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025A -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025A
KR20100042025A KR1020080101133A KR20080101133A KR20100042025A KR 20100042025 A KR20100042025 A KR 20100042025A KR 1020080101133 A KR1020080101133 A KR 1020080101133A KR 20080101133 A KR20080101133 A KR 20080101133A KR 20100042025 A KR20100042025 A KR 2010004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andle
handle portion
protrusion
computer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025A/ko
Publication of KR2010004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4Ergonomic shaped mouse for vertical grip, whereby the hand controlling the mouse is resting or gripping it with an attitude almost vertical with respect of the work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는,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센서부에 대해서 상대회전하였을 때 그 센서부가 상기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센서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대한 것이다.
마우스, 손잡이부, 센서부, 회전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우스{Mouse for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을 관절운동시킴에 의하여 센서부의 전후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라 함은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서 게임이나 작업중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마우스는, 그 하면의 중앙부에 볼 또는 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 전방에는 좌,우측 버튼 혹은 선택버튼과 메뉴버튼으로 칭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선택버튼과 메뉴버튼 사이에는 컴퓨터 화면을 스크롤 할 수 있는 휠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통상의 마우스를 손으로 쥐고 그 하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즉, 손바닥이 마우스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좌,우 버튼을 누르고 검지를 이용하여 휠을 돌려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마우스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개발되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60608호(2007. 6. 20. 출원; 컴퓨터용 마우스)가 있다. 그 마우스는,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는, 상기 마우스가 놓여져 사용되는 면에 대해 세워진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는 그 상하방향의 중심축이 좌우측 중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좌우측 중 타측 방향으로 이동배치되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축의 중앙부의 가상의 연직하부 지점의 전방에 상기 센서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있다.
첫째, 컴퓨터용 마우스의 센서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은 팔꿈치를 중심축으로 하여 팔을 좌우회전이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별 어려움이 없으나,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부를 잡고 있는 손과 팔을 전체적으로 전후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를 장시간 반복시 팔에 무리가 오거나 힘이 들 염려가 있는 것이다. 즉, 마우스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은 팔꿈치가 지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팔만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장시간 반복해도 불편함은 없으나, 마우스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팔을 들어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전후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팔에 힘이 들어 컴퓨터 작업을 오래 지속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게 된다.
둘째, 컴퓨터용 마우스에 접촉되는 손바닥은 전체적으로 마우스의 측면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장시간동안 그 마우스를 쥐게 되는 경우에는 손에 땀이 차서 동작에 불편을 줄 염려가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땀으로 인하여 불쾌감이 드는 것은 물론이고, 그 땀으로 인하여 마우스로부터 손이 미끄러지는 등의 염려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팔에 무리가 오지 않으면서 손에 땀이 찰 염려가 적은 컴퓨터용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우스는,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는,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센서부에 대해서 상대회전하였을 때 그 센서부가 상기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센서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센서부에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에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하였을 때 상기 센서부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힌지부는,
힌지핀; 상기 제1힌지핀이 삽입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관통공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에 마련되는 제1축부; 및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는 힌지핀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제2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를 포함하며 손잡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센서몸체와, 상기 센서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후방몸체와, 그 후방몸체와 상기 센서몸체를 연결시키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후방몸체의 하면을 제외한 그 후방몸체의 상측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제1축부는 후방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검지로 눌려지는 제1선택버튼과, 상기 제1선택버튼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지로 눌려지는 제2선택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서 상단과 하단사이의 중앙부분에 구비되고 엄지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컴퓨터 화면의 스크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휠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휠버튼은 엄지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그 손잡이부를 잡았을 때 사용자의 손목과 연결되며 손날로부터 연장되는 손바닥의 일부분과 그 손잡이부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돌출부는, 손잡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중지 및 약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놓일 수 있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제1돌출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그 손잡이부를 잡았을 때 검지 및 중지의 마지막 마디가 상기 제1 및 제2선택버튼에 각각 놓을 수 있을 정도의 돌출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상기 돌출부는, 손잡이부의 상측 후방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사용자의 손 중에서 엄지와 검지 사이의 부분이 놓일 수 있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돌출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손잡이부와 센서부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후면도이고, 도 8 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1)는,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도구로서, 손잡이부(10), 센서부(20), 힌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0)는 컴퓨터용 마우스(1)가 놓여져 사용되는 바닥면에 대해서 세워져 사용된다. 마우스(1)의 사용자는 마우스(1)의 손잡이부(10)를 손으로 잡고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0)는 전체적으로 기둥의 타원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잡기에 편리하게 다소 유선형의 곡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손잡이부(10)는 그 손잡이부(10)가 상기 센서부(20)에 대해서 상대회전하였을 때 그 센서부(20)가 상기 바닥면에 말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센서부(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 체적으로는, 그 손잡이부(10)는,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그 센서부(20)에 의하여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가 힌지부(30)에 의하여 회전하였을 때 상기 센서부(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회전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힌지부(30)와 함께 기술하겠다.
상기 손잡이부(10)의 하측에는 내측으로 패여진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은 후술할 후방몸체(221)의 상측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내부공간에는 후술한 후방몸체(221)의 제1곡면(221c)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곡면(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곡면(11)은 상기 제1곡면(221c)과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손잡이부(10)가 회전할 때 그 제1곡면(221c)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손잡이부(1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제2곡면(11)의 형상은 후술한 제1곡면(221c)과 함께 설명하겠다.
상기 손잡이부(10)에 마련되는 조작수단(12)은 제1선택버튼(121), 제2선택버튼(122), 휠버튼(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선택버튼(121)은 손잡이부(10)의 전방에 구비되고 검지로 눌려지는 것으로서, 클릭버튼이라고도 칭하며, 통상의 마우스(1)의 상부 좌측에 위치한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선택버튼(122)은 상기 제1선택버튼(1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지로 눌려지는 것으로서, 통상의 마우스(1)의 상부 우측에 배치된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이다.
상기 휠버튼(123)은 사용자가 컴퓨터 화면을 스크롤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그 휠버튼(123)을 조작하게 된다. 휠버튼(123)은 '휠'이라고도 칭한다. 이러한 휠버튼(123)은 손잡이부(10)의 일측면에서 상단과 하단사이의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엄지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회전조작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의 휠버튼(123)은 손가락을 전후로 이동시킴에 의하여 휠을 조작할 수 있어서 불편한 점도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엄지손가락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조작이 가능하도록 배치시켜 보다 용이한 편하게 조작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손잡이부(10)에는 돌출부(13)가 더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13)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제1돌출부(131)와 손바닥이 놓일 수 있는 제2돌출부(132)로 구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는 사용자가 손으로 그 손잡이부(10)를 잡았을 때 사용자의 손목과 연결되는 손날로부터 연장되는 손바닥의 일부분과 그 손잡이부(10)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부(13)로 빈공간을 만드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0)가 회전할 때 그 빈공간 내에 수용됨에 따라 손쉽게 이동조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빈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손목을 굽혀서 모든 회전조작을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경우가 있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131)는 손잡이부(1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록하게 착탈가능하게 돌출 설치되고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 특히 검지 및 중지 중 적어도 하나가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제1돌출부(131)의 돌출높이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 을 때 검지 및 중지의 마지막 마디가 상기 제1선택버튼(121)과 제2선택버튼(122)에 각각 놓을 수 있을 정도의 돌출높이(도 7의 "H"로 표시)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돌출부(131)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맞추어서 손마디 사이의 긴 사람은 그 돌출높이를 높게 하고, 손마디 사이가 작은 사람은 그 돌출높이를 낮게 함으로서, 그 제1돌출부(131)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그 마지막 마디가 제1선택버튼(121)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돌출부(132)는 손잡이부(10)의 상측 후방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사용자의 손 중에서 엄지와 검지 사이부터 연장되는 손바닥부분이 놓일 수 있는 제2돌출부(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돌출부(132)도 착탈가능하게 손잡이부(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크기에 맞추어서 자연스럽게 그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돌출부(131) 및 제2돌출부(132)에 의하여 손잡이부(10)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장시간 그 손잡이를 잡고 있어도 손에 땀이 차게 될 염려가 적다.
상기 센서부(20)는 손잡이부(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 센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센서부(20)는 센서몸체(21)와 후방지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몸체(21)는 센서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는 센서부(20)의 바닥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마우스(1)가 놓여져 사용되는 사용면에 밀착되어 있다. 센서는, 본 실시예의 경우 광센서로 되어 있으나. 볼(ball) 센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22)는 상기 센서몸체(2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후방몸체(221)와, 연장부(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몸체(221)는 손잡이부(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손잡이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후방몸체(221)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면과, 그 하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측면 및 그 측면의 상부모서리를 연결하는 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중에서 하방을 이루는 측면은 힌지부(30)의 힌지핀(31)까지의 거리를 곡률반경으로 하는 제1곡면(221c)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곡면(221c)은 힌지부(30)까지의 거리를 곡률반경으로 하는 곡면이다. 한편, 손잡이부(10)가 상기 제1곡면(221c)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그 제2곡면(11)이 상기 제1곡면(221c)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후방몸체(221)와 상기 센서몸체(21)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몸체(21)의 일측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후방몸체(221)의 일측모서리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힌지부(30)는 손잡이부(10)를 센서부(20)에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힌지핀(31), 제1축부(32), 제2축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핀(31)은 제1축부(32)와 제2축부(33)에 삽입되는 핀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부는 그 제1축부(32)의 제1관통공(321)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축부(33)의 제2관통공(33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축부(32)는 상기 제1힌지핀(31)이 삽입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관통공(3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센서부(2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부(20)의 후방몸체(221)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축부(33)는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321)에 삽입되어 있는 힌지핀(31)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공(331)이 형성된 것으로서, 손잡이부(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0)의 전면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부(10)가 상기 후면몸체에 결합되었을 때 그 제1축부(32)의 제1관통공(321)과 제2축부(33)의 제2관통공(331)은 서로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컴퓨터용 마우스(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사용자는 화면상의 커서 등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마우스(1)의 손잡이부(10)를 잡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엄지와 검지 사이의 부분 및 그 부분에서 연장된 손바닥 부분은 제2돌출부(132)에 안착되고, 중지 및 약지의 중간마디부분은 제1돌출부(131)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중지 및 약지의 마지막 마디부분은 제1선택버튼(121)과 제2선택버튼에 놓이게 된다. 한편, 엄지손가락은 상기 중지 및 약지가 높여지는 면과 반대측 면에 놓여지되 구체적으로는 그 엄지손가락의 마지막 마디 부분이 휠에 닿아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목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팔꿈치를 기준으로 하여 팔을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화면상의 커서가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손목의 관절을 중심으로 손을 아래로 꺽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핀(31)을 중심으로 하여 손잡이부(10)는 회전하게 되고(도 8 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합니다.)이와 함께 센서부(2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센서부(20)는 바닥면과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부(2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커서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손목을 관절을 중심으로 손을 위로 꺽는 경우에는 도 8의 점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힌지핀(31)을 중심으로 손잡이부(10)는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센서부(20)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의 관절을 위 아래로 꺾는 동작만에 의하여 편리하게 그 커서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휠의 경우 엄지손가락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자연스러운 자세에 의하여 동작이 되므로 역시 휠을 움직이는게 편리하게 된다. 엄지손가락을 전후로 이동시켜서 동작시켜야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서 편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손은 손잡이부(10)와 최소한의 접촉면적에 의하여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손이 땀이 날 염려가 적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그 돌출부(13)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빈공간은 손목을 중심으로 손을 꺾었을 때 그 손잡이부(1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빈공간에 의하여 손이 과도하게 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빈공간이 큰 경우에는 손목을 크게 꺽지 않고 손가락을 움직여 제1돌출부(131)는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서도 그 손잡이부(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그 높이가 다르게 제작하여 결합시키게 되는 경우 에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에 손가락 등이 놓여질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센서부가 센서몸체와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으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몸체가 없이 연결부만 구비된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의 후방측에 제1축부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하면은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손목을 아래로 꺽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센서부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축부가 후방몸체의 전방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제1축부가 후방몸체의 후방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함께 제2축부도 후방 하단에 배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손목을 꺽게 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센서부는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돌출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에서 손잡이부와 센서부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배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후면도
도 8 은 도 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컴퓨터용 마우스의 측면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마우스 10...손잡이부
12...제2조작수단 121...제1선택버튼
122...제2선택버튼 123...휠버튼
13...돌출부 131...제1돌출부
132...제2돌출부 20...센서부
21...센서몸체 221...후방몸체
222...연장부 30...힌지부
31...힌지핀 32...제1축부
32...제2축부

Claims (15)

  1. 컴퓨터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용 마우스는, 바닥면에 대해 세워지고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이격된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센서부에 대해서 상대회전하였을 때 그 센서부가 상기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센서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센서부에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에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힌지부에 의하여 회전하였을 때 상기 센서부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힌지핀;
    상기 제1힌지핀이 삽입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관통공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에 마련되는 제1축부; 및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는 힌지핀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는 제2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를 포함하며 손잡이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센서몸체와, 상기 센서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후방몸체와, 그 후방몸체와 상기 센서몸체를 연결시키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는 상기 바닥면과 접촉하는 하면과, 그 하면으로부터 세워지며 상기 힌지핀까지의 거리를 곡률반경으로 하는 제1곡면을 포함하는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후방몸체의 하면을 제외한 그 후방몸체 의 상측부분을 수용하며 내부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제1곡면과 접촉하는 제2곡면을 포함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는 후방몸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검지로 눌려지는 제1선택버튼과, 상기 제1선택버튼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지로 눌려지는 제2선택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에서 상단과 하단사이의 중앙부분에 구비되고 엄지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컴퓨터 화면의 스크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휠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휠버튼은 엄지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그 손잡이부를 잡았을 때 사용자의 손목과 연결되며 손날로부터 연장되는 손바닥의 일부분과 그 손잡이부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손잡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중지 및 약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놓일 수 있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그 손잡이부를 잡았을 때 검지 및 중지의 마지막 마디가 상기 제1 및 제2선택버튼에 각각 놓을 수 있을 정도의 돌출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손잡이부의 상측 후방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사용자의 손 중에서 엄지와 검지 사이의 부분이 놓일 수 있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
KR1020080101133A 2008-10-15 2008-10-15 컴퓨터용 마우스 KR20100042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133A KR20100042025A (ko) 2008-10-15 2008-10-15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133A KR20100042025A (ko) 2008-10-15 2008-10-15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025A true KR20100042025A (ko) 2010-04-23

Family

ID=4221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133A KR20100042025A (ko) 2008-10-15 2008-10-15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0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72B1 (ko) * 2013-05-29 2013-11-20 서규선 버티컬 마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72B1 (ko) * 2013-05-29 2013-11-20 서규선 버티컬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303361B2 (en) Hand manipulated data apparatus for computers and video games
EP1063608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20020171625A1 (en) Pistol-grip trackball mouse
JP2010503108A (ja) フィンガコンピュータマウス
CN102365607A (zh) 翘臀鼠标
US6377244B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US6954198B2 (en) Ergonomically shaped computer pointing device
US7176882B2 (en) Hand held control device with dual mode joystick for pointing and scrolling
JP2007501467A (ja) 人間工学的マウス
US20070285400A1 (en) Palm attached touch-pad computer mouse
US20030234765A1 (en) Vertical handheld computer mouse
US20050151725A1 (en) User interface device
KR20100042025A (ko) 컴퓨터용 마우스
JP7381870B2 (ja) マウス装置
CN104281277B (zh) 一种倾斜侧握的鼠标装置
JP2001209489A (ja)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KR200191060Y1 (ko) 오뚝이형 직립 마우스
CN101216729B (zh) 人体工学鼠标
CN101681204A (zh) 鼠标器
KR20160115333A (ko) 마우스
KR200381353Y1 (ko) 컴퓨터용 서있는 마우스
JP2001243013A (ja) 指先だけで掴んで操作するマウスと手首の負担軽減の手首載せ台。
JP6839339B2 (ja) 保持部付きキーボード
CN207560095U (zh) 手机辅助握持架
EP1514231A1 (en) A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a combination including such 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