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041A - 모니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041A
KR20100036041A KR1020080095472A KR20080095472A KR20100036041A KR 20100036041 A KR20100036041 A KR 20100036041A KR 1020080095472 A KR1020080095472 A KR 1020080095472A KR 20080095472 A KR20080095472 A KR 20080095472A KR 20100036041 A KR20100036041 A KR 2010003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determining whether
time
holiday
screen s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448B1 (ko
Inventor
백상기
Original Assignee
백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기 filed Critical 백상기
Priority to KR102008009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4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고, 산업현장에서 설치되어 이용되는 모니터를 설정내용에 따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기를 절약하고 수명을 증대시키는 모니터 관리방법으로, 이 방법은 오늘이 상기 공휴일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6; 오늘이 공휴일이 아니라면 주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7; 시간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8; 현재 시각이 근무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9를 진행하고, 근무시간이라면 해제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0; 상기 스텝 6에서 오늘이 공휴일이라면,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1; 상기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다면 화면보호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2; 상기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다면, 해당된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스텝 13;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4;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다면 작업화면으로 복귀하는 스텝 15; 상기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모니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모니터를 끄고 상기 스텝 14로 분기하는 스텝 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니터, 모니터관리방법

Description

모니터 관리 방법{monitor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모니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가능하고, 산업현장에서 설치되어 이용되는 모니터를 설정내용에 따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전기를 절약하고 수명을 증대시키는 모니터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매우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는 컴퓨터에는 사용자에게 그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컴퓨터에는 기본적으로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일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설정된 동영상이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화면보호기가 설치되거나 이용되는 이유는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하고, 동일한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모니터 관련 부품의 훼손을 방지하며, 외부인의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종래의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의 동작흐름을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화면 보호기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0), 사용자의 입력대기시간을 체크하는 제2단계(S200), 입력대기시간이 설정시간보다 크거나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S300)를 차례로 진행한다.
입력대기시간이 설정시간보다 작을 경우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S500),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으면 입력대기시간을 초기화하고 제1단계로 분기하는 제5단계(S600)를 차례로 수행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대기시간이 설정시간보다 크거나 동일하다면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제6단계(S700),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7단계(S800),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였다면 화면보호기프로그램의 동작을 중단하고 기존화면으로 복귀하는 제8단계(S900)를 차례로 진행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을 산업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첫째, 산업현장에서는 사용주체인 작업자가 모니터를 직접 관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모니터들이 상시 켜져 있다.
둘째,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화면보호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설정한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없어야 하는데 산업현장에서는 이 입력이 없거나 매우 불규칙하다.
셋째, 화면보호기가 동작이 되고 있을 때 다시 모니터를 켜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하지만 이는 사용자의 불필요한 동작을 추가로 요구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모니터가 CRT형이든 LCD형이든 모니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가능하고, 산업현장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화면보호방법을 구현하며, 전력소비를 낮추면서도,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한 모니터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늘이 상기 공휴일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6; 오늘이 공휴일이 아니라면 주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7; 시간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8; 현재 시각이 근무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9를 진행하고, 근무시간이라면 해제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0; 상기 스텝 6에서 오늘이 공휴일이라면,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1; 상기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다면 화면보호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2; 상기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다면, 해당된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스텝 13;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4;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다면 작업화면으로 복귀하는 스텝 15; 상기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모니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 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모니터를 끄고 상기 스텝 14로 분기하는 스텝 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텝 16에서 모니터를 온오프하기 위한 하드웨어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턴오프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텝 10에서 판단결과가 참이라면 상기 스텝 15으로 분기하고, 상기 스텝 14에서 판단결과가 거짓이라면 상기 스텝 16으로 분기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모니터가 CRT형이든 LCD형이든 상관없이 적용가능하고, 산업현장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화면보호방법을 구현하며, 전력소비를 낮추면서도,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고, 참고로 본 발명은 저장장치와 연산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의 모니터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 설정화일을 저장장치내에서 자동으로 검색하는 스텝 1(S1000), 상기 설정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2(S1100)를 차례 로 진행한다.
스텝 2에서 설정화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서 해당 회사의 공휴일을 설정하는 스텝 3(S1200),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서 해당 직원의 근무시간을 설정하는 스텝 4(S1300)를 차례로 수행한 후 스텝 1로 분기한다.
스텝 2 에서 설정화일이 존재하면 공휴일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5(S1400), 오늘이 상기 공휴일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6(S1500), 오늘이 공휴일이 아니라면 주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7(S1600), 시간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8(S1700)을 차례로 진행한다.
현재 시각이 근무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9(S1800)를 진행하고, 근무시간이라면 해제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0(S1900)을 차례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6에서 오늘이 공휴일이라면,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1(S2000),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다면 화면보호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2(S2100)를 차례로 진행한다.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다면, 해당된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스텝 13(S2200),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4(S2300),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다면 작업화면으로 복귀하는 스텝 15(S2400)를 차례로 수행한다.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모니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모니터를 끄고 상기 스텝 14로 분기하는 스텝 16(S2500)을 진행한다.
상기 스텝 16에서 모니터를 온오프하는 방법은 윈도우즈시스템 내부의 전원공급차단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지만, 이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모니터를 직접 온오프시키기 위한 하드웨어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하드웨어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끄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텝 10에서 판단결과가 참이라면 상기 스텝 15으로 분기하고, 상기 스텝 14에서 판단결과가 거짓이라면 상기 스텝 16으로 분기한다.
도 1은 종래의 모니터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Claims (3)

  1. 저장장치와 연산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의 모니터를 관리하는 모니터관리방법에 있어서,
    모니터 설정화일을 저장장치내에서 자동으로 검색하는 스텝 1(S1000);
    상기 설정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2(S1100);
    상기 스텝 2에서 설정화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서 해당 회사의 공휴일을 설정하는 스텝 3(S1200);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서 해당 직원의 근무시간을 설정하는 스텝 4(S1300);
    상기 스텝 2에서 설정화일이 존재하면 공휴일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5(S1400);
    오늘이 상기 공휴일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6(S1500);
    오늘이 공휴일이 아니라면 주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7(S1600);
    시간 단위 데이터를 검색하는 스텝 8(S1700);
    현재 시각이 근무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9(S1800)를 진행하고, 근무시간이라면 해제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0(S1900);
    상기 스텝 6에서 오늘이 공휴일이라면,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1(S2000);
    상기 동작지연값이 현재 분 단위 시각보다 크거나 같다면 화면보호기가 설정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2(S2100);
    상기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다면, 해당된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스텝 13(S2200);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14(S2300);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발생하였다면 작업화면으로 복귀하는 스텝 15(S2400);
    상기 화면보호기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모니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모니터를 끄고 상기 스텝 14로 분기하는 스텝 16(S2500)을 포함하는 모니터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16에서 모니터를 온오프하기 위한 하드웨어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끄는 모니터관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10에서 판단결과가 참이라면 상기 스텝 15으로 분기하고, 상기 스텝 14에서 판단결과가 거짓이라면 상기 스텝 16으로 분기하는 모니터관리방법.
KR1020080095472A 2008-09-29 2008-09-29 모니터 관리 방법 KR100978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72A KR100978448B1 (ko) 2008-09-29 2008-09-29 모니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72A KR100978448B1 (ko) 2008-09-29 2008-09-29 모니터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041A true KR20100036041A (ko) 2010-04-07
KR100978448B1 KR100978448B1 (ko) 2010-08-26

Family

ID=4221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472A KR100978448B1 (ko) 2008-09-29 2008-09-29 모니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09B1 (ko) * 2012-05-31 2013-07-08 알서포트 주식회사 단말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088B1 (ko) * 1998-07-29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 전원 자동 차단방법
JP2001142600A (ja) 1999-11-15 2001-05-25 Canon Inc 多国語表示切替装置およびその切替方法
KR20040096110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전원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4521B1 (ko) * 2006-05-23 2008-08-26 송기섭 컴퓨터 전원 자동차단장치, 차단 방법 및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709B1 (ko) * 2012-05-31 2013-07-08 알서포트 주식회사 단말의 디스플레이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US9370076B2 (en) 2012-05-31 2016-06-14 Rsupport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supply of terminal and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448B1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001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a mobile terminal
KR102070174B1 (ko)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자동 조정
US200800282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9023738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ally powering on and powering off the same
KR101917638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방법
JP4819353B2 (ja) 表示装置
TW201316318A (zh) 電子裝置及其顯示幕亮度的調整方法
CN103631547A (zh) 移动终端屏幕的显示方法及装置
KR20070108816A (ko) 영상 표시 장치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EP4174626A1 (en)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0978448B1 (ko) 모니터 관리 방법
US20140015756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protective cover
US2012023604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6055069A (zh) 一种移动终端的省电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TWI420386B (zh) 雙屏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
KR101365231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030061410A1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clock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for use in the apparatus
KR2006009196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면 표시부 밝기 제어방법
JPS6353633A (ja) 表示制御装置
CN104267919B (zh) 拼接墙的电源控制方法和系统
JPH0659653A (ja) 画像表示装置
JPH05119873A (ja) コンピユータの電源自動切断方法
KR102152254B1 (ko) 디스플레이기의 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29217B1 (ko)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JP2898616B2 (ja) サスペンド/リジューム機能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