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035A -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035A
KR20100035035A KR1020080094327A KR20080094327A KR20100035035A KR 20100035035 A KR20100035035 A KR 20100035035A KR 1020080094327 A KR1020080094327 A KR 1020080094327A KR 20080094327 A KR20080094327 A KR 20080094327A KR 20100035035 A KR20100035035 A KR 20100035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video
web
page image
web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411B1 (ko
Inventor
한덕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브라우징 기능이 없는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단말장치에서도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은,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PS, 영상통화, 웹브라우징, 웹컨텐츠

Description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WEB BROWSING COMMON SYSTEM AND WEB BROWSING COMMON METHOD}
본 발명은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 브라우징 기능이 없는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단말장치에서도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장치 및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 및 통신망의 발전에 힘입어, CS(Circuit Switching)통신망을 통한 일반적인 음성통화 뿐 아니라, PS(Packet Switching)통신망을 통해 패킷 단위의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함으로써 영상통화 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기반의 음성통화가 가능해지면서, PS통신망을 통한 영상통화 및 음성통화가 가능한 단말장치의 출시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모르는 장소를 찾아갈 때 인터넷의 길찾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약도를 얻거나, 모르는 요리를 만들고자 할 때 인터넷의 요리레시피 서비스를 이용하여 요 를 만들 수 있는 요리레시피를 얻는 등, 인터넷의 웹 브라우징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헌데, 이처럼 사용자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인터넷의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는 컴퓨터장치를 구비한 장소에서만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가 길을 걷거나 외출을 하여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는 컴퓨터장치가 없는 장소에 있을 때에는, 자신이 지닌 휴대용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지닌 휴대용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 즉 웹 브라우징 내용을 요청하면 웹 브라우징 내용을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해 주는 방식이 존재하며, 이러한 종래의 전송 방식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헌데, MMS방식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이 한정적이고,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데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패킷지원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이에 따르는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을 제공하여, 웹 브라우징 기능이 없는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 망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장치 및 이에 따르는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을 제공하여, 웹 브라우징 기능이 없는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는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저장하고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제공 받아 재생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이에 따르는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을 제공하여, 웹 브라우징 기능이 없는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은,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퓨터장치는, 상기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할 때,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는, 통신망 내의 통신로 설정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웹공유기능에 따라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상기 통신로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컴퓨터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상기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정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영상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영상변환부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저장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웹공유기능 선택 시점부터 상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DTMF에 대응하여 제공 중인 상기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은,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사서함을 담당하여, 소정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는 이를 저장하고 해당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 및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영상통화사서함서버는,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저장하는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 및 컴퓨터장칭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 부;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컴퓨터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동영상을 해당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한 해당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가 요청되면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컴퓨터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상기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은,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장치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 내의 통신로 설정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웹공유기능에 따라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하는 상기 재생 단계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상기 통신로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은, 웹 브라우징에 의한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 중인 상기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장치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 중인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 중인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상기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저장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웹공유기능 선택 시점부터 상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 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DTMF에 대응하여 제공 중인 상기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은,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저장하고,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제공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의하면,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현재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 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고, 동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단말장치를 선택하여 통신망을 통해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으로 단말장치에 제공하며, 단말장치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의하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은,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200)가 선택되면 ALL-IP 망(3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100)와, ALL-IP망(300)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단말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휴대폰 또는 PDA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ALL-IP망(300)은, 단말장치(200)와 영상통화 기능을 갖는 컴퓨터장치(100) 간의 통화를 가능하도록 또는 컴퓨터장치(100)가 단말장치(200)로 영상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는 컴퓨터장치(100)가 인터넷을 통해 웹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컴퓨터장치(100)와 정보제공서버(미도시) 간을 인터페이스하는 등 IP기반 네트워크망이다. 이와 같은 ALL-IP망(300)은, 패킷 단위의 데이터를 지원하여 무선으로 영상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패킷지원통신망(320)과, 유선으로 영상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유선IP망(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ALL-IP망(300)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단말장치(200)로의 패킷 단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패킷지원통신망으로써 PS(Packet Switching)통신망(320)을 채택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ALL-IP망(300)은, 써킷 단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써킷지원통신망으로써 CS(Circuit Switching)통신망(미도시)와, PS 통신과 CS 통신 간을 연동하여 인터페이스하는 MGF와 같은 인터페이스시스템이 포함된다. 이에, 컴퓨터장치(100) 및 단말장치(200)가 써킷 데이터 단위의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에도,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와 컴퓨터장 치(100) 간의 통화가 가능하고, 컴퓨터장치(100)가 단말장치(200)로 영상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장치(100)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행하여 유선IP망(310)을 통해 소정의 정보제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정보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컴퓨터장치(100)는,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전체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지정영역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영상의 전체 영역 중 일 영역을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저장하고, 이처럼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컴퓨터장치(100)는,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200)가 선택되면, ALL-IP망(3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컴퓨터장치(100)는, 선택된 단말장치(200)가 무선 단말인 경우 ALL-IP망(300) 내의 PS통신망(32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선택된 단말장치(200)가 유선 단말인 경우 ALL-IP망(300) 내의 유선IP망(31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장치(100)가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로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단말장치(200)로 영상통화 발신을 시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200)가 무선 단말로서 컴퓨터장치(100)와 단말장치(200)가 PS통신망(320)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전제 하에, 컴퓨터장치(100)가 PS통신망(32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200)는, ALL-IP망(300)을 통한 통신로 설정을 통해 컴퓨터장치(100)가 접속되어,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동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한다. 즉, 단말장치(200)는, PS통신망(320)을 통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세션 설정을 통해 컴퓨터장치(100)가 접속되어,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동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한다.
단말장치(200)는,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동영상이 제공됨에 따라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영상통화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컴퓨터장치(100)로부터의 영상통화를 착신 선택하여 받을 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컴퓨터장치(100)로부터의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200)의 사용자가 컴퓨터장치(100)로부터의 영상통화를 재생 선택(착신 선택)하면, 단말장치(2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상대방 영상표시 영역에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컴퓨터장치(100)에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컴퓨터장치(100)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 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고, 동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단말장치(200)를 선택하여 컴퓨터장치(100)가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기 저장한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으로 제공하면, 단말장치(2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200)에서도 컴퓨터장치(100)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200)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200)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단말장치(200)의 키패드가 선택/눌림에 따라 해당 키입력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컴퓨터장치(100)와의 통신로를 통해 즉, SIP세션을 통해 컴퓨터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컴퓨터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120)와, 웹 브라우저(120)의 웹 브라우 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40)와, ALL-IP망(300)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200)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와, 웹 브라우저(120)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200)가 선택되면 ALL-IP망(3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도록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하여,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선택된 단말장치(200)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170)와, 동영상변환부(150)와, 사용자입력부(180)를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120)는, 컴퓨터장치(100)에서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행하면 ALL-IP망(300)을 통해 정보제공서버(미도시)에 접속/인터페이스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고,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한 웹페이지영상을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웹 브라우저(120)는 기존의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웹 브라우저(120)에서 제공되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한 웹페이지영상을 컴퓨터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UI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며,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ALL-IP망(300)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20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즉, 컴퓨터장치(100)가 무선으로 단말장치(200)와 영상 통화하는 경우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ALL-IP망(300) 내의 PS통신망(320)을 통해 단말장치(200)와의 인터페이스할 수 있고, 컴퓨터장치(100)가 유선으로 단말장치(200)와 영상통화하는 경우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또는 ALL-IP망(300) 내의 유선IP망(310)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200)와의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전술에서, 컴퓨터장치(100)와 단말장치(200)가 PS통신망(320)을 이용한 무선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컴퓨터장치(100)가 PS통신망(32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므로, 이하에서도 이에 따라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가 패킷지원통신망(320) 즉 PS통신망(32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웹공유제어부(170)의 접속 제어에 따라 PS통신망(32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와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단말장치(200)에 접속한다. 즉,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SIP Invite메시지를 단말장치(200)로 제공하여 SIP세션 설정을 요청하고, SIP Invite메시지에 대응하여 단말장치(200)로부터 SIP 200 ok 메시지가 수신되어 SIP 세션 설정이 허용되면, 단말장치(200)로 SIP Ack 메시지를 회신함으로써,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컴퓨터장치(100)와 단말장치(200) 간의 SIP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웹공유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저(120)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에, 동영상저장부(1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 점부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이 저장되기 시작하여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웹공유제어부(170)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표시부(1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장치선택창은,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되는 위치가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말장치선택창은, 툴바형식으로 표시되어 이전에 웹공유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제공한 이력이 있는 복수개의 단말장치 중 원하는 단말장치(200)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해 직접 단말장치(2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웹공유제어부(170)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1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웹공유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도 6을 참조하여,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컴퓨터장치(100)의 표시부(1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되는 단말장치선택창 및 지정영역의 표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표시부(1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 상에는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8)이 일 영역에 표시되고,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7)이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영역(7)의 위치 및 사이즈가 조정될 수 있다. 물론, 지정영역(7)은 사용자에 의해 사이즈가 조정되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전체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웹공유제어부(170)에 의해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공유제어부(170)는 표시부(1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전체 영역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도록 동영상변환부(150)를 제어한다.
이에, 동영상변환부(150)는,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때,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 사이즈란,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단말장치의 통상적인 화면 영역 사이즈일 수 있고, 컴퓨터장치(100)가 동영상을 제공한 해당 단말장치(200)의 기종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말장치(200)의 화면 영역 사이즈일 수 있다. 이에, 동영상저장부(1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점부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6) 중 지정 영역(7)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영상이 저장되기 시작하여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영상의 저장종료가 선택되면, 웹공유기능 선택 시점부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때,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이란,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단말장치의 통상적인 재생포맷(예 : h.263)일 수 있고, 컴퓨터장치(100)가 동영상을 제공한 해당 단말장치(200)의 기종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말장치(200)의 재생포맷일 수 있다. 이에, 동영상저장부(1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점부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6)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웹공유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장치선택창(8)에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200, 예 : 010-xxxx-xxxx)가 선택되면, 해당 단말장치(200)에 접속하도록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단말장치(200)와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단말장치(2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웹공유제어부(170)는,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설정된 통신로를 통해 해당 단말장치(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웹공유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신망인터페이스 부(110)가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하고 웹공유제어부(170)가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웹공유제어부(170)가 ALL-IP망(300)를 통해 단말장치(200)로 영상통화 발신을 시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장치(100)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컴퓨터장치(100)에서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컴퓨터장치(100)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저장하고, ALL-IP망(3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기 저장한 해당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으로 제공하면, 단말장치(2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200)에서도 컴퓨터장치(100)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웹공유제어부(170)는, 기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각각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에 대응하여 상기 제공 중인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조정프로세싱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웹공유제어부(170)는,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때, 단말장치(200)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DTMF에 대응하여 현재 단말장치(200)로 제공 중인 상기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장치(100)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에 따르면,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여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는 단말장치(200)에서, 단말장치(2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영상의 화면 중 원하는 특정영역 만을 표시하거나 특정영역을 축소/확대하는 등 사용자 선택에 따라 네비게이션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200)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200)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간략히 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500)가 선택되면 통신망 즉 ALL-IP망(6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500)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400)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사서함을 담당하여, 소정 단말 장치(500)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는 이를 저장하고 해당 단말장치(500)로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와,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ALL-IP망(60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하여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제공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하는 단말장치(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장치(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휴대폰 또는 PDA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ALL-IP망(600)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ALL-IP망(30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단말장치(500)로의 패킷 단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패킷지원통신망으로써 PS(Packet Switching)통신망(620)을 채택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컴퓨터장치(400)는, ALL-IP망(600)을 통해 소정의 정보제공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정보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고,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컴퓨터장치(400)는,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전체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지정영역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영상의 전체 영역 중 일 영역을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저장하고, 이처럼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컴퓨터장치(400)는,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500)가 선택되면, ALL-IP망(6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500)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컴퓨터장치(400)가 ALL-IP망(60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접속하여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사서함에 영상통화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시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사서함을 담당한다.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는 ALL-IP망(600)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소정 단말장치(500)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제공되면, 제공된 동영상을 단말장치(500)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저장하고 해당 단말장치(500)로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저장하는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와, ALL-IP망(600)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500) 및 컴퓨터장치(400)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710)와, 통신망인터페이스부(710)에 접속되는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소정 단말장치(500)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동영상을 해당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에 저장하고, 단말장치(500)로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서버제어부(730)를 포함한다.
즉, 서버제어부(730)는, ALL-IP망(600)을 통한 컴퓨터장치(400)와 통신망인터페이스부(710) 간의 통신로가 설정되어 컴퓨터장치(400)가 접속되고, ALL-IP망(600)을 통해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소정 단말장치(500)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제공되면, 제공된 동영상을 해당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에 저장하도록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해당 단말장치(500)로 영상통화컨텐츠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저장 알림을 제공한다. 이때,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의 서버제어부(730)가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단말장치(500)로 제공하는 방식은 기존에 이용되는 다양한 제공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서버제어부(730)는,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받은 해당 단말장치(500)가 ALL-IP망(600)을 통해 통신망인터페이스부(710)에 접속되어, 단말장치(500)로부터 영상통화컨텐츠가 요청되면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에 저장된 해당 영상통화컨텐츠를 단말장치(500)로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ALL-IP망(60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하여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제공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제공받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한다.
즉,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제공되는 동영상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영상통화컨텐츠를 재생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의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500)의 사용자가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컴퓨터장치(400)의 웹공유기능에 따라 제공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재생 선택하면,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상대방 영상표시 영역에 영상통화컨텐츠를 표시하여 컴퓨터장치(400)의 웹공유기능에 따라 제공된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컴퓨터장치(400)에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컴퓨터장치(400)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고, 제공이 선택된 해당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해당 동영상을 제공하여 해당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컨텐츠로서 동영상을 저장하면, 해당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영상통화컨텐츠를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제공받아 재생하여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500)에서도 컴퓨터장치(400)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500)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 해 단말장치(500)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컴퓨터장치(4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장치(400)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간략히 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컴퓨터장치(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420)와, 웹 브라우저(420)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440)와, ALL-IP망(600)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500)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와, 웹 브라우저(420)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4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하고,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500)가 선택되면 ALL-IP망(600)을 통해 선택된 단말장치(500)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하도록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하여,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470)와, 동영상변환부(450)와, 사용자입력부(480)를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420), 표시부(440),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웹 브라우저(120), 표시부(140),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웹공유제어부(470)는,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저(420)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4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웹공유제어부(470)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표시부(4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말장치선택창은,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되는 위치가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말장치선택창은, 툴바형식으로 표시되어 이전에 웹공유기능을 통해 동영상을 제공한 이력이 있는 복수개의 단말장치 중 원하는 단말장치(500)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해 직접 단말장치(5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웹공유제어부(470)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440)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웹공유제어부(470)는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컴퓨터장치(400)의 표시부(440)에 표시 중인 웹 페이지영상 상에 표시되는 단말장치선택창 및 지정영역의 표시 예는, 전술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을 것이다.
그리고,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웹공유제어부(470)에 의해 표시부(4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하는 과정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웹공유제어부(170)에 의해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웹공유기능이 선택 시, 웹공유제어부(47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4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동영상저장부(4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점부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표시부(44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6)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웹공유제어부(470)는,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장치선택창(8)에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200, 예 : 010-xxxx-xxxx)가 선택되면, 해당 단말장치(500)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ALL-IP망(600)을 통해 접속하도록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웹공유제어부(470)는,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웹공유제어부(470)의 제어에 의해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가 PS통신망(62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접속하고 웹공유제어부(470)가 동영상 을 제공하는 것은,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사서함에 영상통화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시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장치(400) 및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를 포함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컴퓨터장치(400)에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컴퓨터장치(400)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고, 제공이 선택된 해당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해당 동영상을 제공하여 해당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컨텐츠로서 동영상을 저장하면, 해당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영상통화컨텐츠를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제공받아 재생하여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500)에서도 컴퓨터장치(400)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500)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500)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컴퓨터장치(100)에서는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행하여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한 웹페이지영상(6)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10).
이때, 컴퓨터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해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100)는 현재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 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8)을 표시하고(S30),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7)을 웹페이지영상(6) 상에 표시한다(S40).
이에, 컴퓨터장치(100)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된 시점부터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전체 영역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 저장한다(S50).
이처럼,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컴퓨터장치(100)는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전체 영역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저장한다(S52). 여기서,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 사이즈란,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단말장치의 통상적인 화면 영역 사이즈일 수 있고, 컴퓨터장치(100)가 동영상을 제공한 해당 단말장치(200)의 기종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말장치(200)의 화면 영역 사이즈일 수 있다. 이에, 컴퓨터장치(100)의 동영상저장부(1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점부터 웹페이지영상(6)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영상이 저장되기 시작하여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영상의 저장종료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4), 저장종료가 선택되는 경우 컴퓨터장치(100)는 웹공유기능 선택 시점부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56). 이때,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이란,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단말장치의 통상적인 재생포맷(예 : h.263)일 수 있고, 컴퓨터장치(100)가 동영상을 제공한 해당 단말장치(200)의 기종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말장치(200)의 재생포맷일 수 있다. 이에, 컴퓨터장치(100)의 동영상저장부(1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점부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표시된 웹페이지영상(6)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장치(100)는 사용자입력부(1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장치선택창(8)에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단말장치(200, 예 : 010-xxxx-xxxx)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100)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하여, 해당 단말장치(200) 에 ALL-IP망(300)을 통해 접속한다(S70). 즉, 전술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100)와 단말장치(200)가 PS통신망(320)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S70단계를 설명하면,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는, 컴퓨터장치(100)의 웹공유제어부(170)의 접속 제어에 따라, SIP Invite메시지를 단말장치(200)로 제공하여 SIP세션 설정을 요청하고(S72), SIP Invite메시지에 대응하여 단말장치(200)로부터 SIP 200 ok 메시지가 수신되어 SIP 세션 설정이 허용되면(S74), 단말장치(200)로 SIP Ack 메시지를 회신(S76)함으로써, 컴퓨터장치(100)와 단말장치(200) 간의 SIP세션을 설정하여, 단말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컴퓨터장치(100)와 단말장치(200)가 ALL-IP망(300) 내의 IP망(310)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환경이라면, S70단계에서 컴퓨터장치(100)는 IP망(31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할 것이다.
이처럼,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하면, 컴퓨터장치(100)는 동영상저장부(1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통신망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해 설정된 세션을 통해 해당 단말장치(200)로 제공한다(S80). 여기서, 컴퓨터장치(100)가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로 접속하고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로 영상통화 발신을 시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ALL-IP망(300)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제공되면,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의 재생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 즉, 단말장치(200)는, 컴퓨터장치(100) 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동영상이 제공됨에 따라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영상통화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컴퓨터장치(100)로부터의 영상통화를 착신 선택하여 받을 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재생 선택을 판단한다.
이에, 사용자가 컴퓨터장치(100)로부터의 영상통화를 재생 선택(착신 선택)하면, 단말장치(200)는,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 즉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한다(S100). 이에, 단말장치(2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상대방 영상표시 영역에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200)는,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단말장치(200)의 키패드가 선택/눌림에 따라 해당 키 입력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컴퓨터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10). 이처럼 단말장치(200)로부터 DTMF가 수신되면, 컴퓨터장치(100)는 수신되는 DTMF에 대응하여 현재 단말장치(200)로 제공 중인 상기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따르면, 컴퓨터장치(100)에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컴퓨터장치(100)에서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한 후, 동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단말장치(200)를 선택하여 컴퓨터장치(100)가 ALL-IP망(30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접속하여 기 저장한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으로 제공하면, 단말장치(2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컴퓨터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 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200)에서도 컴퓨터장치(100)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200)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200)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컴퓨터장치(400)에서는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행하여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한 웹페이지영상(6)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10).
이때, 컴퓨터장치(400)는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해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400)는 현재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 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8)을 표시하고,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7)을 웹페이지영상(6) 상에 표시한다(S45).
이에, 컴퓨터장치(400)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된 시점부터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6)의 전체 영역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 저장한다(S50).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5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S50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50) 이후, 컴퓨터장치(400)의 동영상저장부(130)에는,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는 시점부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표시된 웹페이지영상(6) 중 지정영역(7)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장치(400)는 사용자입력부(4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장치선택창(8)에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단말장치(200, 예 : 010-xxxx-xxxx)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400)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를 제어하여, 해당 단말장치(500)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ALL-IP망(600)을 통해 접속한다(S130).
이처럼, ALL-IP망(60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하면, 컴퓨터장치(400)는 동영상저장부(430)에 저장된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통신망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제공한다(S140). 여기서, 컴퓨터장치(400)가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접속하고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은,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사서함에 영상통화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시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ALL-IP망(600)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이 제공되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는, 제공된 동영상을 해당 단말장치(500)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에 저장한다(S150). 그리고, 해당 단말장치(500)로 영상통화컨텐츠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저장 알림을 제공한다(S160). 이때,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의 서버제어부(730)가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단말장치(500)로 제공하는 방식은 기존에 이용되는 다양한 제공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단말장치(500)는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제공되는 동영상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영상통화컨텐츠를 재생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 선택을 판단한다(S170). 이에, 단말장치(500)의 사용자가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영상통화컨텐츠를 재생 선택하면, 단말장치(500)는 ALL-IP망(60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하여(S180),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웹공유기능에 따라 제공된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요청한다(S190).
즉, 전술에서와 같이, 컴퓨터장치(400)와 단말장치(500)가 PS통신망(620)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S180단계를 설명하면, 단말장치(500)는 PS통신망(620)을 통한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와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세션 설정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장치(500)가 ALL-IP망(600) 내의 유선IP망(610) 을 이용한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유선 환경이라면, S180단계에서 단말장치(500)는 유선IP망(610)을 통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접속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500)로부터 영상통화컨텐츠가 요청되면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는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720)에 저장된 해당 영상통화컨텐츠를 단말장치(500)로 제공하고(S200),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통화컨텐츠, 즉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한다(S210). 이에,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상대방 영상표시 영역에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따르면, 컴퓨터장치(400)에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컴퓨터장치(400)는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고, 제공이 선택된 해당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로 해당 동영상을 제공하여 해당 단말장치(500)의 영상통화컨텐츠로서 동영상을 저장하면, 해당 단말장치(500)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700)에 저장된 영상통화컨텐츠를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제공받아 재생하여 컴퓨터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500)에서도 컴퓨터장치(400)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따르면,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500)에서도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실현하여 손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단말장치(500)가 웹 브라우징 내용을 재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MMS방식으로 인한 제한적인 문제점(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량 한정, 웹 브라우징 내용을 MMS메시지로 구성하는 과정의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현재 웹 브라우징 동작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저장하고, 동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는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기 저장한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으로 제공하며, 단말장치가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갖지 않은 단말장치에서도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을 적용할 경우, 웹 브라우징 기능 공유 및 영상통화 서비스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개발 및 사용자 정보 획득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컴퓨터장치 및 단말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 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영상통화사서함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웹공유기능 선택 시 웹페이지영상에 표시되는 단말장치선택창 및 지정영역의 표시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컴퓨터장치 200 : 단말장치
300 : ALL-IP망 310 : 유선IP망
320 : PS통신망

Claims (22)

  1.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장치는,
    상기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할 때,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통신망 내의 통신로 설정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웹공유기능에 따라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상기 통신로를 통해 상기 컴퓨터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4.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상기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영상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변환부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저장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웹공유기능 선택 시점부터 상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하는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DTMF에 대응하여 제공 중인 상기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10.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터장치;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사서함을 담당하여, 소정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동영상을 저장하고 해당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영상통화사서함 서버; 및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재생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11. 소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저장하는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 및 컴퓨터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는 컴퓨터장치로부터 소정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동영상을 해당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한 해당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가 요청되면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사서함서버.
  13.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 브라우징을 제어하는 웹 브라우저;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따른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영상을 동영상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도록 상기 통신망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 제공하도록 하는 웹공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의 일 영역에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단말장치선택창을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웹공유제어부는,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부에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상기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
  16.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장치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영상을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 내의 통신로 설정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웹공유기능에 따라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의 재생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을 영상통화 방식을 통해 재생하는 상기 재생 단계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에 따른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상기 통신로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18. 웹 브라우징에 의한 웹페이지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웹 브라우저의 웹 브라우징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 중인 상기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장치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현재 표시 중인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표시 영역 중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해 저장할 적어도 일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영역을 상 기 웹페이지영상 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지정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영역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을 상기 단말장치의 화면 영역에 대응하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웹페이지영상의 저장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웹공유기능 선택 시점부터 상기 저장종료 선택 시점까지 저장된 상기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소정 재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21. 제 19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DTMF에 대응하여 제공 중인 상기 동영상의 제공영역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장치의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22.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장치에서 웹 브라우징에 따른 동영상을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웹공유기능이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웹 브라우징 동작에 의해 표시 중인 웹페이지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웹페이지영상에 따른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컴퓨터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말장치를 담당하는 소정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이 제공되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영상통화컨텐츠로서 저장하고,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상기 영상통화컨텐츠의 저장 알림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동영상에 대응하는 영상통화컨텐츠를 상기 영상통화사서함서버로부터 제공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KR1020080094327A 2008-09-25 2008-09-25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KR101282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27A KR101282411B1 (ko) 2008-09-25 2008-09-25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27A KR101282411B1 (ko) 2008-09-25 2008-09-25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35A true KR20100035035A (ko) 2010-04-02
KR101282411B1 KR101282411B1 (ko) 2013-07-04

Family

ID=4221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27A KR101282411B1 (ko) 2008-09-25 2008-09-25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9908A (zh) * 2016-09-02 2022-01-18 谷歌有限责任公司 在组通信中共享用户选择的视频的方法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842B1 (ko) * 2002-12-20 2005-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홈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839041B1 (ko) * 2006-11-30 2008-06-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웹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9908A (zh) * 2016-09-02 2022-01-18 谷歌有限责任公司 在组通信中共享用户选择的视频的方法和设备
CN113949908B (zh) * 2016-09-02 2023-10-31 谷歌有限责任公司 在组通信中共享用户选择的视频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11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51B1 (ko) 모바일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97999B2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KR101555063B1 (ko)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4033773A1 (en)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ultimedia playing device and control terminal
EP2136531B1 (en) Processing video communication data
JP2006100885A (ja) 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受信再生端末
JP3877137B2 (ja) 携帯端末装置の着信通知方法及びその携帯端末装置
US200800886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KR20040094271A (ko) 통화 연결 대기시의 화상 데이터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282411B1 (ko) 웹 브라우징 공유 시스템 및 웹 브라우징 공유 방법
JP2005159567A (ja) 電話端末の通話モード切替方式
JP2006523070A (ja) 携帯端末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
EP3116201A1 (en) Cordless phone apparatus, cordless phone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KR20010090227A (ko)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동영상 표시 방법
KR100727173B1 (ko) 스트리밍 중 임의 위치 북마크/점프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350627B2 (ja) 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受信再生端末
US2002008009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KR20090036449A (ko) 화상 통화 중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이동단말기 및 기록매체
US9237239B2 (en) Method for augmenting a voice call
KR100668658B1 (ko) 통신단말 및 그의 운용방법
JP2010033477A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デバイス管理装置、端末制御サーバ、通信方法
KR20050034050A (ko) 아이피 화상전화망에서 멀티미디어 링백톤을 위한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101476281B1 (ko)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21177B2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同期方法
KR1009926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첨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