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487A -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487A
KR20100038487A KR1020080097474A KR20080097474A KR20100038487A KR 20100038487 A KR20100038487 A KR 20100038487A KR 1020080097474 A KR1020080097474 A KR 1020080097474A KR 20080097474 A KR20080097474 A KR 20080097474A KR 20100038487 A KR20100038487 A KR 20100038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housing
lower hanger
e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070B1 (ko
Inventor
호사카
곽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070B1/ko
Priority to US12/556,060 priority patent/US8345912B2/en
Publication of KR2010003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내부에 스피커부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며, 스피커부로부터 음향을 전달하는 메쉬(Mesh)가 형성된 프로텍터(Protector) 및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어, 귓바퀴의 하부로부터 귓바퀴의 뒤쪽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행거(Under Hang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의 하부에 하부 행거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행거를 사용함으로써, 이어폰의 밀착도를 높여 음질을 개선하고 이어폰의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어폰, 프로텍터, 하부 행거

Description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Under hanger type 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 또는 음악 감상을 위해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를 통해 음향을 듣기 위해서 헤드셋이나 이어폰이 사용된다.
그 중,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그 형태에 따라 개방형(Open Type) 이어폰, 밀폐형(Close Type) 이어폰, 반밀폐형(Semi-Close Type) 이어폰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대비 이주(耳珠)와 이주(耳珠)에 끼어져 고정되는 데, 운동을 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어느 정도 움직일 때에는 그 움직임이 이어폰 코드를 따라 이어폰에 상하 운동이 전해지므로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어폰의 커버 등에 이어훅(Earhook)과 같은 형태의 고정부를 형성하였으나, 이 경우 이어폰이 사용자 의 귀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지만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용자가 귀에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이어폰의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한 이어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은, 내부에 스피커부가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음향을 전달하는 메쉬(Mesh)가 형성된 프로텍터(Protector)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어, 귓바퀴의 하부로부터 상기 귓바퀴의 뒤쪽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행거(Under Hanger)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따르면, 이어폰의 하부에 하부 행거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따르면, 스피커부와 하우징의 후면부에 길게 형성되어 이어폰 코드를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 사이에 일정한 각도를 줌 으로써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따르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행거를 사용함으로써, 이어폰의 밀착도를 높여 음질을 개선하고 이어폰의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하부 행거를 사용함으로써, 이어폰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이어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 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어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0)은, 하우징(110), 프로텍터(120), 부싱(130) 및 하부 행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방형(Open Type) 이어폰, 밀폐형(Close Type) 이어폰, 반밀폐형(Semi-Close Type) 이어폰 등 다양한 종류의 이어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어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이어폰뿐만 아니라, 헤드셋, 무선 헤드셋 등과 같이 사용자의 귀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스피커부(도 3의 113 참조)가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1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내부에 스피커부가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스피커부에 연결되는 이어폰 코드(150)를 몸체부(111)의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112)(Duc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덕트(112)는 몸체부(11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프로텍터(Protector)(1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스피커부로부터 음향을 전달하는 메쉬(Mesh)(12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로텍터(120)는 하우징(110)에 장착된 스피커부가 사용자에 귀(1)에 직접 닿아 발생하는 통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커버로서, 이어폰(100)을 사용자의 귀(1)에 끼우는 경우, 귀(1)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 때, 프로텍터(120)는 실리콘, 에라스토마 등과 같은 부드럽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어폰(100)의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120)는 대략 반구(半球)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튜브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귀(1)와 접촉하는 프로텍터(120)의 일 측면에는 스피커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피커 홀의 입구는 촘촘한 망사 형태의 메쉬(121)로 덮을 수 있다. 스피커 홀의 개수 및 크기는 프로텍터(120)의 크기, 스피커부의 성능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메쉬(121)는 스피커 홀을 통해 스피커부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귀(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10)과 프로텍터(120)의 내부에는 중저음역 음향의 밸런스를 위한 댐퍼(Damper), 고음역 음향의 밸런스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 또는 저음역 음향의 밸런스를 위한 클로쓰(Cloth)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Bushing)(130)은 이어폰 코드(150)의 굴곡 내구를 보존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하단, 보다 정확하게는, 하우징(110)의 덕 트(112)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행거(Under Hanger)(14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귓바퀴(2)의 하부로부터 귓바퀴(2)의 뒤쪽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행거(140)는 하우징(110)의 하단에 연결된 부싱(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행거(140)와 부싱(130)의 연결 지점은 홈 또는 돌기 등과 같은 결합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폰(100)을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하부 행거(140)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하부 행거(140)를 분리하여 하부 행거(140) 없이 이어폰(100)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이 심한 경우에는 하부 행거(140)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이 약한 경우에는 하부 행거(14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하부 행거(140)는 하우징(110)의 하단에 연결된 부싱(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행거(140)를 하우징(110)의 하부에 연결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하부 행거(140)는 하우징(110)의 하부의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귓바퀴(2)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행거(140)는 하우징(110)의 하부의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귓바퀴(2)를 향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귓바퀴(2)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하부 행거(140)가 귓바퀴(2)에 장착되는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0)에 따르면, 이어폰(100)의 하부에 하부 행거(140)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폰(100)이 사용자의 귀(1)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하부 행거(140)를 사용함으로써, 이어폰(100)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이어폰(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행거(140)는 부드럽고 신축성 및 유연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행거(140)의 재질은 에라스토마(Elastom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행거(140)는 부드럽고 신축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이어폰(100)의 밀착도를 높여 이어폰(100)과 귓구멍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음질을 개선하고 이어폰(100)의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귀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귀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12)는 몸체부(11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1)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피커부(113)와 덕트(112)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부(113)와 덕트(112)의 각도(θ)는 약 16.5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 나, 스피커부(113)와 덕트(112)의 각도(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어폰(100)의 이탈 정도와 착용감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스피커부(113)와 덕트(112)의 각도(θ)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어폰(100)이 사용자의 귀(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치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이어폰(100)의 착용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행거(140)가 귓바퀴(2)의 하부로부터 귓바퀴(2)의 뒤쪽을 따라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어폰(100)이 사용자의 귀(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귀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귀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귀 2: 귓바퀴
100: 이어폰 110: 하우징
111: 몸체부 112: 덕트
113: 스피커부 120: 프로텍터
121: 메쉬 130: 부싱
140: 하부 행거 150: 이어폰 코드

Claims (6)

  1. 내부에 스피커부가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음향을 전달하는 메쉬(Mesh)가 형성된 프로텍터(Protector);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어, 귓바퀴의 하부로부터 상기 귓바퀴의 뒤쪽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행거(Under Han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스피커부가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부에 연결되는 이어폰 코드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Duct)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행거는 이어폰 코드의 굴곡 내구를 보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된 부싱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행거는 이어폰 코드의 굴곡 내구를 보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된 부싱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행거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의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귓바퀴와의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행거의 재질은 에라스토마(Elasto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80097474A 2008-10-06 2008-10-06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1561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74A KR101561070B1 (ko) 2008-10-06 2008-10-06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US12/556,060 US8345912B2 (en) 2008-10-06 2009-09-09 Earphone having under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474A KR101561070B1 (ko) 2008-10-06 2008-10-06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487A true KR20100038487A (ko) 2010-04-15
KR101561070B1 KR101561070B1 (ko) 2015-10-16

Family

ID=42075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474A KR101561070B1 (ko) 2008-10-06 2008-10-06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45912B2 (ko)
KR (1) KR101561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8289B2 (en) * 2007-06-13 2013-04-23 Innovelis, Inc. Headphone adap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USD681015S1 (en) 2012-09-08 2013-04-30 Apple Inc. Earphone
USD820809S1 (en) 2012-09-08 2018-06-19 Apple Inc. Earphone
USD801314S1 (en) 2016-09-06 2017-10-31 Apple Inc. Pair of earphones
USD810047S1 (en) * 2016-10-05 2018-02-13 Kingston Digital, Inc. Earphone tip
TWD184087S (zh) * 2016-10-05 2017-07-01 金士頓數位股份有限公司 耳機之部分
USD853993S1 (en) * 2017-02-17 2019-07-16 Starkey Laboratories, Inc. Hearing device
USD853992S1 (en) * 2017-02-17 2019-07-16 Starkey Laboratories, Inc. Hearing device
USD830345S1 (en) * 2018-04-26 2018-10-09 Hejin Cai Earphone
JP1621748S (ko) * 2018-08-09 2019-01-15
USD853995S1 (en) * 2019-01-24 2019-07-16 Guangzhou Lanshidun Electronic Limited Company Earphone
US10924842B2 (en) * 2019-02-14 2021-02-16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CN114599279A (zh) 2019-06-17 2022-06-07 奥西韦尔股份有限公司 可穿戴耳机氧监视器
USD916291S1 (en) 2019-06-17 2021-04-13 Oxiwear, Inc. Earpiece
USD906297S1 (en) 2019-09-13 2020-12-29 Apple Inc. Pair of earphones
USD909347S1 (en) 2019-09-20 2021-02-02 Apple Inc. Earphone
USD923658S1 (en) 2019-10-02 2021-06-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2963S1 (en) * 2020-01-28 2022-02-08 Bose Corporation Microphone accessory
USD1002582S1 (en) 2020-05-29 2023-10-24 Oxiwear, Inc. Earpiece and charger case
USD978842S1 (en) 2020-11-11 2023-02-21 Apple Inc. Pair of earphones
CN114513717A (zh) * 2021-02-03 2022-05-17 深圳市大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支撑部的耳机
USD999194S1 (en) * 2021-08-10 2023-09-19 Shenzhen Shengyuan Tech Ltd Wireless earphone
USD1008210S1 (en) * 2021-08-13 2023-12-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3737B2 (en) * 2002-02-13 2006-10-17 Plantronics, Inc. Ear clasp headset
US6728387B1 (en) * 2002-05-22 2004-04-27 Plantronics, Inc. Under-the-ear mounting headset
KR200341098Y1 (ko) * 2003-10-23 2004-02-11 김명원 귀걸이형 이어폰 고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5912B2 (en) 2013-01-01
US20100086167A1 (en) 2010-04-08
KR101561070B1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8487A (ko)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WO2020140459A1 (zh) 一种扬声器装置
US10972823B2 (en) In-ear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US9788099B2 (en) Ear tip with stabilizer
US9338539B2 (en) In-ear-canal headset assembly
US10003878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US9774963B1 (en) Ear-wing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20080008344A1 (en)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211976A1 (en) Audio listening system
US20090285434A1 (en) Earhook and earbud headset
US9584897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US8744112B2 (en) Earphone with speaker facing away from earpiece and sound tube that communicates with spaces in front of and behind the speaker
WO2014041604A1 (ja) イヤホン装置
CN214799830U (zh) 一种挂耳式骨传导耳机
JP2010252132A (ja) ステレオイヤホン
US9301038B2 (en) Audio headset
JP2016036094A (ja) アイウェア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イウェア
JP6468267B2 (ja) イヤホンおよびこれに用いるバンド部材、並びに、イヤホンの使用方法
CN216437456U (zh) 一种保证佩戴舒适的半入耳式耳机外壳
CN217546265U (zh) 一种耳机
KR200368514Y1 (ko) 착용감과 음질이 개선된 이어폰
CN218570435U (zh) 一种气传导蓝牙耳机
KR20100040987A (ko) 두 개의 스피커 홀을 구비하는 이어폰
WO2015129935A1 (ko) 이어팁 및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