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393A -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 Google Patents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393A
KR20100040393A KR1020080099471A KR20080099471A KR20100040393A KR 20100040393 A KR20100040393 A KR 20100040393A KR 1020080099471 A KR1020080099471 A KR 1020080099471A KR 20080099471 A KR20080099471 A KR 20080099471A KR 20100040393 A KR20100040393 A KR 2010004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ag
shaft member
spoo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운
강석영
Original Assignee
강석운
강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운, 강석영 filed Critical 강석운
Priority to KR102008009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393A/ko
Publication of KR2010004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중앙부에 축부재(12)가 구비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풀(40)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 리일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스풀(40)이 장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상기 스풀(40)에 감겨진 낚시줄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드래그 유닛과, 록킹바디(72)에 탄지수단(80)을 매개로 록커(7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유닛(70)의 상기 록킹바디(72)가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탄지수단(80)에 의해 상기 록커(76)가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원터치 결합되어 상기 드래그 유닛을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 스풀, 드래그 유닛, 록킹바디, 록커, 탄지수단

Description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Fly reel}
본 발명은 플라이 리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줄을 감기 위한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요부인 드래그 유닛을 프레임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록킹유닛에 의해 지지하여 여러면에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낚시는 수중 곤충들의 모양을 새의 깃털, 동물의 털 등을 사용해서 실제와 같이 플라이 훅을 만들어 물고기가 진짜 먹이로 착각하여 입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 방법으로서, 물속에 서식하고 있는 물벌레나 작은 물고기 등을 먹이로 하는 어종인 베스나 송어 등을 낚게 된다.
이러한 플라이 낚시의 경우 낚시줄을 감아주는 플라이 리일을 낚시대에 장착하여 플라이 리일을 조작하여 낚시줄을 헝클어뜨리지 않고 낚싯줄을 빠르게 감아들이는 한편, 고기가 채는 힘을 작용시킬 때에는 낚시줄이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제동을 가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때, 플라이 낚시대의 구성을 이루는 플라이 리일은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스풀과, 이 스풀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과, 스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드래그 유닛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스풀의 일측에 부착된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낚시줄을 스풀에 신속하게 감을 수도 있고, 반대로 낚시줄이 스풀에서 풀리는 속도는 드래그 유닛에 의해 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플라이 리일은 스풀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유닛에 결합함과 동시에 스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지지판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끼우고, 이러한 회전 지지판은 스풀에 볼트로 일일이 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 공정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베어링 셋트가 내장된 드래그 하우징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형성된 나사부에 캡너트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베어링 셋트가 내장된 드래그 하우징을 장착하는 방식의 제품도 있는데, 이처럼 캡너트를 나사 결합식으로 체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캡너트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시 불편한 등의 단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을 감기 위한 스풀을 프레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요부인 드래그 유닛이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록킹 부분을 원터치식으로 장착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제작 공정이 신속 용이하고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부에 축부재(12)가 구비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풀(40)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 리일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스풀(40)이 장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상기 스풀(40)에 감겨진 낚시줄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드래그 유닛과, 록킹바디(72)에 탄지수단(80)을 매개로 록커(7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유닛(70)의 상기 록킹바디(72)가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탄지수단(80)에 의해 상기 록커(76)가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원터치 결합되어 상기 드래그 유닛을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리일에 의하면, 드래그 유닛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요 부분을 원터치식으로 프레임의 축부재 선단부에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스풀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유닛에 결합함과 동시에 스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지지판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끼우고, 이러한 회전 지지판은 스풀에 볼트로 일일이 체결하여 조립하거나 베어링 셋트가 내장된 드래그 하우징을 프레임의 축부재에 형성된 나사부에 캡너트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방식에 비하여 제작 공정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나아가, 사용시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베어링 셋트 부분(즉, 일방향 베어링를 포함하는 베어링 부분)을 내장한 드래그 유닛이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는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기의 종류에 대응하여 굵기가 다른 낚시줄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프레임과 스풀만을 교체하고 상기 드래그 유닛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플라이 리일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격 등의 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 소화전 방수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조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축부재(12)가 구비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드래그 유닛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풀(40)과,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 셋트에 의해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스풀(40)에 감겨진 낚시줄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드래그 유닛과, 이 드래그 유닛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록킹유닛(70)으로 구성된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이다.
상기 프레임(10)은 두 개의 원형 링체에 복수개의 보강편이 일체화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프레임(10)의 두 개의 원형 링체 중에서 하나의 링체에는 복수개의 간살부가 구비되며, 간살부의 중앙에는 축지지부(11)가 구비되고, 축지지부(11)의 중앙부에는 축부재(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풀(40)은 원통형 리임의 양측단에 한 쌍의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원통형 리임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스포크(44)가 구비되며, 스포크(44)에는 결합공이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래그 유닛은 내부에 전후단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 둘레부에는 스풀(40)이 결합된 드래그 하우징(22)과, 이러한 드래그 하우징(22)의 공간부에 내장 됨과 동시에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결합되어 스풀(40)의 드래그 방향을 설정하는 일방향 베어링(24)을 포함한다. 이때, 드래그 유닛의 주요부인 드래그 하우징(22)의 외주면 일측에는 나사식으로 스풀캡(28)이 결합되고, 스풀캡(28)과 드래그 하우징(22) 외주면의 확장부(31) 사이에 스풀(40) 내주면의 스포크(44)가 가압되므로, 스풀(40)이 드래그 하우징(22)과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된다.
한편, 이러한 드래그 하우징(22)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드래그 하우징(22)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메인 베어링(26)과, 드래그 하우징(22)의 타단부(즉,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와 마주하는 단부)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드래그 하우징(22) 내부의 일방향 베어링(22)과 메인 베어링(26)이 드래그 하우징(22)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70)은 록킹바디(72)에 탄지수단(80)을 매개로 록커(7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록킹바디(72)는 중앙부가 볼록한 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록커(76)는 캡형상의 록킹바디(72)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록커(76)의 중앙부에는 축삽입공(78)이 전후면으로 관통 형성되고, 록커(76)의 축삽입공(78)의 내주면에는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형성된 걸이홈에 걸려지는 록킹편(78a)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록킹편(78a)은 프레임(10)의 축부재(12)의 선단 둘레부에 접촉되는 단부에 록킹 가이드면이 더 구비되어, 이러한 록킹 가이드면에 의해 록커(76)의 록킹편(78a)이 가이드되어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형성된 걸이홈에 더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록 커(76)는 후술할 탄지수단(80)과 연결된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단턱부(76a)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탄지수단(80)은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스프링 형상의 탄지수단(80)의 일단부는 록커(76)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탄지수단(80)의 타단부는 상기 록킹바디(72)의 내부에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록커(76)가 탄지수단(80)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바디(72)의 내부로 내려와서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형성된 걸이홈에 록커(76)의 록킹편(78a)이 걸려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드래그 유닛 부분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끼우고, 록킹유닛(70) 부분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 선단부 위치에서 축부재(12)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록커(76)의 록킹홀에 돌출 형성된 록킹편(78a)이 축부재(12)의 원뿔면을 따라 록킹바디(72)의 외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탄지수단(80)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작용하고 있다가 록커(76)의 록킹편(78a)이 축부재(12)의 걸림턱(13)(13)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므로, 록킹유닛(70)에 의해 드래그 유닛이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이탈되지 않고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풀(40)의 스포크(44)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드래그 유닛의 주요부인 드래그 하우징(22) 둘레부에 끼운 다음, 스풀캡(28)을 드래그 하우징(22)에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스풀(40)의 스포크(44)를 드래그 하우징(22)의 확장부(31)와 스풀캡(28) 사이에 가압 고정함으로써 플라이 리일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드래그 유닛을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스풀캡(28)을 다시 풀어서 스풀(40)을 분리하고, 록커(76)의 타단부에 구비된 단턱부(76a)에 손가락을 대고 록커(76)를 록킹바디(72)의 외측으로 들어준 다음, 록킹바디(72)를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서 빼내면 록킹유닛(70)이 분리되며, 이처럼 록킹유닛(7)을 분리한 후에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서 드래그 유닛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록킹유닛(70)의 주요부인 록커(76)를 원터치식으로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결합하고, 스풀(40)캡을 드래그 유닛의 드래그 하우징 둘레부에 결합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스풀(40)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유닛에 결합함과 동시에 스풀(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지지판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끼우고, 이러한 회전 지지판은 스풀(40)에 볼트로 일일이 체결하여 조립하는 제품이나 베어링 셋트가 내장된 드래그 하우징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캡너트를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드래그 하우징을 장착하는 방식의 제품에 비하여 제작 공정시간이 상대적으로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록킹유닛(70) 부분을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원터치식으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모든 종류의 플라이 리일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시 드래그 유닛과 같은 주요 부분을 신속 용이하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록커(7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바디(72)는 록커(76)의 단턱부(76a)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홈이 더 구비되어, 록커(76)의 단턱부(76a)가 록 킹바디(72)의 오목홈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스풀(40)캡 조립시에 록커(76)가 스풀(40)캡에 걸리는 것과 같은 조립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록커(76)는 전후단으로 연통되는 축삽입공(78)이 형성되고, 이러한 축삽입공(78)에는 록킹편(78a)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록킹편(78a)에는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접촉되는 단부에 경사진 록킹 가이드면이 더 구비되어, 이러한 록킹 가이드면에 의해 록커(76)가 프레임(10)의 축부재(12)의 걸림턱(13)에 더 원활하게 걸려지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내부 중앙부에 축부재(12)를 지지하는 원형의 축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축지지부(11)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끼움홈(11a)이 형성되고, 축지지부(11)의 환형 끼움홈(11a)에는 실링부재(50)의 후단부 내측 걸림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실링부재(50) 내주면의 결합홈(53)이 드래그 하우징(2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실링부재(50)가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와 드래그 하우징(2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따라서, 드래그 유닛 부분(즉, 드래그 하우징(22) 부분)과 프레임(10)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를 실링부재(50)에 의해 밀봉하므로, 드래그 유닛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베어링 셋트 부분(일방향 베어링(24)을 포함하는 베어링 부분)이나 프레임(10)의 축부재(12)가 부식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내측 중앙부에 축부재(12)를 지지하는 원형의 축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고, 드래그 하우 징(22)은 기단부에 프레임(10)의 원형의 축지지부(11) 외주면과 마주하는 후방 연장부(21)가 형성되고, 후방 연장부(21)의 내주면의 그루브(groove: 23a)에는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 외주면에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드래그 유닛과 스풀(40)의 후방 연장부(21)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이러한 실링부재(60)에 의해 드래그 유닛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실링부재(60)는 두 개의 날개부(62)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실링부재(60)의 두 개의 날개부(62)가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 외주면에 밀착되어 밀봉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내측 중앙부에 축부재(12)를 지지하는 원형의 축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고, 드래그 하우징(22)의 후단부에는 후방 연장부(21)가 형성되고,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의 외측 둘레부에는 실링부재 안착홈(15)이 형성되고, 프레임(10)의 실링부재 안착홈(15)에는 단면이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드래그 하우징(22)의 후방 연장부(21)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65)가 결합되어, 드래그 유닛과 프레임(10)의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게 된다. 물론, 실링부재(65)는 드래그 하우징(22)과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 외주면에 대해 상대회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내부 구조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측단면도

Claims (9)

  1. 중앙부에 축부재(12)가 구비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풀(40)을 포함하여 구성된 플라이 리일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스풀(40)이 장착되며 내부에 구비된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상기 스풀(40)에 감겨진 낚시줄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드래그 유닛과, 록킹바디(72)에 탄지수단(80)을 매개로 록커(7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록킹유닛(70)의 상기 록킹바디(72)가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탄지수단(80)에 의해 상기 록커(76)가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원터치 결합되어 상기 드래그 유닛을 상기 프레임(10)의 축부재(1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유닛은 내부에 전후단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 둘레부에는 상기 스풀(40)이 결합된 드래그 하우징(22)과, 상기 드래그 하우징(22)의 공간부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 둘레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풀(40)의 드래그 방향을 설정하는 일방향 베어 링(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래그 하우징(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풀(40)이 상기 드래그 하우징(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풀캡(28)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유닛은 상기 드래그 하우징(22)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래그 하우징(22)을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메인 베어링(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76)는 상기 탄지수단(80)과 연결된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단턱부(76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76)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록킹바디(72)는 상기 단턱부(76a)와 마주하는 위치에 걸이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록커(76)의 상기 단턱부(76a)가 상기 록킹바디(72)의 상기 오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76)는 스풀(40)이 수용되는 프레임(10)의 축부재(12) 둘레부에 접촉되는 단부에 결합 가이드면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중앙부에 상기 축부재(12)를 지지하는 원형의 축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부(11)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의 드래그 유닛 결합홈(53)이 상기 드래그 하우징(22)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래그 하우징(22)과 상기 프레임(1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중앙부에 상기 축부재(12)를 지지하는 원형의 축지지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드래그 유닛을 구성하는 드래그 하우징(22)은 기단부에 상기 프레임(10)의 축지지부(11) 외주면과 마주하는 후방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연장부(21) 내주면의 그루브(23a)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지지부(11) 외주면에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드래그 하우 징(22)과 상기 프레임(1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부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축부재(12)의 외측 둘레부에는 실링부재 안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실링부재 안착홈(15)에는 단면이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상기 드래그 유닛을 구성하는 드래그 하우징(22)의 후방 연장부(21) 내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7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KR1020080099471A 2008-10-10 2008-10-10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KR20100040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71A KR20100040393A (ko) 2008-10-10 2008-10-10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71A KR20100040393A (ko) 2008-10-10 2008-10-10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93A true KR20100040393A (ko) 2010-04-20

Family

ID=4221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471A KR20100040393A (ko) 2008-10-10 2008-10-10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6730A (zh) * 2010-05-18 2011-11-23 株式会社岛野马来西亚配件厂有限公司 纺车式渔线轮的卷线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6730A (zh) * 2010-05-18 2011-11-23 株式会社岛野马来西亚配件厂有限公司 纺车式渔线轮的卷线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5614B1 (en) Spinning reel
KR20080110492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10142131A (ja) 両軸受リール
KR100890229B1 (ko) 플라이 리일
US7552886B2 (en) Double drag, pre-set adjust and unitary end assembly for trolling reel
US20020088889A1 (en) Spool for spinning reel
US5328122A (en) Handle for fishing reel
KR20100040393A (ko) 드래그 유닛 장착 호환성을 갖는 플라이 리일
US20150136890A1 (en) Fly fishing reel
US3035368A (en) Trolling lure
US5918827A (en) Line spool retainer for a spin cast fishing reel
JPH1128039A (ja)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
KR100684212B1 (ko)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
CA1048981A (en) Ruggedized closed face spinning reel
US6045077A (en) Fishing reel with rear drag and interchangeable line reserve
US6984087B1 (en) Writing and candy utensil
KR20100040394A (ko) 원터치 결합식 스풀 지지구조를 구비한 플라이 리일
KR100372521B1 (ko) 플라이 낚시 릴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CN210352804U (zh) 渔线轮座限位装置
CN209587318U (zh) 一种带镶嵌标识盖的龙头把手
US9295242B2 (en) Spinning reel
KR20100040392A (ko) 플라이 리일의 스풀 결합구조
CN218869983U (zh) 一种用于窗帘罗马杆的钢管
US8381759B1 (en) Faucet handle assembly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