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060A -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060A
KR20100039060A KR1020080098265A KR20080098265A KR20100039060A KR 20100039060 A KR20100039060 A KR 20100039060A KR 1020080098265 A KR1020080098265 A KR 1020080098265A KR 20080098265 A KR20080098265 A KR 20080098265A KR 20100039060 A KR20100039060 A KR 20100039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light
light source
lamp box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774B1 (ko
Inventor
최상원
Original Assignee
(주)용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진기업 filed Critical (주)용진기업
Priority to KR102008009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7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02B6/424Mounting of the optical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3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화학 공장의 보수작업이나 선박의 도장공정 등 폭발 위험 장소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램프박스는 비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며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수용하고 폭발성 혼합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또한, 광케이블은 상기 램프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전달시킨다. 또한, 핸드램프부는 상기 광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폭발 위험 장소로 이동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광원의 빛을 산란시켜 조사하기 위한 오목렌즈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는 핸드램프부는 상기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빛을 전달받아 조사되는데 실질적으로 폭발 위험 장소에서 전기 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폭발 가능성을 완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크기와 무게가 적은 상기 광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핸드램프 자체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초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유연한 특성으로 어느 공간에서도 현장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광케이블, 램프박스, 볼록렌즈, 오목렌즈, 폭발 위험 장소

Description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USING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화학 공장의 보수작업이나 선박의 도장공정 등 폭발 위험 장소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화학공장의 보수작업이나 선박의 도장공정 등 현장에서는 다양한 산업 재해들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조선업 사망재해 발생 형태를 살펴보면, 추락, 협착 및 화재폭발 등 다양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중 화재폭발에 따른 사망 재해도 빈번이 발생하는 바, 상기 화재폭발에 대한 다양한 해결 방안이 개시되었다.
그 일예로,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화학공장의 보수작업이나 선박의 도장공정 등 폭발 위험 장소에서는 특수한 조명장치를 사용해야 된다. 그 이유는 통상의 조명장치를 사용하게되면 방사열, 광방사에 의해 가연성 분진의 폭발 가능성 및 전기적인 스파크 등으로 폭발 위험성이 따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폭발 위험 장소에서는 특수한 조명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방폭형의 핸드 램프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방폭형 핸드 램프는 전기기기의 방폭화 적용기술 중에서 대부분 내압방폭구조 및 안전증 방폭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바, 이들의 가장 큰 단점이 무겁다는 것이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핸드 램프의 방폭기술 적용 예을 설명하면, 상기 내압 및 안전증 방폭구조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핸드 램프로 이는 제작하기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점화원을 내구성이 뛰어난 용기에 넣어 관리해야 되기 때문에 그 무게가 2 ~ 3㎏으로 무겁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핸드 램프를 휴대하며 이동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압 및 안전증 방폭구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상 시 및 사고 시에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에 의하여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점화되지 않도록 고주파 전원을 이용한 본질 안전 방폭구조를 적용해야만 한다.
한편, LED(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본질 안전 방폭형으로의 응용을 위하여 시작한 LED 핸드램프를 살펴보면, 신호용의 LED는 과거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와서 일명 Power LED가 개발되어 조명용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LED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발광하므로 일반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작다는 특징을 갖는 반면 가격이 비싸고, 방열 및 색도 문제가 따른다.
또한, 지금까지 개발된 Power LED의 용량은 대략 5W 이하이기 때문에 그 자 체 하나만으로 본질 안전 방폭구조를 적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핸드 램프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다수의 Power LED를 사용해야 된다.
따라서, 상기 Power LED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방열구조가 갖춰져야 되고,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핸드 램프 본래의 목적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폭발 위험 장소에서 안전하게 사용되며, 핸드 램프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휴대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원의 빛을 손실 없이 전달하여 상기 광원의 휘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피사체에 상기 광원의 빛이 조사될 때에는 상기 빛을 산란시킴으로써, 조사되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비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며, 할로겐 램프를 포함한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수용하고 폭발성 혼합 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램프박스; 상기 램프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전달시키기 위한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폭발 위험 장소로 이동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광원의 빛을 산란시켜 조사하기 위한 오목렌즈를 갖는 핸드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램프박스는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광케이블로 전달시키기 위한 볼록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램프박스는 소정부위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나의 이상의 공기인입구 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인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박스 내부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켜 폭발성 혼합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램프박스는 상기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볼록렌즈가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 수용되며, 상기 광케이블은 각 광원 및 볼록렌즈와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램프박스에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광케이블은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광케이블은 광 분배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어 빛을 분배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의 전방으로 볼록렌즈를 배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한곳으로 집광하여 광케이블로 전달하기 때문에 빛이 손실없이 또한 상기 광원의 휘도를 유지하며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피사체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는 핸드램프부는 상기 광케이블과 연결되어 빛을 전달받아 조사되는데, 실질적으로 폭발 위험 장소에서 전기 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폭발 가능성을 완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기와 무게가 적은 상기 광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핸드램프 자체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초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상기 광케이블의 유연한 특성으로 어느 공간에서도 현장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핸드램프부는 광케이블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오목렌즈를 통해 상기 광케이블의 좁은 내경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킴으로써 넓은 구역을 조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구성 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성 요소들이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및/또는 "제3"으로 언급되는 것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및/또는 "제3"은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폭발 위험 장소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휴대 및 사용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무거웠던 핸드램프를 개선하여 경량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있다.
도 1은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따른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비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는 램프박스(10) 및 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램프박스(10)와 광케이블(20)을 통해 연결되어 광원(100)으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피사체로 조사되는 핸드램프부(3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박스(10)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100)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광원(100)은 전원공급부(미도시)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게 되며 백열등, 형광등, LED(light-emitting diode) 소자 및 할로겐 램프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그 중, 휘도가 우수한 할로겐 램프 또는 소모 전력이 작고 휘도가 우수한 표면 실장형(surface mounting type) LED 소자를 상기 광원(100)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박스(10)에는 상기 광원(100)과 함께 볼록렌즈(110)가 수용된다. 상기 볼록렌즈(110)는 상기 램프박스(10) 내에서 상기 광원(100)의 전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集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볼록렌즈(110)는 광학 기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집광렌즈로 단순히 빛을 모으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록렌즈(110)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100)의 빛이 손실없이 또한 상기 광원(100)의 휘도를 유지하며 광케이블(20)을 통해 피사체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볼록렌즈(110)에 의해 한 부분으로 집광되는 빛은 상기 램프박스(10)의 외부로 발산되기 위해, 상기 램프박스(10)는 상기 볼록렌즈(110)의 빛이 집광되는 부분에 제1개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광원(10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원(100)의 ON/OFF 제어를 위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광원(100)으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안정기(ballast stabilizer)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광원(100)의 종류에 따라 광원이 발광될 수 있는 작동전원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의 DC-AC 및 AC-DC 변환을 위해 인버터(inverter) 또는 컨버터(converter)와 같은 전력 변환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00)의 빛 은 광케이블(optical cable)(20)을 통해 핸드램프부(30)로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케이블(30)은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에서 전송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데 큰 기여를 한 신소재로, 가볍고 전기적인 외란을 받지 않는다는 특성으로 인해 관측용 카메라를 부착한 내시경 등 산업/의료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충격성 잡음, 누화(漏話) 등의 외부적 간섭을 받지 않고, 크기와 무게가 적기 때문에 상기 광케이블을 조명장치에 이용함으로써 핸드램프 자체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는 상기 핸드램프부(30)와 연결되는 상기 광케이블(20)을 통해 빛이 조사되어도, 실질적으로 폭발 위험 장소에서 전기 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폭발 가능성을 완전 억제할 수 있고, 광케이블의 유연한 특성으로 어느 공간에서도 현장 작업자가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케이블(20)은 상기 램프박스(10)을 통해 빛이 유출되는 공간인 상기 제1개방홀(미도시)과 연결된다. 즉, 상기 광케이블(20)의 일측은 상기 램프박스(10)에 수용되는 상기 볼록렌즈(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볼록렌즈(110)로부터 집광되는 상기 광원(100)의 빛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20)의 타측은 상기 핸드램프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박스(10)의 볼록렌즈(110)를 통해 유출되는 빛을 전달하여 이를 피사체로 조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드램프부(30)는 실질적으로 상기 광케이블(20)을 통해 상기 램 프박스(10)로부터 전달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핸드램프부(30)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는 오목렌즈(31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광케이블(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광케이블(20)을 통해 전달되는 빛을 유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목렌즈(310)는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되는 빛을 산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20)의 좁은 내경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산란시킴으로써 넓은 구역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오목렌즈(310)에 의해 산란되는 빛을 외부로 조사하기 위해 전방으로 제2개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최종적으로 상기 핸드램프부(30)의 오목렌즈(310)를 통해 산란되고, 상기 제2개방홀을 통해 산란되는 빛이 조사된다.
이때, 상기 핸드램프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20)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하우징(300)과 연결되며, 상기 광케이블(2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40)는 빛이 조사되는 상기 하우징(300)과 연결되어 현장 작업자가 상기 핸드램프부(30)를 용이하게 파지하게함을써, 상기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박스(1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램프박스(10)는 폭발성 혼합물질 내지 가연성 가스 등이 포함된 외 부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상기 도 4에 따르면, 상기 램프박스(10)는 소정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인입구(12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인입구(12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인입구(120)를 통해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급부(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공급부(60)는 상기 램프박스(10) 내부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켜 공기막을 형성함으로써, 폭발성 혼합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램프박스(10) 내부는 상기 공기인입구(120)를 통해 상기 공급부(60)에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의 압력에 의해서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폭발성 혼합물질 내지 가연성 가스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60)는 상기 램프박스(10)가 부득이 하게 폭발 위험 장소 내로 이동될 경우 폭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원의 빛을 전달하는 광케이블은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되어 각 광케이블을 통해 각기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실시예1
먼저, 제1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램프박스(10) 를 통해 다수의 광케이블(20, 21, 22)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램프박스(10) 내에는 할로겐 램프를 포함한 광원(미도시)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볼록렌즈(미도시)가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 수용된다. 또한, 상기 램프박스(10)는 상기 적어도 두개 이상 수용되는 광원 및 볼록렌즈가 위치하는 각 부분에 각기 제1개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개방홀은 상기 램프박스 내에 구비되는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위치에 또한 대응하는 갯수로 형성된다.
상기 광케이블(20, 21, 22) 역시 상기 광원 및 상기 볼록렌즈와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광케이블(20, 21, 22)은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1개방홀과 연결되어, 각 광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빛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20, 21, 22)이 상기 램프박스(10)와 연결되며, 각 광케이블(20, 21, 22)의 타측에는 오목렌즈가 수용된 하우징을 갖는 핸드램프부(30, 31, 32)가 각기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명장치를 통해 다수의 현장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박스(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는 상기 각 광원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시켜 ON/OFF 할 수 있도록 회로 및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케이블 대 광케이블의 연결을 제공하는 포토 커플러(photocoupler)(50) 또는 빛의 분배를 제공하는 광 분배기(70)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길이 연장 또는 빛의 분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광케이블은 상기 포토 커플러(50)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된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은 상기 광 분배기(70)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어 전달되는 빛을 분배시시킬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 6(a)는 상기 광케이블(20, 21, 22)이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는 것으로, 광케이블들(20, 21, 22)의 연결을 위해 각 광케이블 간에는 상기 포토 커플러(50)가 배치되며, 상기 포토 커플러(5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광케이블(20, 21, 22)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은 상기 포토 커플러(50)를 통해 총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어 작업 현장이 원거리일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핸드램프부(30)를 휴대하여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의 총길이는 30m를 초과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빛의 전달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광케이블의 길이 연장은 최대 30m 이내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b)는 빛을 여러 갈래로 분배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광 분배기(70)를 통해 다수의 광케이블(21, 22, 23)로 빛을 분배하여 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박스(10) 내에 수용되는 광원의 빛은 상기 램프박스(10)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광케이블(20)과 연결된다.
상기 제1광케이블(20)은 빛을 분배시키기 위한 상기 광 분배기(70)와 연결되며, 상기 제1광케이블(20)을 통해 유입되는 빛이 상기 광 분배기(70)를 통해 분배된다. 또한,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제2광케이블들(21, 22, 23)은 상기 광 분배기(70)와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분배된 빛을 전달받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제2광케이블(21, 22, 23)은 각기 오목렌즈가 수용된 하우징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핸드램프부(30, 31, 32)와 각각 연결되어, 각 핸드램프(30, 31, 32)는 개별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조명장치를 통해 다수의 현장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따른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램프박스 20 : 광케이블
30 : 하우징 40 : 손잡이
50 : 포토커플러 60 : 공급부
70 : 광 분배기
100 : 광원 110 : 볼록렌즈
120 : 공기인입구 300 : 하우징
310 : 오목렌즈

Claims (6)

  1. 비폭발 위험 장소에 배치되며, 할로겐 램프를 포함한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수용하고 폭발성 혼합 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램프박스;
    상기 램프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전달시키기 위한 광케이블; 및
    상기 광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되어 폭발 위험 장소로 이동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광원의 빛을 산란시켜 조사하기 위한 오목렌즈를 갖는 핸드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박스는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광케이블로 전달시키기 위한 볼록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박스는
    소정부위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나의 이상의 공기인입구 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인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박스 내부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를 유입시켜 폭발성 혼합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한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박스는 상기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볼록렌즈가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 수용되며, 상기 광케이블은 각 광원 및 볼록렌즈와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램프박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은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은 광 분배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 연결되어 빛을 분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080098265A 2008-10-07 2008-10-07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097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65A KR100979774B1 (ko) 2008-10-07 2008-10-07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265A KR100979774B1 (ko) 2008-10-07 2008-10-07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060A true KR20100039060A (ko) 2010-04-15
KR100979774B1 KR100979774B1 (ko) 2010-09-02

Family

ID=4221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265A KR100979774B1 (ko) 2008-10-07 2008-10-07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7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59B1 (ko) * 2013-07-19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광 조명 시스템
KR20180043711A (ko) * 2016-10-20 2018-04-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본질안전 방폭등
WO2019194325A1 (ko) * 2018-04-02 2019-10-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본질 안전 방폭등
KR20200061941A (ko) * 2018-11-26 2020-06-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 집중형 광 생성장치의 광을 전송하기 위한 광 그리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8802A (ja) * 1990-09-07 1992-04-20 Tadashi Abe 照明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59B1 (ko) * 2013-07-19 2015-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광 조명 시스템
KR20180043711A (ko) * 2016-10-20 2018-04-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본질안전 방폭등
KR20180137445A (ko) * 2016-10-20 2018-12-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본질안전 방폭등
WO2019194325A1 (ko) * 2018-04-02 2019-10-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본질 안전 방폭등
KR20200061941A (ko) * 2018-11-26 2020-06-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 집중형 광 생성장치의 광을 전송하기 위한 광 그리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774B1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774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조명장치
EP2166580A1 (en) Solid state lamp
ATE513313T1 (de) Planare lichtquelle auf led-basis
US20210033264A1 (en) Lighting apparatus for hazardous areas
KR101986339B1 (ko) 방폭 작업등
KR20110113544A (ko) 조명구조
JP2011526060A (ja) 照明器具
KR20130107396A (ko) 방폭등 및 이를 포함한 방폭등 시스템
KR20140054892A (ko) 개량형 led 방폭등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방폭등
KR101451561B1 (ko) 사용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고휘도 엘이디 작업등기구
KR100777368B1 (ko) 방폭 후레쉬
KR100913122B1 (ko) 특수 방열식 내압 방폭 엘이디 투광등
KR102086759B1 (ko) 비상 방폭 조명등
AU2009100320A4 (en) Intrinsically Safe Led Lighting Assembly for Hazardous Environments
CN210920997U (zh) 一种光纤传能白光照明装置
KR102056988B1 (ko) 확장 가능한 본질안전 방폭등
CN207621726U (zh) 一种采用光纤进行照明的检修灯
JP2015015146A (ja) 固体照明装置用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固体照明装置
KR101497459B1 (ko) 광 조명 시스템
CA3100662A1 (en) Improved lens for a notification strobe
KR200462057Y1 (ko) 엘이디 방폭 등기구
KR101424391B1 (ko) 직관형 led 형광램프
CN210307559U (zh) 一种照明螺丝刀
JP2018206482A (ja) 防災用照明装置
CN209839721U (zh) 防爆防腐指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