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385A - Probe assembly - Google Patents

Prob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385A
KR20100043385A KR1020080102403A KR20080102403A KR20100043385A KR 20100043385 A KR20100043385 A KR 20100043385A KR 1020080102403 A KR1020080102403 A KR 1020080102403A KR 20080102403 A KR20080102403 A KR 20080102403A KR 20100043385 A KR20100043385 A KR 2010004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electrode pad
wiring board
probe assembly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6929B1 (en
Inventor
오창수
인치훈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이 filed Critical (주)티에스이
Priority to KR102008010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929B1/en
Publication of KR2010004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probe assembly is provid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 bonding process by forming an accommodating unit on an electrode pad to arrange a probe at right position. CONSTITUTION: A probe assembly comprises a wiring board(10), a plurality of probes(100a to 100d), and a receiving part. The wiring board has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on the top. A plurality of probes ar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200a to 200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board. The receiving part on the electrode pad and is inserted into a fixed part formed on the end of the probe.

Description

프로브 조립체{Probe assembly}Probe assembly

본 발명은 프로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브를 배선 기판 상의 정확한 위치에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be assembly that allows the probe to be bonded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wiring board.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가 하나의 완성된 반도체 패키지로 그 성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수 많은 공정들을 거쳐서 완성된다. 그 공정들은 반도체 웨이퍼의 생산, 전공정(Fabrication, FAB), 조립 공정(Assembly)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In general, a semiconductor device is completed through a number of processes to achieve its performance in one completed semiconductor package. The process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emiconductor wafer production, fabrication (FAB), and assembly processes.

특히, FAB 공정에 의해 웨이퍼 상에 복수의 반도체 소자(Device Under Test, DUT)가 형성되며, 복수의 반도체 소자는 전기적 특성 검사(Electrical Die Sorting, EDS)를 통하여 양, 불량을 선별하게 된다. 이와 같은 EDS를 하는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이, 첫째, 웨이퍼 상의 각각의 반도체 소자의 양, 불량품을 선별하기 위해서이며, 둘째, 불량 반도체 소자 중에서 수리 가능한 반도체 소자의 수리를 위해서이며, 셋째, FAB 공정에서의 문제점을 조기에 피드-백(Feed-Back)하기 위해서이며, 넷째, 불량 반도체 소자의 조기 제거로 조립 및 패키지 검사(Package Test)에서의 원가 절감을 위해서이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Device Under Test, DUT) is formed on the wafer by the FAB process,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are screened for good or bad through the electrical die sorting (ED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EDS is to firstly select the quantity and defects of each semiconductor element on the wafer, and secondly, to repair the repairable semiconductor element among the defective semiconductor elements. This is to feed back the problem in early stage, and fourthly, to reduce the cost of assembly and package test by early removal of defective semiconductor devices.

반도체 소자에 대한 전기적 특성 검사에 사용되는 장비는 크게 테스 터(Tester)와, 프로브 스테이션(Probe Station)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로브 스테이션에는 웨이퍼 상의 반도체 소자의 전극 패드 또는 디바이스 핀과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프로브 카드(Probe Card)가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 카드에는 복수의 프로브가 설치된 배선 기판이 장착되며, 배선 기판에는 복수의 프로브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가 형성된다.The equipment used to tes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emiconductor devices is mainly composed of a tester and a probe station, which are in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act with electrode pads or device pins of semiconductor devices on the wafer. Probe Card is installed. The probe card is equipped with a wiring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probes are installed, and an electrode pad on which the plurality of prob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formed on the wiring board.

최근 웨이퍼 상의 반도체 소자의 개수 및 각각의 반도체 소자에 형성된 디바이스 핀의 개수가 많아져 프로브 카드의 프로빙 영역은 점차 넓어지고, 반도체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반도차 직접 회로의 크기, 전극의 크기 및 피치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작아지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semiconductor devices on the wafer and the number of device pins formed in each semiconductor device have increased, so that the probing area of the probe card is gradually widened. With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size of the semiconducting integrated circuit, the size and pitch of electrodes are It is getting smaller to tens of micrometers.

한편, 프로브를 배선 기판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결합시키는 프로브 접합 기술은,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PR)의 노광, 에칭 및 도금 공정으로 배선 기판 위에 다수의 프로브를 동시에 적층하여 접합하는 방법과, MEMS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로 제작된 블레이드(Blade) 타입의 프로브들을 배선 기판에 개별적으로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별도로 제작된 프로브들을 배선 기판에 개별적으로 접합할 경우, 프로브를 배선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반도체 패턴이 더욱 고집적화 및 고밀도화되면서 전극 패드는 미세 피치(Fine Pitch)를 가지게 되어 프로브를 전극 패드 상의 정확한 위치에 접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별도로 제작된 프로브를 프로브 카드에 장착되는 배선 기판 상의 정확한 위치에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브 조립체가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be bonding technology for coupling the probe to the electrode pad formed on the wiring board is a plurality of on the wiring board by exposure, etching and plating of photoresist (PR) using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And probes of the blade type probes separately manufactured by using MEMS technology and individually bonded to the wiring board. Among these, when separately fabricated probes are individually bonded to the wiring board,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position the probes on the electrode pads formed on the wiring board. However, as semiconductor patterns become more highly integrated and denser, electrode pads have fine pitch,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ond the probe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electrode pa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robe assembly that enables bonding of a separately manufactured probe to an exact location on a wiring board mounted on a probe car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로 제작된 프로브를 프로브 카드에 장착되는 배선 기판 상의 정확한 위치에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assembly that can be bonded to the probe fabricated separately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wiring board mounted on the probe car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는, 상부면에 복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된 배선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극 패드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프로브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ing boards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board In the probe assembly comprising a probe,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probe is fix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배선 기판에 형성된 전극 패드의 상부면에 프로브의 고정부가 삽입되 어 고정되는 슬롯 형상의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프로브를 전극 패드에 개별적으로 접합시킬 때 배선 기판 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irst, by forming a slot-shaped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fixing part of the prob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formed on the wiring board, it is possible to be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wiring board when the probes are individually bonded to the electrode pads. Can be.

또한, 전극 패드의 상부면에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프로브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본딩(Bonding)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be may be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by forming the receiv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the reliability of the bonding process may be increased.

또한, 프로브의 위치 정렬을 빠르게 할 수 있어 프로브 조립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미세 피치를 가지는 복수의 프로브들을 구비하는 고밀도 프로브 카드에 적합한 프로브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al alignment of the probes can be quickly made to facilitate the fabrication of the probe assembly, a probe assembly suitable for a high density probe card having a plurality of probes having a fine pitch can be provided.

또한, 프로브를 전극 패드에 결합할 때에 고정부의 측면도 수용부의 측면에 같이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접합 강도를 증가시키고 프로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be is coupled to the electrode pad, the side of the fixing part may also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receiving part,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and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prob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프로브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probe assembl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obe assembly which concerns on thi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1)는, 크게 복수의 프로브(100a 내지 100d)와, 복수의 프로브(100a 내지 100d)가 결합되는 복수의 전극 패드(200a 내지 200d)가 형성된 배선 기판(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선 기판(10)은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 카드(Probe Card)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브(Probe)(100a 내지 100d)를 사용하게 되는데. 배선 기판(1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프로브(100a 내지 100d)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극 패드(200a 내지 200d)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 패드(200a 내지 200d)에는 프로브(100a 내지 100d)가 결합되어 배선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 패드(200a 내지 200d)와 이에 결합되는 각각의 프로브(100a 내지 100d)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 패드(200)와 이에 결합되는 하나의 프로브(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a probe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in which a plurality of probes 100a to 100d and a plurality of probes 100a to 100d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ring board 10 is formed 200a to 200d. The wiring board 10 may be mounted on a probe card for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In general, a plurality of probes 100a to 100d may be used to simultaneously inspect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evices.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200a to 200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bes 100a to 100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ing board 10. Probe 100a to 100d may be coupled to each electrode pad 200a to 200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board 10. Since each of the electrode pads 200a to 200d and each of the probes 100a to 100d coupled thereto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one electrode pad 200 and one coupled thereto may be used. Only the probe 100 will be described.

프로브(100)는 접촉부(110), 몸체부(120) 및 고정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100)는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130)를 통해 전극 패드(200)에 결합되어 배선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100)는 접촉부(110)를 통해 검사하고자 하는 반도체 소자의 디바이스 핀 또는 본드 패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robe 100 may be composed of a contact portion 110, a body portion 120, and a fixing portion 130. The probe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board 10 by being coupled to the electrode pad 200 through a fixing part 130 formed at one end thereof. In addition, the probe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evice pin or a bond pad (not shown)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o be inspected through the contact unit 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100)는 박판 형상의 블레이드 타입(Blade Type)을 사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 타입의 프로브(100)는 반도체 제조에서 응용되는 미세 박판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00)는, 전극 패드(220)와 결합하는 고정부(130)와, 고정부(130)와 연결되어 일 측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120) 및 몸체부(120)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피검사 소자(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는 접촉부(110)로 이루어지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브(100)가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는 경우, 프로브(100)의 일단이 고정되고 고정된 일단을 축으로 타단이 상하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프로브(100) 자체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평탄도 등에서 보다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캔틸레버 구조의 프로브(100)는 니켈, 코발트 또는 니켈-코발트 합금 등의 금속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20)는 대략 사각 막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는 프로브(100)를 설명하고 있으나, 프로브(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100 may use a blade type of a thin plate shape. The blade-type probe 1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icro thin plate technology appli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probe 100 includes a fixing part 130 coupled to the electrode pad 220, and a body part 120 long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30 to one side. And a cantilever structure formed perpendicularly to one end of the body part 120 and including a contact part 110 contacting an element to be inspected (not shown). When the probe 100 has a cantilever structure, one end of the probe 100 is fixe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elastically deformed up and down about the fixed end thereof, and thus, more advantageous in flatness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probe 100 itself. Can have The probe 100 having a cantilever structure may be integrally formed by stacking a metal such as nickel, cobalt, or a nickel-cobalt alloy.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20 may have a structur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be 100 having the cantilever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but the structure of the probe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전극 패드(200)는 배선 기판(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반도체 직접 회로의 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배선 기판(10)은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 루어질 수 있으며, 다층 기판 또는 양면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기판(10)에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패턴 회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되는 전극 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드(200)는 그 일단에 형성된 접점(230)을 통해 전극 홀(11) 내부에 위치하는 전기적 연결 소자(12)와 연결되고, 전기적 연결 소자(12)의 하단에 연결된 접점(13)을 통해 배선 기판(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패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pad 2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ing board 10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of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The wiring board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eramic, and a multilayer board or a double-sided board may be used. As illustrated in FIG. 3, an electrode hole 11 penetrating up and down may be formed in the wiring board 10 to connect the pattern circuit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The electrode pad 20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12 located inside the electrode hole 11 through the contact 230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contact 13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12. It may be connected to the pattern circui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ring board 10 through.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1)의 경우, 전극 패드(200)의 상부면에는 프로브(10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 패드(200)와 수용부(210)는 전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prob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 fixing part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probe 10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200. Receiv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nducto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00)의 고정부(130)는 프로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용부(210)는 고정부(130)의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고정부(130)를 삽입하기 위해 고정부(1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슬롯(Slot)(22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2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part 130 of the probe 100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be 100. In this case, the receiving part 210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part 130. The slot 220 may have a wide width and may be elongat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130 to insert the fixing part 130 therein.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2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 때, 전극 패드(200)와 수용부(210)는 리소그래피(Lithography)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소그래피 기술, 예를 들어, 포토 공정과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차차 성장시켜 두께를 늘려 나감으로써 전극 패드(200) 및 수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리소그래피 기술은 이용하여 박막 및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를 참조하면, 전극 패드(200) 와 수용부(210)가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에칭 및 도금 공정의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단 층(Layer) 형태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전극 패드(200)는 프로브(100)의 고정부(130)이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210)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극 패드(200)와 수용부(210)는 2 개 이상의 층으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 receiver 210 may be formed using a lithography technique.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by gradually growing by using a lithography technique, for example, a photo process and a plating process. Since lithography techniques are known for forming thin films and pattern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10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layer form using a lithography technique of exposing, etching, and plating a photoresist is illustrated. At this time, the electrode pad 2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the receiving portion 210 for the fixing portion 130 of the probe 100 is inserted. However,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by separating two or more layer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에서 수용부가 전극 패드와 다른 층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ceiver is formed of a different layer from an electrode pad in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에서는, 전극 패드(300)의 몸체부(330)와 수용부(310)가 2 개의 층으로 분리하여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수용부(310)는 전극 패드(300)와 분리되어 서로 다른 층(layer)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프로브(100)가 결합되는 전극 패드(300)의 몸체부(330)는 얇게 형성되고, 일단에는 전극 홀(11) 내부의 전기적 연결 소자(12)와 연결되는 접점(3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패드(300)의 몸체부(330) 위로 수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층은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10)의 내부에 프로브(100)의 고정부(130)를 삽입하기 위한 슬롯(320)을 구비할 수 있다.In FIG. 4, an example in which the body part 330 and the receiving part 310 of the electrode pad 300 are separated into two layers is shown. That is, the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different layers from the electrode pad 300. First, the body 330 of the electrode pad 300 to which the probe 100 is coupled is thinly formed, and at one end, a contact 34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12 inside the electrode hole 11. Can be. In addition, the receiving portion 310 may be formed on the body portion 330 of the electrode pad 300. Each layer can be formed using lithographic techniques. A slot 320 for inserting the fixing unit 130 of the probe 100 into the accommodation unit 310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1)의 경우, 전극 패드(200)의 상부면에 프로브(100)의 고정부(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210)를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제작된 프로브(100)를 배선 기판(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200)에 개별적으로 접합시킬 때 프로브(100)가 배선 기판(10) 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드(200)의 상부면에 수용 부(210)를 형성함으로써 프로브(100)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이 후 본딩(Bonding) 공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브(100)의 위치 정렬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프로브 조립체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피치를 가지는 복수의 프로브들을 구비하는 고밀도 프로브 카드에 적합한 프로브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the prob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part 210 to which the fixing part 130 of the probe 10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200 is formed. As a result, when the separately manufactured probe 100 is individually bonded to the electrode pad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ing board 10, the probe 100 may be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wiring board 10.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receiving part 2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200, the probe 100 may be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of the bond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al alignment of the probe 100 can be quick, the fabrication of the probe assembly can be facilit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be assembly suitable for a high density probe card having a plurality of probes having a fine pitch.

한편, 프로브(100)의 고정부(130)는 전극 패드(200)에 형성된 수용부(130)에 삽입된 후 납땜(Soldering)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프로브(100)를 전극 패드(200)에 결합하기 위한 납땜 재료로는 SnPb, SnAgCu, AuSn 등의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나 전도성 에폭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브(100)를 전극 패드(20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극 패드(200)와 프로브(100)의 소재에 따라 열 압착 등에 의해 프로브(100)의 고정부(130)를 전극 패드(200)의 수용부에 직접 접합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xing part 130 of the probe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130 formed in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n fixedly coupled by soldering. As a soldering material for bonding the probe 100 to the electrode pad 200, a solder paste such as SnPb, SnAgCu, AuSn, or a conductive epoxy may be used. However, the method of coupling the probe 100 to the electrode pad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xing part 130 of the probe 100 may be thermally compress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pad 200 and the probe 100. May be directly bonded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electrode pad 200.

이와 같이, 프로브(100)를 전극 패드(200)에 결합할 때에 고정부(130)의 하부면만을 전극 패드(200)에 본딩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부(130)의 측면도 수용부(210)의 측면에 같이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접합 강도를 증가시키고 프로브(1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As such, when the probe 100 is coupled to the electrode pad 200, only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30 is not bonded to the electrode pad 200, but the side of the fixing part 130 is also the side of the receiving part 210. Since it can be bond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and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probe (1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에서 수용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0a)에 길게 형성된 슬롯(220a)을 예시하고 있으며, 슬롯(220a)에는 프로브(100)의 일단에 길게 형성된 고정부(13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FIG. 5A, as illustrated in FIG. 2, a slot 220a elong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0a is illustrated, and a fixing part elongated at one end of the probe 100 is provided in the slot 220a. 130 may be inserted and fixed.

도 5의 (b)에서는, 도 4의 (a)의 예에서 슬롯(220a)이 형성된 수용부(210a)의 양 측벽이 개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고정부(130)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2 개의 수용부(210b, 210c)에 2 개의 슬롯(220b, 2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100)의 일단에 길게 형성된 고정부(130)의 양 끝단 및 각 끝단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In FIG. 5B, in the example of FIG. 4A, both sidewalls of the receiving portion 210a in which the slots 220a are formed are opened. That is, two slots 220b and 220c may be formed in the two accommodating parts 210b and 210c to fix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130.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probe 100 and both sides of each end may be support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로브(100)의 고정부(130)는 프로브(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면의 양 끝단에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2 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들은 프로브(100)의 결합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part 130 of the probe 100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be 100 and may include two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in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These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more accurately position the coupling of the probe 100.

이 경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패드(200)의 수용부(210d)는 양 끝단에 고정부(130) 하단에 형성된 2 개의 돌기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 2 개의 고정 홈(220d, 220e)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d)에서는, 도 5의 (c)의 예에서 수용부(210d)의 중앙 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고정부(130)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2 개의 수용부(210f, 210g)에 2 개의 고정부(220f, 220g)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브(100)의 고정부(130) 하단에 형성된 2 개의 돌기의 양 끝단 및 각 끝단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c) of FIG. 5, the receiving portion 210d of the electrode pad 200 has two fixing grooves formed to insert two projection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30 at both ends. 220d and 220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n FIG.5 (d), the cent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210d is opened in the example of FIG.5 (c). That is, two fixing parts 220f and 220g may be formed in the two receiving parts 210f and 210g to fix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two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130 of the probe 100 and both sides of each end may be supported.

도 5에 도시된 수용부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프로브(10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1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part shown in FIG. 5 is exemplary,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probe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경우, 배선 기판에 형성된 전극 패드의 상부면에 프로브의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슬롯 형상의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프로브를 전극 패드에 개별적으로 접합시킬 때 배선 기판 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obe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is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electrode pad by forming a slot-shaped receiving part into which the fixing part of the prob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formed on the wiring board. Can be bonded to the correct position on the wiring board when bond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에서 수용부가 전극 패드와 다른 층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receiver is formed of a different layer from an electrode pad in a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조립체에서 수용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prob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프로브 조립체 10: 기판1: probe assembly 10: substrate

100: 프로브 110: 접촉부100: probe 110: contact

120: 몸체부 130: 고정부120: body portion 130: fixed portion

200: 전극 패드 210: 수용부200: electrode pad 210: receiving portion

220: 슬롯 230: 접점220: slot 230: contact

300: 전극 패드 310: 수용부300: electrode pad 310: receiving portion

320: 슬롯 330: 회로 패턴320: slot 330: circuit pattern

340: 접점340: contact

Claims (8)

상부면에 복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된 배선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극 패드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조립체에 있어서,A probe assembly comprising a wiring board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pad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probes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d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board. 상기 전극 패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프로브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Pro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pad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prob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로브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일 측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과,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피검사 소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The prob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be has a cantilever (Cantilever) structure consisting of a contac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and formed long to one side,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evice under tes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로브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The fixing par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be,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상기 고정부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 슬롯(Slo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And the receiving part has a slot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so as to insert the fixing part therei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로브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면의 양 끝단에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2 개의 돌기를 구비하며,The fixing par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be and has two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in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상기 수용부는 양 끝단에 상기 2 개의 돌기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 2 개의 고정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And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two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o insert the two protrus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수용부는 리소그래피(Lithography)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And the electrode pad and the receptacle are formed using lithography technolog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분리되어 상기 전극 패드와는 별도의 다른 층(layer)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The receiv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pad prob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fferent layer (layer) separate from the electrode pa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수용부는 전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And the electrode pad and the receiving portion are made of a conduct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후 납땜(Soldering)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조립체.And the fixing part is fixedly coupled by soldering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KR1020080102403A 2008-10-20 2008-10-20 Probe assembly KR101006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403A KR101006929B1 (en) 2008-10-20 2008-10-20 Prob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403A KR101006929B1 (en) 2008-10-20 2008-10-20 Prob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85A true KR20100043385A (en) 2010-04-29
KR101006929B1 KR101006929B1 (en) 2011-01-10

Family

ID=4221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403A KR101006929B1 (en) 2008-10-20 2008-10-20 Prob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9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103B1 (en) * 2020-02-07 2021-06-15 (주)위드멤스 Probe blo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37B1 (en) * 2006-11-21 2008-01-30 송광석 Advanced probe pin and probe pin ba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103B1 (en) * 2020-02-07 2021-06-15 (주)위드멤스 Probe blo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929B1 (en)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439B2 (en) Probe sheet adhesion holder, probe card, semiconductor tes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100491453B1 (en)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US7503811B2 (en) Interconnection devic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interconnection assembly having the same
US6917102B2 (en)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KR101339493B1 (en) Space Transformer for Probe C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545160B2 (en) Probe chip and probe card
JP2004501517A (en) System for testing and packaging integrated circuits
JP2006507479A (e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probe card assembly and package with wafer level spring
KR20020028159A (en) Massively parallel interface for electronic circuit
US20140132300A1 (en) Fine pitch probes for semiconductor testing, and a method to fabricate and assemble same
US20030122550A1 (en) Semiconductor devi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10082160A (en)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8435045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278561A1 (en) Probe card having redistributed wiring probe needle structure and probe card module using the same
JP2000121673A (en) Contactor
KR20090121786A (en) Probe for probe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43141B1 (en) Probe Assembly For Accurate Soldering
KR101006929B1 (en) Probe assembly
US20060267607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plurality of elastic probes in a row
KR200454211Y1 (en) Probe Assembly Having Guide Structure
KR100980002B1 (en) Prob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856124B1 (en) Prob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66551B1 (en) Pin Array Frame Used for Manufacture of Probe Card
JP4490978B2 (en) Contactor
JP4185225B2 (en) Contact probe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