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537A -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537A
KR20100036537A KR1020080095804A KR20080095804A KR20100036537A KR 20100036537 A KR20100036537 A KR 20100036537A KR 1020080095804 A KR1020080095804 A KR 1020080095804A KR 20080095804 A KR20080095804 A KR 20080095804A KR 20100036537 A KR20100036537 A KR 2010003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erver
posted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267B1 (ko
Inventor
강형모
정주형
이경호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모션
Priority to KR102008009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2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로부터 게시할 상품의 상품 데이터를 상품 등록화면을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상품의 게시요청을 입력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데이터 및 상기 상품의 게시요청을 수신하는 서버 및 사용자 정보 및 상품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의 게시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데이터를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형식의 상품 기본 정보로 변환하고, 인터넷상에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상품 기본 정보를 게시화면 형태의 게시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상거래, 전자게시판

Description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전자 게시판에 게시되는 게시물 내에 삽입되어 상품 판매 및 구매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품의 등록, 검색, 정보 수집, 구매 결정 및 결제의 절차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활발한 전자 상거래를 촉진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상거래란 인터넷이나 통신망을 통해 전자화로 진행되는 상거래를 의미하며, 최근에는 주로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를 가리킨다. 최근 인터넷상에 가상 상점을 구축하고 물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버 쇼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조사기관에 따르면 전자 상거래 시장은 2003년 1조 6천억 달러에서 2007년 5.5배 확장된 8조 8천억 달러로 추정되며, 2008년에는 11조 7천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종래의 전자 상거래 환경은 오프라인 기반의 상거래를 단순히 온라인 기반의 상거래로 전환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다시 말해, 오프라인으로 할 수 있는 상거래를 단순히 온라인 상거래로 형상화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명과 가격이 구매 정보의 전부였고, 기껏해야 사이버 쇼핑몰을 몇 군데 선정하여 사이버 쇼핑몰끼리의 가격 비교에 만족해야 했다.
근래에는 인터넷 카페와 블로그의 활성화에 힘입어, 해당 제품에 관련된 사용 후기, 관련 동영상 및 사진 등을 통하여 제품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구매자는 수많은 전문가 및 개인 사용자와의 정보 공유가 가능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쇼핑몰에서 합리적인 가격과 제품 사양 등의 자신의 구매 계획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품 선택에 이르기까지 정보를 수집할 때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러한 절차는 일반적으로 여러 쇼핑몰에 일일이 접근하여 정보를 확인하고, 누리꾼(netizen)들의 사용 후기 등을 참고하고, 신뢰도 높은 사용 후기 등을 추려내고, 당해 제품과 관련된 인터넷 카페나 커뮤니티를 검색하고, 관련된 인터넷 카페나 커뮤니티 상의 게시글을 확인하기 위해서 가입 절차와 승인을 거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에는 가입 절차를 거쳐 승인을 받은 뒤, 판매 상품을 게시하기 위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하여 쇼핑몰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사항들을 입력하고, 상품에 관한 콘텐츠 역시 제공해야 했으므로, 사용자들의 전자 상거래로의 진입 장벽이 높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판매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간소화된 상품 등록을 가능하게 하고, 손쉽게 검색되는 전자 게시물 내에 상품 정보, 상품 관련 정보, 타 판매자 정보, 관련 상품 등을 삽입하여 즉각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상품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품입력필드를 제공하여 상기 상품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및 인터넷상에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 게시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적합한 상품 기본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상품 기본정보를 전자 게시물에 적합한 형태로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종래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 등록이 간편해진다. 예컨대, 아이디와 보안번호 등의 간단한 사용자 정보만 입력하면 가입승인절차 를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로, 상품의 판매 절차가 간소화된다. 판매할 상품을 등록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상품명, 상품 가격, 키워드 등의 필수 기본 정보만 입력하도록 하여 상품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로, 상품의 구매 절차가 간단해진다. 일반적으로 구매할 상품을 포털 사이트 등에서 검색하면, 관련 상품에 관하여 언급된 게시물이 검색된다. 검색된 게시물 내에는 상품의 명칭, 가격 등의 기본 정보, 상품과 관련된 사용 후기, 이미지, 동영상 등의 상품 관련 정보,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리스트, 상품과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 등의 리스트를 상기 게시물 상에서 한눈에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한 상품을 상기 게시물 상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로, 상품과 관련된 부가 정보들을 한 번에 제공한다. 종래에는 상품을 검색한 뒤, 사용 후기와 실제 이미지 등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많은 웹 페이지들을 탐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품의 기본 정보, 상품의 관련 정보, 판매자 리스트, 동일 카테고리 상품 리스트 등을 하나의 창에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웹사이트의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그인 창, 검색창 및 거래/흥정 창, 결제창 등을 삽입하여 해당 게시물 내에서 모든 쇼핑을 한 번에 끝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한다. 즉, 신뢰성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그러한 부가 정보들의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나열하여 구매자의 탐색시간을 경감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게시할 상품의 상품 데이터를 상품 등록화면을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상품의 게시요청을 입력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10a;10b)로부터 상기 상품 데이터 및 상기 상품의 게시요청을 수신하는 서버(20) 및 사용자 정보 및 상품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a;10b)로부터 수신된 상품의 게시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데이터를 웹 서버(30)에 게시가능한 형식의 상품 기본 정보로 변환하고, 인터넷상에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하여, 상기 상품 기본 정보를 게시화면 형태의 게시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10a;10b)과 연결되는 서버(20) 및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100)으로서 일반적인 전자 상거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는 판매자나 구매자 혹은 판매자와 구매자 둘 다일 수 있다.
상기 서버(20)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10a;10b)을 통하여 입력한 사용 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서버(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증된 이후, 상품의 판매나 구매 절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로 요구되는 데이터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20)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서 이메일과 보안정보 등 최소한의 정보를 요구한다. 이는 전자 상거래 활동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품을 판매하고자 할 경우, 입력해야 할 상품 데이터 역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최소한의 입력 정보를 요구한다. 즉, 판매자로 하여금 상품명, 상품의 카테고리, 상품의 가격 및 키워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상품 등록 절차를 간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품 관련 정보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품 데이터, 상품과 관련된 미디어 정보,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리스트, 판매 상품의 평균 시세 가격, 상품과 상호 연관되는 상품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인터넷상에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상기 웹 서버는 통상적으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모든 웹 서버를 지칭한다. 상세하게는 카페, 블로그와 같이 전자 게시물을 포함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웹 서버를 뜻하며, 상기 전자 게시판의 예로는 네이버(NAVER)나 다음(DAUM)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운영되는 카페, 블로그 등에 포함되는 전자 게시판을 들 수 있다.
상기 판매자는 상기 서버(20)에 등록되는 상품을 상기 전자 게시판에 게시할 수 있다. 전자 게시판에 게시하는 절차 또한 매우 간소화되어 있다. 상기 서버(20) 에 상품을 등록하면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데이터의 위치가 표시된다. 예컨대, 'http://www.3s.co.kr/sexyflash/321adoejqlpoa!1f21' 과 같은 등록 상품 주소가 생성된다. 판매자는 상기 등록 상품 주소를 직접 복사하여 쪽지, 메신저 및 이메일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이용하거나, 인터넷상의 전자 게시판 내에서 게시글을 작성할 때 코드 형식으로 삽입하여, 게시물 내에 상품 정보 창이 직접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드 형식으로의 삽입은 종래의 플래시 임베드 기술을 이용하여 객체를 복사한 뒤 붙여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전자 게시판의 형식에 맞추어 상품이 등록 및 게시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자 게시판 목록을 선택하여 게시할 수 있다. 즉, 전자 게시판에 따라 다른 크기와 형식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서버(20)는 게시물의 형식에 맞도록 상품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한다. 이는, 게시할 전자 게시판 목록을 단순히 선택하기만 함으로써, 다양한 전자 게시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규격 기준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품 기본 정보는 변환된 상품 데이터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품 정보 및 게시판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서버(20)에서 제공하는 상품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품과 관련된 부가 정보란 상품 등록 일시, 정보 갱신 일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상품 기본 정보는 게시화면 형태의 게시물로 디스플레이되는데, 상품을 동일한 카테고리, 키워드, 태그, 검색어 등으로 그룹화함으로써, 상기 게시물 상에 서의 검색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상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미디어 서버(40)에서 상품과 관련된 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 선별 후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미디어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카운터 서버(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20)는 상기 정렬된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웹 서버(30)에 게시가능한 형식의 상품 미디어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상품 미디어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40)는 상기 등록된 상품에 관한 미디어 정보를 운영한다. 예컨대, 상기 미디어 서버(40)에는 일반적으로 구글(GOOGLE)과 같은 검색 웹사이트나, 네이버(NAVER)와 같은 포털 사이트가 있다. 미디어 정보란 상기 상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의 사용 후기, 댓글뿐만 아니라 상기 상품의 이미지, 상기 상품을 실시하는 동영상 자료 등을 모두 포괄한다.
한편, 상기 게시화면이란, 화면에 표시된 전자 게시물의 구성을 의미한다. 즉, 전자 게시물의 구성에 따라 상기 상품 미디어 정보가 달리 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전술했듯이, 게시화면의 크기, 해상도, 그리기 도구, 레이아웃 등이 그 예이다.
상기 미디어 정보는 상기 카운터 서버(50)에 의해 검색, 선별 및 정렬된다. 상기 카운터 서버(5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상품의 명칭 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40)로부터 상품과 관련된 각종 미디어 정보들을 검색한다. 상기 검색, 선별 및 정렬은 형태소 분석 및 연관 검색과 같은 전문적인 기법이 사용되며, 이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정렬된 상기 미디어 정보는 웹 서버가 운영하는 전자 게시판에 게시가능한 형태로 상기 서버(20)에 의해 상품 미디어 정보로 변환되고, 상기 상품 미디어 정보가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된다. 상기 전자 게시판에 게시가능한 형태에는 제한이 없지만, 플래시 포맷에 기반한 임베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시(Flash)란 벡터 도형 처리 기반의 애니메이션 저작용 소프트웨어로서, 전화면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 그래픽 도해 설명(illustration), 그리고 일반 모뎀을 통해 전송되는 반 에일리어싱 파일의 단순한 상호 작용 등이 수반된다.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화면 크기와 해상도로 인해 그래픽 제작이 가능하며, GIF나 제이펙(JPEG)과 달리 간결하고 효율적이며 전송에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비트맵이나 도해 설명 도구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특수 효과, 음향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임베드 방식이란 상기 전자 게시판 내에 상품 기본 정보, 상품 미디어 정보 등이 다층으로 배열된 상기 플래시를 삽입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서버(20)가 상기 미디어 정보를 변환할 때,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함께 연관되어 게시된다. 게시되는 방법은, 도 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의 레이어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내용이 표시된 라벨을 선택함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관련 정 보는 타 사용자의 상품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게시할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타 사용자의 상품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웹 서버(30)에 게시가능한 타 판매자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타 판매자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한다.
판매자는 각종 포털 사이트의 카페, 블로그 등의 게시물에 상품을 게시하는데, 구매자의 측에서는 상품을 검색할 때 상기 상품에 대한 다양한 판매자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서버(20)에 등록된 판매자들의 상품 등록 정보 리스트를 판매자가 게시할 전자 게시판에 적합한 형태로 상기 서버(20)에 의해 판매자 게시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한다.
예컨대, 구매자가 'A' 라는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판매자가 'A' 라는 포털 사이트의 카페를 통해 게시한 상품 정보를 열람하고 있다면, 다른 판매자가 'B' 라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 게시한 상품 정보 역시 상기 구매자에게 노출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판매자들의 상품 노출 빈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매자가 판매자들의 게시된 상품 정보들을 열람하면, 판매자 측에서도 게시된 자신의 상품 정보의 노출 빈도를 알 수 있다.
상기 판매자 게시정보는 일반적으로 상품의 간략한 이미지와 판매 가격 및 판매자가 게시한 전자 게시판의 출처 등을 표시한 리스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스트는 판매자의 신용 평가 등을 활용한 평점에 따라 정렬될 수 있으며, 판매 가격에 의해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매자는 상기 리스트를 선택하여 다른 판매자가 게시한 전자 게시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디어 정보와 마찬가지로 상기 판매자 게시정보는 상기 서버(20)가 상기 상품 기본정보를 변환할 때, 상기 상품 기본정보와 함께 변환되어 게시된다. 게시되는 방법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의 레이어로 배열되고, 내용이 표시된 라벨을 선택함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는 상호 연관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게시된 상품과 연관된 상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웹 서버(30)에 게시가능한 연관 상품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연관 상품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한다.
상기 상품과 연관되는 상품이란 상기 상품을 통하여 연상할 수 있는 상품을 말하는데, 즉, 상기 상품과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상품 또는 함께 사용될 시 그 효과가 증대되는 상품 등을 말한다. '16GB 용량의 아이팟'의 연관되는 상품으로는 블루투스 헤드폰, 아이팟 전용 스피커 또는 32GB 용량의 아이팟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예로 든 상품들에 관한 상품 데이터는 상기 서버(20)에 의해 연관상품 정보로 변환되어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되는데, 상기 연관상품 정보란 상기 상품과 연관되는 상품 데이터 중에서 상기 웹 서버(30)로 전송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생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디어 정보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관상품 정보는 상기 서 버(20)가 상기 상품 기본정보를 변환할 때, 상기 상품 기본정보와 함께 변환되어 게시될 수 있다. 게시되는 방법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의 레이어로 배열되고, 내용이 표시된 라벨을 선택함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는 상품 가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게시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가격 정보를 검색하여 평균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 가격을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평균 가격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3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평균 가격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한다.
구매의 편의성을 위해서, 상품의 평균 시세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른 판매자들이 판매하는 동일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는 앞선 판매자 게시정보에서 제공될 수 있으나, 평균 시세가 먼저 제공됨으로써, 구매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디어 정보와 마찬가지로 상기 평균 가격정보는 상기 서버(20)가 상기 상품 기본정보를 변환할 때, 상기 상품 기본정보와 함께 변환되어 게시될 수 있다. 게시되는 방법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의 레이어로 배열되고, 내용이 표시된 라벨을 선택함에 따라 화면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 전자 상거래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의 판매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의 구매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판매 절차와 구매 절차로 구분된다. 판매자와 구매자를 포함한 사용자는 양자의 구분 없이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단계 S 100)를 가진다. 판매 절차는 판매 상품 등록 단계(단계 S 200)와 상품 게시 단계(단계 S 300)로 세분되며, 구매 절차는 구매 상품 검색 단계(단계 S 400)와 구매 상품 결제 단계(단계 S 500)로 세분된다.
또한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매자 단계의 판매 상품 등록 단계(단계 S 200)는 상품 기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10), 상품 상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20) 및 상품 정보 등록 단계(단계 S 230)로 세분되고, 판매자 단계의 상품 게시 단계(단계 S 300)는 게시 요청 단계(단계 S 310), 게시 방법 선택 단계(단계 S 320) 및 웹 서버로 게시 데이터 송신 단계(단계 S 330)로 세분 가능하다.
또한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매자 단계의 구매 상품 검색 단계(단계 S 400)는 상품 단순 검색 단계(단계 S 410) 및 상품 정보 열람 단계(단계 S 420)로 세분 가능하다.
이하 상기 각 단계를 개조식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1) 사용자 등록 단계(단계 S 100)
본 단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상거래에 진입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참여를 유도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주민등 록번호와 이름을 입력하는 실명 인증 단계를 통과한 후, 사용할 아이디 및 보안정보로 이메일 정보 및 비밀번호 정보만을 입력하면, 곧바로 상품을 판매하거나 구매할 수 있게 된다. 환원하면, 시작 단계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입력하도록 하고, 그 이후 거래가 성사되면 최소한의 필요한 항목을 추가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품의 구매자는 반드시 상기 사용자 등록 단계(단계 S 100)를 거칠 필요는 없지만, 판매자로부터의 불이익을 방지하고 구매자로서의 권리를 보호받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 등록 단계(단계 S 100)를 거친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구매하고, 자신도 또한 사용자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판매 상품 등록 단계(단계 S 200)
본 단계는 상품 기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10), 상품 상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20) 및 상품 정보 등록 단계(단계 S 230)로 세분 가능하다.
도 5 는 본 발명의 상품 등록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상품 등록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기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10)에서는 상품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판매 금액을 입력하도록 한다. 예컨대, 남성용 캐주얼점퍼를 판매하고자 할 경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 상자에서 남성의류, 자켓/점퍼/코트, 캐주얼점퍼 순으로 선택하면 카테고리 선택이 완료된다. 이후 판매 금액 설정란에 판매할 금액을 입력하도록 한다. 만일 상품을 경매에 부칠 경우에는 판매 금액의 상한선이나 하한 선을 입력하거나 입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상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20)에서는 상품에 대한 자세한 이미지를 첨부하거나 상품에 관한 판매자의 부가 설명을 작성할 수 있다. 이미지 등록이나 부가 설명의 작성 등은 기설정된 템플릿 등의 양식이나 업로드 모듈 등을 이용하여 빠르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단계(단계 S 230)에서는 도 5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완료 버튼을 선택하여 상품의 기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서버(20)는 수신된 상품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다.
아울러 키워드를 설정하는 것은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자에게 노출하는데 유리하므로 상기 상품 기본 정보 입력 단계(단계 S 210)에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의 키워드를 통해 판매자의 상품 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 측 관리자로부터 검열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부적절한 키워드 입력시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 상품 게시 단계(단계 S 300)
본 단계는 게시 요청 단계(단계 S 310), 게시 방법 선택 단계(단계 S 320) 및 웹 서버(30)로 게시 데이터 송신 단계(단계 S 330)로 세분 가능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상품 게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상품 기본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단계(단계 S 230)에서 완료 버튼을 누르면 상기 게시 요청 단계(단계 S 310) 화면이 도 7 과 같이 나타난다.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등록된 웹주소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웹주소를 이용하여 카페나 블로그 등의 전자 게시판에서 게시물을 작성할 때 하이퍼링크를 걸어두거나 게시물 내에 플래시로서 삽입되도록 직접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링크가 웹주소 형태로 제공될 경우, 쪽지, 메신저, 이메일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정보의 빠른 확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플래시로서 삽입될 경우 사용자가 작성한 상품 정보와 게시할 대상인 전자 게시판의 호환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게시 장소를 선택하여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네이버,다음'을 선택하고 '퍼가기'버튼을 누르면 '네이버' 게시판과 '다음' 게시판에 자신이 작성한 상품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모든 전자 게시판의 특성이 동일하지는 않으므로, 화면 비, 해상도 등의 특성에 따라 게시 장소가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게시되는 상품 정보는 도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품에 관한 이미지, 판매가격, 판매자 정보 등을 담고 있는 화면으로 게시되는 것이 가능하며,상기 상품 정보는 '상품 정보' 탭으로 표시가능한 다층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결제창, 거래/흥정 창, 로그인 창 및 배송 조회 창 등을 구성하 여, 상품 정보 검색부터 결제 및 배송 조회까지 모두 하나의 게시물에서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특정한 웹 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도 쇼핑의 모든 절차를 하나의 게시물 내에서 끝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버(20)가 전자 게시물에 상품을 게시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래시 기반의 임베드 기술이 활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매 상품 등록 단계(단계 S 200)에서 등록된 정보는 상기 서버(20)에 의해 플래시 기술 기반의 임베드 기법에 의해 플래시 정보로 변경되고, 상기 플래시 정보는 상기 전자 게시물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래시 기술 기반의 임베드 기법을 활용하여 인터넷상의 무수히 많은 전자게시판 내에 게시물을 삽입함으로써, 게시물을 이용하는 수많은 사용자들이 상품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게시물들은 스크랩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블로그나 카페로 옮겨질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의 자발적인 스크랩에 의한 확산의 효과가 현저히 크므로 효과적으로 상품을 홍보하고, 나아가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게 된다. 스크랩이란 전자 게시판에서 제공하는 스크랩 버튼을 선택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자신의 블로그나 자신이 가입되어 있는 카페 등에 게시되는 것을 말한다. 그 밖에도 상품의 고유 웹주소가 제공되므로, 누구든지 웹주소를 복사하여 게시하고자 하는 게시판에 게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구매 상품 검색 단계(단계 S 400)
본 단계는 상품 단순 검색 단계(단계 S 410) 및 상품 정보 열람 단계(단계 S 420)로 세분 가능하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상품 관련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다른 판매자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단순 검색 단계(단계 S 410)에서는 검색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검색한다. 일반적으로 검색 사이트는 카페나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수의 구매자가 접근 가능한 포털 사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구매자가 상품에 관한 검색을 위해 단순히 상품명이나 상품 사양과 같은 키워드를 입력하기만 하면 상기 검색 사이트는 다양한 카페나 블로그 등의 전자 게시물 리스트 등을 제시한다. 전자 게시물 리스트에는 상기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과 관련된 게시글들이 포함되어 있다.
구매자가 상기 게시글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게시글에 연결되면, 도 8 에 제시된 것과 같은 상품 기본 정보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기본 정보 화면에는 판매가격을 비롯하여 판매자가 게시한 상품의 이미지와 상품 설명 등을 열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제, 문의, 흥정 등을 위한 버튼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품의 구매 절차가 간단해진다.
일반적으로 구매할 상품을 포털 사이트 등에서 검색하면, 관련 상품에 관하여 언급된 게시물이 검색된다. 검색된 게시물 내에는 상품의 명칭, 가격 등의 기본 정보, 상품과 관련된 사용 후기, 이미지, 동영상 등의 상품 관련 정보, 동일한 상 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리스트, 상품과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 등의 리스트를 상기 게시물 상에서 한눈에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한 상품을 상기 게시물 상에서 바로 결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9 및 도 10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열람 단계(단계 S 420)에서는 상기 상품 기본 정보 화면과 도 9 의 상품 관련 정보 화면, 도 10 의 다른 판매자 정보 화면 및 관련 상품 정보 화면(미도시)과 함께 다층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게시판에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검색창이 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품 관련 정보 화면은 상품에 관하여 작성된 사용 후기와 사용 동영상, 관련 이미지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한다. 구매자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 화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 구매 결정을 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관련 정보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서버(20)는 판매자와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40)로부터 미디어 자료를 검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디어 서버(40)는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나 '유튜브'와 같이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s; UCC)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40)로부터 검색된 미디어 자료는 카운터 서버(50)를 통해 가공된다. 예컨대, 상기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검색창에서 '아이팟 터치'라는 검색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서버(20)는 상기 검색어를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40)로 전송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40)는 '아이팟 터치' 와 관련되는 자료들을 검색하여 상기 카운터 서버(50)로 전송하면, 상기 카운터 서버(50)는 클릭 수, 태그/제목과의 연관성 비교 등을 이용하여 연관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자료들에 우선 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검색된 자료들을 중요도 등에 따라 재배열한다. 재배열된 상기 자료들은 상기 서버(20)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20)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 화면에 재배열된 상기 자료들을 표시한다. 재검색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자료들이 갱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품 관련 정보가 반드시 구매자에 의한 검색에 의해 배열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20)가 판매자의 상품 게시 요청 단계(단계 S 300)에서 판매자가 입력한 제목이나 키워드를 통하여 자동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매자가 상품을 게시할 때 상기 전자 게시물에 게시되는 정보는 상품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서버(20)에 의해 자동 검색 및 재배열된 상기 미디어 자료들을 함께 게시함으로써 판매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한편, 다른 판매자 정보 화면은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의 정보를 나타내며, 상세하게는 상기 동일한 상품은 중고 상품도 가능하다. 예컨대, '네이버'가 제공하는 카페의 게시물을 통해 상품을 접한 구매자가 '엠파스'에서 게시한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보고 싶다면, 종래에는 '엠파스'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고, 가입 및 승인 절차를 거쳐 카페 게시물에 접근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른 사이트에 게시한 다른 판매자들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매자 정보는 간략한 이미지와 상품 가격 등을 포함하 고, 판매 신뢰도에 따라 매겨진 점수를 통해 리스트가 재배열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들이 제시한 가격의 평균 가격 정보를 제시함으로써, 구매 결정을 도울 수도 있다. 다른 판매자 리스트를 클릭하면 상기 상품 기본 정보 화면이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연관 상품 정보 화면(미도시)은 상품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다른 상품들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한다. 예컨대, '32GB 용량의 아이팟' 이라는 상품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상품이란 '아이팟 전용 스피커','블루투스 헤드셋' 및 '16GB 용량의 아이팟'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구매자는 상품 구매를 위해 다수의 웹 페이지를 탐색할 필요없이, 단 한 번의 검색만으로 다양한 양질의 상품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구매 상품 결제 단계(단계 S 500)
본 단계는 상품 구매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결제 방법을 활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매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에스크로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다. 에스크로 서비스란 전자 상거래 등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중개 서비스 회사가 개입해 상품 인도와 대금 지불을 대행해 주는 서비스이다. 즉, 거래가 성립하면 구매자는 중개 서비스 회사에 대금을 지불하고 중개 서비스 회사가 판매자에게 그것을 통지하면 판매자가 상품을 구매자에게 발송한다. 상품이 구매자에게 도착해 구매 확정 확인을 받으면 비로소 중개 서비스 회사가 판매자에게 대금을 지 급한다.
상기 기술한 내용 이외에도, 상기 전자 게시물 내에는 사용자 로그인 창을 삽입하여 상기 서버(20)로의 접속 및 가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결제 정보 및 배송 정보, 또는 판매자 정보 및 구매자 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판매자 정보로는 판매자의 판매 현황, 판매 신용지수 등을 열람할 수 있고, 구매자 정보로는 구매자의 구매 성향 등을 열람할 수 있다. 아울러, 구매자의 구매 성향 정보는 상기 연관 상품 정보, 상기 상품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고 리스트를 정렬할 때 반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의 판매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전자 상거래 방법의 구매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상품 등록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상품 등록 화면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상품 게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상품 기본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상품 관련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다른 판매자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된 연관 상품 정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판매자 단말(s) 10b; 구매자 단말(c)
20; 서버(S) 30; 웹 서버(W)
40; 미디어 서버(M) 50; 카운터 서버(C)
DB;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로부터 게시할 상품의 상품 데이터를 상품 등록화면을 통하여 입력받고 상기 상품의 게시요청을 입력받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 데이터 및 상기 상품의 게시요청을 수신하는 서버 및
    사용자 정보 및 상품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품의 게시요청에 따라 상기 상품 데이터를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형식의 상품 기본 정보로 변환하고, 인터넷상에서 전자 게시판을 운영하는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상품 기본 정보를 게시화면 형태의 게시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의 검색이 가능한 미디어 서버에서 상품과 관련된 미디어 정보를 검색하여 선별 후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미디어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카운터 서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정렬된 미디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형식의 상품 미디어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상품 미디어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는 타 사용자의 상품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게시할 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타 사용자의 상품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타 판매자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타 판매자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는 상호 연관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게시된 상품과 연관된 상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연관 상품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연관 상품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관련 정보는 상품 가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게시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가격 정보를 검색하여 평균 가격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 가격을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평균 가격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평균 가격 정보를 상기 게시화면에 상기 상품 기본 정보와 연관되어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6. 전자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 입력 필드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 데이터를 등록하도록 하는 판매 상품 등록 단계;
    상기 상품 정보 입력을 완료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전송된 상품 게시요청 및 상품 데이터에 따라 웹 서버의 전자 게시판에 게시물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게시하도록 하는 상품 게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게시 단계는,
    상기 상품 데이터를 웹 서버에 게시가능한 형식의 상품 기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상품 기본 정보를 게시화면 형태의 게시물로 상기 웹 서버의 전자 게시판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화면에는 상기 상품 기본 정보에 연관되어 상품의 상세 정보가 게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상세 정보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미디어 정보, 타 판매자 정보, 상기 상품과 연관성 있는 연관 상품 정보 및 평균 가격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화면에는 상품 결제창이 포함되며, 상기 결제창을 통하여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방법.
KR1020080095804A 2008-09-30 2008-09-30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3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804A KR101043267B1 (ko) 2008-09-30 2008-09-30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804A KR101043267B1 (ko) 2008-09-30 2008-09-30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37A true KR20100036537A (ko) 2010-04-08
KR101043267B1 KR101043267B1 (ko) 2011-06-21

Family

ID=4221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804A KR101043267B1 (ko) 2008-09-30 2008-09-30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2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274B1 (ko) * 2015-12-14 2017-03-08 채수완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527255A (zh) * 2016-06-22 2017-12-29 株式会社Crefun 对模块化的个别产品的基于内容的产品销售便利提供方法
KR102219235B1 (ko) * 2020-07-28 2021-02-24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8009B1 (ko) * 2021-02-17 2021-03-15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품 판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205A1 (ko) * 2020-01-09 2021-07-15 모비두 주식회사 라이브 방송 중 상품 등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방송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99A (ko) * 2001-03-17 2001-06-05 류재호 웹게시기능을 이용한 다목적 홈페이지 구축과 관리방법
KR100861119B1 (ko) * 2002-05-22 2008-09-30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전자상거래를 위한 쇼핑몰에서의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20060086658A (ko) * 2005-01-27 2006-08-01 (주)노트밸리 가격비교 연동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쇼핑몰 시스템 간정보 공유 방법
KR20060005327A (ko) * 2005-12-30 2006-01-17 구현사 다른 인터넷쇼핑몰과의의 수수료나 판매마진의 차이를할인액으로 하여 판매하는 상품집중형 인터넷쇼핑몰구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274B1 (ko) * 2015-12-14 2017-03-08 채수완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527255A (zh) * 2016-06-22 2017-12-29 株式会社Crefun 对模块化的个别产品的基于内容的产品销售便利提供方法
KR102219235B1 (ko) * 2020-07-28 2021-02-24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8009B1 (ko) * 2021-02-17 2021-03-15 주식회사 산우 상품 판매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품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267B1 (ko)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8452691B2 (en) System, program product, and methods for online image handling
KR10135531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84125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matching of consumers and retailers
US20100281364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Portable Universal Profile
US20130054335A1 (en) Mobile platform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deals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20140100990A1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review text output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36364A1 (en) Configuring and displaying interaction information within user interfaces
US10445793B2 (en) Review text output system and review text output method
KR101979237B1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10831A (ko) 상품 구매에 대한 이용 후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이용 후기 관리 서버, 그 기록매체
KR20080030202A (ko) 블로그를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홍보 방법 및 상품 판매 시스템
JP4992088B2 (ja) ウェブサーバ装置、ウェブページ管理方法、およびウェブサーバプログラム
KR20170019394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59141A (ko) 통합 장바구니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공유 및 선물하기 제공 방법
JP2005196347A (ja) 電子店舗取引システム
KR20170109512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2175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5333A (ko) 상품 판매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4355A (ko) 사용자 제작 콘텐츠 거래 방법 및 시스템
TWM635937U (zh) 電子商務設備
KR20020003056A (ko) 전자 상거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