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689A - 골프용 퍼터 - Google Patents

골프용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689A
KR20100036689A KR1020080096035A KR20080096035A KR20100036689A KR 20100036689 A KR20100036689 A KR 20100036689A KR 1020080096035 A KR1020080096035 A KR 1020080096035A KR 20080096035 A KR20080096035 A KR 20080096035A KR 20100036689 A KR20100036689 A KR 20100036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utter
module
laser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인
Original Assignee
이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인 filed Critical 이동인
Priority to KR1020080096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689A/ko
Priority to PCT/KR2009/000564 priority patent/WO2009099304A2/ko
Publication of KR2010003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시 골프공을 타격하는 퍼터헤드(10), 상기 퍼터헤드(10)와 연결되는 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퍼터그립(30)으로 구성되는 골프용퍼터에서, 상기 퍼터헤드(10)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수납부(110); 상기 퍼터헤드(10)의 전면과 상기 케이스수납부(110)를 관통하는 빔통과구(120);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상기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발생부(200); 및,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와 무게가 동일하며,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와 교체되어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란스웨이트(300);가 포함되는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빔발생부, 케이스수납부, 밸란스웨이트, 레이저모듈, 기울기센서, 제어용회로기판, 모듈케이스

Description

골프용 퍼터{Golf Putter}
본 발명은 골프의 퍼팅시 사용되는 퍼터(putter)에 레이저빔을 접목시킨 것으로서, 레이저빔을 활용하여 그린의 기하학적 형상(경사도 및 굴곡 정도)을 파악함과 동시에 홀의 방향으로 정조준이 가능하여 보다 정교한 샷을 구사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퍼터는 그린에서 홀을 향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사용하는 용도의 골프채를 말하는데, 종래의 퍼터를 이용할 경우 골프공과 홀을 정조준할 수 있는 직접적이 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퍼터헤드의 상부면에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으로 라인을 형성하여 라인의 방향과 홀의 방향을 간접적으로 일치시키거나, 별도의 긴 봉을 설치하여 봉의 방향과 홀의 방향을 간접적으로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골프공과 홀을 정조준하는 방법은 아니고 그린의 굴곡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여 퍼팅의 정확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빔 발광구조를 갖는 퍼터(실용신안 등록 제0423002호)"가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발생부(200)가 퍼터헤드(10)의 중앙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퍼터헤드(10)의 전방을 향하여 레이저빔을 발산시키는 구조로서, 퍼팅 연습자는 목표지점인 홀컵의 중심부분, 골프공의 중심, 및 퍼터헤드(10)의 전면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레이저빔 발광구조를 갖는 퍼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단순히 하나의 레이저빔만을 발산하는 구조인 바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나 그린의 굴곡과 같은 기하학적인 형상을 제대로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정확한 퍼팅을 구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레이저빔으로 인한 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연습용으로는 사용할 수 있으나 공식 경기에서는 레이저빔이 부착된 퍼터를 사용할 수 없어 연습용과 경기용 퍼터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바, 평소 익숙하지 않았던 경기용 퍼터 사용으로 경기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퍼터헤드 전면부의 좌우 양측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레이저빔이 발산되고,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레이저빔의 발산이 자동적으로 멈추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골프용 퍼터(특허등록 제826290호)"가 출원되어 등록되었으나, 연습용과 경기용 퍼터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은 남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홀컵의 방향을 정확히 정조준할 뿐만 아니라 그린의 기하학적인 정보(경사도 및 굴곡 정도)에 대한 파악이 가능한 레이저빔을 이용한 골프용 퍼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연습시 사용하던 퍼터를 그대로 실전 경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발산되는 레이저빔으로부터 사람의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퍼팅시 골프공을 타격하는 퍼터헤드(10), 상기 퍼터헤드(10)와 연결되는 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퍼터그립(30)으로 구성되는 골프용퍼터에서, 상기 퍼터헤드(10)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수납부(110); 상기 퍼터헤드(10)의 전면과 상기 케이스수납부(110)를 관통하는 빔통과구(120);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상기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발생부(200); 및,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와 무게가 동일하며,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와 교체되어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란스웨이트(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컵의 방향을 정확히 정조준할 뿐만 아니라 그린의 기하학적인 정보(경사도 및 굴곡 정도)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홀의 방향으로 골프공을 치는 동작을 가상하여 퍼터를 가볍게 흔들게 되면 레이저빔이 그린 표면을 따라 진행 방향을 지시하게 되어 정교한 샷을 유도할 수 있으며, 수평게이지(290)를 이용하여 그린의 경사도 및 굴곡 정도를 파악하여 퍼팅시 이러한 기하학적인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습시 사용하던 퍼터를 그대로 실전 경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경기력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하면, 연습시 사용하던 퍼터의 레이저빔발생부(200)만 동일한 무게의 밸란스웨이트(300)로 교체하면 되는 바, 실전 경기에서도 연습시와 동일한 감각을 가지고 스윙이 퍼팅이 가능하여 경기력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발산되는 레이저빔으로부터 사람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울기센서(250)가 도입되어 레이저모듈(220)의 작동을 자동적 으로 멈출수 있는 바, 사람의 눈이 레이저빔에 의하여 손상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2(a)는 레이저빔발생부(200)가 사용되는 경우이고, 도2(b)는 밸란스웨이트(300)가 교체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3은 레이저빔발생부(20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a)평면 단면도, 및 (b)외형 사시도이다.
골프용퍼터는 퍼팅시 골프공을 타격하는 퍼터헤드(10), 상기 퍼터헤드(10)와 연결되는 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퍼터그립(30)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헤드(10)의 후면 일측에 케이스수납부(110)가 구비된다.
빔통과구(120)는 퍼터헤드(10)의 전면과 케이스수납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레이저빔발생부(200)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이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레이저빔발생부(200)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빔을 만들어낸다.
도2(b)에는 밸란스웨이트(300)가 레이저빔발생부(200) 대신에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밸란스웨이트(300)는 레이저빔발생부(200)와 무게가 동일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밸란스웨이트(300)를 결합한 경우와 레이저빔발생부(200)를 결합한 경우에 퍼터의 전체 무게가 동일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평상시 레이저빔발생부(200)를 부착하여 연습을 하다가 레이저빔발생부(200) 대신에 밸란스웨이트(300)를 교체 장착하여도 퍼터의 무게에 변동이 없는 바, 사용자는 연습시와 동일한 감각을 유지한 상태로 시합에 임할 수 있다.
레이저빔발생부(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케이스(210), 레이저모듈(220), 전원공급부(230), ON/OFF 스위치(240), 기울기센서(250), 제어용회로기판(260) 등이 포함된다.
모듈케이스(210)의 외형은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케이스수납부(110)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조를 구비하여야 하며, 그 내부에는 레이저빔발생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장착된다.
레이저모듈(220)은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듈케이스(210)가 케이스수납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이저모듈(220)에서 레이저빔이 발생되면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레이저모듈(220)은 모듈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용회로기판(260)에 부착되는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모듈(220)은 제어용회로기판(260)의 원주상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나사(33)에 의하여 제어용회로기판(260)에 결합된다.
또한 레이저모듈(220)과 제어용회로기판(260)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하는 간격용오링(44)이 구비된다.
따라서 4개의 나사(33)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면 간격용오링(44)이 부분적으로 압착되어 변형되어 제어용회로기판(260)에 부착된 레이저모듈(220)의 조사 방향을 조금씩 변경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나사(33)를 이용하여 레이저모듈(220)이 모듈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퍼터헤드(10)의 전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 작업이 완료되면 나사(33)와 제어용회로기판(260) 사이에 접착제를 바르고 경화시켜 나사(33)의 풀림을 방지한다.
전원공급부(230)에는 밧데리가 내장되며 레이저모듈(2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ON/OFF 스위치(240)는 전원공급부(2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모듈케이스(210)의 후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모듈케이스(210) 내부에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센서(250)가 제어용회로기판(26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레이저모듈(22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데, 기울기센서(250)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각도인 경우에는 제어용회로기판(260)은 전원공급부(23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레이저 모듈(22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다시 말하면 퍼터헤드(10)가 필요 이상으로 기울어져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하여 주변 사람들의 눈이 손상될 위험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레이저모듈(220)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물론 ON/OFF 스위치(240)를 이용하여 레이저모듈(220)의 작동을 인위적으로 멈추게 할 수도 있다.
도3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케이스(210)의 전면에는 가이드핀(211)이 돌출되고, 케이스수납부(110)에는 가이드핀(211)에 대응하는 형태의 빔통과구(120)가 구비되어 가이드핀(211)이 빔통과구(120)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가이드핀(211)에는 완충용오링(55)이 삽입되어 모듈케이스(210)와 케이스수납부(11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케이스(210)의 양측면을 따라 절개된 안내홈(212)이 구비되고, 케이스수납부(110)에는 안내홈(212)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된 안내레일(112)이 구비되어 안내레일(112)이 안내홈(2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방법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5(a)에 도시된 형태와 도5(b)에 도시된 형태 가운데 반드시 어느 한 가지만을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가지 형태 모두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도3(a), 도5에 도시된 것을 보면 가이드핀(211)과 빔통과구(120) 사이 또는 모듈케이스(210)와 케이스수납부(110) 사이가 밀착되어 있지 않고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형태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실재 제품의 경우에는 가이드핀(211)의 외경과 빔통과구(120)의 내경이 거의 일치하여 상호간에 밀접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모듈케이스(210)의 크기와 케이스수납부(110)의 크기도 거의 일치하여 상호간에 밀접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3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듈케이스(210)와 케이스수납부(11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금속편(11)이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의 일측면에는 자석(22)이 부착되어 모듈케이스(210)와 케이스수납부(110)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는 케이스수납부(110)에 자석(22)이 부착되고 모듈케이스(210)에 금속편(11)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와 반대로 부착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핀(211) 자체가 자석(22)에 부착되는 금속인 경우에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통과구(120)의 내측에 환형의 자석(22)을 고정설치하여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가이드핀(211)이 금속편(11)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는 빔통과구(120)와 레이저모듈(220)은 각각 2개씩 구비된 경우인데, 골프공의 직경(4.267 cm)보다 먼 거리만큼 좌우 양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레이저빔과 골프공 사이에 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모듈(220)은 2개만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 개의 레이저모듈(2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퍼터 헤드(10)의 크기를 고려할 때, 2개 또는 3개의 레이저모듈(2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6은 3개의 레이저모듈(220)이 구비되어 레이저빔이 3곳에서 조사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모듈케이스(210)의 상부 중앙에 레이저모듈(220)이 1개 더 추가 설치된다.
도3(b) 또는 도6(b)에는 모듈케이스(210)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고등(27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고등(270)은 LED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용회로기판(260)에 연결되어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멈추기 직전에 점멸을 반복하여 사용자에게 레이저모듈(220)이 더 이상 작동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모듈케이스(210)의 내부에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용회로기판(260)에 알람부(280)가 설치되어 경고등(270)과 마찬가지로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멈추기 직전에 경고음을 발생시켜 레이저모듈(220)이 더 이상 작동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경고등(270)이나 알람부(280)는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멈추기 직전에만 그러한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시작하기 직전에도 점멸을 반복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레이저모듈(220)의 작동이 시작됨을 알려줄 수도 있다.
수평게이지(290)는 도3(b) 또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케이스(2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퍼터헤드(10)의 수평기울기를 직접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퍼터헤드(10)를 그린 위에 올려 놓으면 그린의 경사도 및 고저를 파악할 수 있다.
도7는 모듈케이스(210)에 장착되는 주요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종래의 레이저모듈이 장착된 골프용 퍼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2(a)는 레이저빔발생부(200)가 사용되는 경우이고, 도2(b)는 밸란스웨이트(300)가 교체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3은 레이저빔발생부(20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a)평면 단면도, 및 (b)외형 사시도이다.
도4는 레이저모듈(220)이 제어용회로기판(260)에 부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도인데, 간격용오링(44)과 4개의 나사(33)를 이용하여 레이저모듈(220)이 조사하는 레이저빔의 방향이 퍼터헤드(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5는 모듈케이스(210)와 케이스수납부(110) 사이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데, (a)가이드핀(211), 빔통과구(120)와 완충용오링(55)이 구비되고 자석(22)과 금속편(11)이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 (b)안내홈(212)과 안내레일(112)이 구비된 경우, 및 (c)환형의 자석(22)과 가이드핀(211)이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레이저모듈(220)이 3개 구비되는 경우의 레이저빔발생부(200)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퍼터헤드
20:샤프트
30:퍼터그립
110:케이스수납부
112:안내레일
120:빔통과구
200:레이저빔발생부
210:모듈케이스
211:가이드핀
212:안내홈
220:레이저모듈
230:전원공급부
240:ON/OFF 스위치
250:기울기센서
260:제어용회로기판
270:경고등
280:알람부
290:수평게이지
300:밸란스웨이트
11:금속편
22:자석
33:나사
44:간격용오링(O-ring)
55:완충용오링(O-ring)

Claims (14)

  1. 퍼팅시 골프공을 타격하는 퍼터헤드(10), 상기 퍼터헤드(10)와 연결되는 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퍼터그립(30)으로 구성되는 골프용퍼터에서,
    상기 퍼터헤드(10)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수납부(110);
    상기 퍼터헤드(10)의 전면과 상기 케이스수납부(110)를 관통하는 빔통과구(120); 및,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상기 퍼터헤드(10)의 전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빔발생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2. 제1항에서,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와 무게가 동일하며,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와 교체되어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란스웨이트(3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3. 제2항에서,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는,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케이스(210);
    상기 모듈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케이스(210)가 상기 케 이스수납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빔통과구(120)를 통하여 레이저빔을 방출하는 레이저모듈(220);
    상기 레이저모듈(2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0); 및,
    상기 전원공급부(230)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ON/OFF 스위치(24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4. 제3항에서,
    상기 레이저빔발생부(200)에는,
    상기 모듈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모듈(22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50); 및,
    상기 기울기센서(250)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각도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23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상기 레이저모듈(220)의 작동을 멈추는 제어용회로기판(26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빔통과구(120)와 상기 레이저모듈(220)은 각각 2개씩 구비되되, 골프공의 직경보다 먼 거리만큼 좌우 양측으로 이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6. 제5항에서,
    상기 모듈케이스(210)의 상부 중앙에 상기 레이저모듈(220)이 1개 더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7. 제5항에서,
    상기 모듈케이스(210)의 전면으로 돌출된 가이드핀(211);
    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핀(211)이 상기 빔통과구(12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8. 제5항에서,
    상기 모듈케이스(210)의 양측면을 따라 절개된 안내홈(212); 및,
    상기 케이스수납부(110)에 상기 안내홈(212)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212)에 수납되는 안내레일(112);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9. 제5항에서,
    상기 모듈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수납부(110) 가운데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금속편(11)이 부착되고, 나머지 하나의 일측면에는 자석(22)이 부착되어 상기 모듈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수납부(110)는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10. 제4항에서,
    상기 레이저모듈(220)은 상기 제어용회로기판(260)에 부착되되,
    상기 레이저모듈(220)은 상기 제어용회로기판(260)에 원주상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나사(33)에 의하여 상기 제어용회로기판(260)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저모듈(220)과 상기 제어용회로기판(260)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하는 간격용오링(4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11. 제4항에서,
    상기 제어용회로기판(260)에 연결되고 상기 모듈케이스(2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멈추기 직전이나 상기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시작하기 직전에 점멸을 반복하는 경고등(27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12. 제4항에서,
    상기 제어용회로기판(26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멈추기 직전이나 상기 레이저모듈(220)이 작동을 시작하기 직전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28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13. 제5항에서,
    상기 모듈케이스(2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평기울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수평게이지(29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14. 제7항에서,
    상기 가이드핀(211)에는 완충용오링(55)이 삽입되어 상기 모듈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수납부(11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터.
KR1020080096035A 2008-02-05 2008-09-30 골프용 퍼터 KR20100036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035A KR20100036689A (ko) 2008-09-30 2008-09-30 골프용 퍼터
PCT/KR2009/000564 WO2009099304A2 (ko) 2008-02-05 2009-02-05 골프용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035A KR20100036689A (ko) 2008-09-30 2008-09-30 골프용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689A true KR20100036689A (ko) 2010-04-08

Family

ID=4221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035A KR20100036689A (ko) 2008-02-05 2008-09-30 골프용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6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7084A (zh) * 2010-08-27 2010-12-29 北方工业大学 高尔夫球练习杆
WO2012177079A2 (ko) * 2011-06-22 2012-12-27 (주) 골프존 골프 클럽, 이에 구비되는 그립 및 전원 제어장치와, 골프 클럽에 장착된 전자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WO2017217698A1 (ko) * 2016-06-16 2017-12-21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비접촉식 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7084A (zh) * 2010-08-27 2010-12-29 北方工业大学 高尔夫球练习杆
CN101927084B (zh) * 2010-08-27 2012-07-04 北方工业大学 高尔夫球练习杆
WO2012177079A2 (ko) * 2011-06-22 2012-12-27 (주) 골프존 골프 클럽, 이에 구비되는 그립 및 전원 제어장치와, 골프 클럽에 장착된 전자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WO2012177079A3 (ko) * 2011-06-22 2013-04-04 (주) 골프존 골프 클럽, 이에 구비되는 그립 및 전원 제어장치와, 골프 클럽에 장착된 전자장치의 전원 제어방법
WO2017217698A1 (ko) * 2016-06-16 2017-12-21 오진우 골프장 그린의 비접촉식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392B1 (en) A training aid for a golfer
US6371864B1 (en) Alignment device for golf putting practices
US20070167248A1 (en) Golf putter with laser
US5193812A (en) Golf club with laser alignment system
KR20100036689A (ko) 골프용 퍼터
KR101478020B1 (ko) 스윙 궤도 교정 기능을 갖는 골프용 라인 표시장치
KR100802167B1 (ko) 레이저 라인 표시가 가능한 골프티
US6458038B1 (en) Golf putting indication device
US10912980B2 (en) Golf training apparatus
JP6670505B2 (ja) ゴルフクラブ用レーザ放射装置及びゴルフクラブ
JP2005537892A (ja) ゴルフクラブおよび練習装置
KR100789476B1 (ko) 골프용 레이저 지시장치
JP2016104073A (ja) ゴルフ用パッティング練習器具
US6872150B2 (en) Putting practice kit and method
US6923728B1 (en) Golf club face impact alignment device
KR101464717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골프 연습장치
KR100826290B1 (ko) 퍼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골프용 퍼터
US8303427B1 (en) Golf putting practice aid assembly
KR100879642B1 (ko) 골프 연습기
KR100662047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WO2009099304A2 (ko) 골프용 퍼터
KR101378420B1 (ko) 골프용 방향지시 장치
KR200377871Y1 (ko) 골프퍼터의 퍼팅연습용 방향지시 광선장치
KR200167331Y1 (ko) 광 퍼터
KR200195427Y1 (ko) 골프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