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125A -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 Google Patents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125A
KR20100042125A KR1020080101264A KR20080101264A KR20100042125A KR 20100042125 A KR20100042125 A KR 20100042125A KR 1020080101264 A KR1020080101264 A KR 1020080101264A KR 20080101264 A KR20080101264 A KR 20080101264A KR 20100042125 A KR20100042125 A KR 2010004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llecting
pipe
sensing uni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133B1 (ko
Inventor
이봉주
김용철
문상호
박기화
염병우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133B1/ko
Priority to US12/557,894 priority patent/US8302464B2/en
Publication of KR2010004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부와 제어부 그리고 채수부로 구성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 여부를 감지, 타이머와 카운터를 이용하여 채수부 시료병 선반의 회전 및 중지를 제어함으로써 일정 시간 간격으로 빗물 시료를 채집할 수 있는 장치이다.
유출 빗물, 채집기

Description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AUTOMATIC SEQUENTIAL SAMPLER FOR COLLECTED-RAINWATER}
본 발명은 일정 시간 간격의 유출 빗물 시료 채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래 수자원의 부족에 대한 우려와 함께 새로운 수자원 개발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체 수자원으로서의 빗물의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다. 유출 빗물의 재활용은 주로 건물 옥상, 비닐하우스 등의 집수면을 통해 모아진 빗물을 저류시설에 모았다가 여러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체 수자원으로서의 빗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출 빗물의 수질을 일정 수준 이상이 되도록 유지 관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집수면에서 모은 빗물의 씻김 현상(first flush phenomenon)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강우 초기의 유출 빗물은 강우 후기의 빗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된 특성을 보인다. 이에 따라 초기의 유출 빗물을 강우 초기의 유출 빗물을 저류시설에 저장하기 전에 수처리하거나 분리 배제시켜 실제 이용되는 빗물의 수질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유출 빗물의 수질은 계절별은 물론이고 강우진행 시간대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빗물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강우 개시시점으로부터 강우 종료시까지에 내리는 빗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채취하여야 할 것이나, 종래의 강우 채취방식에서 이러한 구분 채취를 위해서는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정 간격의 빗물 시료를 연속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있다. 우선 감지부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강우에만 강우 센서가 강우를 감지, 이를 제어부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어부에서는 카운터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채수부를 제어토록 하였다. 채수부에서는 시료병 선반과 이의 회전과 정지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마다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샘플러를 구성하도록 하여, 비가 지속적으로 내릴 경우에 자동적으로 샘플을 채집가능토록 하며, 작업자가 일일이 채취하지 않고도 빗물을 시간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분하여 손쉽게 채집할 수 있도록 한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빗물을 모으며 일단이 제 1, 2관으로 분기되는 수집부와; 상기 제 1관과 연통 결합되는 감지부와; 상기 제 2관의 일정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밸브와; 상기 제 2관의 일단부와 연통 결합되어 일단이 내입되는 공급관을 통해 유동되는 빗물을 받아 채집하는 채수부와; 상기 채수부에 설치되고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가 지속적으로 내릴 경우, 이를 감지하여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빗물을 연속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집하고자 하는 유출 빗물을 시간별로 구분하여 자동적으로 손쉽게 샘플을 채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취한 빗물의 분석에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대별 빗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손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한 인적 및 물적 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및 "제 2(second)"등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는 수집부(10), 제 1관(11), 제 2관(12), 감지부(20), 공급관(31), 바이패스관(32), 제1밸브(33), 채수부(40), 샘플러(50), 모터(70), 브레이크 모터(Brake Motor, 71), 근접 센서(60),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10)는 하단을 향해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단 중 직경이 상대적이 좁은 하단은 제 1관(11)과 제 2관(12)으로 나뉘도록 한다.
즉, 상기 수집부(10)는 빗물을 수집하되, 상기 제 1, 2관(11, 12) 모두로 빗물을 유동시키는 것이지만, 상기 제 2관(12)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하기에서 설명 될 제 1밸브(33)가 평상시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인해, 상기 수집부(10)에서 수집되는 빗물은 제 1관(11)으로 유동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 2관(12)에는 분기되는 바이패스관(32)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바이패스관(32)은 제 2관(12)에 형성된 제 1밸브(33)의 전단에서 분기되어, 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10)의 제 1, 2관(11, 12)은 '∧'자 형태로 분기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상기 제 2관(12)의 제 1밸브(33) 전단에서 'ㄱ'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물론, 빗물 채수를 하지 않는 경우, 또는 강수량이 적어 빗물의 채수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집부(10)로 받아지는 소량의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구성이라면, 상기 바이패스관의 형상 및 제 1, 2관의 분기 형태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
이로써, 상기 제 1밸브(33)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상기 수집부(10)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은 제 1관(11) 및 바이패스관(32)을 통해 각각 감지 부(20)와 지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 1관(11)의 단부와 연통 결합되어 있는 후술 될 감지부(2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신호에 의해 제 1밸브(33)가 오프상태에서 온(ON)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 1관(11)과 바이패스관(32)으로 유동하던 빗물은, 상기 제 1관(11)과 제 2관(12)으로 유동된다.
상기 감지부(20)는 제 1관(11)의 일단과 연통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20) 내주면 상단에는 복수개의 전극봉, 즉, 제 1전극봉(21)과 제 2전극봉(22)이 매달려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상기 제 1, 2전극봉(21, 22)은 상호간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전극봉(21)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제 2전극봉(22)의 길이가 길거나, 그와 반대로, 제 2전극봉(2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제 1전극봉(21)의 길이가 긴 형태이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감지부(20)는 유체가 일정수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수위조절기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전극봉(21)의 길이가 제 2전극봉(22)보다 짧은 것으로 하겠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전극봉(22)이 더 긴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단부가 감지부(20)의 저면 바닥과 더 가깝다는 의미가 된다.
즉, 평상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제 1밸브(33)로 인해, 수집부(10)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은 제 1관(11)과 바이패스관(32)으로 각각 유동을 하게 되고, 빗물의 일부는 바이패스관(32)으로 통해 지면으로 배출되되, 일부는 상기 제 1관(11)을 통해 감지부(20)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감지부(20)의 바닥부터 빗물이 채워져 일정수위에 오르게 되면, 빗물은 첫 번째로, 복수개의 전극봉 중 길이가 더 긴 제 2전극봉(22)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강수가 많아 빗물이 계속 차오르게 되면, 상기 제 2전극봉(22)에 이어 제 1전극봉(21)과도 접촉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지부(20) 내부에 채워지는 빗물의 수위가 일정수준에 도달하여, 상기 제 1, 2전극봉(21, 22) 모두에 접촉이 되게 될 경우, 상기 감지부(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밸브(33)에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신호를 받은 제 1밸브(33)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바이패스관(32)로 흐르던 빗물을 제 2관(12)으로 유동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20)의 복수개 전극봉을 통해, 강수가 미량일 경우에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구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복수개의 전극봉 모두에 접촉이 될 정도의 충분한 강수량이 있을 시에만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가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감지부(20)의 외주연에는 감지부(20)의 내/외부를 연통하는 복수개의 배출구(23, 23')를 더 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배출구(23')의 경우에는 감지부(20) 외주연의 최하단에 위치되어,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가 작동한 후 또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20) 내부에 잔여로 남아있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배출구(23)의 경우에는 감지 부(20) 외주연의 최상단측에 형성되어,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가 작동중인 상태로, 빗물이 상기 제 1, 2전극봉(21, 22)과 모두 접촉될 정도로 수위가 높아진 후, 감지부(20) 내부에 필요 이상으로 빗물이 계속해서 채워지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밸브(33)는 수집부(10)의 제 2관(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집부(10)의 일단이 제 1, 2관(11, 12)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가깝도록 제 2관(12)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감지부(2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감지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20)로부터 신호가 발생시에만 온 상태로 되도록 하여, 상기 수집부(10)로부터 유동되는 빗물을 공급관(31)을 통해 채수부(40) 내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밸브(33)로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채수부(40)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관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제 2관(12)의 단부와 연통 결합되며 일단이 내입되는 공급관(31)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내부로 하기에서 설명될 샘플러(50) 및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에 의해 그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샘플러(50)는 채수부(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채수부(40) 내부에 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축(51)과, 상기 지지축(51)의 상단부에 고정되되, 상기 지지축(51)을 중앙에 두고 지면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판형상의 지지판(52)과, 상기 지지판(52)의 원주면을 따라(상기 지지판(52)의 가장자리에서 원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더(53)와, 상기 다수개의 홀더(53) 상단에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채집통(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채집통(54)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홀더(53)는 채집통(54)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로, 40개의 채집통(54)을 예로 들겠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채집통(54) 중 하나는 상기 채수부(40) 내부로 내입된 공급관(31)의 하단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대응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공급관(31)으로부터 유동된 빗물이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 모터(70)와 브레이크 모터(71)는 샘플러(50)와 함께, 상기 채수부(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축(5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모터(70)와 브레이크 모터(71)의 각각의 일단을 동력전달수단(72)(체인, 벨트 등)에 의해 동력전달하게 연결하여, 상기 모터(70)의 회전력이 브레이크 모터(71)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브레이크 모터(71)의 타단은 지지축(51)의 하단과 동력전달수단(72)에 의해 동력전달하게 연결 시켜, 결론적으로 상기 지지축(51)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80)는 모터(70)와 브레이크 모터(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70)와 브레이크 모터(71)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스피드 콘트롤러(Speed Controller, 81), 카운터(Counter, 82), 타이머(Timer, 8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70)는 감지부(20)에서 신호가 발생되어 제 1밸브(33)가 온 상태가 되는 순간부터 구동이 되도록 하고, 구동된 모터(70)는 회전력을 상기 브레이크 모터(71)로 전달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터(71)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피트 컨트롤러(81)는 모터(7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타이머(83)는 사용자가 정한 일정시간마다 신호를 브레이크 모터(71)에 전달하여 브레이크 모터(71)가 작동되도록 하는데, 상기 브레이크 모터(71)란 브레이크장치가 달린 모터(70)로써, 제어신호 또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내부의 브레이크(미도시)가 작동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제어신호 또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내부의 브레이크(미도시)가 작동해제되는 것이다.
즉, 상기 브레이크 모터(71)는 모터(70)의 회전력을 일단에서 전달받아 내부에서 타단측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내부의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있다가, 상기 타이머(83)에서 정해진 일정시간마다 신호를 전달받으면 브레이크를 작동해제하여 타단측으로 회전력으로 전달하여, 상기 브레이크 모터(71)의 타단과 동력전달수단(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지지축(51)을 일정각도(α) 회전시키는 것이다. 물 론, 일정각도(α) 회전시킨 후에는 다시 내부의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회전력이 지지축(5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정지해야만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축(51)을 회전시키는 일정각도(α)는 다수개의 채집통(54)이 순차적으로, 상기 채수부(40)에 내입되어 있는 공급관(31)의 하단에 위치될 정도의 각도이며,(채집통(54)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일정각도(α)는 항시 변경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축(51)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다수개의 채집통(54) 각각에는 시간에 따른 빗물이 각각 별도로 채집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카운터(82)는 타이머(83)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브레이크 모터(71)가 작동되어 지지축(51)이 회전시마다 그 회전횟수를 카운팅하는 것으로, 상기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채집통(54)이 40개라면 최대 카운팅 수는 40이 될 것이다. (이후, 다수개의 채집통(54) 모두에 채집이 끝난다면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의 작동이 멈춰야 함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제어부(80)는 외부에서도 식별가능하고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채수부(40)의 외측에 설치되어야 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채수부(40) 내부에 설치한 후, 상기 채수부(40)의 외주면을 개폐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근접 센서(60)는 채수부(40)의 내부에서 거치대(61)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근접 센서(60)의 일단이 샘플러(50)를 향하도록 하는데, 상기 샘플러(50)의 지지판(52) 하단면에는 채집통(54)이 위치되는 부분마다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출편(55)을 형성되어 있도록 한 후, 상기 근접 센서(60)가 다수개의 돌 출편(55) 중 하나와 근접되도록 위치시킨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근접 센서(60)는 공급관(31)으로부터 빗물이 담기는 채집통(54) 하단의 돌출편(55)에 근접 위치되어야만 한다.
즉, 상기 공급관(31)은 고정된 위치에서 빗물을 하단으로 떨어트리고, 상기 지지축(51)은 일정시간마다 공급관(31)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을 담는 다수개의 채집통(54)이 순차적으로 바뀔 정도로 일정각도(α)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근접 센서(60)는 고정되어 있는 공급관(31)의 하단에 정확하게 채집통(54)이 위치한 채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탐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일정시간이란, 상기 채집통(54)으로 빗물을 담는 시간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거나 또는 빗물이 공급되는 속도에 따라 변경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작동을 하는 본원발명의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빗물의 채집 외에 하천수, 도로면 또는 지표면 유출수의 채집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의 적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수집부 11: 제 1관
12: 제 2관 20: 감지부
21: 제 1전극봉 22: 제 2전극봉
23, 23': 배출구 31: 공급관
32: 바이패스관 33: 제 1밸브
40: 채수부 50: 샘플러
51: 지지축 52: 지지판
53: 홀더 54: 채집통
55: 돌출편 60: 근접 센서
61: 거치대 70: 모터
71: 브레이크 모터 72: 동력전달수단
80: 제어부 81: 스피드 컨트롤러
82: 카운터 83: 타이머

Claims (9)

  1. 빗물을 모으며 일단이 제 1, 2관(11, 12)으로 분기되는 수집부(10)와;
    상기 제 1관(11)과 연통 결합되는 감지부(20)와;
    상기 제 2관(12)의 일정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밸브(33)와;
    상기 제 2관(12)의 일단부와 연통 결합되어 일단이 내입되는 공급관(31)을 통해 유동되는 빗물을 받아 채집하는 채수부(40)와;
    상기 채수부(40)에 설치되고 감지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제 1, 2전극봉(21, 22)을 내주면 상부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설치하고, 상기 감지부(20) 내부에 채워지는 빗물이 상기 제 1, 2전극봉(21, 22) 모두에 접촉될시 신호를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신호에 의해 제 1밸브(33)가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수집부(10)의 빗물이 채수부(40)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 1밸브(33)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는 복수개의 배출구(23, 23')를 외주연 상, 하단에 각각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23')는 강수량이 적은 경우 감지부(20) 내부의 잔여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23)는 강수량이 많은 경우 빗물이 제 1, 2전극봉(21, 22) 모두에 접촉될 정도로 일정수위 차오른 후 상기 감지부(20)내에서 넘치지 않도록 빗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12)은 제 1밸브(33)의 전단에서 분기되어 지면으로 향하는 바이패스관(32)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 1밸브(33)가 온(ON)상태일 경우에는 빗물이 제 2관(12)을 통해 흐르되, 상기 제 1밸브(33)가 오프상태일 경우에는 수집부(10)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상기 바이패스관(32)을 통해 지면으로 흐르도록 바이패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부(40)는 지지축(51)과, 상기 지지축(51)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 판(52)과, 상기 지지판(52)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더(53)와, 상기 다수개의 홀더(53)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채집통(54)으로 이루어지는 샘플러(50)를 내부에 형성하되, 상기 다수개의 채집통(54) 중 하나는 채수부(40)의 공급관(31) 하단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러(50)는 다수개의 채집통(54)이 설치된 위치마다 상기 지지판(52)의 저면에 돌출편(5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공급관(31)과 대응 위치되는 채집통(54)의 돌출편(55)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근접 센서(60)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공급관(31)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채집통(54)에 정확히 수집되는지와, 상기 공급관(31)과 채집통(54)이 상호간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지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부(40)는 모터(70) 및 동력전달수단(72)에 의해 상기 모터(70)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브레이크 모터(71)를 내부에 더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모터(71)의 타단을 동력전달수단(72)에 의해 지지축(51)에 동력전달가능 하게 연결하여, 상기 지지축(51)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스피드 컨트롤러(81) 및 카운터(82)와 타이머(83)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부(20)의 신호에 의해 모터(70)와 브레이크 모터(71)를 작동시키되,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81)는 모터(7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타이머(83)는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브레이크 모터(71)가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축(51)이 브레이크 모터(71)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일정각도(α)씩 일정하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채집통(54)이 순차적으로 교체되면서 시간대별로 빗물이 담겨지도록 하되, 상기 지지축(51)의 회전횟수는 외부에서 식별가능토록 카운터(82)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는 다수개의 채집통(54) 모두에 빗물을 담아 채집이 끝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8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KR1020080101264A 2008-10-15 2008-10-15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KR10105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264A KR101051133B1 (ko) 2008-10-15 2008-10-15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US12/557,894 US8302464B2 (en) 2008-10-15 2009-09-11 Automatic sequential sampler for roof-top runoff of rain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264A KR101051133B1 (ko) 2008-10-15 2008-10-15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125A true KR20100042125A (ko) 2010-04-23
KR101051133B1 KR101051133B1 (ko) 2011-07-22

Family

ID=4209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264A KR101051133B1 (ko) 2008-10-15 2008-10-15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02464B2 (ko)
KR (1) KR101051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85B1 (ko) * 2014-12-12 2015-04-28 (주)지산종합기술 맨홀삽입형 자동회전 채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5466B (zh) * 2011-08-31 2013-04-10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一种地表径流泥沙样品分段采集装置
CN103698159B (zh) * 2013-12-02 2014-11-19 浙江大学 一种降雨触发式径流自动采样器及其方法
CN104048855A (zh) * 2014-06-24 2014-09-17 山西大学 一种降水同位素样品采集测量仪
CN106153399B (zh) * 2016-08-02 2023-04-25 云南大学 一种低功耗喀斯特洞穴滴水自动取样装置
CN106323694A (zh) * 2016-10-08 2017-01-11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全自动屋面径流分时段采样装置
CN107271223B (zh) * 2017-06-20 2020-03-1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室内土槽试验径流泥沙连续取样测量系统和方法
CN107449639B (zh) * 2017-06-20 2023-07-25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水土保持监测小区径流泥沙连续取样测量系统和方法
CN108181134B (zh) * 2018-03-02 2023-09-08 浙江恒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降雨径流采样器
CN108871865B (zh) * 2018-07-24 2023-12-05 苏州科技大学 一种全过程自动雨水径流采样装置
JP7032617B2 (ja) 2018-07-28 2022-03-09 シップスレインワールド株式会社 雨水利用分流装置
CN109612782A (zh) * 2018-12-25 2019-04-12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道路雨水径流自动采集装置及方法
CN109946121B (zh) * 2019-04-24 2023-09-15 安徽理工大学 雨水等容分段水质分析自动取样装置
CN110530682B (zh) * 2019-08-02 2022-04-08 中国电建集团北京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屋面雨水自动流量监测及样品采集方法和相应的装置
CN112326352A (zh) * 2020-11-03 2021-02-05 南开大学 一种地面雨水径流自动采样装置
CN112394187B (zh) * 2020-12-30 2023-09-22 中科赛悟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船的水质采样检测系统
CN112710514B (zh) * 2021-01-27 2023-07-25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雨水自动采集装置
CN114018639B (zh) * 2021-10-25 2024-05-03 浙江工业大学 一种雨水径流自动分阶段取样器
CN114279103B (zh) * 2022-01-07 2022-10-28 海南大学 一种自动雨水收集器
CN114720201B (zh) * 2022-05-20 2023-09-29 青海中煤地质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大气降水用自动收集装置
CN115655806B (zh) * 2022-12-26 2023-03-10 江苏今创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废水检测用取样装置
CN116698519B (zh) * 2023-06-27 2024-05-07 贵州新创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地表径流水质采样监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2037A (en) 1986-05-27 1988-03-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utomated rainwater collector
JP3574400B2 (ja) 2000-12-04 2004-10-06 株式会社 高千穂 建物の雨水利用システム
WO2002090266A1 (fr) * 2001-04-27 2002-11-14 Sanyo Electric Co., Ltd. Dispositif de traitement d'eau
JP4224543B2 (ja) * 2004-03-03 2009-02-18 独立行政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自動降水採取装置
JP4180044B2 (ja) 2004-11-25 2008-11-12 株式会社トーテツ 流下雨水の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85B1 (ko) * 2014-12-12 2015-04-28 (주)지산종합기술 맨홀삽입형 자동회전 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89179A1 (en) 2010-04-15
US8302464B2 (en) 2012-11-06
KR101051133B1 (ko) 201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133B1 (ko) 유출 빗물 자동채집기
CN103743600B (zh) 一种分时段雨样自动采样器
CN101762409B (zh) 一种城市降雨径流自动采样器
CN211317863U (zh) 一种用于环境监测的污水采样装置
US6742404B2 (en) Hybrid passive/automated flow proportional fluid sampler
CN110823636B (zh) 一种水环境检测用的污染物取样装置
CN201628636U (zh) 一种精确取液计量装置
CN105839758B (zh) 一种可变初期雨水弃流控制系统、控制方法及构建方法
CN106153399B (zh) 一种低功耗喀斯特洞穴滴水自动取样装置
CN107817135B (zh) 雨水径流自动采样装置
KR100817243B1 (ko) 수질원격감시시스템
RU200811740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загрязненной воды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3792339A (zh) 枯落物截留量的试验装置和方法
CN110672155A (zh) 一种污染源偷排行为识别方法与装置
JP5024630B2 (ja) 自動採水装置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CN204882148U (zh) 一种污水入口定时取样装置
CN110530682B (zh) 一种屋面雨水自动流量监测及样品采集方法和相应的装置
CN201809201U (zh) 一种油水分离装置
CN202442894U (zh) 工厂排污水自动连续取样装置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CN108871865B (zh) 一种全过程自动雨水径流采样装置
CN208672383U (zh) 一种全过程自动雨水径流采样装置
CN209446557U (zh) 一种新型废水检测装置
CN201293736Y (zh) 直分式污水等分采样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