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758A - 전선정리함 - Google Patents

전선정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758A
KR20100037758A KR1020080097009A KR20080097009A KR20100037758A KR 20100037758 A KR20100037758 A KR 20100037758A KR 1020080097009 A KR1020080097009 A KR 1020080097009A KR 20080097009 A KR20080097009 A KR 20080097009A KR 20100037758 A KR20100037758 A KR 20100037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re
computer
swit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605B1 (ko
Inventor
유병춘
조창희
이진모
김혜정
윤상호
김대용
강건우
Original Assignee
유병춘
윤상호
이진모
김대용
강건우
김혜정
조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춘, 윤상호, 이진모, 김대용, 강건우, 김혜정, 조창희 filed Critical 유병춘
Priority to KR102008009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6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 환경에서 늘어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전력의 자동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선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A)은,
덮개(11)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것으로, 양 측면의 중앙부에 개방구(12)가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것으로, 본체(10)의 개방구(12)에 인접하는 측판의 상단에 개방구(12)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요홈(21)이 마련된 완충부재(2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100)에 구비된 플러그가 연결되는 멀티탭(30)과;
상기 멀티탭(30)의 전원공급라인(31)에 마련되되 본체 외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 터치에 의해 멀티탭(30)으로의 전원공급을 인가하는 스위치(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스위치(40)는 멀티탭의 전원공급라인에 마련되되 컴퓨터 및 주변기기 오프(off) 상태에서 접점 분리되는 센서(51)와, 센서(51)의 접점 분리에 의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릴레이(52)와, 스위치(40) 입력을 설정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53)로 이루어지는 대기전력차단회로(5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전선정리함, 본체, 덮개, 개방구, 완충부재, 요홈, 멀티탭, 릴레이, 스위치, 대기전력, 차단, 정돈, 절전

Description

전선정리함 { electric wire arrangement box }
본 발명은 전선정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사용 환경에서 늘어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전력의 자동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선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가정 및 사무실에는 최소 하나 이상의 컴퓨터가 구비되고 있다.
이때, 컴퓨터는 모니터, 프린터 등의 주변 기기와 함께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컴퓨터 주변에는 각각의 기기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전선들이 놓이게 마련인바, 다수의 전선들이 늘어지거나 늘어진 상태로 서로 뒤엉키는 경우 미관을 떨어뜨리고, 주변의 청소를 곤란하게 하며, 자칫 전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전선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해당 분야에서는 컴퓨터 사용시 늘어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정리함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선정리함은 단순히 늘어진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뿐 별다른 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전선정리함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전선을 수용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제작에 곤란함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파손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대기전력으로 인한 전력 소모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다수의 컴퓨터 사용자들은 전원 차단 스위치가 마련된 멀티탭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탭에 마련되는 스위치는 통상 수동 조작에 의한 것이었던 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매번 멀티탭의 스위치를 조작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컴퓨터 사용 환경에서 늘어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전력의 자동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선정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은,
덮개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것으로, 양 측면의 중앙부에 개방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것으로, 본체의 개방구에 인접하는 측판의 상단에 개방구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요홈이 마련된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방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에 구비된 플러그가 연결되는 멀티탭과;
상기 멀티탭의 전원공급라인에 마련되되 본체 외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 터치에 의해 작동하여 멀티탭으로의 전원공급을 인가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은 본체에 개방구가 마련되고 완충부재에 요홈이 마련된 것인 바, 개방구와 요홈을 통해 전선의 인입 및 인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홈을 통해 본체 내로 인입되는 전선을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체 내부로 인입된 전선이 본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전선의 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멀티탭으로 이어지는 전원공급라인에 대기전력차단회로가 마련된 것인 바, 대기전력차단회로를 통해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절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에서 대기전력차단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A)은 본체(10) 와, 완충부재(20)와, 멀티탭(30)과, 스위치(4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상단부에 개방이 자유로운 덮개(11)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것으로, 양 측면의 중앙부에 개방구(12)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에서 덮개(11)에는 잠금구(1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11)에 잠금구(11a)가 마련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해 덮개(11)가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20)는 본체(10)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것으로, 본체(10)의 개방구(12)에 인접하는 측판의 상단에 개방구(11)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요홈(21)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20)의 주목적은 본체(10) 내부로 전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파손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인 바, 스폰지와 같은 쿠션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완충부재(20)에서 요홈(21)이 본체(10)의 개방구(12)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것은 개방구(12)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선(100)을 요홈(21) 바닥면으로써 지지하기 위한 것인 바, 요홈(21)은 반드시 본체(10)의 개방구(12)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탭(30)은 본체(10)의 후방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100)에 구비된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멀티탭(30)은 통상의 어떠한 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한편, 멀티탭(30)은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내벽 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멀티탭(30)으로부터 이어지는 전원공급라인(31)은 본체(10)의 일측 개방구(12)와 이와 인접하는 완충부재(20)의 일측 요홈(21)을 통해 본체(10)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40)는 멀티탭(30)의 전원공급라인(31)에 마련되되 본체(10) 외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 터치에 의해 작동하여 멀티탭(30)으로의 전원공급을 인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치(40)는 어떠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체(10)를 실내 바닥에 두고 사용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발가락으로도 간단히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터치방식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위치(40)는 멀티탭(30)의 전원공급라인(31)에 마련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차단회로(5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기전력차단회로(50)는 컴퓨터 및 주변기기 오프(off) 상태에서 접점(51a) 분리되는 센서(51)와, 센서(51)의 접점 분리에 의해 오프(off) 상태로 전 환되는 릴레이(52)와, 스위치(40) 입력을 설정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53)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A)을 통해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100)을 정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A)은 본체(10)에 개방구(12)가 마련된 것이고 완충부재(20)에 요홈(21)이 마련된 것인 바, 본체(10)의 덮개(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10)의 개방구(12)와 완충부재(20)의 요홈(21)을 통해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100)을 본체(10) 내부로 인입시켜 전선(100) 선단의 플러그를 멀티탭(30)에 연결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0)에서 불필요하게 늘어지는 부위를 권취하여 본체(10) 내에 수용시킨 후 덮개(11)를 닫음으로써 깔끔하게 전선(100)의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체(10) 내부로 인입된 전선(100)은 완충부재(20)의 요홈(21)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10)와 완충부재(20) 사이에 물린 상태가 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전해질 때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A)은 컴퓨터 및 주변기기가 오프(off) 상태 가 될 때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의 대기전력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 이다.
컴퓨터 및 주면기기를 오프(off) 하는 경우 대기전력차단회로(50)에 마련된 센서(51)는 전압 및 전류의 하강을 통해 컴퓨터 및 주변기기가 오프(off) 상태임을 감지하여 접점(51a)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릴레이(52)는 센서(51)의 접점(51a) 분리에 의해 자기유지가 떨어지며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바, 릴레이(52)의 오프(off) 상태로의 전환에 의해 전원공급라인(31)을 통한 멀티탭(30)으로의 전원공급 자체가 차단되므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 대기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대기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재차 사용은 본체(10)에 마련된 스위치(40) 조작과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자체 전원스위치 조작에 의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체(10)에 마련된 스위치(40)를 조작하는 경우 대기전력차단회로(50)의 타이머(53)는 설정된 시간동안 스위치(40) 입력을 유지하게 되고, 릴레이(52)는 자기유지에 의해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공급라인(31)을 통한 멀티탭(30)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바, 상기 상태에서 컴퓨터 및 주변기기 자체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 컴퓨터 및 주변기기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재차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정리함에서 대기전력차단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덮개
11a : 잠금구 12 : 개방구
20 : 완충부재 21 : 요홈
30 : 멀티탭 31 : 전원공급라인
40 : 스위치 50 : 대기전력차단회로
51 : 센서 51a : 접점
52 : 릴레이 53 : 타이머
A : 전선정리함 100 : 전선

Claims (2)

  1. 덮개가 마련된 박스 형태의 것으로, 양 측면의 중앙부에 개방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것으로, 본체의 개방구에 인접하는 측판의 상단에 개방구 하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는 요홈이 마련된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의 후방 내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전선에 구비된 플러그가 연결되는 멀티탭과;
    상기 멀티탭의 전원공급라인에 마련되되 본체 외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 터치에 의해 작동하여 멀티탭으로의 전원공급을 인가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멀티탭의 전원공급라인에 마련되되 컴퓨터 및 주변기기 오프 상태에서 접점 분리되는 센서와, 센서의 접점 분리에 의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릴레이와, 스위치 입력을 설정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대기전력차단회로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정리함.
KR1020080097009A 2008-10-02 2008-10-02 전선정리함 KR10096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009A KR100964605B1 (ko) 2008-10-02 2008-10-02 전선정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009A KR100964605B1 (ko) 2008-10-02 2008-10-02 전선정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758A true KR20100037758A (ko) 2010-04-12
KR100964605B1 KR100964605B1 (ko) 2010-06-21

Family

ID=4221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009A KR100964605B1 (ko) 2008-10-02 2008-10-02 전선정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498A1 (en) * 2016-06-20 2017-1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ble connections for comput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505U (ko) 2018-03-27 2019-10-10 (주)이노테크 연결선 정리용 멀티 받침대
KR102388257B1 (ko) * 2020-06-24 2022-04-19 주식회사 팜비 멀티탭용 정리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883Y1 (ko) 2000-02-12 2000-08-01 김동현 콘센트가 설치된 전선 정리함
KR20060071062A (ko) * 2004-12-21 2006-06-26 홍현숙 코일형 전선을 내부에 설치시킨 공구상자
KR20070120219A (ko) * 2006-06-19 2007-12-24 김기태 전선정리 수납공간이 일체화된 멀티 탭 콘센트
KR100902235B1 (ko) 2007-03-20 2009-06-11 김대웅 컴퓨터 및 주변장치의 대기전원 소모를 방지하는 멀티 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498A1 (en) * 2016-06-20 2017-1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ble connections for computing devices
US11042188B2 (en) 2016-06-20 2021-06-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ble connections for computing devices backgr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605B1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605B1 (ko) 전선정리함
KR200468311Y1 (ko) 전기제품에 연결된 여유전선의 정리가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102019929B1 (ko)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CN202682394U (zh) 具分离式接电装置的抽拉门消毒碗柜
KR101024698B1 (ko) 진공청소기의 살균 거치대
ITMI20091059A1 (it) Dispositivo per la ricarica di apparecchi elettronici portatili
JP2016172581A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101821244B1 (ko) 다용도 융합형 휴지걸이
KR20060034851A (ko)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KR102061870B1 (ko) 삼단 매트리스
CN203933819U (zh) 电视机电源线收纳装置
CN207530231U (zh) 一种多功能的插线板
CN206401664U (zh) 一种厨房用插座及电线收纳箱
JP5548027B2 (ja) ポータブル電源システム
KR20110082666A (ko) 데스크의 전선 배선안내장치
WO2015074207A1 (zh) 一种紫外线消毒器
JP2007000377A (ja) 洗面化粧台
CN217390563U (zh) 一种皂液器
KR20140006337U (ko) 매립형 휴지걸이
US20110135287A1 (en) Power supply device with humidifying function
KR101513141B1 (ko) 절전용 콘센트구조
JP3080426U (ja) 充電器ホルダー
CN212155220U (zh) 塔扇
CN206741687U (zh) 一种遥控器
CN2901685Y (zh) 带备用插座的开关盒式电源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