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916A -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916A
KR20100043916A KR1020080103175A KR20080103175A KR20100043916A KR 20100043916 A KR20100043916 A KR 20100043916A KR 1020080103175 A KR1020080103175 A KR 1020080103175A KR 20080103175 A KR20080103175 A KR 20080103175A KR 20100043916 A KR20100043916 A KR 20100043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capacitance
key valu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459B1 (ko
Inventor
한상현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to KR102008010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59B1/ko
Priority to US13/123,675 priority patent/US20110193821A1/en
Priority to PCT/KR2009/005900 priority patent/WO2010047491A2/ko
Publication of KR2010004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93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with an integrated touc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호스트 시스템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부가 제어부를 통해 여러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장치에 있어서, PCB 패턴과 돔 시트로 각각 구성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조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전용량측정부에서 조작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여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존의 버튼부를 구비한 디지털 기기에 구조 변경없이 간단하게 터치센싱 기능이 부가된 버튼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치센서, 버튼부, 휴대폰, 정전용량, 돔

Description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complex-type button device for touch sensing possibility}
본 발명은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누름 조작에 의한 버튼에 터치조작에 의해 터치센싱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첨단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 MP3, PMP, 네비게이션, 전자사전, PDA 등과 다양한 디지털 전자제품들이 상용화됨에 따라 우리 생활은 다방면으로 높은 편의성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기들에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숫자버튼 또는 기능버튼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를 조작하여 여러 가지 기능들을 동작시키게 된다.
도 1은 휴대폰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숫자버튼과 통화버튼, 방향 버튼(4방향)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버튼의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돔 스위치 시트(dome switch sheet)가 PCB 기판에 형성되어 메탈 돔(1)이 PCB에 형성된 패턴(2)에 접촉하게 되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게 됨으로써 키값에 대응하는 동작신호가 인가된다.
이처럼 기존의 버튼 방식에서 근래에는 터치센서의 개발 및 상용화가 활성화됨에 따라 좀 더 편리하게 조작성을 제공하고자 하여 터치센서가 적용된 전자기기들이 많이 출품되고 있다.
도 2는 터치센서가 적용된 휴대폰을 나타낸 것으로 디스플레이 전면으로 ITO film을 적용한 터치센서 제품이 상용화되어 전면을 터치 조작함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터치센서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ITO film이나 또는 PCB 기판에 일정 패턴을 형성하고 인체 접촉 시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버튼기능을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터치센서를 각종 디지털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전용량 측정을 위해 특별하게 제작된 Diamond pattern 또는 막대기 모양의 패턴과 측정전용량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set상의 기구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별도의 PCB 패턴을 제작함과 더불어 그에 따른 제품의 구조를 전반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ITO film의 적용 시 매우 고가임에 따라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의 버튼을 별도의 구조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터치센싱이 가능하여 조작에 편리성이 부가되는 버튼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호스트 시스템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부가 제어부를 통해 여러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장치에 있어서, PCB 패턴과 돔 시트로 각각 구성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조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전용량측정부에서 조작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여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는,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구비된 버튼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터치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는, 상기 버튼부를 통한 터치조작에 따라 문자인식, 4방향 또는 8방향의 방향인식, 원형 스크롤 휠 조작이 인식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를 통해 정전용량이 측정되었을 경우 그 해당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의한 키값과 대응하는 키값을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별도의 키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를 통해 정전용량이 측정되었을 경우 그 해당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의한 키값과 다른 별도의 키값을 출력하기 위한 키값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기존의 돔 스위치 형태의 버튼을 통해 이와 인체사이에 발생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측정부만을 추가적으로 구성함에 따라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간단하게 기존 버튼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터치센싱이 함께 가능한 버튼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버튼부로 구현하기 불가능한 조작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한층 더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각종 디지털 기기에 적용되는 돔 스위치(dome switch)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버튼구현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버튼구현방식을 나타낸 여러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는, 다양한 호스트 시스템(400)에 구비되어 PCB 패턴(120)과 돔 시트(110)로 각각 구성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버튼부(100)와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측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전용량측정부에서 조작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제어부(300)를 통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여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튼부(100)는 다양한 호스트 시스템에 해당하는 휴대폰, MP3, PMP, 네비게이션, 전자사전,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지털 기기에 구성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위한 버튼장치에 해당된다.
상기 버튼부(100)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접점이 이루어지도록메 탈(metal)의 돔 시트(110)와 PCB 기판에 형성되는 PCB 패턴(120)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이를 상세히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돔 시트 상부로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문구 또는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는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버튼이 사용자의 조작력을 돔 시트(110)로 전달하고 돔 시트와 PCB 패턴이 접촉함으로써 버튼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버튼부가 눌리고 떼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PCB 패턴(120)은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Pin)를 오픈드레인 아웃풋(Open Drain Output)모드로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키 스캔(Key Scan)방식에 의거하여 0V를 드라이브 하고 돔 시트(110)는 GPIO를 인풋위드풀업(input with pull-up)모드로 설정을 합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서 돔 시트(110)가 눌려지면 돔 시트와 PCB 패턴은 서로 접촉을 하게 되며 이때 돔 시트에 입력되는 전압은 로직레벨 High에서 Low로 신호가 바뀌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해당 pin의 버튼이 눌린 것을 인지하게 된다. 돔 시트(110)가 떨어질 때에는 해당 입력 돔 시트(110)가 Low에서 High로 변환되게 되고 이를 인지하여 버튼이 떨어진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돔 시트(110)와 PCB 패턴(120)으로 구성되는 돔 스위치(dome switch) 버튼부는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버튼부(100)를 조작함에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함으로써 호스트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조작하게 된다.
정전용량측정부(200)는 상기 버튼부(100)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에 신체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이 측정되면 터치조작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전용량측정부(200)는 신체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버튼 조작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용량측정부는 일반적으로 공지의 터치센서에 많이 이용되는 정전용량측정부로써 공지의 기술로 쉽게 구성하거나, 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7-0095453호"를 통해 정전용량측정부를 용이하게 설계 및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상기 PCB 패턴(120)번은 GIPO를 오픈드레인 아웃풋(Open Draing Output) 모드상태에서 모두 "0"을 출력하게 하여 0V(그라운드 준위)에 연결하거나 모두 Input mode로 설정하여 Open(Hign impedance 상태)시켜 놓고 상기 돔 시트(110)를 GIPO의 동작 모드 중에 정전용량을 센싱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한 후에 터치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정전용량센서의 감지회로를 동작시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게 됩니다.
상기 정전용량측정부(200)를 상기 버튼부(100)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우선 누름 조작에 의한 버튼부(100) 기능에 대응하게 키값을 출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누름 조작과 터치조작 두 가지의 조작 방식으로 동일한 버튼부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00)의 기능이 상/하, 좌/우 기능을 수행하면 이와 동일하 게 상기 상/하, 좌/우 버튼을 터치조작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정전용량측정부(200)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4방향 기능을 누름 조작과 터치조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누름 조작에 의한 키값과 대응하지 않고 터치조작에 의한 키값을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것은 터치조작을 통해 좀 더 다양한 형태의 호스트 시스템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면, 1 내지 0까지의 버튼부와 "*" 및 "#"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버튼부는 누름 조작에 따라 각각의 숫자 및 문양에 대응하는 키값을 출력하게 되지만, 터치조작에 의해서는 4방향 키값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높은 버튼 조작의 편의성을 가져다준다. 이때 4방향을 터치조작으로 나타내기 위한 2, 4, 6, 8번의 버튼부의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정전용량측정부와 연결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방향으로 구성하거나, 원형 스크롤 휠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는 별도의 키값변환부(210)를 구성함에 따라 정전용량이 측정되었을 경우 상기 키값변환부(210)에 의해 터치조작에 따른 기 설정된 키값을 출력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터치 조작을 통해 문자인식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버튼부가 구성되어 있을 때 각각의 버튼부를 정전용량측정부와 함께 구성한 후 터치조작에 의해 정전용량이 측정되면 이를 키값변환부(210) 를 통해 문자를 인식시킴으로써 문자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출력된 키값을 문자로 인식하기 위한 문자인식부가 더 포함되어 사용자가 버튼부를 통해 문자를 작성하였을 때 이를 문자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과 터치조작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누름 조작에 의해 키값을 먼저 계산한 다음에 터치에 따른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키값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시간을 분할하여 누름 조작과 터치조작을 순차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입력된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버튼 조작 방식에 의해서 측정된 값을 독립적으로 각각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누름조작 버튼의 조작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버튼 데이터(누름조작)만을 사용하고 터치조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터치조작에 의해 발생한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터치조작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디지털 기기에 구비된 별도의 터치 동작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이를 조작한 후 터치기능으로써의 키 값을 출력하도록 하고 터치조작을 종료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터치 동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터치 기능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 터치입력이 없을 경우 터치 동작 기능을 자동으로 종료시키도록 구성하거나, 터치조작이 필요없는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경우 터치조작을 종료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조작에 의한 버튼구현은 기존에 설계된 다수의 버튼부 매트릭스에 따라 대응하게 또는 별도로 터치 키값을 출력하여 각종 호스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정전용량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된 정전용량을 통해 이에 대응하는 키값을 제어부(300)에서 출력함으로써 호스트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디지털기기에 구비된 기존의 버튼장치에 정전용량측정부만을 추가 구성하여 터치센싱이 동시에 구현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터치센싱이 가능한 버튼장치를 구성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조작의 편의성을 만족할 수 있는 버튼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은 디지털 기기의 일예로 휴대폰에 구비된 버튼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기기의 일예로 휴대폰에 구비된 터치센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각종 디지털 기기에 적용되는 돔 스위치(dome switch)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버튼구현방식을 나타낸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의 버튼구현방식을 나타낸 여러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튼부 110 : 돔 시트
120 : PCB 패턴 200 : 정전용량측정부
210 : 키값변환부 300 : 제어부
400 : 호스트 시스템

Claims (5)

  1. 다양한 호스트 시스템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부가 제어부를 통해 여러 기능을 제어하는 버튼장치에 있어서,
    PCB 패턴과 돔 시트로 각각 구성되어 누름 조작에 의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조작시키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터치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전용량측정부에서 조작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그에 따른 키값을 출력하여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 구비된 버튼부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터치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는,
    상기 버튼부를 통한 터치조작에 따라 문자인식, 4방향 또는 8방향의 방향인식, 원형 스크롤 휠 조작이 인식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를 통해 정전용량이 측정되었을 경우 그 해당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의한 키값과 대응하는 키값을 출력하거나, 기 설정된 별도의 키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측정부를 통해 정전용량이 측정되었을 경우 그 해당 버튼부의 누름 조작에 의한 키값과 다른 별도의 키값을 출력하기 위한 키값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KR1020080103175A 2008-10-21 2008-10-21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KR10101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75A KR101018459B1 (ko) 2008-10-21 2008-10-21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US13/123,675 US20110193821A1 (en) 2008-10-21 2009-10-14 Hybrid button device with a touch sensing function
PCT/KR2009/005900 WO2010047491A2 (ko) 2008-10-21 2009-10-14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75A KR101018459B1 (ko) 2008-10-21 2008-10-21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16A true KR20100043916A (ko) 2010-04-29
KR101018459B1 KR101018459B1 (ko) 2011-03-02

Family

ID=421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75A KR101018459B1 (ko) 2008-10-21 2008-10-21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93821A1 (ko)
KR (1) KR101018459B1 (ko)
WO (1) WO20100474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548A (ko) *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진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876B2 (ja) * 2000-08-11 2007-07-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472429B1 (ko) * 2002-10-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0628652B1 (ko) * 2005-01-11 2006-09-26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셀룰러폰용 키패드
KR101158958B1 (ko) * 2006-07-18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859318B1 (ko) * 2007-01-04 2008-09-19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센서와 기계적 접점방식 스위치를 사용하는 2단스위치
US20080251364A1 (en) * 2007-04-11 2008-10-16 Nokia Corporation Feedback on input actu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548A (ko) *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진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459B1 (ko) 2011-03-02
WO2010047491A2 (ko) 2010-04-29
WO2010047491A3 (ko) 2010-07-22
US20110193821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9358B2 (en) Touch-based input for stylus
US9507521B2 (en) Input apparatus, input mode switching method and computer apparatus
US9454239B2 (en) Enabling touch events on a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US20030234768A1 (en)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KR100755973B1 (ko)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48469B1 (ko) 키패드 터치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
TWI586104B (zh) 電容性感測器器件及用於操作輸入器件之方法
US20100265209A1 (e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WO2013039699A1 (en) Fusion keyboard
KR20100054274A (ko) 터치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촉위치 및 힘의 세기 획득방법
CN103379211A (zh) 一种自动切换手持模式的方法及无线手持设备
WO2007123648A3 (en) Capacitance sensing touchpad circuit capable of dual use as a touchpad controller and keyboard controller
US20150002401A1 (en) Alternative glove-based key entry for mobile devices
KR20110138743A (ko) 측면 및 후면 터치센서가 구비된 모바일 장치
KR101018459B1 (ko)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KR100960942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CN104750292B (zh) 触控装置及其触控模式切换方法
CN101951254A (zh) 具有导航按键的电子设备及利用其实现的导航方法
KR101106278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US9977550B2 (en) Active one-layer multi-touch sensor panel device
WO2010119713A1 (ja) 携帯端末
US20200183580A1 (en) Touch-sensitive input with custom virtual device regions
CN104049788A (zh) 触控输入装置
CN101661347A (zh) 输入装置
CN106959774A (zh) 应用于触控屏幕的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