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745A -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 Google Patents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745A
KR20100043745A KR1020080102922A KR20080102922A KR20100043745A KR 20100043745 A KR20100043745 A KR 20100043745A KR 1020080102922 A KR1020080102922 A KR 1020080102922A KR 20080102922 A KR20080102922 A KR 20080102922A KR 20100043745 A KR20100043745 A KR 20100043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filling member
optoelectronic
fiber layer
s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오에스
Priority to KR102008010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3745A/ko
Publication of KR2010004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special fibres, such as acrylic thread, coconut, horse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불이나 요로 사용되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실크프로틴 가공처리가 된 겉감에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과, 쥬웰빔 섬유로 이루어진 충진부재와, 그리고 광전자섬유층으로 형성하여 각 층간의 상호 작용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고 우수한 세탁 내구성 등을 얻을 수 있고 종국적으로는 사용자의 쾌적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실크로 이루어지는 겉감과, 상기 겉감 아래에 구비되어 보온효과를 제공하며, 침구 부피를 형성하는 충진부재와, 그리고 광전자섬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충진부재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겉감과 연결되어 가장자리가 마감처리되는 광전자섬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숙면, 침구, 실크프로틴, 광전자섬유, 피브로인, 활성화 광수, 원적외선, 쥬웰빔섬유

Description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BEDCLOTHES}
본 발명은 이불이나 요로 사용되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실크프로틴 가공처리가 된 겉감에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과, 쥬웰빔 섬유로 이루어진 충진부재와, 그리고 광전자섬유층으로 형성하여 각 층간의 상호 작용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고 우수한 세탁 내구성 등을 얻을 수 있고 종국적으로는 사용자의 쾌적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
과거 이불이나 요를 일컫는 침구는 포대 모양으로 한 천 내부에 면, 깃털, 양털, 솜 등을 채운 형태이고, 특히 이불은 면, 깃털, 양털, 솜 등을 채운 천을 적당하게 퀼팅처리하여 사용감을 증진시킨 형태인 것으로 취침 중 보온작용, 세포활성화 등의 특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침구는 아니었다.
이러한 단순히 인체를 덮는 기능만이 있고 특별한 기능이 없는 침구에서 벗 어나 종래에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이불, 음이온이 발생하는 요,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보온성을 높인 이불 등의 기능성 침구가 개발되어 숙면을 유도하고 있는데,
인간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8시간으로 결국 인생의 3분의 1을 수면시간으로 보내는 것인바, 숙면은 단순히 눈을 감고 몸을 쉬는 것이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비결의 하나임을 고려해 볼 때 이러한 기능성 침구의 개발은 현 사회의 당연한 요구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 개발되고 있는 침구들은 숙면을 위한 충분한 환경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제품들이고, 또한 침구 자체가 가벼워 사용하기에 편하고 빈번한 세탁을 거치더라도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사 등의 기능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지닌 제품들은 아니었다.
다만, 숙면을 유도하고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17275호가 개시된 바 있는데,
등록실용신안 제117275호는 윗쪽부터 차례로 다운프라프가공을 한 겉감, 깃털층, 깃털이 통과할 수 없도록 눈을 촘촘하게 한 깃털 보호천, 광전자세라믹입자를 함유시킨 광전자섬유를 함유하는 광전자섬유층 및 원적외선의 방사원인 세라믹을 프린트 내지 이겨넣은 원적외선 방사천을 적층하고 적당한 개소를 퀼팅처리한 이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117275호는 비교적 얇게 형성하여 중량감을 줄였으며 인체와 접하는 부분에는 광전자섬유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세포 활성화 작용을 도와주고 있으나,
보온을 위해 이불 내부에는 깃털을 삽입하고 다운프라프가공을 한 겉감으로 마감함에 따라 하부에 마감된 광전자섬유층의 활성을 최대화시키지 못하였으며,
피부에 항상 접촉하게 되는 이불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더욱이 퀼팅 처리에 있어서도 특수 방식이 아니어서 보온성 내지 보습성은 단순히 이불 내부에 삽입된 깃털에 의존해야만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불이나 요를 형성하는 겉감을 실크프로틴 가공으로 처리하여 감촉이 뛰어나면서도 침구의 기본적인 기능인 보온성 내지 보습성이 우수하고 빈번한 세탁에도 변하지 않는 내구성 또한 우수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첫째 목적이 있다.
또한 침구 내부에 삽입되는 충진부재 또한 천연 광물로 이루어진 쥬웰빔 섬유로 구성하고, 충진부재와 상기 겉감 사이에는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 어진 원적외선 방사층을 추가적으로 형성함에 따라 마이너스 이온 생성 등 숙면을 유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침구가 가지는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침구 표면 자체를 초미립자 세라믹이 함유된 표면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쥬웰빔 섬유로 구성된 충진부재와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이 가지고 있는 섬유의 특성을 증폭시켜 종국적으로는 사용자에 대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기존 퀼팅 방식에서 탈피하여 보온성 및 보습성을 높이기 위한 특수 형태의 퀼팅 형태를 도입하여 침구를 구성하는 내용물만이 아니라 침구 형상에 있어서도 보온성 내지 보습성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최적의 숙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요 또는 이불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침구는,
실크로 이루어지는 겉감과, 상기 겉감 아래에 구비되어 보온효과를 제공하며, 침구 부피를 형성하는 충진부재와, 그리고 광전자섬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충진부재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겉감과 연결되어 가장자리가 마감처리되는 광전자 섬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침구에는 퀼트 처리가 이루어지되 숙면을 위한 보온성 내지 보습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 퀼트 처리 단면이 상기 겉감과 광전자섬유층이 이격된 돔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겉감은 실크프로틴 가공처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겉감의 실크프로틴 가공은 피브로인을 활성화 광수를 이용하여 코팅 가공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겉감과 충진부재 사이에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충진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직포는 천연세라믹이 혼합되어 필라멘트화되어 이루어진 쥬웰빔(jewel beam) 섬유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더 나아가 상기 쥬웰빔(jewel beam) 섬유를 형성하는 천연세라믹은 토루말린, 사문석, 실리카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구는 최적의 숙면 환경 조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 구체적으로는 특수 처리된 겉감과 충진부재로 사용되는 소재의 특성, 상기 충진부재와 겉감 사이에 구비되는 원적외선 방사층, 그리고 광전자섬유층의 상호 작용에 의해 마이너스 이온을 생성하여 혈액을 정화시키고, 자기치유력을 생성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저항력 또한 증가시켜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고,
피부에 좋은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어 환경 공해 일종이라 할 수 있는 알레르기나 아토피를 유발하지 않으며
특히, 겉감에 처리된 실크프로틴 가공에 의하여 우수한 흡습성과 통기성이 보장되며, 빈번한 세탁에도 겉감 자체의 부드러운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특정 형태의 퀼트 처리 단면으로 인해서 보온성 및 보습성을 더욱 높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숙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원적외선 효과 또한 얻을 수 있어 혈행이 증가하여 피로 회복 및 근육결림을 풀어주고 신경통 또는 근육통을 부드럽게 하여 내부조직의 움직임을 좋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침구 중 요(P)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불(C)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종래의 침구에서 사용되었던 퀼트 처리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구는 요 또는 이불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적층구성이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겉감(10)과, 상기 겉감 아래에 구비되어 보온효과를 제공하며 침구 부피를 형성하는 충진부재(20)와, 광전자섬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충진부재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겉감과 연결되어 가장자리가 마감처리되는 광전자섬유층(30)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광전자섬유층(30)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에 광전자방사원인 광전자세라믹입자를 함유시킨 광전자섬유와 양모섬유를 예를 들면 1: 1의 비율로 함유시켜 완성된 층을 말한다.
상기 광전자라 함은, 자기파에 의해 물질에서 발산된 전자인 것으로 인체의 물분자에 흡수되기 쉬운 파장을 갖는 에너지를 의미하는데 상기 광전자에는 신체의 세포를 활성화하는 작용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체에는 체온을 되돌리는 특유의 방사 에너지가 있는데, 상기 광전자 섬유에 함유된 광전자세라믹은 인간 특유의 방사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흡수된 에너지는 광전자세라믹 내에서 증폭되어 그 증폭된 광전자가 거꾸로 인체에 방사된다.
이 방사된 광전자를 인체의 물분자가 흡수하고 그 결과 물분자가 활성화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광전자 섬유 한올 한올이 인체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그것을 인체의 세포 결합수에 흡수되기 쉬운 에너지로 바꿔 다시 인체로 보내줌으로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작용은 이용자 자신의 체내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부작용 또한 전혀 생기지 않는다.
또한 광전자 섬유는 건조가 빠르고 습기가 적은데, 상기 흡수된 물분자는 잘게 쪼개져서 증발하기 쉽게 되고 또한 섬유표면에서도 증발이 빠르게 일어나고 나아가 인체와 섬유 사이에서도 증발이 빨라 결국 언제나 상쾌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침구에는 퀼트 처리(Q)가 이루어지되 숙면을 위한 보온성 내지 보습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 퀼트 처리 단면(Q)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감과 광전자섬유층이 이격된 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퀼트 처리는 종래 이불에서 이불을 용이하게 접게 하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강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진행된 마감처리이지만 종래 이불에 적용된 퀼트 처리는 그 단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퀼트 처리 방식에서 탈피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인 겉감과 하부층인 광전자섬유층을 구분구분 연결하되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돔형상의 취하여 보다 입체감이 들도록 함으로써 체적을 넓혀 보온 성 및 보습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겉감(10)에는 실크프로틴 가공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면서 이와 동시에 아토피나 알레르기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크프로틴 가공처리는 엄선된 소재의 원단에 활성화 광수를 사용하여 피브로인을 코팅 가공하는 처리를 말한다.
잠사의 주성분은 피브로인과 세리신이라 불리는 2 종류의 단백질로서 2줄의 피브로인 섬유를 아교상의 세리신이 누에 형태로 되어 잠사가 구성된다. 결국 견이 천이 되어 사용자에게 왔을 때에는 상기 세리신은 거의 제거되고 피브로인만이 남아 있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실크라고 부르는 것은 상기 피브로인 섬유를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크프로틴 가공처리는 잡균 등이 번식하기 쉬운 아교질 프로틴의 세리신을 제거하고 순도 높은 프로틴인 피브로인만을 활성화 광수를 이용하여 원단에 코팅 가공한 것으로,
세리신이나 실크 파우더를 이용한 다른 실크프로틴 가공에 비해 물에 잘 녹지 않고 세탁해도 효과가 떨어지지 않고 실키한 감촉이 오래 지속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재 자체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겉감으로 사용되는 실크는 후쿠시마에서만 사육되는 누에에서 채취한 견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최고급 견사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구 중 요(P)를 도시한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겉감(10)과 충진부재(20) 사이에는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요를 구성하는 층의 일부인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40)은 라듐온천광석과 같은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 광물을 직조한 섬유층인 것으로 천연방사성 희유가스, 라돈, 토론 등을 생성하고 이와 동시에 전리작용으로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로부터 기분 좋은 온천 느낌을 제공하거나 삼림욕 기분을 얻을 수 있도록하여 쾌적감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마이너스 이온은 섬유상의 항균 및 방취 작용 또한 우수하여 숙면을 더욱 증진시키게 된다.
계속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에는 충진부재(20)로 부직포(20a)가 사용되는데, 상기 부직포(20a)는 천연세라믹이 혼합되어 필라멘트화된 쥬웰빔(jewel beam) 섬유인 것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에 사용되는 천연세라믹은 토루마린, 사문석, 그리고 실리카이다.
토루마린은 일명 전기석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집전작용을 갖는 정각의 전류 를 생성하는데 상기 전류는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실리카는 원적외선을 많이 발생시켜 에너지 방사율이 높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혈행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사문석 특히, 사문석이 갖는 화학성분인 마그네슘은 뛰어난 항균 파워가 있어 대장균이나 포도상균 등의 미생물로부터 청결하게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직포(20a)는 상기한 토루마린, 사문석, 그리고 실리카인 천연세라믹을 0.4㎛크기로 분쇄하여 섬유 직조시 혼합한 쥬웰빔(jewel beam) 섬유인 것으로 우수한 항균능력과 탈취효과, 음이온과 강한 원적외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인체가 가지고 있는 생명 에너지를 활성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토루마린, 사문석, 그리고 실리카의 혼합 비율은 1:1:1인 것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는 이불(C)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요(P)와 같이 실크프로틴 가공 처리된 겉감(10)과 상기 겉감(10)과 이어져 하부층을 구성하는 광전자 섬유층(30)사이에 충진부재(20)가 형성되되,
상기 충진부재(20)는 보온과 경량감을 위하여 거위털(20b)로 충진시키는 것을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거위털은 헝가리산 거위 앞가슴 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요(P)나 이불(C)를 이루는 본 발명의 침구 표면에는 초미립자 세라믹이 균일하게 분산 혼입되어 있는 표면층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초미립자 세라믹이라 함은 질리콘, 아나타제, 쿼츠 등을 말한다.
이는 큰 표면적을 가지고 고효율로 체온 에너지를 흡수·복사하기 때문에 인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주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와 이불을 구성하는 실크프로틴 가공된 겉감이나 원적외선 방사층, 충진부재로서 천연세라믹이 혼합되어 필라멘트화되어 이루어진 부직포, 그리고 광전자섬유층이 가지고 있는 섬유의 특성을 증폭시켜 방사하도록 함으로써 체내세포 및 신진대사의 활성화를 더욱 강력하게 도와주게 된다.
1) 실험예 1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침구와 일반 침구를 사용한 결과 체온 변화를 실험해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침구(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크로 이루어진 겉감에서부터 아래로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 쥬웰빔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그리고 광전자섬유층으로 적층된 요이고, 이와 대비되는 일반 침구(B)는 폴리에스테르와 솜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요이 다.
실험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요(A)와 일반 요(B)를 30분간 사용하고 그 후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자의 특정 부위(P1. P2. P3)에 대한 체온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표 1
Figure 112008072899018-PAT00001
우선, 실험실의 실내 온도는 상반신을 벗어도 추위를 동반하지 않는 범위의 23℃±1℃를 유지하도록 했으며, 습도는 40~60%의 범위를 유지하였다.
실험자는 실험실 내실 후 30~60분간 안정을 취하고 실온에 순응한 후 상반신을 탈의하고 P1, P2, P3 부분에 대한 온도(탈의직후 온도, (s))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30분간 본 발명에 의한 요(A)와 일반 요(B)를 사용하도록 하고 이후 천천히 일어나 30분간의 사용 직후(a), 이로 부터 5분 경과(b), 10분(c), 20분(d) 경과시에 P1, P2, P3 부분에 대한 체온을 측정하여 표 2로 작성하였다.
표 2
Figure 112008072899018-PAT00002
그리고 상반신 탈의 직후 측정된 온도(s)와의 각 시간 경과후 온도(a, b, c, d)에 대한 온도차를 그래프 1로 도시하였다.
그래프 1
Figure 112008072899018-PAT00003
결국 상기 표 2 및 그래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탈의 직후의 체온과 요 사용 직후의 체온 변화를 볼 때 침구(B)의 실험자가 보온성이 있는 것처럼 보여 초기에는 침구(B) 사용자의 체온이 상승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온도 저하가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고,
침구(A) 사용의 경우 침구 사용 직후의 온도 상승은 적지만 그 후 온도 저하 가 천천히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결국 침구(A)의 사용시에는 실험자의 피하 내부까지 원적외선 작용에 의한 온도 자극이 되어 보온 효과가 일어났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실험예 2
다음으로 겉감을 피브로인을 활성화 광수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실크프로틴 가공처리를 도입한 본 발명의 요에 대한 세탁 내구성 정도를 테스트해보았다.
표 3
Figure 112008072899018-PAT00004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피브로인을 활성화 광수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한 원단에 부착 가공함에 의해 피브로인이 원단 편조직 내측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수차례의 세탁에도 불구하고 단백질 구성 물질에 대한 변화가 없거나 약하여 세리신이나 실크 파우더를 이용하여 가공한 경우에 비해 실키한 촉감이나 보온성 및 보습성이 세탁후에도 효과가 떨어지지 않고 소프트한 느낌을 유지할 수 있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브로인은 인간의 피부에 가까운 아미노산을 대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견이 가진 촉감, 보습성, 보온성이 우수한 소재인데, 상기 도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피브로인을 가수분해하여 부착가공하는 본 발명의 실크프로틴 가공을 겉감에 적용함에 따라 아미노산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수차례의 세탁 후에도 그 함량에는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세리신을 부착 가공한 경우에는, 세리신은 아교질의 프로틴이므로 촉감이 거칠고 피브로인에 비해 황변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크파우더를 고착 가공한 경우 또한 미립자이기 때문에 코팅하기가 어렵고 세탁시 실크파우더가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층 작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퀼트 처리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을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겉감
20: 충진부재 20a: 부직포 20b: 거위털
30: 광전자섬유층 40: 원적외선 방사층
Q: 퀼트처리 단면 P: 요 C: 이불

Claims (8)

  1. 요 또는 이불로 사용되는 침구에 있어서,
    실크로 이루어지는 겉감,
    상기 겉감 아래에 구비되어 보온효과를 제공하며, 침구 부피를 형성하는 충진부재, 및
    광전자섬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충진부재 아래에 구비되고 상기 겉감과 연결되어 가장자리가 마감처리되는 광전자섬유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은 실크프로틴 가공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의 실크프로틴 가공은
    피프로인을 활성화 광수를 이용하여 코팅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과 충진부재 사이에 천연 방사성 희유원소광물로 이루어진 원적외선 방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직포는 천연세라믹이 혼합되어 필라멘트화되어 이루어진 쥬웰빔(jewel beam)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쥬웰빔(jewel beam) 섬유를 형성하는 천연세라믹은 토루말린, 사문석,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의 표면에는 초미립자 세라믹이 균일하게 분산 혼입되어 있는 표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에는 퀼트 처리가 이루어지되 숙면을 위한 보온성 내지 보습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 퀼트 처리 단면이 상기 겉감과 광전자섬유층이 이격된 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KR1020080102922A 2008-10-21 2008-10-21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KR20100043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922A KR20100043745A (ko) 2008-10-21 2008-10-21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922A KR20100043745A (ko) 2008-10-21 2008-10-21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745A true KR20100043745A (ko) 2010-04-29

Family

ID=4221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922A KR20100043745A (ko) 2008-10-21 2008-10-21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3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010A (zh) * 2018-07-17 2018-12-21 舒城县宏通丝业有限公司 一种桑蚕丝被生产的工艺流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010A (zh) * 2018-07-17 2018-12-21 舒城县宏通丝业有限公司 一种桑蚕丝被生产的工艺流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050B1 (ko) 황토볼을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CN201436930U (zh) 一种十孔兔绒冬被
JP2929263B2 (ja) エレクトレット性を有するマット
KR100978867B1 (ko) 음이온 발생 침대형 참숯 소파
CN201738108U (zh) 远红外纤维棉被
KR20100043745A (ko) 숙면효과 증진을 위한 침구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CN204193325U (zh) 一种理疗枕
CN205125066U (zh) 一种发热及负离子针织内衣面料
KR101028888B1 (ko) 기능성 침대
KR100655906B1 (ko) 원적외선이 발생하고 온열을 투과하며 밀리지 않는 라텍스매트리스
CN104799619A (zh) 能除湿防霉除螨抗菌除甲醛的保健加热草棕垫及使用方法
JPH0370513A (ja) 布団
KR101393641B1 (ko) 진드기 차단 항균 차렵 침구류
CN201424539Y (zh) 竹炭竹纤维
KR200168299Y1 (ko) 캡슐형 원적외선 찜질기
KR200303212Y1 (ko) 건강 온열 매트
KR100934715B1 (ko) 황토침대
KR0161592B1 (ko) 엘렉트릿성을 가진 침구
CN210696844U (zh) 一种具有磁疗活血和疏通微循环保健功能的便携式床垫
KR200291627Y1 (ko)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CN202604306U (zh) 一种多层被胎
KR200266809Y1 (ko) 이불용 솜
KR200268080Y1 (ko) 전기 옥 매트
KR19990038020U (ko) 황토를 이용한 전기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