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817A -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817A
KR20100034817A KR1020080094004A KR20080094004A KR20100034817A KR 20100034817 A KR20100034817 A KR 20100034817A KR 1020080094004 A KR1020080094004 A KR 1020080094004A KR 20080094004 A KR20080094004 A KR 20080094004A KR 20100034817 A KR20100034817 A KR 2010003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sition
solar cell
light absorb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4817A/ko
Publication of KR2010003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4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including a AIBIIICVI compound, e.g. CdS/CulnSe2 [CIS] heterojunction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H01L31/1864Ann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1CuInSe2 material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후면전극 상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후면전극 상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나노입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조성물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트륨, 셀레나이트, 페이스트, 소성

Description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들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리기판, 금속 이면 전극층, p형 CIGS계 광 흡수층, 고저항 버퍼층, n형 창층 등을 포함하는 기판 구조의 pn 헤테로 접합 장치인 CIGS계 태양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광 흡수층은 향상된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광 흡수층의 막 밀도를 증가시키고, 광 흡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태양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면전극 상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후면전극 상에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나노입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후면전극; 및 상기 후면전극 상에 배치되며, 나트륨을 포함하는 광 흡수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나트륨 화합물 또는 칼코겐 원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조성물에 첨가하여, 광 흡수층을 형성한다.
특히,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의 나노입자를 소성시키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셀레늄을 첨가제의 셀레늄이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소성과정에서, 첨가제에 포함된 나트륨이 광 흡수층의 막 밀도를 증가시키고, 광-전 변환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광 흡수층의 결정성 및 그레 인 크기가 향상되고,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층, 막 또는 전극 등이 각 기판, 층, 막, 또는 전극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CIG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후면전극(200)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유리, 금속 또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유리기판, 스테인레스 스틸 기판 또는 티타늄 기판 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리지드하거나 플렉서블하다.
상기 후면전극(200)은 상기 기판(100) 상에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증착된다. 이때, 상기 후면전극(200)은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후면전극(200)은 상대적으로 전도도가 낮고, 상기 기판(100)에 대한 결합력이 높은 층과 상대적으로 전도도가 높은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전극(200)은 도전체이며, 상기 후면전극(2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몰리브덴(Mo) 등을 들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광 흡수층(300)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층(300a)이 형성된다.
상기 조성물층(300a)을 형성하기 위해서, 나노입자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형성된다.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트 또는 잉크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조성물이 페이스트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약 7 내지 10wt%의 분산제, 약 40 내지 60wt%의 나노입자들, 약 2 내지 10wt%의 첨가제, 약 10 내지 20%의 바인더 및 약 10 내지 30%의 용매가 혼합되어,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조성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 및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약 10:0.5 내지 10:2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Cu(In,Ga)Se2,CIGS계) 화합물, 구리-인듐-셀레나이드계(CuInSe2, CIS계) 화합물 또는 구리-갈륨-셀레나이드계(CuGaSe2, CGS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는 유기 용매열 반응법 또는 콜로이달 합성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 파우더, 인듐 파우더, 갈륨 파우더 및 셀레늄 파우더를 아 민계열의 유기 용매에 혼합하고, 열을 가하여,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구리 파우더, 인듐 파우더 및 셀레늄 파우더 만이 사용되거나, 구리 파우더, 갈륨 파우더 및 셀레늄 파우더 만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레늄 대신에 황이 사용되어, 상기 나노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나트륨 화합물 및/또는 칼코겐 원소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소듐 셀레나이트 또는 소듐 셀레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니트로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기판(100)과의 향상된 접착성을 가지며, 용이하게 증발된다. 상기 용매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등의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조성물을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프린팅되어, 상기 조성물층(300a)이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조성물은 잉크 상태로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잉크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약 5 내지 10wt%의 분산제, 약 45 내지 60wt%의 나노입자들, 약 5 내지 10wt%의 첨가제 및 약 30 내지 35%의 용매가 혼합되어, 상기 잉크 상태의 조성물이 형성된다.
상기 잉크 상태의 조성물은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닥터 블레이드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서 코팅되고, 상기 조성물층(300a)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성물층(300a)은 예열되고, 소성되고,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광 흡수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예열 공정은 약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약 10 내지 60분 동안 진행된다. 이때, 상기 조성물층(300a)에 포함된 용매 및 바인더 등의 유기물질은 제거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층(300a)에 질소 또는 아르곤 기체를 흘려주어, 부산물의 형성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예열된 조성물층(300a)은 약 450 내지 600℃의 온도에서, 소성되고, 상기 후면전극(200) 상에 상기 광 흡수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광 흡수층(300)은 CIGS계 결정상을 가지며, CIGS계 결정에 나트륨이 확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 흡수층(300) 상에 황화 카드뮴(CdS)이 적층되어, 버퍼층(400)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400) 상에 징크 옥사이드(ZnO)가 적층되어, 고저항 버퍼층(50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고저항 버퍼층(500) 상에 알루미늄이 도핑된 징크 옥사이드가 적층되어, 투명전극층(600)이 형성된다.
상기 광 흡수층(300)은 p형 층이며, 상기 버퍼층(400)은 n형 층이다. 따라서, 상기 광 흡수층(300) 및 상기 버퍼층(400)은 pn접합을 형성한다.
상기 소성 공정에서, 상기 나노입자들에 포함된 셀레늄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에 포함된 셀레늄이 상기 광 흡수층(300)에 보충되고, 상기 광 흡수층(300)의 결정성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소성 공정은 셀레늄 또는 독성을 가지는 셀레늄 하이드라이드(H2Se) 분위기에서 진행되지 않아도, 상기 광 흡수층(300)은 향상된 CIGS계 결정을 가진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CIG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용이하게 제조되며, 향상된 결정구조를 가지는 CIGS계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에 포함된 나트륨은 상기 광 흡수층(300)에 확산되고, 상기 광 흡수층(300)의 막 밀도, 그레인의 크기, 결정성 및 광-전 변환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조성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 흡수층(300)에 포함되는 나트륨의 양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CIG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CIGS계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CIG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나트륨이 포함된 기판(100)을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광 흡수층(300)에 나트륨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CIGS계 태양전지는 다양한 소재의 기판(100)을 사용할 수 있고, 플렉서블한 CIGS계 태양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트륨이 상기 광 흡수층(300)에 직접 첨가되고, 첨가된 나트륨의 일부가 상기 후면전극(200) 및 상기 기판(100)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으로 나트륨이 포함되지 않은 재료가 사용될 때, 상기 광 흡수층(300)의 나트륨의 양은 상기 후면전극(200) 및 상기 기판(100)의 나트륨의 양보다 더 많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예
유리 기판 상에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약 1㎛의 두께의 몰리브덴 전극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약 60wt%의 Cu(In,Ga)Se2 나노 입자, 약 35wt%의 에탄올, 분산제로서 약 5wt%의 아민계 및 첨가제로서, 약 2.5wt%의 NaSeO3 입자를 혼합하여, 조성물 페이스트#1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몰리브덴 전극층 상에 상기 조성물 페이스트#1를 약 5㎛의 두께로 프린팅하여 조성물층#1을 형성하였다. 이후, 약 60분 동안 약 400℃의 온도에서 상기 조성물층#1은 건조되었다.
이후, 상기 건조된 조성물층#1은 약 400℃의 온도에서, 약 60분 동안 소성되어, 상기 몰리브덴 전극층상에 광 흡수층#1이 형성되었다.
이후,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서, 약 50㎚의 두께의 CdS층, 약 50㎚의 두께의 ZnO층 및 약 500㎚의 두께의 알루미늄 도핑된 ZnO층이 상기 광 흡수층#1 상에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었다.
대조군
실험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유리기판 상에 몰리브덴층이 형성된다. 이후, 약 60 wt%의 Cu(In,Ga)Se2 나노 입자, 약 35 wt%의 에탄올 및 분산제로서 약 5wt%의 아민계 분산제를 혼합하여, 조성물 페이스트#2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몰리브덴 전극층 상에 상기 조성물 페이스트 #2는 약 5㎛의 두께로 프린팅되어, 조성물층#2가 형성되었다.
이후, 상기 조성물층#2는 조성물층#1과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되고, 소결되어 상기 몰리브덴 전극층상에 광 흡수층#2가 형성되었다.
이후, 실험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광 흡수층#2 상에 Cds층, ZnO층 및 알루미늄 도핑된 ZnO층이 상기 광 흡수층#2 상에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었다.
이후, 상기 실험예 및 대조군에 약 25℃, AM1.5g 스펙트럼(1000 W/㎡)의 조건에서, 광-전 변환효율을 측정하였고, 광 흡수층#1, #2의 나트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첨가제를 추가하여 형성된 광 흡수층#1의 나트륨의 농도가 광 흡수층#2 대비 약 2.5% 더 높은 것을 알 수가 있고, 이로 인해 광 흡수층#1의 광-전 변환 효율이 광 흡수층#2 대비 약 3%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CIGS계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8)

  1. 기판 상에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면전극 상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후면전극 상에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나노입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나노입자는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 구리-인듐-셀레나이드계 또는 구리-갈륨-셀레나이드계 화합물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첨가제는 나트륨 화합물 또는 칼코겐 원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듐 셀레나이트 또는 소듐 셀레네이트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트 또는 잉크 형태를 가지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층을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제 1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조성물을 상기 제 1 온도보다 높은 제 2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층을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나노입자 및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10:0.5 내지 10:2인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후면전극; 및
    상기 후면전극 상에 배치되며, 나트륨을 포함하는 광 흡수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0080094004A 2008-09-25 2008-09-25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34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004A KR20100034817A (ko) 2008-09-25 2008-09-25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004A KR20100034817A (ko) 2008-09-25 2008-09-25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817A true KR20100034817A (ko) 2010-04-02

Family

ID=4221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004A KR20100034817A (ko) 2008-09-25 2008-09-25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481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70A1 (en) * 2011-01-27 2012-08-02 Lg Innotek Co., Ltd.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55011A1 (en) * 2011-10-13 2013-04-18 Lg Innotek Co., Ltd. Solar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98026B1 (ko) * 2012-04-13 2013-08-26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KR101306390B1 (ko) * 2011-11-28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54374A1 (en) * 2012-04-13 2013-10-17 Korea Resera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Fabrication method of photo active layer for solar cell
KR101395790B1 (ko) * 2012-04-13 2014-05-19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KR101395779B1 (ko) * 2012-04-13 2014-05-19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CN104094412A (zh) * 2012-02-02 2014-10-08 韩国能源技术研究院 利用低熔点助熔剂的太阳能电池用铜铟镓硒系薄膜的制作方法及据此方法制作的铜铟镓硒系薄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470A1 (en) * 2011-01-27 2012-08-02 Lg Innotek Co., Ltd.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19948B1 (ko) * 2011-01-27 2013-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및 제조방법
US9461187B2 (en) 2011-01-27 2016-10-04 Lg Innotek Co., Ltd. Solar cel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55011A1 (en) * 2011-10-13 2013-04-18 Lg Innotek Co., Ltd. Solar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30040019A (ko) * 2011-10-13 2013-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9548407B2 (en) 2011-10-13 2017-01-17 Lg Innotek Co., Ltd Solar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306390B1 (ko) * 2011-11-28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94412A (zh) * 2012-02-02 2014-10-08 韩国能源技术研究院 利用低熔点助熔剂的太阳能电池用铜铟镓硒系薄膜的制作方法及据此方法制作的铜铟镓硒系薄膜
EP2811538A4 (en) * 2012-02-02 2015-11-11 Korea Energy Research Inst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G) S-BASED PHOTOVOLTAIC THIN FILM USING A FLOW WHICH HAS A LOW, THIN FILM BASE FUSION POINT (G) S MANUFACTURED THEREBY
KR101395779B1 (ko) * 2012-04-13 2014-05-19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KR101395790B1 (ko) * 2012-04-13 2014-05-19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WO2013154374A1 (en) * 2012-04-13 2013-10-17 Korea Resera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Fabrication method of photo active layer for solar cell
KR101298026B1 (ko) * 2012-04-13 2013-08-26 한국화학연구원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i et al. Review of recent progress in antimony chalcogenide‐based solar cells: materials and devices
KR101144807B1 (ko) 태양전지 박막조성용 잉크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cigs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U200523916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hin-film chalcopyrite compound
US8617642B2 (en) Preparation of thin film for solar cell using paste
US8071875B2 (en) Manufacture of thin solar cells based on ink printing technology
Jo et al. 8% Efficiency Cu2ZnSn (S, Se) 4 (CZTSSe) thin film solar cells on flexible and lightweight molybdenum foil substrates
KR20100034817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23007A (ko) 박막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225829A (ja) 薄膜太陽電池の光吸収層の形成方法
KR101197228B1 (ko)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광흡수층 제조방법
KR101865239B1 (ko) 높은 무크랙 한계를 갖는 cigs 나노 입자 잉크 제제
EP2660871A1 (en) Compound semiconductor thin film solar cel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i et al. Fabrication of CdS/SnS heterojunction for photovoltaic application
Chander et al. Nontoxic and earth-abundant Cu2ZnSnS4 (CZTS) thin film solar cells: a review on high throughput processed methods
KR101081300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74645A1 (ja) 半導体層の製造方法、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層形成用溶液
Wu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Cu/Sn ratios on the properties of monoclinic Cu 2 SnS 3 thin films and solar cells fabricated by the sol–gel method
KR20160055315A (ko) 태양전지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태양전지 광흡수층
KR102409983B1 (ko) 안티몬 칼코할라이드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KR101262529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9505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6220A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70481A1 (ja) 光電変換装置
Chen et al. Solution-Processed All-inorganic Planar Heterojunction Solar Cells by Employing In Situ Grown Interfacial Layer with Dual Functions: Complementary Absorption and Selective Extraction of Photogenerated Holes
JP5570650B2 (ja) 半導体層の製造方法および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