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521B1 - 플라이 낚시 릴 - Google Patents

플라이 낚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521B1
KR100372521B1 KR10-2001-0014855A KR20010014855A KR100372521B1 KR 100372521 B1 KR100372521 B1 KR 100372521B1 KR 20010014855 A KR20010014855 A KR 20010014855A KR 100372521 B1 KR100372521 B1 KR 10037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hollow shaft
line
fly fishing
fri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819A (ko
Inventor
홍종원
Original Assignee
홍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원 filed Critical 홍종원
Priority to KR10-2001-001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5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목적 : 드랙의 조정을 정밀하고 강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 수명이 길고 라인의 수용 길이를 최대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풀의 교체 조작을 간편히 할 수 있는 플라이 낚시 릴을 제공한다.
구성 :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스풀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풀은 디스크와 마찰재 사이의 접촉을 통해 회전에 저항력이 가해지게 제어됨과 아울러 그 저항력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일정 방향에서만 상기 스풀로 가해지게 되어 있는 통상의 플라이 낚시 릴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24)는 스풀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뚫려진 축공(22)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축공(22)으로 설치되는 제1 중공축(28)이 제2 중공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여 상기 마찰재(24)에 디스크(26)가 대향 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풀(8)은 그 중심의 막힌 공간(64)으로 스페이서(66)와 일방향 클러치(68)를 순차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링 너트(70)를 보유하고, 상기 스페이서(66)의 일측 단부에는 링 스프링(72)에 의해 탄압되는 볼(74)이 다수 배치되어서 상기 스페이서(66)의 내주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서 상기 제2 중공축(42)의 오목홈(41)과 맞물려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효과 : 본 발명은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스풀 분리 시에 따로 떼어져 나오는 부품이 없어 부품 망실의 우려가 없고, 스풀의 분리와 조립을 원터치로 할 수 있으며, 스풀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여기에서 라인이 풀려 나갈 때에방열 효과가 우수해져서 라인의 사용 수명도 연장되고, 스풀의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어 수용되는 라인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오-링이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중요 부품의 부식 손상이 생기지 않아 사용 수명이 길다.

Description

플라이 낚시 릴{fly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미끼 또는 인조 미끼를 사용하는 플라이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 낚시는 계류나 호소, 바다 등에서 행하는 레저 낚시의 하나로서, 사용되는 미끼가 살아있는 곤충이나 유충과 같은 모양을 새의 깃털로 본 떠서 각종 수생곤충 형태로 만든 털바늘 미끼를 사용하여 고기를 낚는 방식에 특징이 있는 낚시이다.
플라이 낚시에서는 사용되는 라인(낚싯줄)의 종류에 따라 라인 전체가 물에 뜨는 플로팅 라인, 라인 전체가 물 속으로 가라앉는 풀 싱킹 라인, 그리고 라인의 앞부분만 가라앉는 싱킹 팁 라인이 있으며, 이들은 낚시 장소의 여건과 대상 어종의 서식지에 따라 수시로 교체 사용된다.
낚시 바늘로 되는 플라이 훅은 티핏과 리더를 경유하여 플라이 라인에 연결되고, 또 플라이 라인은 몇 개의 나일론사를 꼬아 만든 백킹 라인에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플라이 낚시에서 낚싯줄은 4개 부위로 나뉘어 연결된다.
플라이 낚시 릴은 몸체의 제작 방식, 드랙의 유무와 형태, 스풀의 용량에 따라 구분됨이 일반적이며, 알루미늄제 몸통을 선반 등을 통한 기계 가공으로 깎아만든 원피스 머신 컷(One Piece Machine Cut)과, 알루미늄을 금형에 몰딩하여 만들어진 다이캐스트가 알려져 있다.
플라이 낚시를 행할 때에 릴의 드랙(낚싯줄의 풀림을 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며, 이것은 스풀의 회전력을 조절함으로써 항상 라인의 텐션을 적당하게 유지시켜 플라이 로드와 티펫 라인을 보호해 줌과 동시에 낚여진 대상어를 제어하여 힘을 소모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플라이 낚시 릴에서는 클릭 드랙과 디스크 드랙 타입이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공지된 플라이 낚시 릴은 기계적 구조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플라이 낚시 릴의 사용 여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요건을 갖추기에는 다소 미흡한 감이 있다.
즉, 플라이 낚시 릴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첫째, 낚싯줄이 감겨진 스풀의 교체가 용이해야 하고, 둘째, 스풀 교체 과정에서 내부의 기계적 구조에 물이 침투되지 않는 것이어야 하며, 스풀에 감겨지는 낚싯줄의 길이가 적어도 30m 이상 감겨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알려진 디스크 드랙 타입의 플라이 낚시 릴은 스풀의 교체 시에 축 연결부위에서 베어링, 와셔 등이 같이 분리되어 망실되는 일이 잦고, 또 낚싯줄을 통해 묻어 들어오는 수분이 축 부분으로 침투하여 내부 부식을 일으켜 수명을 짧게 함은 물론 스풀의 구조는 최대 25m 정도의 길이로 감겨질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플라이 낚시 릴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조적 측면에서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전형적인 클릭 드랙 타입의 플라이 낚시 릴에 관련된 일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스풀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고정 배치되는 스풀 축(4)은 뿌리부분의 주위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톱니상 휠(6)을 갖추고 있다. 상기 스풀 하우징(2)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스풀(8)은 상기 스풀 축(4)의 외주로 삽입되어서 톱니상 휠(6)과 일체로 배치된 화스너 소켓(10)과 결합되어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톱니상 휠(6)은 그 주위로 배치된 래칫 핑거(12)와 맞물려져서 일정의 마찰력을 부여받음에 따라 그 회전 속도에 일정한 힘이 저항으로 작용하게 되어 있고, 상기 래칫 핑거(12)는 후단의 판 스프링(14)에 의해 탄압되어서 항상 톱니상 휠(6)과 맞물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풀(8)의 회전속도는 톱니상 휠(6)의 판면에 압접되는 제동편(16)과의 마찰력 조절을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플라이 낚시 릴에서 스풀(8)의 내부 공간은 화스너 소켓(10)에 의해 그 폭이 제약을 받게 되어 감겨지는 낚싯줄의 수납량이 비교적 짧아지게 된다. 게다가 스풀(8)의 회전을 지지하여 주는 톱니상 휠(6) 등이 스풀(8)의 분해 시에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분의 침투가 용이한 구조이므로 빈번하게 톱니상 휠(6)이 주변을 소제해 주지 않으면 녹 등이 발생하여 사용 수명이 짧아지게 되어 사용이 번거롭다.
그리고 스풀(8)의 회전력에 저항을 부여하는 제동편(16)의 넓이가 좁음에 따라 그 회전 속도의 제어 폭이 좁다.
도 6에 도시된 플라이 낚시 릴은 전형적인 디스크 드랙 타입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술한 플라이 낚시 릴과는 달리 스풀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스풀 축(4)에 일방향 클러치(17)를 갖춘 디스크(18)가 일체로 부착 고정되고, 그 위로 스풀(8)이 회전 가능하게 축 삽입된 구조로서, 상기 스풀(8)은 스풀 축(4)으로 끼워지는 1쌍의 베어링(20)을 개재하여 축 지지되면서 상기 스풀 하우징(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어져스터(22)로 나사 맞춤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일방향 클러치(17)와 1쌍의 베어링(20)의 상호 작용으로 어져스터(22)를 조이면 라인 풀림 방향에서 스풀(8)의 회전이 부드럽게 행해지고 반대로 어져스터(22)를 조이면 스풀(8)이 디스크(18)에 접촉되면서 상기 일방향 클러치(17)의 단속 작용이 나타나 라인 감김 방향은 쉽게 회전되지만 풀림 방향으로는 일정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낚여진 대상어의 힘을 소모시키면서 라인이 풀려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 방식의 플라이 낚시 릴에 있어서도 스풀(8)의 분해 시에 축지지 관련 부품, 예를 들면 일방향 클러치(17), 디스크(18), 베어링(20), 압력 조정 샤프트 등이 같이 떨어져 나와 망실될 염려가 많고, 게다가 조립 시에는 스풀 축(4)에 일방향 클러치(17)나 베어링(20)을 관통시키기도 쉽지 않아 낚시터와 같이 주변 환경이 산만한 장소에서는 용이하게 할 수 없어 스풀(8)의 교체 조작이 번거롭게 됨은 물론 그 부분을 통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스풀 하우징(2)의 내부에서 스풀(8)과 일방향 클러치(17)가 나란히 배열됨에 따라 상기 스풀(8)의 폭이 일방향 클러치(17)와 이를 지지하여 주는 베어링 등의 부품 높이만큼 줄어들게 되어 수용될 수 있는 라인의 길이도 제한적으로 된다.
결국, 종래에 공지된 디스크 드랙 타입의 플라이 낚시 릴은 상술한 바 있듯이 부품 망실 염려와 습기의 침투로 인한 축지지 부분의 부식 발생 문제, 그리고 스풀에 감겨지는 낚싯줄의 길이가 일정 범위로 제한되는 문제 및 스풀의 교체 조작이 번거로워 하나의 릴에 다수의 스풀을 공용화하기 곤란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또 플라이 낚시 릴낚시 애호가들은 경제적 사정에도 불구하고 값비싼 플라이 낚시 릴을 다수 구비하여 낚시터의 여건에 맞는 라인이 감겨진 릴로 통째 교체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플라이 낚시 릴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드랙의 정말 조정을 만족하며, 사용 수명이 길고 낚싯줄의 수용 길이를 최대로 할 수 있으며, 스풀의 교체 조작을 간편히 할 수 있는 플라이 낚시 릴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발명은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스풀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풀은 디스크와 마찰재 사이의 접촉을 통해 회전에 저항력이 가해지게 제어됨과 아울러 그 저항력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일정 방향에서만 상기 스풀로 가해지게 되어 있는 통상의 플라이 낚시 릴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를 스풀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뚫려진 축공의 주위로 접착 고정하고, 상기 축공을 통해 설치되는 제1 중공축으로 제2 중공축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시켜서 상기 마찰재에 디스크가 대향 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풀의 중심측 막힌 공간으로 스페이서와 일방향 클러치를 순차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링 너트를 보유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일측 단부에는 링 스프링에 의해 탄압되는 볼이 상기 스페이서의 내주면으로 일부가 노출되도록 다수 배열되어서 상기 제2 중공축의 오목홈과 맞물려 연결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및 제2 중공축은 각각 뿌리 부분에 오-링이 끼워진 대경부를 보유할 수 있다. 또, 제1 중공축은 스풀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텐트 휠과 나사맞춤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디텐트 휠의 외주에 오-링을 끼워 놓은 구성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스크와 제2 중공축이 일체이고 제2 중공축의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 스페이서 등이 수납되어 링너트로 체결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스풀 분리 시에 따로 떼어져 나오는 부품이 없어 부품 망실의 우려가 없다.
또, 스풀의 분리와 조립을 원터치로 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고 하나의 스풀 하우징에 다수의 스풀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스풀의 양측 면에 구멍을 고르게 뚫어 놓을 수 있어서 스풀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여기에서 라인이 풀려 나갈 때에 방열 효과가 우수해져서 라인의 사용 수명도 연장된다.
또, 마찰재가 스풀 하우징의 내측에 부착되고 대향 배치되는 디스크는 스풀의 한쪽 측면으로 몰입되게 한 것이므로 스풀의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어 라인을 길게 감아 저장할 수 있다.
또, 소정 부품에 끼워진 오-링이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중요 부품의 부식 손상이 생기지 않아 사용 수명이 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이 낚시 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텐트 휠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디텐트 휠과 어져스터의 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측단면도로서, 스풀 하우징에서 스풀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플라이 낚시 릴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플라이 낚시 릴에 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풀 하우징 8 : 스풀
22 : 축공 24 : 마찰재
26 : 디스크 28 : 제1 중공축
30, 46, 58 : 오-링 32, 44 : 대경부
38 : 디텐트 휠 41 : 오목홈
42 : 제2 중공축 64 : 막힌 공간
66 : 스페이서 68 : 일방향 클러치
70 : 링너트 72 : 링 스프링
74 : 볼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종래의 플라이 낚시 릴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이 낚시 릴은 스풀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뚫려진 축공(22)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링상의 마찰재(24)가 일체로 접착되어 있고, 이 링상 마찰재(24)에 대향하여 디스크(26)가 배치되는 구조로 된다.
상기 디스크(26)는 스풀 하우징(2)의 축공(22)으로 삽입 지지되는 제1 중공축(2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제1 중공축(28)은 뿌리 부분에 오-링(30)이 끼워진 대경부(32)를 보유하고 있고 여기에서 외향 플랜지(34)를 경계로 하여 숫나사부(36)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숫나사부(36)는 스풀 하우징(2)의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서 디텐트 휠(38)의 암나사부(40)와 나사맞춤 되는 것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디스크(26)의 중심에는 종단부 외주가 오목홈(41)으로 형성된 제2 중공축(42)이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중공축(42)도 뿌리부분에 그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대경부(44)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것의 외주로 오-링(46)이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2 중공축(42)과 그 대경부(44)는 각각 제1 중공축(28)과 그 대경부(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중공축(42)의 중심에는 슬립링(48)을 개재하여 체결볼트(50)가 삽통 지지되며, 이것의 자유단은 제1 및 제2 중공축(42)을 통해 스풀 하우징(2)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다시 디텐트 휠(38)을 관통하여 체결너트(52)와 나사맞춤 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중공축(42)이 스풀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게 해 준다.
이러한 조립 구성에서 상기 슬립링(34)은 체결볼트(36)가 제2 중공축(42)과는 별개로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별도 지지하여 스풀 하우징(2)의 마찰재(24)와 디스크(26) 사이의 접촉을 상기 체결볼트(50)의 조임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체결너트(52)는 다시 어져스터(54)의 중심 6각홈(56)에 끼워져 수납되며, 이 때문에 어져스터(54)의 회동 조작으로 상기 체결너트(52)는 체결볼트(50)를 나선운동으로 끌어당기거나 풀어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체결볼트(50)가 체결너트(52)에 의해 끌어 당겨지게 되면 제2 중공축(42)이 축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디스크(26)는 마찰재(24)에 압접되어 마찰력을 받게 되고, 반대로 체결너트(52)가 풀어지면 디스크(26)로 가해지는 마찰력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디텐트 휠(38)도 외주면에 오-링(58)이 2열로 끼워져서 그 외주를 감싸는 어져스터(54)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도 2의 도시와 같이 중심 주변으로 등각 배열된 다수의 디텐트 홈(60)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 디텐트 홈(60)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어져스터(54)의 내부에 구비된 볼 플런저(62)의 선단부와 맞물려지는 것이며, 도 3은 상기 디텐트 홈(60)과 볼 플런저(62) 사이의 맞물림을 보여주고 있다. 볼 플런저(62)는 디텐트 홈(60)과의 맞물림을 통해 디텐트 휠(38)을 연동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즉, 볼 플런저(62)에 의한 탄압력이 디텐트 휠(38)과 숫나사부(36)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면 사용자에 의한 어져스터(54)의 회동 조작과 동기하여 상기 디텐트 휠(38)이 연동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볼 플런저(62)의 탄압력이 상기 마찰력보다 작으면 볼 플런저(62)의 선단부는 디텐트 홈(60) 사이를 타고 넘게 되어 디텐트 휠(38)은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볼 플런저(62)의 작용으로 인하여 어져스터(54)의 회동 조작 시에 디텐트 휠(38)은 경우에 따라 연동 회전하고 체결너트(52)는 항상 연동 회전하게 되는 효과를 낳게 된다.
통상의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8)은 본 발명에서 그 중심부에 막힌 공간(64)을 보유하고 있고, 이 막힌 공간(64)의 안쪽에는 스페이서(66)와 일방향 클러치(68), 그리고 링너트(70)가 순차로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66)의 일측 단부에는 링 스프링(72)에 의해 탄압되는 볼(74)이 다수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볼(74)은 스페이서(66)의 내측방으로 돌출 위치하여 상기 제2 중공축(42)의 오목홈(41)으로 맞물려지는 작용을 하고, 링너트(70)는 막힌 공간(64)으로 나삽되어서 상기 스페이서(66)와 일방향 클러치(68)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막아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4는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 플라이 낚시 릴을 스풀 하우징(2)과 스풀(8)의 2개 부분으로 분리시킨 상태의 조립 구조를 묘사하고 있다.
스풀 하우징(2)에서 스풀(8)은 링 스프링(72)에 의해 탄압되어 있는 볼(74)이 제2 중공축(42)의 선단측 오목홈(41)으로 맞물려지는 것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스풀(8)을 분리시킬 때 어떠한 나사 조작이나 레버 조작이 없는 원터치 분리-결합으로 되는 것이며, 이것은 낚싯줄의 종류를 바꿔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의 플라이 낚시 릴보다 훨씬 조작의 편리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풀(8)이 분리되더라도 링너트(70)가 부품이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켜 놓고 있고, 또 제2 중공축(42)은 체결볼트(50)에 의해 스풀 하우징(2)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스풀(8)의 분리와 함께 다른 부품이 떼어져 나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낚시터에서 빈번하게 낚싯줄을 교체 사용할 때 자칫 릴의 부품을 잃어버리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스풀 하우징(2)에서 그 후방측 중심과 디스크(26)의 중심은 각각 오-링(58)(3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기 때문에 그 틈새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이 낚시 릴은 부품이 바닷물 등과 접촉하여 쉽게 부식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사용수명 또한 길다.
사용에 있어서, 릴의 투척 전에 어져스터(54)를 조작하여 체결볼트(50)가 적당히 이완되게 해 놓다. 이에 따라 디스크(26)는 마찰재(22)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어 스풀(8)과 제2 중공축(42)은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릴 캐스팅을 행할 때 스풀(8)의 회전 방향은 라인 풀림 방향으로 되고, 이 방향은 일방향 클러치(68)가 제2 중공축(42)과 축 연결되는 방향이 되지만, 상기와 같이 제2 중공축(42)도 자유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투척된 라인은 순순히 풀려나가 캐스팅이 순조롭게 된다. 캐스팅 후에 사용자는 어져스터(54)를 다시 죄어서 체결볼트(50)에 의해 디스크(26)가 마찰재(22)와 적당히 접촉하고 있게 해 놓고 어신이 올 때까지 드랙잉을 행한다. 플라이 미끼에 낚여진 대상어는 깊은 물속으로 잠수하려는 습성이 있어 어신의 직후에 라인은 긴장되면서 스풀을 풀림 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이렇게 스풀(8)이 낚여진 대상어에 의해 풀림 방향으로 회전될 때마다 일방향 클러치(68)가 연결 상태로 변환되면서 제2 중공축(42)까지 회전력이 전달되지만, 이 제2 중공축(42)은 디스크(26)와 마찰재(22) 사이의 접촉을 통해 일정의 마찰력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대상어에 의한 스풀(8)의 풀림 방향 회전은 상기 대상어의 힘을 소모시키면서 피동적으로 돌아가는 작용을 낳게 된다.
결국, 대상어는 아무리 세게 라인을 끌어당기더라도 절단시키지 못하고 조금씩 풀려 오는 라인에 의해 지쳐가게 된다.
어느 정도 낚여진 대상어가 지쳤으면 사용자는 스풀(8)을 감는 방향으로 선회 조작하여 낚싯줄을 감아들이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이 낚시 릴은 스풀이 완전히 자유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게 할 수 있어 캐스팅이 유리하고, 어신이 왔을 때는 디스크와 마찰재 사이의 접촉을 조절하여 낚여진 대상어의 힘을 소모시키기에 적당한 장력으로 풀려 나가게 조절하기가 용이한 이점을 갖추면서도 다음과 같은 특징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첫째, 디스크와 제2 중공축이 일체이고 제2 중공축의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 스페이서 등이 수납되어 링너트로 체결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스풀 분리 시에 따로 떼어져 나오는 부품이 없어 부품 망실의 우려가 없으므로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스풀의 분리와 조립을 원터치로 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고 하나의 스풀 하우징에 다수의 스풀을 겸용할 수 있다.
셋째, 스풀의 양측면에 구멍을 고르게 뚫어 놓을 수 있어서 스풀을 더욱 경량화 시킬 수 있고 여기에서 풀리고 감겨지는 라인의 방열 효과가 좋아진다.
넷째, 마찰재가 스풀 하우징의 내측에 부착되고 대향 배치되는 디스크는 스풀의 한쪽 측면으로 몰입되게 한 구조이므로 스풀의 내부 공간이 최대로 확장되어 라인을 길게 감아 저장할 수 있다.
다섯째, 축지지 구성부품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므로 부품의 부식 손상이 억제되어 사용 수명이 길다.

Claims (3)

  1. 스풀 하우징의 내부에 스풀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풀은 디스크와 마찰재 사이의 접촉을 통해 회전에 저항력이 가해지게 제어됨과 아울러 그 저항력은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일정 방향에서만 상기 스풀로 가해지게 되어 있는 통상의 플라이 낚시 릴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24)는 스풀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뚫려진 축공(22)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축공(22)을 통해 제1 중공축(28)이 축 설치되어서 상기 마찰재(24)에 디스크(26)가 대향 배치되도록 제2 중공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풀(8)은 그 중심의 막힌 공간(64)으로 스페이서(66)와 일방향 클러치(68)를 순차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링너트(70)를 보유하고, 상기 스페이서(66)의 일측 단부에는 링 스프링(72)에 의해 탄압되는 볼(74)이 다수 배치되어서 상기 스페이서(66)의 내주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서 상기 제2 중공축(42)의 오목홈(41)과 맞물려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플라이 낚시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중공축(28)(42)은 각각 뿌리 부분에 오-링(30)(46)이 끼워진 대경부(32)(44)를 보유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낚시 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중공축(28)은 스풀 하우징(2)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텐트 휠(38)과의 나사맞춤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디텐트 휠(38)은 외주에 오-링(58)이 끼워져 있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낚시 릴.
KR10-2001-0014855A 2001-03-22 2001-03-22 플라이 낚시 릴 KR10037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55A KR100372521B1 (ko) 2001-03-22 2001-03-22 플라이 낚시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855A KR100372521B1 (ko) 2001-03-22 2001-03-22 플라이 낚시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819A KR20020074819A (ko) 2002-10-04
KR100372521B1 true KR100372521B1 (ko) 2003-02-19

Family

ID=2769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855A KR100372521B1 (ko) 2001-03-22 2001-03-22 플라이 낚시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29B1 (ko) 2008-10-10 2009-03-25 강석운 플라이 리일
KR100934359B1 (ko) 2009-03-17 2009-12-30 강석운 스풀의 회전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플라이 리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60B1 (ko) * 2005-05-13 2006-12-22 (주)주호상사 플라이 릴의 스풀
CN109619054B (zh) * 2018-04-28 2024-04-09 梁志明 一种鱼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435A (en) * 1982-06-29 1984-07-24 Oscar Kovalovsky Fishing reel
US5590847A (en) * 1995-08-24 1997-01-07 Ament; Weston H. Fly reel with adjustable brake assembly
US5615840A (en) * 1994-04-28 1997-04-01 Astro Tool Corp. Fishing reel with drag system
US5915639A (en) * 1996-09-09 1999-06-29 C1 Design Group Large arbor fly fishing reel and dra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435A (en) * 1982-06-29 1984-07-24 Oscar Kovalovsky Fishing reel
US5615840A (en) * 1994-04-28 1997-04-01 Astro Tool Corp. Fishing reel with drag system
US5590847A (en) * 1995-08-24 1997-01-07 Ament; Weston H. Fly reel with adjustable brake assembly
US5915639A (en) * 1996-09-09 1999-06-29 C1 Design Group Large arbor fly fishing reel and dra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29B1 (ko) 2008-10-10 2009-03-25 강석운 플라이 리일
KR100934359B1 (ko) 2009-03-17 2009-12-30 강석운 스풀의 회전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플라이 리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819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772B1 (en) Fly fishing reel with adjustable drag system, removable spool and selectable anti-reverse
US4549702A (en) Drag for spinning reel
US7168647B1 (en) Fly reel drag mechanism
US6679445B2 (en) Spool for spinning reel
US8534585B2 (en) Centrifuga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8678308B2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US6073871A (en) Large arbor fly fishing reel with drag isolated conical drag and reversible clutch
US8820669B2 (en) Dual-bearing reel
US7464891B2 (en) Fly fishing reel
US20100107469A1 (en) Noise-emitting lure
KR20120055470A (ko) 챔버형 리더 루어
US5915639A (en) Large arbor fly fishing reel and drag system
US6053445A (en) Fly fishing reel with isolated conical drag
KR100372521B1 (ko) 플라이 낚시 릴
KR100890229B1 (ko) 플라이 리일
US9210920B1 (en) Fishing reel with improved line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clicker mechanism
US7344099B1 (en) Drag system for a spinning reel
US6513743B1 (en) Anti-reverse large arbor fly reel
US11134664B2 (en) Fishing tack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3958771A (en) Fishing reel
US2498626A (en) Fishing reel
US5918827A (en) Line spool retainer for a spin cast fishing reel
US8757531B2 (en) Fly reel
GB2082032A (en) Line guide
US4616792A (en) Crank and braking mechanism for fishing r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