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860A -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860A
KR20100035860A KR1020080095224A KR20080095224A KR20100035860A KR 20100035860 A KR20100035860 A KR 20100035860A KR 1020080095224 A KR1020080095224 A KR 1020080095224A KR 20080095224 A KR20080095224 A KR 20080095224A KR 20100035860 A KR20100035860 A KR 20100035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lens
filter layer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371B1 (ko
Inventor
이관수
손중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 상에 설치되고, 입사광이 파장대역별로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에 집속시키는 회절 렌즈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태양전지, 회절 렌즈, 비구면 렌즈, 파장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상에 회절 렌즈를 설치한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는 석유와 석탄 및 천연 가스와 같은 화석 에너지이며, 이러한 화석 에너지는 그 양이 유한하므로 언젠가는 고갈되고 여러 오염 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서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다.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는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조력,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풍력, 그리고 땅 속의 열을 이용하는 지열 등이 있으며, 이들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태양 에너지가 있다.
이들 여러 대체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상당 부분 실용화되고 있으며,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 및 난방 등에 이용하는 것도 그 중 하나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는, 오염 문제가 없으며, 태양이 존재하는한 영구히 사용 가능한 전지이다. 따라서, 최근에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반사나 굴절 없이 태양전지에 직접 입사시킨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광 집속형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후면에 반사체를 배치하여 태양전지로 빛이 집속되도록 하거나, 태양전지 상부에 렌즈를 설치하여 태양광이 상기 렌즈를 통해 태양전지에 집속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전지는 넓은 파장영역을 가지는 태양광을 모두 흡수하지 못하고, 특정한 파장만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함으로써, 나머지 파장의 태양광을 사용하지 못하는 바,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상에, 입사되는 태양광이 파장대역별로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로 집속시키는 회절 렌즈를 설치함으로써, 모든 파장대의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 상에 설치되고, 입사광이 파장대역별로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에 집속시키는 회절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절 렌즈의 표면에는 IR 필터층 또는 UV 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절 렌즈는, 유리 또는 폴리머 계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회절 렌즈가 폴리머 계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회절 렌즈는 사출 또는 스탬핑(stampp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절 렌즈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 상에 설치되고, 색수차가 발생되는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구면 렌즈의 표면에는 IR 필터층 또는 UV 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상에, 회절 렌즈를 설치함으로써, 입사되는 태양광이 상기 회절 렌즈를 통과하면서 파장대역별로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로 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로 입사되는 모든 파장대의 태양광을 사용할 수 있어,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절 렌즈의 표면에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층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UV 필터층 등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및 자외선 등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의 열화를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태양전지 유닛(110),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 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절 렌즈(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회절 렌즈(20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에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은,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111,112,113)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은, 레드(red) 계열 파장에서 태양전지의 효율, 즉 전력 변환 효율이 우수한 제1 태양전지(111)와, 그린(green) 계열 파장에서 태양전지의 효율이 우수한 제2 태양전지(112) 및 블루(blue) 계열 파장에서 태양전지의 효율이 우수한 제3 태양전지(11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태양전지 유닛(110)의 상부에는, 입사되는 태양광이 파장대 역별로 분리되어 각각의 태양전지(111,112,113)로 집속되도록 하는 회절 렌즈(2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을 구성하는 태양전지(111,112,113)들의 크기, 개수 및 위치 등은, 상기 회절 렌즈(200)를 통과하는 태양광의 파장에 따른 회절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회절 렌즈(200)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파장에 따라 다른 각도로 회절시키는 것으로서, 표면에 회절 격자 등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절 격자는, 파장에 따른 회절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크기, 모양 및 주기 등이 조절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절 렌즈(200)는, 유리 또는 폴리머 계열의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회절 렌즈(200)가 폴리머 계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회절 렌즈(200)는 사출 또는 스탬핑(stampping)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절 렌즈(20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절 렌즈(200)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110) 상에 이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절 렌즈(200)의 표면에는, IR 필터층(210)이 증착 또는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절 렌즈(200)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 중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층(210) 대신에 UV 필터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절 렌 즈(200)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 중에 포함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IR 필터층(210) 및 UV 필터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중에 포함된 적외선 및 자외선을 각각 차단하여, 상기 적외선 및 자외선에 의한 태양전지(111,112,113)의 열화를 방지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파장대역별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111,112,113)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110)의 상부에 회절 렌즈(200)를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대부분 사용할 수 있어,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유닛(110) 상부에 회절 렌즈(200) 대신에 색수차가 발생되는 비구면 렌즈(300)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다.
이때, 상기 색수차가 발생되는 비구면 렌즈(300)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은 상기 비구면 렌즈(300)를 통과하면서 다른 각도로 회절되어 각각의 태양전지(111,112,113)로 집속될 수 있다. 모든 파장대의 태양광을 활용하기 위하여, 색 수차가 심한 비구면 렌즈(3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구면 렌즈(300)의 표면에도 역시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층(도면 미도시)이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UV 필터층(도면 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구면 렌즈(30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회절 렌즈(20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0: 태양전지 유닛
111: 제1 태양전지 112: 제2 태양전지
113: 제3 태양전지 200: 회절 렌즈
210: IR 필터층 300: 비구면 렌즈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 상에 설치되고, 입사광이 파장대역별로 분리되어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에 집속시키는 회절 렌즈;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의 표면에는 IR 필터층 또는 UV 필터층이 형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는, 유리 또는 폴리머 계열 물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가 폴리머 계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회절 렌즈는 사출 또는 스탬핑(stampping) 방법으로 형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렌즈는 상기 태양전지 유닛과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
  6.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파장대역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로 구성된 태양전지 유닛; 및
    상기 태양전지 유닛 상에 설치되고, 색수차가 발생되는 비구면 렌즈;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렌즈의 표면에는 IR 필터층 또는 UV 필터층이 형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080095224A 2008-09-29 2008-09-29 태양전지 모듈 KR10096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24A KR100966371B1 (ko) 2008-09-29 2008-09-29 태양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24A KR100966371B1 (ko) 2008-09-29 2008-09-29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0A true KR20100035860A (ko) 2010-04-07
KR100966371B1 KR100966371B1 (ko) 2010-06-28

Family

ID=4221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24A KR100966371B1 (ko) 2008-09-29 2008-09-29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785A1 (en) * 2012-06-21 2013-12-27 Alfred Jost Solar module
CN103842857A (zh) * 2011-09-30 2014-06-04 大金工业株式会社 聚光膜、太阳能电池组件以及转印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5171B (zh) * 2011-11-09 2013-10-02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衍射光学元件及其设计方法和在太阳能电池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2857A (zh) * 2011-09-30 2014-06-04 大金工业株式会社 聚光膜、太阳能电池组件以及转印模
WO2013191785A1 (en) * 2012-06-21 2013-12-27 Alfred Jost Sola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371B1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27140B2 (en) Multi-junction solar cells with an aplanatic imaging system
JP641633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8791355B2 (en) Homogenizing light-pipe for solar concentrators
JP2005099802A (ja) 太陽放射線を電気、熱または化学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素子のための多焦点集光器
CN101861655A (zh) 利用波导方式传输在散射介质中产生的光照的方法与装置
NL1040088C2 (en) Concentrating solar panel with diffuse light conversion.
KR101092418B1 (ko) 다기능 태양광 집광기
WO200704499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photovoltaic devices
JP2014516173A (ja) レンズおよびレンズアレイの材料を最適化する方法ならびにそのデバイス
EP2577743A2 (en)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 system
KR100966371B1 (ko) 태양전지 모듈
TWI460473B (zh) 太陽光集光用夫涅耳透鏡片及其設計方法
JP200528594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80924B2 (ja) サブ波長パターンを有する集光光学素子を含む光起電力モジュールと同モジュールを含む衛星用太陽発電機
WO2012083821A1 (zh) 多波段集光及能量转换模块
Hashimoto et al. Performance of CPV system using three types of III-V multi-junction solar cells
Fu et al.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fferent designs and materials for Fresnel lens-based solar concentrators
JP2004343022A (ja) 太陽光発電方法及び装置
KR2021004199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태양 에너지 복합 발전 시스템
KR200419531Y1 (ko) 중첩개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용 집광렌즈 및 집광장치
Ferrara et al. Volume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as solar concentrators
KR20120000592U (ko) 태양전지 집광용 판넬 커버
Chiromawa et al. Concept of Bee‐Eyes Array of Fresnel Lenses as a Solar Photovoltaic Concentrator System
US20160133772A1 (en) Concentrating optical waveguide and containment chamber system
González Montes et al. Achromatic Fresnel lens with improved efficiency for PV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