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503A - Pollinat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Pollinat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503A
KR20100035503A KR1020080094924A KR20080094924A KR20100035503A KR 20100035503 A KR20100035503 A KR 20100035503A KR 1020080094924 A KR1020080094924 A KR 1020080094924A KR 20080094924 A KR20080094924 A KR 20080094924A KR 20100035503 A KR20100035503 A KR 2010003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case
pollen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9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8947B1 (en
Inventor
박문규
Original Assignee
박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규 filed Critical 박문규
Priority to KR102008009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947B1/en
Publication of KR2010003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7Apparatus for pol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n artificial pollen interbreed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without waste of expensive pollen. CONSTITUTION: A pollen interbreeding apparatus comprises: a case(10) with a handle; a pollen case(20) for storing pollen,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 duct which contains pollen and transfers pollen to the opened lower portion; a cha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uct and contains pollen; a transfer screw which transfers pollen contained inside the duct; an exhaust 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mber; a pipe(7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xhaust port; an air pressure pump which discharges pollen through exhaust port;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transfer screw and air pressure pump.

Description

화분교배기 { POLLINATING INSTRUMENT }Pot Planter {POLLINA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화분교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적인 화분교배에 있어서 그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가의 화분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교배기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pla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ficial pot planter, which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d prevents unnecessary waste of waste pots.

과일은 인간이 오래전부터 먹어온 음식물 중 하나로, 이를 자연에서 채집하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는 과일이 열리는 식물을 재배하여 이로부터 과일을 채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식물을 재배하여 과일을 얻기 위해서는 식물의 암술머리에 화분이 묻어 수정되는 화분교배과정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벌과 나비와 같은 생곤충에 의하여 상기 화분교배과정이 이루어진다.Fruit is one of the foods that humans have eaten for a long time. Unlike in the past when it was collected in nature, today, fruit is grown by cultivating plants that open fruits. As such, in order to obtain fruit by cultivating the plant, a pollen breeding process is required in which the pollen is buried in the pistil of the plant.

그러나, 오늘날 공해로 인하여 생곤충의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어 충분한 화분교배과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바, 이를 보충하기 위한 인공적인 화분교배과정이 필요하며, 종래의 품종보다 더 맛있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의 과일을 얻기 위해서도 인공적인 화분교배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공적인 화분교배과정으로는 면봉이나 붓을 이용하여 식물의 암술머리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화분을 묻혀 수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due to the pollution of the present day, the number of live insects is greatly reduced and sufficient pollen breeding process is not achieved. Therefore, artificial pollen breeding process is required to supplement it,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fruits of varieties that are more delicious and resistant to pests than conventional varieties. Artificial pollen crossing process is also necessary. In this artificial pollen hybridization process, it is common to use a cotton swab or a brush to fix the potted plants by hand to the pistil of the plant.

하지만, 이러한 면봉이나 붓을 이용한 화분교배과정에 의하면 일일이 화분을 면봉이나 붓에 묻혀야 하고 나무와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암술머리에는 사다리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면봉이나 붓에 묻는 화분량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암술머리에 화분을 골고루 묻힐 수 없으며 고가의 화분을 많이 소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lanting process using a cotton swab or a brush, the potted plants must be buried in a cotton swab or a brush and a ladder-like equipment must be used for the pistil that is located at a high place such as a tree,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re is this.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pollen on the cotton bud or brush is not consta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venly buried pollen on the pistil and consumes a lot of expensive polle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화분을 면봉이나 붓에 묻히지 않으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암술머리에도 쉽게 화분을 묻힐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화분교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do not bury the pots on a cotton swab or brush by hand manually, so that the potted plants can be easily buried in the stigma head located in a high plac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일정량의 화분을 암술머리에 묻힐 있으며, 화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화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는 화분교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a certain amount of pollen on the pistil, and to control the amount of pollen to provide a pollen crossing machine that can not waste expensive polle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는, 손잡이가 구비된 케이스와, 화분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화분을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화분통과, 상기 화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화분을 수용하고 개구된 하부로 상기 화분을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화분을 수용하는 챔버와, 일정한 피치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을 통해 상기 덕트 내부에 수용된 화분을 상기 챔버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챔버에 연결되되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배출포트와, 일단은 상기 배출포트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화분이 묻혀지는 수분부재가 마련된 파이프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챔버에 수용된 화분을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가압펌프 및 상기 이송스크류 및 공기가압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Pollen cros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a pot having a handle, and a pot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store the pot and supply the stored potted plant into the case; And a duct provided inside the case to receive the flower pot supplied from the pot and deliver the flower pot to the opened lower part, a chamber for receiving the flower po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uct, and having a constant pitch distance. A transfer screw having a wing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duct and transferring the flower pot accommodated in the duct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rotation thereof, and discharged to be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Port and one e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is The air pressure pump for discharging the potted plant contained in the chamb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chamber and the pipe provided with a moisture member buried with the poll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screw and the air pressure pum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는,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날개방향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덕트에 구비된 돌기와 걸림 및 풀림작용을 반복하여 수축 및 복원을 통해 진동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에 묻은 화분을 털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tted plant cross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long the screw bone of the transfer screw,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screw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configured to be bent in the w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screw, the spr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screw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hake off the potted on the conveying screw by vibrating through the contraction and restoring action and the contraction and release action provided in the 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서, 상기 파이프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제1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배출포트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파이프의 타단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파이프의 타단에 상기 수분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ot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is composed of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one end of the first pipe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One end of the second pipe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it can be inserted, and one end of the second pip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configured to be slid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moisture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서, 상기 화분통은 ‘ㄱ’형상으로 굴곡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ollen cros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is bent in a 'b'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be rota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는, 상기 공기가압펌프에 의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와 상기 공기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배출포트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 더 구비하되,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t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compressed air by the air pressure pump and the ai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tank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port inside the case Further provided, the air control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의하면, 일일이 수작업으로 화분을 면봉이나 붓에 묻힐 필요가 없으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암술머리에도 쉽게 화분을 묻힐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need to bury the pot on a cotton swab or a brush by hand, and can be easily buried in the stigma head located in a high place,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re is an advantage.

아울러, 일정량의 화분을 암술머리에 묻힐 있으며, 화분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화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pollen is buried in the pistil, and can adjust the amount of poll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not waste expensive polle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t-cros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있어서 연장파이프에 대한 변형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케이스 내부의 일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to the extension pipe in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는 크게 케 이스(10)와, 화분통(20)과, 덕트(30)와, 챔버(40)와, 이송스크류(50)와, 배출포트(60)와, 파이프(7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pot pla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the case 10, the pot 20, the duct 30, the chamber 40, the transfer screw 50 And a discharge port 60, a pipe 70, an air pressure pump 80, and a controller 90.

상기 케이스(10)는 후술할 덕트(30)와, 챔버(40)와,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제어부(90)가 마련되는 곳으로, 상부에는 후술할 화분통(20)이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개구부(12)를 구비하며, 전면에는 후술할 배출포트(60)가 마련된다.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duct 30, a chamber 40, a transfer screw 50, an air pressure pump 80, and a controller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2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ed portion so that the 20 is screwed, the discharge port 6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front.

또한, 상기 케이스(10)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를 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는 상기 케이스(10) 후면에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목만 사용하여 쉽게 화분교배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handle 11 so that the user gripping, moving and using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handle 11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on the back of the case 10,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easily perform the pot planting process using only the wrist.

또한,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손잡이(11)에는 후술할 제어부(90)와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하는 각종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10 and the handle 11 provided in the case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witche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0 to be described later and applying a signal.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투명창(13)이 마련되어, 후술할 이송스크류(50)가 동작하는 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window 13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se 10, it is easy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screw 5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화분통(20)은 화분(P)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화분(P)을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에 마련된 개구부(12)에 나사결합하여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t 20 is to store the pot (P), and to supply the stored pot (P) into the case 10, by screwing to the opening 12 provided in the case 10 It is detachably fastened.

또한,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암술머리에 화분을 묻히기 위해 상기 케이스(10) 의 전면을 위로 향하게 기울이는 경우,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상기 화분(P)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화분통(20)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향하여 ‘ㄱ’형상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분통(20)이 굴곡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위로 향하게 기울이면, 상기 화분통(20)에 저장된 화분(P)은 상기 케이스(10)에 비스듬하게 공급되므로, 상기 화분(P)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ilting the front of the case 10 upward to bury the potted plant in the stigma head located in a high plac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ot (P) is smoothly supplied into the case 10, the pot ( 20 is preferably bent in a 'b' shape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10). That is, when the pot is not bent, when the front of the case 10 is inclined upward, the pot (P) stored in the pot 20 is obliquely supplied to the case 10 This is because the pollen P may not be smoothly supplied into the case 10.

또한, 상기 화분통(20)은 상기 케이스(10)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일정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향하여‘ㄱ’형상으로 굴곡된 화분통(20)을 나사산을 따라 180°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을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으로 바꿀 수 있다. 이는 낮은 곳에 위치하는 암술머리에 화분(P)을 묻힐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아래로 향하게 기울여야 하고, 이때 상기 화분통(20)을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을 향하여 굴곡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상기 화분(P)을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화분통(20)은 작업중에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에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20 is screwed to the upper case 10, it can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needed. That is, by rotating the flower pot 20 bent in a 'b' shape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10 by 180 ° along the screw thread can be changed to a shape that is bent toward the rear of the case 10. If it is necessary to bury the potted plant (P) in the pistil is located in a low place, the front of the case 10 should be inclined to face down, and the pot (20) to the rear of the case 10 This is because it is provided so as to be bent toward the pot (P) can be smoothly supplied into the case (10). However, the pot 20 should be firmly fastened to the case 10 so as not to rotate during the operation.

또한, 상기 화분통(20)에서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되는 부분의 반대쪽은 화분교배작업 중에도 화분(P)을 더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된 화분(P)이 상기 개방된 부분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상기 개방된 부분을 덮는 덮개(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t which is fastened to the case 10 in the pot 20 is preferably opened to supply more pots (P) even during potting work, the supplied pot (P) is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hat a cover 21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 portion so as not to flow out of the closed portion.

또한, 상기 화분통(20)은 내부에 격벽(미도시)을 구비하여, 작업중에 흔들리 더라도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저장된 화분(P)을 계속하여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2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not shown) therein, even if shaken during the operation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pot (P) stored in the case 10.

또한, 상기 화분(P)이 공급된 후에 생기는 빈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화분통(2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홀을 구비하여 한다. 이때, 상기 홀로 공기는 유입되되 저장된 화분은 유출되지 않도록 공기만 투과시키는 반투막 마개(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20 is provided with a hol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so as to fill an empty space generated after the flower pot P is suppli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emi-permeable membrane stopper 22 penetrating only air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le but stored pollen does not flow out.

한편, 상기 덕트(3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화분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화분(P)을 수용하는 한편, 후술할 이송스크류(50)가 내부에 구비되어 개구된 하부로 상기 화분(P)을 일정량씩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duct 30 is provided in the case 10, while accommodating the potted plant (P) supplied from the pot (20), while the transfer screw 5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Transfer the pot (P) by a certain amount.

이때, 상기 덕트(30)는 상기 화분통(20)으로부터 공급되는 화분(P)을 수용하는데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이송스크류(50)에 의해 상기 화분(P)이 일정량씩 나누어지기 용이하도록 내주면이 후술할 이송스크류(50)의 날개(5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uct 3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trait so as to easily accommodate the flower pot (P) supplied from the flower pot (20), the flower pot (P) by the transfer screw 5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ade 51 of the transfer screw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 easily divided by a predetermined amount.

또한, 상기 덕트(30)의 내주면 하부에는 돌기(31)가 구비되어 있어, 후술할 스프링(53)과의 작용을 통해 후술할 이송스크류(50)의 표면에 상기 화분(P)이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3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31, so that the pot (P) is not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ransfer screw 5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action of the spring 53 to be described later. do.

한편, 상기 챔버(40)는 상기 덕트(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30)를 통해 전달되는 일정량의 화분(P)을 수용하는 곳으로, 상기 케이스(10) 외부와 연통 되도록 후술할 배출포트(60)가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chamber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uct 30, to receive a certain amount of potted plant (P) delivered through the duct 30, to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1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scharge port 60 is connected.

또한, 상기 챔버(40)에는 상기 수용된 화분(P)을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술할 공기가압펌프(80) 또는 공기조절밸브(82)가 연결된다. 이때, 후술할 공기가압펌프(80) 또는 공기조절밸브(82)가 연결되는 부분에, 공기는 통과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된 화분(P)은 통과되지 않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화분(P)이 상기 공기가압펌프(8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40 is connected to the air pressure pump 80 or the air control valve 82 to be described later to discharge the accommodated pot (P)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air pressure pump 80 or the air control valve 8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not shown) through which air may pass but the received potted plant P does not pass. This prevents the pollen (P) from entering the air pressure pump (80).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상기 덕트(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을 통해 상기 덕트(30) 내부에 수용된 화분(P)을 상기 챔버(40)로 일정량씩 이송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screw 5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duct 30, and transfers the potted plant (P) accommodated in the duct 30 to the chamber 40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rotation. .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상기 챔버(40) 하부에 구비된 구동모터(55)에 의하여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모터(55)의 회전속도는 후술할 상기 공기가압펌프(80) 또는 공기조절밸브(82)의 압축공기 공급속도에 비례하며, 이는 후술할 제어부(90)에 의하여 제어된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와 상기 구동모터(55)사이에 브래킷(54)이 마련되어 상기 챔버(40)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챔버(40)에 수용된 화분(P)이 상기 구동모터(55)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screw 5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55 provided in the lower chamber 4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55 is the air pressure pump 80 or air control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oportional to the compressed air supply speed of the valve 82,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9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54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screw and the drive motor 55 to seal the chamber 40 to prevent the pollen (P)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0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55. Do not do it.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5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피치거리를 갖는 날개(51)와 나사골(5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덕트(30) 내주면과 상기 날개(51)사이의 공간, 즉 상기 덕트(30) 내주면과 상기 나사골(52)이 형성하는 공간만큼 상기 화분(P)이 상기 챔버(40)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이송스크류의 날개(51) 및 나사골(52)은 일정한 피치거리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일정량의 화분(P)이 상기 챔버(4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치거리는 상기 화분(P)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데, 화분교배과정에 있어서 상기 화분(P)의 양이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치거리가 길게 형성된 이송스크류(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대로 상기 화분(P)의 양이 적게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치거리가 짧게 형성된 이송스크류(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fer screw 50 is composed of a blade 51 and a screw bone 52 having a constant pitch distance about the rotation axis. That is, the flower pot P is transferred to the chamber 40 b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30 and the wing 51, that is,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30 and the screw bone 52. Since it is losing, the blade 51 and the screw bone 52 of the transfer screw should be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pitch distance can be transferred to the chamber 40 of a certain amount of pot (P). At this time, the pitch distanc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t (P), if the amount of the pot (P) in the pot planting process, the feed screw 50 is formed long the pitch distance It is preferable to use, 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the pot (P) needs to be small,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ransfer screw 50 having a short pitch distance.

이러한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상기 덕트(30)의 내부에만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화분통(20)이 결합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스크류(50)의 하부는 상기 덕트(30)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30)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나, 상부는 상기 덕트(30)에 접촉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상기 케이스(10) 상부에 결합된 상기 화분통(20) 내부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상기 덕트(30) 내부에 수용된 화분(P)을 상기 챔버(40)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역할 이외에도 상기 화분통(20) 내에 저장된 화분(P)이 상호 고착되지 않도록 교반하는 역할도 한다.The transfer screw 50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only inside the duct 30, and may be formed up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to which the flower pot 20 is coupled as necessary.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screw 50 should be provided in the duct 30 so as to contact and rotate in contact with the duct 30, but the upper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duct 30 and the case ( 10) may be provided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pot 20 coupled to the top. From this, the transfer screw 50 serves to transfer the potted plant P contained in the duct 30 to the chamber 40 by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potted plant P stored in the pot 20 is not fixed to each other. It also serves to stir.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50)에는 상기 나사골(52)을 따라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54)이 상기 이송스크류(50)의 날개(51)방향으로 절곡되는 스프링(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screw 50 is provided along the screw bone 52,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screw 50, the other end 54 of the blade 51 direction of the transfer screw 50 Spring 53 is bent to be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스프링(53)은 상기 이송스크류(53)에 묻은 화분(P')을 털어내어 상기 화분(P')이 상기 이송스크류(53)에 고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챔버(40) 에 공급되는 화분(P)의 양을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스프링(53)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spring 53 is supplied to the chamber 40 by shaking off the pot (P ') buried in the transfer screw 53 so that the pot (P') is not fixed to the transfer screw 53. It serves to keep the amount of pollen (P) constant.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pring 5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있어서 이송스크류 및 스프링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프링이 신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있어서 이송스크류 및 스프링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프링이 복원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ing screw and the spring in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is elongated, Figure 5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ing screw and the spring in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ored state is show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50)가 상기 구동모터(5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날개(51)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스프링(53)의 타단(54)은 상기 덕트(30)에 구비된 돌기(31)에 일시적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스프링(53)은 회전하지 않고 신장된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3)의 신장에 의하여 축적된 탄성에너지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커지면, 상기 스프링(53)의 타단(54)은 상기 돌기(31)로부터 순간적으로 풀려버리게 되어 상기 스프링(53)은 복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53)은 신장 및 복원을 통해 진동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53)에 묻은 화분(P')을 털어내어 상기 화분(P')이 상기 이송스크류(53)에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transfer screw 50 rotates clockwise by the driving motor 55, the other end 54 of the spring 53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blade 51 is The protrusion 31 provided in the duct 30 is temporarily caught, and the spring 53 is extended without rotation. However, as shown in FIG. 5B, when the elastic energy accumulated by the extension of the spring 53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limit, the other end 54 of the spring 53 is released from the protrusion 31 instantaneously. The spring 53 is restored. As such, the spring 53 vibrates through extension and restoration, so that the pollen P 'buried in the transfer screw 53 is shaken off so that the pollen P' is not fixed to the transfer screw 53. .

한편, 상기 배출포트(60)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챔버(40)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술할 파이프(7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port 6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hamber 40,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pipe 70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배출포트(60)는 상기 챔버(40)에 연결되는 부재(61)와 상기 후술 할 파이프(70)가 체결되는 부재(62)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후술할 파이프(70)가 체결되는 부재(62)는 파이프(70)의 종류에 따라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 밖으로 일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 60 may be composed of a member 61 connected to the chamber 40 and a member 62 to which the pipe 7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he fastening member 62 may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ipe 70, and may be formed to partially protrude out of the case 10.

한편, 상기 파이프(70)는 일단이 상기 배출포트(6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배출포트(60)를 통해 배출되는 화분(P)이 묻혀지는 수분부재(73)가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 위치하는 암술머리에도 쉽게 화분을 묻힐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ipe 70 is one e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60, the other end so that the moisture member 73 is buried in the potted plant (P)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0 is provided.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tted plants can be easily buried in the pistil head located in a high place by using the potted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상기 파이프(7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파이프(71)와 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제2파이프(7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파이프(71)의 일단은 상기 배출포트(6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파이프(71)의 타단은 상기 제2파이프(7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파이프(72)의 일단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파이프(72)의 타단에 상기 수분부재(73)가 마련되도록 구성된다.The pipe 70 may be composed of a first pipe 71 and a second pipe 72 that is inserted into a sliding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71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pipe 71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6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71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econd pipe 72 can be inserted. It is provided, one end of the second pipe 7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configured to slide in close contact, and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the moisture member 73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72). do.

이때, 상기 제1파이프(71)와 상기 제2파이프(72)가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배출포트(60)로부터 배출되는 화분(P)이 상기 제1파이프(71)와 상기 제2파이프(72)의 틈 사이로 세어나오지 못하도록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고부부재(74)를 마련하여 상기 제1파이프(71)와 상기 제2파이프(72)를 밀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ipe (71) and the second pipe (72) by keeping th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ollen (P)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60 is the first pipe (71) and the second It does not count between the gaps of the pipe (72), in general, by providing a solid member (74)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pipe (71) and the second pipe (72).

또한, 상기 수분부재(73)는 상기 파이프(70)를 통하여 배출되는 화분(P)을 식물의 암술머리에 묻히기에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면봉 또는 우모와 같은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타조 깃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조 깃털은 깃털 자체에 기름기가 없으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타조 깃털에 상기 화분(P)을 먼저 묻힌 후에 식물의 암술머리로 쉽게 옮겨 묻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moisture member 73 is provided to facilitate buried in the pistil of the plant pot (P) discharged through the pipe 70, various materials such as cotton swabs or feathers may be used, in particular ostrich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feathers. Since the ostrich feather has no grease on the feather itself and does not generate static electricity, the ostrich feather may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pistil of the plant after the pollen (P) is buried first.

한편, 상기 공기가압펌프(80)는 상기 챔버(40)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챔버(40)에 수용된 화분(P)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챔버(40)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ressure pump 80 is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to the chamber 40 to discharge the pollen (P)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0 to the outside, it is connected to the chamber 40 .

이때, 상기 공기가압펌프(80)가 상기 챔버(40)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속도는 후술할 제어부(90)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50)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조정된다. 예를 들면, 식물의 암술머리에 묻혀져야 할 화분의 양이 많거나 빠른 속도로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 공기가압펌프(80)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시에 상기 이송스크류(50)의 회전속도도 빠르게 하여 화분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speed at which the air pressure pump 80 supplies the compressed air to the chamber 40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fer screw 50 by the controller 9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pollen to be buried in the pistil of the plant or to work at a high speed to increase the compressed air supply speed by the air pressure pump 80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screw (50) The speed of rotation is also high so that the pot can be supplied smoothly.

또한, 상기 공기가압펌프(80)가 상기 챔버(40)로 공급하는 압축된 공기는 상기 챔버(40)에 수용된 화분(P)을 상기 파이프(70)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수분부재(73)까지 밀어낼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가져야 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ed air supplied by the air pressure pump 80 to the chamber 40 is a pot (P)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0 to the moisture member 7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70) There must be enough pressure to push it out.

그러나,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될 정도의 소형의 공기가압펌프는 충분 한 압력을 가질 수 없는 경우가 많거나, 소형이면서도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공기가압펌프는 매우 고가이므로, 공기저장탱크(81) 및 공기조절밸브(82)가 필요하다. 즉, 상기 공기저장탱크(81)에 상기 공기가압펌프(80)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상기 공기저장탱크(81)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충분한 압력을 갖게 될 때 상기 공기조절밸브(82)를 열어 압축공기를 상기 배출포트(60)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챔버(40)에 수용된 화분(P)을 상기 파이프(70)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수분부재(73)까지 충분히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However, a small air pressure pump that is small enough to be provided inside the case 10 may not have sufficient pressure, or the air pressure pump that may apply a small but sufficient pressure is very expensive, and thus, an air storage tank. 81 and an air control valve 82 are required. That is, when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air pressure pump 80 is stored in the air storage tank 81, and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tank 81 has sufficient pressure, the air regulating valve ( 82 is opened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discharge port 60 to sufficiently push the potted plant P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0 to the moisture member 7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70. .

이때, 상기 공기조절밸브(82)도 상기 이송스크류(50) 및 공기가압펌프(80)와 함께 후술할 제어부(90)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그 제어가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조절밸브(82)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솔레노이드밸브는 전기적 신호로 밸브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밸브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ir control valve 82 is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transfer screw 50 and the air pressure pump 80, so that the air control valve 82 is a solenoid It can be configured as a valve. In particular, the solenoid valve can be easily controlled whether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by an electrical signal, it is preferable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s made quickly.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이송스크류(50) 및 공기가압펌프(80)를 제어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절밸브(8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조절밸브(82)도 동시에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transfer screw 50 and the air pressure pump 8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control valve 82 is provided, the air control valve 82 also Controlled at the same time.

특히,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손잡이(11)에는 상기 제어부(90)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의 작동모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스위치(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ase 10 or the handle 11 provided in the case 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90,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82 Mode selection switch 91 that can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 the operating mode may be further provided.

이때, 자동작동모드는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상기 화분(P)을 이송시키고 압축공기를 통해 상기 화분(P)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드이며, 수동작동모드는 사용자가 작동스위치(92)를 통해 상기 제어부(80)로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경우에만 상기 화분(P)을 이송시키고 압축공기를 통해 상기 화분(P)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드이다.At this time,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82 is repeatedly transferred to the potted plant (P)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otted plant (P) through the compressed air ) Is a mode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the manual operation mode is the user of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82 to the control unit 80 through the operation switch 92 Only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applied is the mode to transfer the pot (P) and discharge the pot (P)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pressed air.

이러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91) 및 작동스위치(92)를 통해 사용자는 작업방법 및 작업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rough the mode selection switch 91 and the operation switch 92, the user can efficiently adjust the working method and the working speed.

또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91)가 자동작동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80)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속도와, 상기 공기가압펌프(80)의 압축공기의 공급속도 및 상기 공기조절밸브(82)의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93)도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손잡이(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작업속도도 쉽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91 is selected as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fer screw, the supply speed of the compressed air of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Speed control switch 93 for adjus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air control valve 82 may also be provided in the case 10 or the handle 11 provided in the case 10, from which the work speed can be easily adjusted. Can b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먼저, 화분(P)이 저장된 화분통(20)을 케이스(10) 상부에 체결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어깨선보다 높은 곳의 암술머리에 화분을 묻혀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분통(20)의 굴곡된 방향이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향하도록 체결시키나, 사용자 의 어깨선보다 낮은 곳의 암술머리에 화분을 묻혀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분통(20)의 굴곡된 방향이 상기 케이스(10)의 후면을 향하도록 체결시킨다. 또한, 상기 화분통(20)에 먼저 화분(P)을 저장한 후 상기 케이스(10) 상부에 체결시키지 않고, 먼저 상기 화분통(20)을 상기 케이스(10) 상부에 체결한 후 상기 화분통(20)의 덮개(21)를 열어 화분(P)을 저장시킬 수도 있다.First, the pot (P) is stored in the canister 20 is fastened to the case 10. In this case, when the potted plant is to be buried in the stigma of the place higher than the shoulder line of the user to fasten the curved direction of the pot 20 toward the front of the case 10, but the lower than the shoulder line of the user When the potted plants need to be buried, the bent direction of the pot 20 is fastened so as to face the rear of the case 10. In addition, after storing the pot (P) in the pot 20 first, without faste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first fastening the pot 20 to the case 10 and then the pot The cover 21 of the 20 may be opened to store the pot.

이와 같이, 상기 화분(P)이 저장된 화분통(20)이 상기 케이스(10) 상부에 체결된 이후에는,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손잡이(11)에 마련된 모드선택스위치(91)를 통해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의 작동모드를 자동작동모드로 할 것인지 또는 수동작동모드로 할 것인지 선택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ot 20 in which the pot P is stored is fastened to the case 10, the mode selection provided in the case 10 or the handle 11 provided in the case 10 is selected. The switch 91 selects whether the operation mode of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82 is set to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or the manual operation mode.

이때, 상기 모드선택스위치(91)가 자동작동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손잡이(11)에 마련된 속도조절스위치(93)를 조종하여,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류(50)의 이송속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공기가압펌프(80)의 압축공기 공급속도 및 공기조절밸브(82)의 개폐속도는 상기 조절된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미리 설정해 두어, 상기 속도조절스위치(93)에 연결된 제어부(90)에 의해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이송속도의 제어시에 상기 공기가압펌프(80)의 압축공기 공급속도 및 공기조절밸브(82)의 개폐속도도 함께 제어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91 is selected as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by controlling the speed control switch 93 provided in the case 10 or the handle 11 provided in the case 10, Adjust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ing screw 50 provided in the case 10. 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supply speed of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air control valve 82 is appropriately set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adjusted feed speed of the transfer screw 50, the speed control switch In the control of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nsfer screw 50 by the control unit 90 connected to the 93 so that the compressed air supply speed of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peed of the air control valve 82 are also controlled. do..

이와 같이, 상기 모드선택스위치(91) 및 속도조절스위치(93)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손잡이(11)에 마련된 온-오프(ON-OFF)스위치(95)를 통해 온(ON) 신호를 제어부(90)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90)에 온(ON) 신호가 인가되면, 미리 설정해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화분통(20)에 저장된 화분(P)은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작용에 의해 일정량씩 이송되고, 상기 공기가압펌프(80) 또는 공기조절밸브(8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배출포트(60)와 연결된 파이프(70)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 반복적으로 배출되어 상기 파이프(70)에 마려된 수분부재(73)에 묻게된다.In this way, after sett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91 and the speed control switch 93, the on-off provided in the case 10 or the handle 11 provided in the case 10 (ON-OFF) The 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90 through the switch 95. When the 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90,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82 operate as previously set, so that the flower pot 20 Potted plant (P) stored in the) is transferr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action of the transfer screw 50, the discharge provided in the case 10 by the action of the air pressure pump 80 or the air control valve 82 The pipe 70 connected to the port 60 is repeatedly discharg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buried in the moisture member 73 which is closed on the pipe 70.

즉, 상기 화분통(20)에 저장된 화분(P)은 상기 이송스크류(5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챔버(40) 내부로 일정량씩 공급되고, 상기 챔버(40) 내부에 수용된 화분(P)은 상기 공기가압펌프(8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70)로 일정량씩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가압펌프(80)가 상기 챔버(40)에 수용된 화분(P)을 상기 수분부재(73)까지 밀어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압력을 갖지 못하는 경우에는, 공기저장탱크(81)와 공기조절밸브(82)을 더 마련하여, 상기 공기저장탱크(81)에 상기 공기가압펌프(80)에 의한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충분한 압력을 갖게될 때 공기조절밸브(8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챔버(40)에 수용된 화분(P)을 상기 파이프(70)로 일정량씩 배출되도록 한다.That is, the potted plant P stored in the pot 20 is supplied to the chamber 40 provided in the case 10 through the transfer screw 50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 inside of the chamber 40. The potted plant P is discharged to the pipe 70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compressed air supplied by the air pressure pump 80. At this time, when the air pressure pump 80 does not have enough pressure to push the potted plant (P)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0 to the moisture member 73, the air storage tank 81 and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control valve 82, by storing the compressed air by the air pressure pump 80 in the air storage tank 81 and opening the air control valve 82 when the pressure is sufficient, The pollen (P) accommodated in the chamber 40 is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the pipe (70).

이와 같이, 상기 파이프(70)로 배출된 화분(P)은 상기 파이프(70)를 통과하여 상기 수분부재(73)에 묻게 되며, 상기 수분부재(73)에 묻은 화분을 상기 화 분(P)이 배출되는 주기에 맞추어 식물의 암술머리에 옮겨 묻힘으로써 인공적인 화분교배과정이 이루어진다.As such, the pollen P discharged to the pipe 70 passes through the pipe 70 to be buried in the moisture member 73, and the pollen buried in the moisture member 73 is poll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scharge cycle, the plant is implanted in the pistil of the plant, and an artificial pollen crossing process is performed.

이러한 자동작동모드는 식물의 암술머리가 규칙적으로 위치하고 있어 일정한 주기로 화분교배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에 주로 선택된다.This automatic operation mode is mainly selected when the pistil of the plant is located regularly so that pollen crossing can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모드선택스위치(91)가 수동작동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자동작동모드로 선택되는 경우와는 달리, 상기 과정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된 손잡이(11)에 마련된 작동스위치(92)를 눌러 상기 제어부로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과정이 한 주기만 반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91 is selected as the manual operation mode, unlike the case where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is selected, the process is not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Howe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witch 92 provided on the case 10 or the handle 11 provided on the case 10 to apply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process repeats only one cycle.

즉, 상기 온-오프(ON-OFF)스위치(95)를 통해 온(ON) 신호를 상기 제어부(90)에 인가하더라도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가 작동하지 않고, 상기 작동스위치(92)를 통한 작동신호가 상기 제어부(90)에 인가되는 경우에만 상기 이송스크류(50)와, 공기가압펌프(80) 및 공기조절밸브(82)가 일 회 작동하여, 상기 화분(P)이 상기 파이프(70)로 배출되고 상기 수분부재(73)에 묻게 된다.That is, even if an 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90 through the ON-OFF switch 95,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e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 The transfer screw 50, the air pressurizing pump 80 and the air control valve 82 are only operated when the operation 82 is not operated and an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switch 92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90. In one operation, the pot P is discharged into the pipe 70 and buried in the moisture member 73.

그 후, 상기 수분부재(73)에 묻은 화분을 상기 화분(P)을 식물의 암술머리에 옮겨 묻힘으로써 인공적인 화분교배과정이 이루어진다.Then, artificial pollen hybridiza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burying the pollen on the moisture member 73 by burying the pollen P on the pistil of the plant.

이러한 수동작동모드는 식물의 암술머리가 위치하는 곳이 나뭇가지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있는 경우와 같이 일정한 주기로 화분교배 작업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주로 선택된다.This manual operation mode is mainly selected when pollen crossing cannot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such as when the pistil of a plant is located irregularly between branche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 plant cros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t plant cross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있어서 연장파이프에 대한 변형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to the extension pipe in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의 케이스 내부의 일부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있어서 이송스크류 및 스프링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프링이 신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screw and the spring in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is extended.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교배기에 있어서 이송스크류 및 스프링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프링이 복원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screw and the spring in the pot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ing is restored.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케이스 20 : 화분통10: case 20: pot

30 : 덕트 40 : 챔버30: duct 40: chamber

50 : 이송스크류 53 : 스프링50: feed screw 53: spring

60 : 배출포트 70 : 파이프60: discharge port 70: pipe

73 : 수분부재 80 : 공기가압펌프73: moisture member 80: air pressure pump

81 : 공기저장탱크 82 : 공기조절밸브81: air storage tank 82: air control valve

90 : 제어부 91 : 모드선택스위치90: control unit 91: mode selection switch

92 : 작동스위치92: operation switch

Claims (10)

손잡이가 구비된 케이스;A case with a handle; 화분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화분을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화분통;A pot for storing the pot, and detachably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supply the stored pot to the case; 상기 화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화분을 수용하고, 개구된 하부로 상기 화분을 전달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덕트;A duct provided inside the case to receive the pollen supplied from the pot and deliver the pollen to the opened lower part; 상기 덕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화분을 수용하는 챔버; A chamber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uct to receive the pollen to be delivered; 일정한 피치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을 통해 상기 덕트 내부에 수용된 화분을 상기 챔버로 일정량씩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A conveying screw having a wing formed to have a constant pitch distance, rotatably installed in the duct, and conveying a flower pot accommodated in the duct by a predetermined amount through the rotation to the chamber; 상기 챔버에 연결되되,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배출포트;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chamber and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case; 일단은 상기 배출포트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화분이 묻혀지는 수분부재가 마련된 파이프;One end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the other end of the pipe is provided with a moisture member is buri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챔버에 수용된 화분을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가압펌프; 및An air pressurizing pump provided inside the case to supply compressed air to the chamber to discharge the potted plant accommodated in the chamb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상기 이송스크류 및 공기가압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분교배기.Pot plant breed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screw and the air pressure pum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사골을 따라 구비되되, 일단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스크류의 날개방향으로 절곡되어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It is provided along the screw bone of the transfer screw,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screw,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spring configured to be bent in the w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screw,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덕트에 구비된 돌기와 걸림 및 풀림작용을 반복하여 신장 및 복원을 통해 진동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에 묻은 화분을 털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When the spring is rotated by the transfer screw, the other end of the spring to shake off the potted on the conveying screw by vibrating through the extension and recovery by repeating the locking and loosening action and the projection provided in the ducts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파이프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로 구성되되,The pipe consists of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상기 제1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배출포트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1파이프의 타단에는 상기 제2파이프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구비하며,One end of the first pipe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pipe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pipe can be inserted. 상기 제2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파이프의 타단에 상기 수분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One end of the second pip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configured to slide in close contact, the pollen cross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isture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수분부재는 타조깃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The moisture member is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strich feather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화분통은 ‘ㄱ’형상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The pot is a flower po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bent in the '' shap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체결된 화분통은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Pot plant mat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공기가압펌프에 의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탱크와, 상기 공기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배출포트로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더 구비되고,An air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compressed air by the air pressure pump, and an air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tank to the discharge port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ase,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The air control valve is potted 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교배기.The air control valve is a pollen bree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valv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스크류 및 공기조절밸브의 자동작동모드 또는 수동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화분교배기.And a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select an automatic operation mode or a manual operation mode of the transfer screw and the air control valv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드선택스위치가 수동작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로 상기 이송스크류 및 공기조절밸브의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화분교배기.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pot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switch for apply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transfer screw and the air control valve to the control unit.
KR1020080094924A 2008-09-26 2008-09-26 Pollinating instrument KR101018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24A KR101018947B1 (en) 2008-09-26 2008-09-26 Pollinat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24A KR101018947B1 (en) 2008-09-26 2008-09-26 Pollinating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03A true KR20100035503A (en) 2010-04-05
KR101018947B1 KR101018947B1 (en) 2011-03-02

Family

ID=4221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924A KR101018947B1 (en) 2008-09-26 2008-09-26 Pollinat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94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318Y1 (en) * 2011-12-15 2013-12-06 남원석 Apparatus for hybridization of pollen
KR101346300B1 (en) * 2011-08-18 2013-12-31 최병훈 Artificial pollination apparatus
CN111357643A (en) * 2020-04-21 2020-07-03 山西省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Supplementary pollination device for hybrid wheat field
CN116472955A (en) * 2023-06-06 2023-07-25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农业研究所 Wheat breeding hybridization pollin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02B1 (en) * 2011-03-18 2013-07-09 박문규 Apparatus for pollination of pollen
KR101227346B1 (en) * 2012-05-24 2013-01-28 (주)다이노 A atomizing device of artifical pollination for hybridization
KR101841754B1 (en) 2016-07-04 2018-03-23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Artificial fecundation device for pla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684Y2 (en) 1974-12-18 1980-03-21
JPH0737U (en) * 1992-09-02 1995-01-06 清七 佐々木 Pollen mating machine
KR101148567B1 (en) * 2008-07-09 2012-05-25 임하얀 Pollinating Instru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00B1 (en) * 2011-08-18 2013-12-31 최병훈 Artificial pollination apparatus
KR200470318Y1 (en) * 2011-12-15 2013-12-06 남원석 Apparatus for hybridization of pollen
CN111357643A (en) * 2020-04-21 2020-07-03 山西省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Supplementary pollination device for hybrid wheat field
CN116472955A (en) * 2023-06-06 2023-07-25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农业研究所 Wheat breeding hybridization pollinator
CN116472955B (en) * 2023-06-06 2024-03-05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农业研究所 Wheat breeding hybridization polli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947B1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947B1 (en) Pollinating instrument
WO2021026007A1 (en) Vertical hydroponic solid nutrient growing system and method
RU2664320C1 (en) Device for growing plants
KR101148567B1 (en) Pollinating Instrument
KR101481320B1 (en)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nutrient solution supplying apparatus comprising the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CN113016412A (en) High-efficient breeding device of agricultural seedling
KR20200105042A (en) Aquaponics Cultivating System
US7647725B2 (en) Ozone treatment of mushroom house
KR101390504B1 (en) Pollinating Apparatus
JPH08168307A (en) Sowing device
KR20080004306U (en) 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KR20190121854A (en) Hydroponic growing device
JPH09248083A (en) Method and device for growing plant
EP3637975B1 (en) Precision seeder head
US9961844B2 (en) Symbiotic aquaponic growth system
US11304391B1 (en) Microgreens grower
EP3445156B1 (en) Horticultural apparatus
KR101790922B1 (en) Pollen spray wiht stirring libe
JP2016202170A (en) Seeding apparatus and water culture apparatus
KR101791361B1 (en) Garlic planter
KR20150003472U (en) Artificial pollination apparatus of fruit tree
KR200472498Y1 (en) Seedlings Transplanter
KR200411248Y1 (en) Automatic water feeding apparatus of flowerpot
JP20130941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sprout using silver ion and peltier element
CN109156326A (en) A kind of ramie tender tip Water cult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