튼조작이 용이하다.
3), 또 브라켓(212)의 지지부(211)에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내측에 전선홈(230)과 상기 브라켓이 튼튼하도록 보강대(2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브라켓(212)이 튼튼하고 전선(21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제 1도의 본 발명의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제어유닛을 고정하여 강화도어의 손잡이에 장착한 강화도어의 사시도이고,
제 2도는 본 발명의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설치된 제어유닛을 강화도어로부터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며,
제 3도는 제 2도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제 4도는 본 발명의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제어유닛을 고정하여 강화도어의 손잡이에 장착한 강화도어의 또다른 사시도이며,
제 5도는 제 4도의 분해사시도이다.
또, 제 6도의 가)는 제 3도의 측면도이고,
제 6도의 나) 제 제 4도의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도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프레임(50)에 강화도어(100)가 장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화도어(100)의 중간부에는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80)을 통과하는 나선봉(20)에 의해 손잡이(207)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건의 이해를 돕기 위해 참고로 앞에서 언급한 종래의 강화도어 잠금장치를 인용한다.
강화도어(100)의 손잡이 높이 부분에 고정수단(13)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록킹유닛(3)에 데이터값을 송출하는 제어유닛(4)과;
상기 제어유닛(4)으로부터 데이터값을 수신받는 제어컨트롤부(미도시)가 있고, 이 제어컨트롤부의 전기적신호에 따라 전원(5)의 전류를 공급받거나 차단받는 감속모터(6)가 있으며, 이 감속모터(6)의 구동축(7)과 서로 기어물림(8)되어 동작하는 동작부(9)가 있고, 이 동작부(9)가 데이볼트부(10)를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후퇴시켜 도어프레임(10')의 구멍에 상기 데이볼트부(10)를 삽입시키거나 후퇴시키는 구성을 포함한 록킹유닛(3)과; 상기 록킹유닛(3)을 지지대(12)에 고정수단(13)으로 고정한다(도 7,8,9 참조).
상기 제어유닛(200)은 제어유닛(200)을 고정하는 고정부(209)가 있고, 나선봉(20)이 통과되는 통공(210)이 형성된 지지부(211)를 갖는 브라켓(212)이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은 다이게스팅에 의해 성형 가능하다. 그러나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할 경우 두께가 두꺼워 미관상 미러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은 스테인레스 재질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통공(210)과 지지부(211)와 제어유닛(200)이 고정되는 고정부(209)가 성형되도록 한다.
또 전선(215)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전선이 수용되는 전선홈(230)과 브라켓이 휘여지지 않도록 지지대 및 고정부는 보강대(231)를 성형한다.
그리고 브라켓(212)에 고정된 제어유닛(200)은 록킹유닛(206)으로 송출하는 송출유닛(213)과 이 송출유닛(213)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버튼유닛(214)으로 양분시킨다.
이와 같이 양분시킨 송출유닛(213)은, 강화도어의 실내측에 상기 강화도어(100)의 상측에 설치된 록킹제어(206)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유닛(213)이 고정되고, 상기 강화도어(100)의 실외측은 상기 송출유닛(213)의 전선(215)을 관통공(80)을 경유시켜 연결한 버튼유닛(214)을 설치한다(도시한 도5 참조).
제 5도에 도시한 전선(215)은 이해를 돕기 위해 길게 표현하였다.
좀 더 상세히 제어유닛(200)을 강화도어(100)에 설치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화도어(100)의 관통공(80)에 결합된 손잡이(207)를 분리한 후 제어유닛(200)을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브라켓(212)을 손잡이(207)의 나사봉(20)에 끼움하여 손잡이와 함께 도시한 도 3도와 같이 고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브라켓(212)을 이용하여 제어유닛(200)을 강화도어(100)의 손잡이(207)에 고정함으로 완벽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제 1도의 본 발명의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제어유닛을 고정하여 강화도어의 손잡이에 장착한 강화도어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설치된 제어유닛을 강화도어로부터 분리한 분해사시도
제 3도는 제 2도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에 제어유닛을 고정하여 강화도어의 손잡이에 장착한 강화도어의 또다른 사시도,
제 5도는 제 4도의 분해사시도
제 6도의 가)는 제 3도의 측면도이고,
제 6도의 나) 제 4도의 측면도이다.
제 7도는 종래의 강화도어 잠금장치를 강화도어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8도는 종래의 록킹유닛과 도어잠금장치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
제 8도의 나)는 본 발명의 록킹유닛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제 9도의 가)는 종래의 록킹유닛의 내부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제 9도의 나)는 제 9도의 가)의 전류를 생략하여,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제 10는 종래의 유리문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나선봉 200 ; 제어유닛
206 ; 록킹유닛 207 ; 손잡이
209 ; 고정부 210 ; 통공
211 ; 지지부 212 ; 브라켓
213 ; 송출유닛 214 ; 버튼유닛
215 ; 전선 230 ; 전선홈
231 ; 보강대

Claims (3)

  1. 도어프레임(50)에 강화도어(100)가 장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화도어(100)의 중간부에는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80)을 통과하는 나선봉(20)에 의해 손잡이(207)가 장착되고, 상기 강화도어(100)의 지지대(60)에 고정수단(13)으로 고정되어 상기 도어프레임(50)에 데이볼트(204)가 잠금되거나 그 잠금을 해재하는 전자식 록킹유닛(206)이 설치되고, 상기 록킹유닛(206)에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제어유닛(200)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00)은,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방법(미도시)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손잡이(207)를 고정하는 나선봉(20)을 통과시켜 상기 관통공(8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2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09)와, 상기 나선봉(20)이 통과되는 통공(210)이 형성된 지지부(211)를 갖는 브라켓(212)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2)에 고정된 제어유닛(200)은 록킹유닛(206)으로 송출하는 송출유닛(213)과, 이 송출유닛(213)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버튼유닛(214)을 양분시켜, 강화도어의 실내측(A)은 상기 강화도어(100)의 상측에 설치된 록킹제어(206)로 제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유닛(213)이 고정되고, 상기 강화도어(100)의 실외측(B) 은 상기 송출유닛(213)의 전선(215)을 관통공(80)을 경유시켜 연결한 버튼유닛(214)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2)의 지지부(211)에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내측에 전선홈(230)과 상기 브라켓이 튼튼하도록 보강대(2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KR1020080103941A 2008-10-23 2008-10-23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KR10102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41A KR101024955B1 (ko) 2008-10-23 2008-10-23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41A KR101024955B1 (ko) 2008-10-23 2008-10-23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942A true KR20100044942A (ko) 2010-05-03
KR101024955B1 KR101024955B1 (ko) 2011-03-29

Family

ID=4227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941A KR101024955B1 (ko) 2008-10-23 2008-10-23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839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의 분리형 도어락
KR102372838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락 및 이의 교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684Y1 (ko) * 2005-10-06 2005-12-27 정옥성 강화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 지지브라켓
KR20070114552A (ko) * 2006-05-29 2007-12-04 주식회사 젤컴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839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의 분리형 도어락
KR102372838B1 (ko) * 2020-11-27 2022-03-11 주식회사 이츠락 프레임 도어락 및 이의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955B1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8424B2 (en) Modular multi-point lock
EP2527579B1 (en) Linear actuator particularly for sliding doors and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in general
US9650812B2 (en) Portable drawer and door lock for retrofit applications
KR101024955B1 (ko)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US20120292925A1 (en) Electronic Unit For Locking Device And Locking System
KR101671893B1 (ko)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KR20090094193A (ko) 강화도어 잠금장치
KR20090129550A (ko) 선택적 자동 창호 개폐 기구
CN108086792B (zh) 一种推拉把手锁
KR20120055204A (ko) 강화도어용 전자도어록의 제어유닛 지지용 브라켓
CN110291268B (zh) 模块化驱动装置
JP2003269030A (ja) 引出し式キャビネット
KR200460624Y1 (ko)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JP3177447B2 (ja) キャビネットのロック装置
KR100801233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잠금장치
CN115000835A (zh) 一种可展开式组合配电柜
CN207714923U (zh) 隐藏式遥控门锁
CN203759779U (zh) 基于无线控制的锁具
EP2122091B2 (en) Electromotorically driven lock for window or door
KR200356814Y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록킹장치
CN214498720U (zh) 家用电器
KR100577748B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록킹장치
CN211714853U (zh) 铰链装置以及烤箱
CN103883163A (zh) 一种推拉门锁
CN110847776B (zh) 观光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