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73B1 -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73B1
KR100755973B1 KR1020060029286A KR20060029286A KR100755973B1 KR 100755973 B1 KR100755973 B1 KR 100755973B1 KR 1020060029286 A KR1020060029286 A KR 1020060029286A KR 20060029286 A KR20060029286 A KR 20060029286A KR 100755973 B1 KR100755973 B1 KR 10075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ress
input
portable inform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73B1/ko
Priority to US11/707,619 priority patent/US20070229458A1/en
Priority to EP07102892A priority patent/EP1840713A3/en
Priority to CNA2007100877070A priority patent/CN10104671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휠을 이용하여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하고 공간 절약과 효율적 키 배치가 가능하며 기존 운영체제나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휠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크롤 휠의 방향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방향전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전환 버튼을 누른 후 스크롤 휠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면 표시부의 커서는 종래와 다르게 좌우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런 후 다시 방향전환 버튼을 누르면 스크롤 휠은 본래의 상하이동 키 기능으로 복귀한다. 방향전환 버튼을 길게 누르면 특정 기능(예컨대, 실행취소)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향전환 버튼 대신에 누름 판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롤 휠의 누름 유형에 따라 방향전환 기능을 할당하고 네 방향 키 이동을 구현한다.
스크롤 휠, 방향전환 버튼, 커서, 이동방향 전환, 누름 유형

Description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wheel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four-way key stroke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휠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휠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한 휠 입력 방법의 흐름도.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의 변형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한 훨 입력 방법의 흐름도.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누름 유형 판별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30: 단말기 11, 31: 본체
12, 32: 화면 표시부 13, 33: 키패드
14, 34: 커서 15, 16, 35, 36: 커서 이동방향
21, 41, 51, 71: 스크롤 휠 22, 42, 52: 방향전환 버튼
50, 70: 휠 입력 장치 53, 72: 회전 감지부
54, 55, 73: 누름 감지부 56, 74: 제어부
57, 76: 이동방향 결정부 75: 누름 판별부
60, 80: 휠 입력 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장착된 스크롤 휠(scroll wheel)을 이용하여 네 방향으로의 키 이동(key stroke)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반도체 집적회로 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이용되는 입력 장치에는 키패드(keypa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조이스틱(joystick), 스크롤 휠 등이 있다. 특히, 메시징(messaging)이 강조된 단말기에서는 조이스틱이나 스크롤 휠을 채택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는 더욱 빠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스크롤 휠(또는 트랙 휠(track wheel), 휠 키(wheel key) 등으로 지칭됨)은 상/하 이동(Up/Down) 및 확인(OK)의 세 가지 기능키를 대체하는 입력 장치의 일종이다. 스크롤 휠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전후 방향으로 굴리는 방식으로 빠르 고 비교적 정확하게 키 이벤트(key event)를 발생시켜 소프트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크롤 휠에 대한 종래기술이 예컨대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190146호(Research in Motion) 및 제2006-0007129호(Research in Motion)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스크롤 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운영체제(OS)나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구조가 스크롤 휠의 동작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운영체제나 응용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스크롤 휠의 사용을 전제로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즉, 네 방향으로의 키 이동을 고려하여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따르기 때문에), 종래의 스크롤 휠 자체로는 최소한의 방향이동 기능인 네 방향 키 이동도 전부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 미국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스크롤 휠도 기본적으로 상/하 이동 및 확인의 세 가지 기능만을 실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미국등록특허공보 제6,700,564호(Microsoft)에서는 네 방향 키 이동을 구현하는 스크롤 휠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은 마우스나 키보드에 장착된 스크롤 휠을 옆 방향으로 움직여 좌/우 키 이동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을 적용하려면 스크롤 휠의 양옆으로 스크롤 휠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공간 절약이 중요한 설계 고려사항 중의 하나이므로, 이러한 종래기술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 절약과 효율적인 키 배치가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운영체제나 응용프로그램에 적합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는 본체에 장착되며 스크롤 휠과 방향전환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롤 휠은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굴려 회전시키거나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다. 방향전환 버튼은 스크롤 휠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일부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스크롤 휠의 방향성을 제어한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는, 스크롤 휠의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와, 스크롤 휠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휠 누름 감지부와, 방향전환 버튼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버튼 누름 감지부와, 회전 감지부와 휠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버튼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제어부에 보내는 이동방향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휠 입력 장치에 있어서, 스크롤 휠과 방향전환 버튼은 본체의 측 면 또는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제어하고 이동방향 결정부의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예컨대 상하방향이고 제2방향은 예컨대 좌우방향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은, (a) 방향전환 버튼에서 버튼 누름이 입력되는 단계와, (b) 버튼 누름 감지부가 버튼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와, (c) 이동방향 결정부가 버튼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로 보내는 단계와, (d) 스크롤 휠에서 휠 회전이 입력되는 단계와, (e) 회전 감지부가 휠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와, (f) 제어부가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이동방향 결정부의 이동방향 결정에 따라 제2방향으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휠 입력 방법은,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b-1) 버튼 누름 감지부가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b-2)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제어부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 단계는 (b-1) 단계에서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 입력 방법에서, 제1방향은 예컨대 상하방향이고 제2방향은 예컨대 좌우방향이다.
본 발명의 휠 입력 방법은, (f) 단계 후에, 다시 방향전환 버튼에서 버튼 누름이 입력되면 이동방향 결정부가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는 스크롤 휠, 회전 감지부, 누름 감지부, 누름 판별부, 이동방향 결정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롤 휠은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굴려 회전시키거나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다. 회전 감지부는 스크롤 휠의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며, 누름 감지부는 스크롤 휠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한다. 누름 판별부는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누름 입력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별한다. 이동방향 결정부는 누름 판별부에서 누름 입력이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으로 판별된 경우에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보낸다. 제어부는 회전 감지부와 누름 판별부와 이동방향 결정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에서, 누름 유형은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은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휠 입력 장치에서, 스크롤 휠은 본체의 측면 또는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제어하고 이동방향 결정부의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예컨대 상하방향이고 제2방향은 예컨대 좌우방향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a) 스크롤 휠에서 휠 누름이 입력되는 단계, (b) 누름 감지부가 휠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 (c) 누름 판별부가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휠 누름 입력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별하고 누름 유형 정보를 이동방향 결정부로 보내는 단계, (d) 이동방향 결정부가 누름 유형 정보를 받아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인 경우에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로 보내는 단계, (e) 스크롤 휠에서 휠 회전이 입력되는 단계, (f) 회전 감지부가 휠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 (g) 제어부가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이동방향 결정부의 이동방향 결정에 따라 제2방향으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여기서, (c) 단계는 (c-1) 누름 판별부가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c-2)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휠 누름 입력이 두 번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d) 단계는 (c-1) 단계에서 휠 누름 입력이 두 번이 아닐 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c-1) 단계에서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제어부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휠 입력 방법에서, (c) 단계의 누름 유형 정보는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d) 단계의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은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휠 입력 방법에서, 제1방향은 예컨대 상하방향이고 제2방향은 예컨대 좌우방향이다.
본 발명의 휠 입력 방법은, (g) 단계 후에, 다시 스크롤 휠에서 휠 누름이 입력되고 휠 누름 입력이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이면 이동방향 결정부가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휠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정보단말기(10, 30)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보단말기(10, 30; 이하 '단말기'로 약칭)는 휴대 전화기,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정보처리, 정보제공, 통신 등의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망라 한다.
단말기(10, 30)의 본체(11, 31)는 일반적으로 전면, 후면, 측면을 포함하는 얇은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이다. 본체(11, 31)의 전면에는 화면 표시부(12, 32)와 키패드(13, 33)가 배치된다.
화면 표시부(12, 32)는 단말기의 기능메뉴, 사용자의 입력사항, 정보처리 결과 및 정보제공 내용 등이 나타나는 곳으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이용된다. 특히, 대개의 경우, 화면 표시부(12, 32)에는 키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15, 35) 및 좌우방향(16, 36)으로 움직이는 커서(14, 34)가 표시된다.
키패드(13, 33)는 단말기(10, 3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며, 숫자/문자의 조합 키, 방향이동 키, 기능키 등의 전부 또는 일부로 이루어진다. 그 밖의 입력 장치로서, 화면 표시부(12, 32)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11, 31) 전면에 조이스틱이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1, 31)의 측면(도 1의 경우) 또는 전면(도 2의 경우)에는 스크롤 휠(21, 41)과 방향전환 버튼(22, 42)이 장착된다. 스크롤 휠(21, 41)은 일부가 본체(11, 31)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 원판 형태이다. 스크롤 휠(21, 41)은 상하방향으로 굴려 회전시키거나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다. 스크롤 휠(21, 4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면 표시부(12, 32)의 커서(14, 34)는 종래와 같이 상하방향(15, 35)으로 움직인다. 스크롤 휠(21, 41)을 누르면 통상적인 확인키의 기능(예컨대, 커서(14, 34)의 위치에 있는 항목 선택 또는 실행)이 수행된다.
방향전환 버튼(22, 42)은 스크롤 휠(21, 41)과 인접하여 상하좌우 중의 한 곳에 위치하며 일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된다. 방향전환 버튼(22, 42)은 스크롤 휠(21, 41)의 방향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방향전환 버튼(22, 42)을 누르고 나서 스크롤 휠(21, 4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면 표시부(12, 32)의 커서(14, 34)는 종래와 다르게 좌우방향(16, 36)으로 움직인다. 그런 후 다시 방향전환 버튼(22, 42)을 누르면 스크롤 휠(21, 41)은 본래의 상하이동 키 기능으로 복귀한다. 한편, 방향전환 버튼(22, 42)은 길게 누르는 경우 특정 기능(예컨대, 실행취소)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 장치(50)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 입력 장치(50)는 스크롤 휠(51), 방향전환 버튼(52), 회전 감지부(53), 휠 누름 감지부(54), 버튼 누름 감지부(55), 제어부(56), 이동방향 결정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롤 휠(51)과 방향전환 버튼(52)은 각각 전술한 도 1 또는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회전 감지부(53), 휠 누름 감지부(54), 버튼 누름 감지부(55)는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회전 감지부(53)는 스크롤 휠(51)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휠 누름 감지부(54)와 버튼 누름 감지부(55)는 각각 스크롤 휠(51)과 방향전환 버튼(52)의 누름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회전 감지부(53)와 휠 누름 감지부(54)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 부(56)로 전송된다. 버튼 누름 감지부(55)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이동방향 결정부(57)로 전송된다. 제어부(56)는 스크롤 휠(51)의 회전 또는 누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방향 결정부(57)는 방향전환 버튼(52)의 누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56)에 보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50)를 이용한 휠 입력 방법(60)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휠 입력 방법(60)은 버튼 누름 입력 단계(61), 누름 감지 단계(62), 이동방향 전환 단계(63), 휠 회전 입력 단계(64), 회전 감지 단계(65), 커서 이동 제어 단계(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방향전환 버튼(52)을 눌러 버튼 누름을 입력한다(61 단계). 버튼 누름 감지부(55)는 버튼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62 단계). 이동방향 결정부(57)는 버튼 누름 감지부(55)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예컨대 상하방향)에서 제2방향(예컨대 좌우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56)로 보낸다(63 단계).
이어서, 사용자가 스크롤 휠(51)을 회전시켜 휠 회전을 입력하면(64 단계), 회전 감지부(53)가 이를 감지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65 단계). 제어부(56)는 회전 감지부(53)의 출력을 받아 이동방향 결정부(57)의 이동방향 결정에 따라 제2방향으로 커서 이동을 제어한다(66 단계).
이어서, 다시 방향전환 버튼(52)을 누르면 이동방향 결정부(57)에서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전환하고, 스크롤 휠(51)을 회전시키면 제어부(56)는 제1방향으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휠 입력 방법에서 방향전환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단계(62)와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단계(63) 사이에 일정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67)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68)를 추가할 수 있다.
도 3과 도 4a를 참조하면, 누름 감지 단계(62)에서 버튼 누름 감지부(55)는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한다(67 단계). 즉, 사용자가 방향전환 버튼(52)을 길게 눌렀는지 판단한다.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즉, 사용자가 방향전환 버튼을 짧게 누르면) 이동방향 전환 단계(63)로 넘어간다.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즉, 사용자가 방향전환 버튼을 길게 누르면)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68 단계). 예컨대, 기존의 동작을 취소하도록 하는 실행취소 기능 등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입력 장치(70)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휠 입력 장치(70)는 스크롤 휠(71), 회전 감지부(72), 누름 감지부(73), 제어부(74), 누름 판별부(75), 이동방향 결정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휠 입력 장치(7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방향전환 버튼과 버튼 누름 감지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누름 판별부(75)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크롤 휠(71)은 전술한 도 1 또는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회전 감지부(72)와 누름 감지부(73)는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를 가진다. 회전 감지부(72)와 누름 감지부(73)는 각각 스크롤 휠(71)의 회전과 누름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회전 감지부(72)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74)로 직접 전송된다. 한편, 누름 감지부(73)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누름 판별부(75)와 이동방향 결정부(76)를 거쳐 제어부(74)로 전송된다.
누름 판별부(75)는 스크롤 휠(71)의 누름 입력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누름 유형에는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 등이 있다. 각각의 누름 유형은 서로 다른 기능으로 할당(mapping)된다. 예컨대, 짧게 누름은 이동방향 전환 기능, 길게 누름과 두 번 누름은 확인 기능으로 할당될 수 있다.
스크롤 휠(71)의 누름 유형과 특정 기능 간의 이러한 할당 관계는 단지 설명을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른 예를 들면, 짧게 누름은 이동방향 전환 기능, 길게 누름은 확인 기능, 두 번 누름은 실행취소 기능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짧게 누름은 확인 기능, 길게 누름은 이동방향 전환 기능, 두 번 누름은 또 다른 특정 기능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동방향 결정부(76)는 누름 판별부(75)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인 경우에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74)에 보낸다.
제어부(74)는 스크롤 휠(71)의 회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부(74)는 또한 스크롤 휠(71)의 누름 입력이 있을 때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 누름 유형 정보,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받아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크롤 휠(71)을 짧게 누르면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길게 누르거나 두 번 누르면 확인 기능(예컨대, 해당 항목 선택 또는 실행)을 수행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70)를 이용한 훨 입력 방법(80)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휠 입력 방법(80)은 휠 누름 입력 단계(81), 누름 감지 단계(82), 누름 유형 판별 단계(83), 이동방향 전환 단계(84), 휠 회전 입력 단계(85), 회전 감지 단계(86), 커서 이동 제어 단계(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크롤 휠(71)을 눌러 휠 누름을 입력하고(81 단계), 누름 감지부(73)는 휠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82 단계). 누름 판별부(75)는 휠 누름 입력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별하고 누름 유형 정보를 이동방향 결정부(76)로 보낸다(83 단계). 이동방향 결정부(76)는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예컨대, 짧게 누름)인 경우에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예컨대 상하방향)에서 제2방향(예컨대 좌우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74)에 보낸다(84 단계).
이어서, 사용자가 스크롤 휠(71)을 회전시켜 휠 회전을 입력하면(85 단계), 회전 감지부(72)가 이를 감지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86 단계). 제 어부(74)는 회전 감지부(72)의 출력을 받아 이동방향 결정부(76)의 이동방향 결정에 따라 제2방향으로 커서 이동을 제어한다(87 단계).
이어서, 다시 스크롤 키(71)를 짧게 누르면 이동방향 결정부(76)에서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전환하고, 스크롤 휠(71)을 회전시키면 제어부(74)는 제1방향으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누름 유형 판별 단계(83)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6의 누름 유형 판별 단계(83)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a를 참조하면, 누름 감지 단계(82)가 수행된 후, 누름 판별부(73)는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한다(83a 단계). 즉, 사용자가 스크롤 휠(71)을 길게 눌렀는지 판단한다.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즉, 사용자가 스크롤 휠을 짧게 누르면) 휠 누름 입력이 두 번 있는지 판단한다(83b 단계). 즉, 사용자가 스크롤 휠(71)을 두 번 눌렀는지 판단한다. 두 번 누름이 아니면 전술한 이동방향 전환 단계(84)로 넘어간다. 83a 단계에서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거나(즉, 사용자가 스크롤 휠을 길게 누르면), 83b 단계에서 훨 누름 입력이 두 번 있으면(즉, 사용자가 스크롤 휠을 두 번 누르면)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 예컨대 전술한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88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휠 키가 상하 방향키와 확인키로만 사용되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은 방향전환 버튼을 추가하거나 누름 판별부를 통하여 좌우 방향키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전면에 배치되던 기존의 네 방향키를 대체하여 측면 또는 전면에 간단히 휠 입력 장치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절약과 효율적인 키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휠 키와 맞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기존의 운영체제나 응용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이를 바꾸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휠 입력 장치로서,
    일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굴려 회전시키거나 상기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는 스크롤 휠;
    상기 스크롤 휠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스크롤 휠의 방향성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버튼;
    상기 스크롤 휠의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스크롤 휠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휠 누름 감지부;
    상기 방향전환 버튼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버튼 누름 감지부;
    상기 회전 감지부와 상기 휠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화면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버튼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화면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보내는 이동방향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2.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휠 입력 장치로서,
    일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굴려 회전시키거나 상기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는 스크롤 휠;
    상기 스크롤 휠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스크롤 휠의 방향성을 제어하는 방향전환 버튼;
    상기 스크롤 휠의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스크롤 휠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휠 누름 감지부;
    상기 방향전환 버튼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버튼 누름 감지부;
    상기 회전 감지부와 상기 휠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버튼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보내는 이동방향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휠과 상기 방향전환 버튼은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제어하고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의 상기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받아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좌우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6. 스크롤 휠과 방향전환 버튼을 구비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으로서,
    (a) 상기 방향전환 버튼에서 버튼 누름이 입력되는 단계;
    (b) 버튼 누름 감지부가 상기 버튼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
    (c) 이동방향 결정부가 상기 버튼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커서의 이동방 향을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로 보내는 단계;
    (d) 상기 스크롤 휠에서 휠 회전이 입력되는 단계;
    (e) 회전 감지부가 상기 휠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 및
    (f) 제어부가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의 이동방향 결정에 따라 제2방향으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b-1) 상기 버튼 누름 감지부가 상기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b-2) 상기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버튼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좌우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후에,
    다시 상기 방향전환 버튼에서 버튼 누름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가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11.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는 휠 입력 장치로서,
    일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굴려 회전시키거나 상기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해 누를 수 있는 스크롤 휠;
    상기 스크롤 휠의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스크롤 휠의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하는 누름 감지부;
    상기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누름 입력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별하는 누름 판별부;
    상기 누름 판별부에서 상기 누름 입력이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으로 판별된 경우에 커서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보내는 이동방향 결정부; 및
    상기 회전 감지부와 상기 누름 판별부와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유형은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은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휠은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제어하고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의 상기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받아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좌우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17. 스크롤 휠을 구비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으로서,
    (a) 상기 스크롤 휠에서 휠 누름이 입력되는 단계;
    (b) 누름 감지부가 상기 휠 누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
    (c) 누름 판별부가 상기 누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휠 누름 입력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별하고 누름 유형 정보를 이동방향 결정부로 보내는 단계;
    (d)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가 상기 누름 유형 정보를 받아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인 경우에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로 보내는 단계;
    (e) 상기 스크롤 휠에서 휠 회전이 입력되는 단계;
    (f) 회전 감지부가 상기 휠 회전 입력을 감지하고 출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의 이동방향 결정에 따라 제2방향으로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누름 판별부가 상기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c-2) 상기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상기 휠 누름 입력이 두 번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휠 누름 입력이 두 번이 아닐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휠 누름 입력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상기 누름 유형 정보는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기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은 짧게 누름, 길게 누름, 두 번 누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좌우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후에,
    다시 상기 스크롤 휠에서 휠 누름이 입력되고 상기 휠 누름 입력이 이동방향 전환으로 할당된 누름 유형이면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가 상기 커서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감지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화면의 이동방향을 제1방향으로 제어하고 상기 이동방향 결정부의 상기 이동방향 결정 정보를 받아 상기 화면의 이동방향을 제2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하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좌우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KR1020060029286A 2006-03-31 2006-03-31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5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86A KR100755973B1 (ko) 2006-03-31 2006-03-31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US11/707,619 US20070229458A1 (en) 2006-03-31 2007-02-16 Whee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four-way key stroke in portable terminal
EP07102892A EP1840713A3 (en) 2006-03-31 2007-02-22 Whee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four-way key stroke in portable terminal
CNA2007100877070A CN101046712A (zh) 2006-03-31 2007-03-12 便携终端中的四向击键的轮输入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86A KR100755973B1 (ko) 2006-03-31 2006-03-31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973B1 true KR100755973B1 (ko) 2007-09-06

Family

ID=3789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86A KR100755973B1 (ko) 2006-03-31 2006-03-31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29458A1 (ko)
EP (1) EP1840713A3 (ko)
KR (1) KR100755973B1 (ko)
CN (1) CN101046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76B1 (ko) * 2007-05-30 2009-06-25 주식회사 휴맥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포인터 표시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KR20090017033A (ko) * 2007-08-13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Gui기반의 휴대 기기에 대한 조작 방법과 그 장치
US8686991B2 (en) * 2007-09-26 2014-04-01 Autodesk, Inc. Navigation system for a 3D virtual scene
CA2730758C (en) * 2008-10-06 2016-09-20 Martin Pointing Devices Scroll wheel
CN101719942B (zh) * 2009-11-30 2012-04-25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及移动终端旋转识别的方法
CN102163069A (zh) * 2011-04-18 2011-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1513675B2 (en) * 2012-12-29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CN110850705B (zh) 2013-09-03 2021-06-29 苹果公司 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表冠输入
US10503388B2 (en) *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254856B2 (en) 2014-01-17 2019-04-09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9939934B2 (en) 2014-01-17 2018-04-10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9810906B2 (en) 2014-06-17 2017-11-0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WO2015200890A2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IL234050A0 (en) * 2014-08-11 2014-11-30 Cardo Systems Inc User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system
CN112199000A (zh) 2014-09-02 2021-01-08 苹果公司 多维对象重排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CN106797493A (zh) 2014-09-02 2017-05-3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CN104407723B (zh) * 2014-10-31 2017-09-26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滚轮键控制方法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0139966B2 (en) 2015-07-22 2018-11-27 Osterhout Group, In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11003246B2 (en) 2015-07-22 2021-05-11 Mentor Acquisition One, Llc External user interface for head worn computing
US10684478B2 (en) * 2016-05-09 2020-06-16 Mentor Acquisition One, Ll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466491B2 (en) 2016-06-01 2019-11-05 Mentor Acquisition One, Llc Modular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WO2017177122A1 (en) * 2016-04-08 2017-10-12 Osterhout Group, In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824253B2 (en) * 2016-05-09 2020-11-03 Mentor Acquisition One, Llc User interface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D864959S1 (en) 2017-01-04 2019-10-29 Mentor Acquisition One, Llc Computer glasses
US10152141B1 (en) 2017-08-18 2018-12-11 Osterhout Group, Inc. Controller movement tracking with light emitter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CN113721779A (zh) * 2020-05-21 2021-11-3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嵌入式设备和光标移动控制方法
US11893212B2 (en) 2021-06-06 2024-02-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pplication widge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635A (ja) 1999-06-30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20057203A (ko) * 2000-12-30 2002-07-11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장치
KR20020093424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크롤장치
KR20050090202A (ko) * 2004-03-08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3870A1 (en) * 2002-06-28 2005-01-06 Kyocera Corporation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for processing displaying information used for the same
US7106314B2 (en) * 2002-09-10 2006-09-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adapting a sensor signal to actuate multiple dimensions
US6930959B2 (en) * 2003-05-23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axis wheel scroller and selector
US7636748B2 (en) * 2003-09-29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configuration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US7423628B2 (en) * 2004-02-27 2008-09-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Track wheel with reduced space requir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635A (ja) 1999-06-30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20057203A (ko) * 2000-12-30 2002-07-11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장치
KR20020093424A (ko) * 2001-06-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크롤장치
KR20050090202A (ko) * 2004-03-08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376B1 (ko) * 2007-05-30 2009-06-25 주식회사 휴맥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포인터 표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9458A1 (en) 2007-10-04
EP1840713A3 (en) 2012-11-14
EP1840713A2 (en) 2007-10-03
CN101046712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73B1 (ko) 네 방향 키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휠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48469B1 (ko) 키패드 터치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
US97338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ate controlling method
US20100201615A1 (en) Touch and Bump Input Control
US20070262968A1 (en) Input device
EP2284669B1 (en) Touch panel and output method therefor
KR200900229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EP1873622A2 (en) A keypad touch user interface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WO2009071123A1 (e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JP2007172620A (ja) 小型携帯端末に適した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MX2008014057A (es) Tecla de multiples funciones con desplazamiento.
US20110090150A1 (en) Input processing device
CN103019572A (zh) 电子设备和控制状态的方法
US10126843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H10228350A (ja) 入力装置
US20100149103A1 (en) Touch-typing keyboard for touch screens
US20140300531A1 (en) Indicator input device with image recognition function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JP2008140211A (ja) 入力部の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042585A1 (e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of transiently switching operational status of touch panel
KR20090028344A (ko) 촉각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드 구현 방법
CN104714643B (zh) 一种利用传感器实现模拟触摸屏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4750292A (zh) 触控装置及其触控模式切换方法
WO2010119713A1 (ja) 携帯端末
JP4080498B2 (ja) タッチパネルのインテリジェントタイプ移動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