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266A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9266A KR20100039266A KR1020090095070A KR20090095070A KR20100039266A KR 20100039266 A KR20100039266 A KR 20100039266A KR 1020090095070 A KR1020090095070 A KR 1020090095070A KR 20090095070 A KR20090095070 A KR 20090095070A KR 20100039266 A KR20100039266 A KR 201000392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haft portion
- guide groove
- support
- accommod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음료용 용기(이 용기에는 캔, 컵, 패트병 등이 포함된다)를 구속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이러한 종류의 컵홀더는,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 용기를 구속상태로 지지 해서 차량의 진동 등이 가해져도 용기가 넘어지거나 용기 내의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막음과 아울러, 상기한 용기를 출입시키는 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 구조로서, 상기한 필요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다양한 고안을 실시한 것이 있는데, 그 하나로서 본 출원인이 앞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컵홀더를 개발했다.This type of cup holder supports various beverage containers of different diameters in a restrained state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falling over or leaking of liquid in the container even when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is applied. It needs to be simple and certain. As a conventional structure, there have been various designs for satisfying the above requirements, and as one of th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cup holder described in
이 컵홀더는, 홀더본체가, 용기 저면을 수용 가능한 대략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수용부의 주위에 부착된 유지 유닛을 가지고 있다. 유지 유닛은, 홀더본체의 수용부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캔 등의 용기를 수용부 내에 넣을 때 그 용기로부터 받는 부하에 의해, 제 1 축부에 대한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축부에 대한 제 2 가이드 홈의 각각의 안내작동에 수반해서, 수용부 내측에서 수용부 외측으로 퇴피하는 방향으로 요동해서, 용기의 지름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맞닿음부재와, 상기 맞닿음부재를 돌출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cup holder has a substantially concave shape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has a holding unit attached around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holding unit includes a first guide gro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shaft portion and a second shaft portion with a case attached to the housing portion of the holder body and a load received from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such as a can is placed in the housing portion. 2 With the guide operation of each guide groove, a contact member which swings in the direction of retracting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restrains the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act member is support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the fingering means.
이 구조의 특징은, 용기를 홀더본체측 수용부에 넣는 삽입시에 있어서, 맞닿음부재가 용기로부터 받는 부하에 의해 수용부 외측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수용부의 내주(內周)측으로 경사진 구조에 비해, 용기의 대소에 관계없이 맞닿음부재의 대략 같은 개소를 용기 주위에 맞닿게 하고, 이것에 의해 용기 외경(外俓)의 대소에 따라 유지성이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양호한 출입성 및 유지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feature of this structure is that when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holder body-side accommodating portion, the abutting member swings outwar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due to the load received from the container, so that the structure inclined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Compared to the container circumference, approximately the same location of the contact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tainer, whereby the retention is less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size of the container outer diameter. Can be maintained.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1428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1428
그러나, 상기한 종래구조에서는, 홀더본체와 함께 케이스와 맞닿음부재 및 탄지수단이 필요하며, 또, 홀더본체에 대한 케이스의 부착구조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고, 부품수가 많아져서 구조도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해서 양호한 용기 출입성 및 유지성을 유지하면서 부품수를 줄이고, 또한 구조도 간단하게 해서 제작비를 저감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ructure, the case and the contact member and the holding means are required together with the holder body, and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case to the holder body must also be taken into account, and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which leads to a complicated structure. The production cost was high.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while maintaining good container accessibility and maintainability, and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홀더본체가, 캔 등의 용기 저면을 수용하는 대략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용부에 용기를 넣을 때 그 용기로부터 받는 부하에 의해, 제 1 축부에 대한 제 1 가이드 홈, 및 제 2 축부에 대한 제 2 가이드 홈의 각각의 안내에 수반해서, 상기 수용부 내측에서 수용부 외측으로 퇴피하는 방향으로 요동해서, 상기 용기의 지름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맞닿음부재와, 이 맞닿음부재를 돌출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가,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맞닿음부재의 일부가 출몰 가능한 개구부, 및 이 개구부에 대응해서 상기 수용부의 주위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맞닿음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제 1 가이드 홈에 대한 상기 제 1 축부의 끼워맞춤, 및 상기 제 2 가이드 홈에 대한 상기 제 2 축부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More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embodied as in
(가)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축부 및 제 2 축부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맞닿음부재에는 상기 제 1 축부가 끼워맞춰지는 직선형상의 상기 제 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 2 축부가 상기 제 1 축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비 직선형상의 상기 제 2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A) The first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protrudingly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guide groove of the linear shape in which the first shaft portion is fitted to the abutting member, and the second shaft portion are formed in the first portion. It is the structure by which the said non-linear 2nd guide groove fitted so that a shaft part can be rotatably fitted is provided (claim 2).
(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주위 외면 중 상기 개구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B) The said support part is the structure which protrudes along the both side edge parts of the said opening part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aid accommodating part (claim 3).
(라) 상기 맞닿음부재는, 상기 개구부에서 돌출되는 압압자(押壓子), 및 상기 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측판을 일체로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이며 그 일단을 상기 압압자의 배면측에 걸고, 타단을 상기 지지부측에 걸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청구항 5).(D) The abutment member has an indenter protruding from the opening portion and a side plate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portion, and the gripping means is a torsion spring, and one end thereof is It is the structure which hangs on the back side of an indenter, and hangs the other end to the said support part side (claim 4, Claim 5).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맞닿음부재를 유지하는 지지부가 홀더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도 용이하게 되어 저가로 제작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큰 홀더본체측에 단순한 형상의 각 축부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맞닿음부재측에 복잡한 형상의 각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이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 홈형상에 의해, 예를 들면, 용기가 수용부에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경우나, 유지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빠져 나가는 경우에, 제 2 축부가 제 2 가이드 홈 내에서 제 1 축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맞닿음부재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기 쉬워진다.In the invention of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맞닿음부재를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해서, 개구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양 지지부에 의해 개구부로부터 수용부의 외측이 눈에 잘 띄기 않게 되어 외관특성을 유 지하기 쉬워진다.In the invention of
청구항 4 및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지지부에 대해 맞닿음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을 설치하면 완성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s of claims 4 and 5, for example, since the torsion spring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abutting member is assembled to the support portion, the assembl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컵홀더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컵홀더 구성을 나타내고, 도 3 및 도 4는 작동을 나타내고, 도 5는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구조, 조립, 작동, 변형예의 순서로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cup holder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1 and 2 show a cup holder configuration, FIGS. 3 and 4 show operation, and FIG. 5 shows a modification. In this description, details will be given in the order of structure, assembly, operation, and modification.
(구조) 실시예의 컵홀더는,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홀더본체(1)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맞닿음부재(2), 및 맞닿음부재(2)의 수에 대응한 탄지수단인 비틀림 스프링(3)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홀더본체(1)가, 통부(10)의 내측에 대략 오목한 형상의 수용부(11)를 형성하고 있고, 수용부(11)에 용기(A)를 넣을 때 그 용기로부터 받는 부하에 의해 제 1 축부(16a)에 대한 제 1 가이드 홈(26), 및 제 2 축부(16b)에 대한 제 2 가이드 홈(27)의 각각의 안내작동에 수반해서, 수용부(11) 내측에서 수용부 외측으로 퇴피하는 방향으로 요동해서, 용기(A)의 지름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맞닿음부재(2)와, 맞닿음부재(2)를 돌출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비틀림 스프링(3)을 구비하고 있다.(Structure) The cup holder of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이때, 통부(10)는, 수지성형품이며, 수용부(11)를 구획하고 있는 저면을 가 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통부(1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10)의 주위에는, 맞닿음부재(3)를 수용부(11) 외측에서 내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부(13)와, 개구부(13)에 대응해서 주위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하로 긴 돌출편 형상의 지지부(14, 15)를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the
수용부(11)는, 상측에서 삽입되는 용기(A)를 저면(11a)에 의해 수용한다. 수용부(11)의 지름은, 음료용 캔, 패트병, 종이컵 등 각종 형태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용기(A) 중, 비교적 대형인 용기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플랜지부(12)는, 지지부(14, 15)가 잘 보이지 않게 하거나, 홀더본체(1)가 차량용 콘솔박스 등의 설치 개소측에 형성되는 부착용 오목부에 장착되었을 때 가장자리를 감싸기 위한 기능을 한다. 각 개구부(13)는, 플랜지부(12)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긴 대략 사각형의 개구이다. 이 예에서는, 각 개구부(13)가 통부(10)의 중심에서 90~120°의 각도를 유지해서 형성되어 있다.The
지지부(14, 15)는, 개구부(13)의 양 가장자리부에 돌출되어 상하로 긴 돌출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14, 15)에는, 제 1 축부(16a) 및 제 2 축부(16b)가 지지부들의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 외면(이하, 간단히 외면이라고 한다)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축부(16a)는 통부(10)의 외주에서 멀리 떨어진 개소에 형성되고, 제 2 축부(16b)는 통부(10)의 외주에 접근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 양 지지부 중 일측의 지지부(14)에는, 비틀림 스프링(3)의 타단(3b)를 거는 걸림부(14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이것에 대해, 맞닿음부재(2)는, 지지부(14, 15)를 보이지 않도록 감쌈과 아 울러, 통부(10)의 외주에 접근/이간 가능하게 맞닿는 좌우의 측판(20, 20)과, 양 측판(20)을 연결하고 있는 상측 연결판부(21)와, 각 측판(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측판(20)과의 사이에 지지부용 배치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내측부(22)와, 양 측벽(20)과 일체화된 후측 부분에 형성되어, 걸림부(14a)를 측판(20)과 내측부(22) 사이의 간극에서 후방으로 도피시키는 노치부(notch, 23)와, 연결판부(21)의 전방측 중간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압압자(24)와, 상측 연결판부(21)의 후측 및 하측이 노치(notch) 가공되어 있는 중공부(25)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양 측판(20)에는, 하측에 위치한 직선형의 제 1 가이드 홈(26), 및 상측에 위치한 비 직선형의 제 2 가이드 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홈(26)은, 아래로 갈수록 통부(10)의 외주에서 멀어지는 하향(下向)의 경사진 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축부(16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거나 제 1 축부(16a)를 흔들림 없이 슬라이드시키는 홈형상이다. 제 2 가이드 홈(27)은, 제 1 가이드 홈(26)보다 상측에 형성되며, 홈의 폭을 제 2 축부(16b)보다 크게 한 형상, 즉 통상의 상태에서 제 2 축부(16b)가 접촉하면서 슬라이드하는 상측 변부(27a)를 가지고, 이 상측 변부(27a)의 하측에 도피용 공간(27b)을 형성하고 있다.Both
환언하면, 상측 변부(27a)는 제 1 가이드 홈(26)과 거의 같은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도피용 공간(27b)은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 변부(27a)를 이 삼각형의 1변에 형성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가이드 홈(27)은, 통상의 상태에서 제 2 축부(16b)가 상측 변부(27a)를 따라 흔들림 없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맞닿음부재(2)(의 압압자(24))에 대해 부하가 경사방향으로 가해지 거나 했을 때에는, 도 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축부(16b)가, 제 1 축부(16a)를 지지점으로 해서 상측 변부(27a)에서 하측의 도피용 공간(27b)으로 회전되어 도피되고, 이것에 의해 맞닿음부재(2)에 가해지는 부하를 완화하거나 흡수 가능하게 한다.In other words, the
압압자(24)는, 도 1(b)와 같이 대략 V자를 누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 선단(24b)이 V자의 2변이 교차하는 개소가 되도록 하면, 상측 경사부(24a)가 상측 연결판부(21)측에서 돌출 선단(24b)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어지고, 하측 경사부(24c)가 중공부(25)의 하측에서 돌출 선단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조립) 이상의 맞닿음부재(2) 및 비틀림 스프링(3)이 홀더본체(1)에 조립되면 본 발명의 컵홀더로서 완성된다. 이 조립조작에 있어서, 맞닿음부재(2)는, 각 지지부(14, 15)가 각각 대응하는 측판(20)과 내측부(22)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각 제 1 축부(16a)가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26)에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각 제 2 축부(16b)가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27)에 끼워맞춰진다. 그러면, 맞닿음부재(2)는, 각 지지부(14, 15)에 대해서, 제 1 가이드 홈(26)에 대한 제 1 축부(16a)의 끼워맞춤, 및 제 2 가이드 홈(27)에 대한 제 2 축부(16b)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3)이 조립된다. 비틀림 스프링(3)은, 나선형으로 감긴 부분의 일단(3a)이 압압자(24)의 배면측에 걸리고, 나선형으로 감긴 부분의 타단(3b)이 탄지력을 발현한 상태에서 걸림부(14a)에 걸린다.(Assembly) When the above-mentioned
제작된 컵홀더는, 맞닿음부재(2)가 비틀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의해 압압자(24)를 개구부(13)에서 수용부(11)의 내측으로 최대까지 돌출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비 사용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부재(2)는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제 1 축부(16a)가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26)에 있어서 통부(10)의 외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의 내측 단부(홈 하측의 내측 단부)에 끼워맞춰지고, 각 제 2 축부(16b)가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27)에 있어서, 상측 변부(27a)의 통부(10)의 외주에서 멀리 떨어진 측의 내측 단부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양 측판(20)의 전단면(前端面)을 통부(10)의 외주에 맞닿게 하고 있다.In the produced cup holder, the
(작동) 이상의 컵홀더에 있어서 맞닿음부재(2)는, 도 2와 같이 통부(10)의 수용부(11) 내측에 용기(A)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에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상기한 도 3(a)의 비 사용상태에서 용기(A)가 수용부(11) 내에 삽입되면, 압압자(24)의 상측 경사부(24a)에 맞닿는다. 그러면, 맞닿음부재(2)는, 도 3(b)와 같이 상측 경사부(24a)에 가해지는 용기(A)의 하향의 부하(하중)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또한, 제 1 축부(16a)가 제 1 가이드 홈(26)을 따라서, 제 2 축부(16b)가 제 2 가이드 홈(27)의 상측 변부(27a)를 따라서 슬라이드 되면서, 압압자(24)가 용기 외경에 대응한 양만큼 개구부(13)를 통해서 수용부(11) 내측에서 수용부 외측으로 퇴피된다.(Operation) In the above cup holder, the abutting
그리고, 맞닿음부재(2)는, 용기(A)의 외경과 거의 일치될 때까지 퇴피되면, 용기(A)의 삽입을 더 허용한다. 도 3(c)는 이와 같이 해서 음료용 용기(A)가 수용부(11)의 내측 저면에 맞닿고, 압압자(24)의 선단(24b)에 의해 용기가 지름방향으 로 움직이는 것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구조에서는, 맞닿음부재(2)가 용기(A)의 외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또한, 용기의 삽입 과정 및 빼내는 과정에 관계없이, 항상, 그 선단(24b)(상측 경사부(24a)와 하측 경사부(24b)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선단 모서리부)이 용기(A)의 주위에 맞닿기 때문에, 안정된 유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용기(A)를 빼낼 때에 상기 용기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아서, 빼낼 때의 감촉도 양호하게 된다. 또한 용기(A)가 도 3(a)의 위치까지 빠지면, 맞닿음부재(2)가 축적된 비틀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의해 원래의 비 사용상태로 복귀된다.And the
도 3(d)은, 용기(A)가 급속하게 빠지거나 비스듬하게 빠질 때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용기(A)가 수용부(11)에 유지된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빠지면(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경우도 같다), 제 2 축부(16b)가 제 2 가이드 홈(27)의 상측 변부(27a)에서 도피용 공간(27b) 내측으로 들어가고, 제 1 축부(16a)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맞닿음부재(2)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거나 완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FIG.3 (d) has shown typically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container A falling out rapidly or obliquely. In this structure, when the container A is pulled out obliquely (even when inserted obliquely) in the state held by the
(변형예) 이상의 형태예에서는, 홀더본체(1)의 외주에 2개의 맞닿음부재(2)를 형성하고 있지만, 맞닿음부재(2)의 사용 수는 홀더본체(1)의 크기 및 제조비에 따라 단일로 하거나 3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도 5(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맞닿음부재(2)를 홀더본체측 통부(10) 내측의 중심으로부터 120°간격으로 3개소에 형성하는 구성,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90°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기(A)의 중심을 통부(10) 내측(수 용부(11))의 중심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구속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 맞닿음부재(2)의 배치 개수가 늘어날 때마다 개개의 비틀림 스프링(3)의 압력이 작아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Modifica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wo abut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특정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세부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일례로서 제 1 축부(16a) 및 제 2 축부(16b)를 지지부(14, 15)가 아닌 맞닿음부재(2)측에 형성하고, 제 1 가이드 홈(26) 및 제 2 가이드 홈(27)을 지지부(14, 15)측에 형성하는 구성이다. Thus, this invention should just be equipped with the specific structure in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컵홀더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b)는 맞닿음부재를 좌우 중앙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1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p hold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oded, Figure 1 (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member is cut in the center left and right
도 2는 상기 컵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도 3(a) ~ 도 3(d)는 상기 컵홀더에 용기를 유지하거나 꺼낼 때의 맞닿음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3 (a) to 3 (d) are parti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contact member when holding or removing the container in the cup holder.
도 4는 상기 컵홀더에 용기를 유지했을 때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container is held in the cup holder;
도 5(a), 도 5(b)는 상기 컵홀더를 변형한 예를 도 4와 같은 모양으로 나타내는 평면도5 (a) and 5 (b) are plan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cup holder is modified as shown in FIG.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홀더본체 10 - 통부1-Holder body 10-Tube part
11 - 수용부 12 - 플랜지부11-receptacle 12-flange
13 - 개구부 2 - 맞닿음부재13-opening 2-contact member
20 - 양 측판 21 - 상측 연결판부20-Both Side Plates 21-Upper Connection Plate Section
22 - 내측부 25 - 중공부22-inner part 25-hollow part
3 - 비틀림 스프링(탄지수단) 14, 15 - 지지부3-torsion spring (cartage means) 14, 15-support
14a - 스프링용 걸림부 16a - 제 1 축부14a-
16b - 제 2 축부 24 - 압압자16b-2nd shaft part 24-indenter
24a - 상측 경사부 24b - 돌출 선단24a-
24c - 하측 경사부 26 - 제 1 가이드 홈24c-Lower slope 26-First guide groove
27 - 제 2 가이드 홈 27a - 상측 변부27-
27b - 도피용 공간 A - 용기27b-Evacuation Space A-Container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260209 | 2008-10-07 | ||
JP2008260209A JP5430111B2 (en) | 2008-10-07 | 2008-10-07 | Cup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9266A true KR20100039266A (en) | 2010-04-15 |
Family
ID=4221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5070A KR20100039266A (en) | 2008-10-07 | 2009-10-07 | Cup hold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430111B2 (en) |
KR (1) | KR2010003926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32468A (en) * | 2013-09-18 | 2015-03-26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Cup hold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35781B2 (en) * | 2010-06-11 | 2014-07-02 | 株式会社ニフコ | Cup holder |
JP5872870B2 (en) * | 2011-12-09 | 2016-03-01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Container holding device |
JP2024064697A (en) | 2022-10-28 | 2024-05-14 | 株式会社ニフコ | Cup holder |
JP2024072936A (en) * | 2022-11-17 | 2024-05-29 | 株式会社ニフコ | Article hol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06536B2 (en) * | 2000-05-12 | 2005-10-12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Vehicle article holding device |
JP4440714B2 (en) * | 2004-06-17 | 2010-03-24 | 株式会社ニフコ | Container holding unit and cup holder device |
-
2008
- 2008-10-07 JP JP2008260209A patent/JP543011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10-07 KR KR1020090095070A patent/KR2010003926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32468A (en) * | 2013-09-18 | 2015-03-26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Cup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430111B2 (en) | 2014-02-26 |
JP2010089592A (en) | 2010-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1819B1 (en) | Container holding unit and cup holder device | |
KR20100039266A (en) | Cup holder | |
US5505417A (en) | Device for holding drink containers, drinking vessels or the like | |
US7520482B2 (en) | Cup holder for vehicles | |
CN102378705B (en) | Diameter acceptance mechanism for cup holders, and cup holder using same | |
WO2009110248A1 (en) | Cup holder | |
JP2012046090A (en) | Cup holder | |
US20070278372A1 (en) | Cup holder | |
JP5657310B2 (en) | Container holding device | |
WO2014133282A1 (en) | Flap assembly of vehicle cup holder | |
WO2015064039A1 (en) | Container holder | |
KR100747356B1 (en) | Automobile cup holder | |
KR101733885B1 (en) | Cup holser for automobile | |
KR20180083508A (en) | Holder | |
KR100974036B1 (en) | Vehicle cup holder | |
KR20010021207A (en) |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 |
US9981611B2 (en) | Vehicle storage assembly | |
JP2009143507A (en) | Storage device for vehicle | |
JP2008195127A (en) | Stored article holding device for vehicle | |
US20110095060A1 (en) | Device for laterally positioning an object in a container | |
US20240017656A1 (en) | Container holder | |
JP7155826B2 (en) | storage holder | |
JP2019142450A (en) | Container storage device | |
JP6202296B2 (en) | Vehicle cup holder and vehicle cup holder housing structure | |
JP5991057B2 (en) | Cup hol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