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213A -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213A
KR20100034213A KR1020080093237A KR20080093237A KR20100034213A KR 20100034213 A KR20100034213 A KR 20100034213A KR 1020080093237 A KR1020080093237 A KR 1020080093237A KR 20080093237 A KR20080093237 A KR 20080093237A KR 20100034213 A KR20100034213 A KR 20100034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stub
antenna
circuit board
ea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이종인
윤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4213A/ko
Publication of KR2010003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내부에 메인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본체와, 메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와, 메인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되는 부속품 및 부속품의 주위에 길게 형성되며, 부속품에서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쉬프트(Shift)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안테나, 이어잭, 기생 공진, 스터브

Description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Mobile device minimizing effect owing to parastic resonan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생 공진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의 수행은 물론, 인터넷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문서 작성, 게임 등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면서 각종 편의를 위한 부속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데, 최근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안테나를 포함하는 많은 부속품들이 조밀하게 배치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부속품으로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여 청취하거나 또는 운전 중에 손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이어잭(Ear jack)을 예로 들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내부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해 안테나 주위에 부속품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부속품은 내부에 많은 금속 배선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부속품이 안테나 주위(안테나 방사 영역 내)에 설치되는 경우, 부속품으로 인해 기생 공진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어잭의 경우, 내부에 많은 금속 배선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기생 공진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영역이 안테나의 서비스 대역에 일치하는 경우가 많아 안테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테나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안테나 주위에 설치된 부속품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테나 주위에 설치된 부속품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내부에 메인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메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메인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되는 부속품 및 상기 부속품의 주위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부속품에서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쉬프트(Shift)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안테나 주위에 설치된 부속품의 주위에 길게 형성된 스터브를 설치함으로써 부속품 때문에 발생하는 기생 공진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주위에 설치된 부속품의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안테나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속품을 안테나 주위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소형이면서도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부속품의 일 예로 이어잭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부의 주위에 설치되는 부속품으로 이어잭(130)을 예로 들어,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부속품으로는 이어잭(1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테나부의 주위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부속품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진 본체, 메인 회로 기판(121), 안테나부(122), 이어잭(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슬라이드 형(Sliding Type)의 휴대 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회전형(Rotating type) 등의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1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형의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본체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0)는 휴대 단말기(100) 본체의 하부를, 상부 케이스(110)는 휴대 단말기(100) 본체의 상부를 의미하며, 상부 케이스(110)는 하부 케이스(120)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케이스(110) 또는 하부 케이스(120)는 상부 케이스(110) 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에는 사용자에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를 구비하고, 상부 케이스(110) 또는 하부 케이스(120)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키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는 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로는 키 패드(Key Pad)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 내부에는 메인 회로 기판(121)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회로 기판(121)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각종 전기 소자와 배선들을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하부 케이스(120)의 내부의 수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122)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 회로 기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100)의 소형화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해, 안테나부(122)는 본체의 하단부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안테나부(122)는 메인 회로 기판(121)에 장착된 캐리어(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될 수 있다. 캐리어는 유전체로서 안테나부(122)를 메인 회로 기판(121)에 대하여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어잭(Ear jack)(130)은 접속구를 통해 이어폰(1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 회로 기판(12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어잭(130)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메인 회로 기판(121)의 상부면에 마운팅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고정 부재로는 볼트, 스크류 등과 같은 나사 결합용 체결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이어잭(130)은 납땜(Soldering)을 이용하여 메인 회로 기판(121)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메인 회로 기판(121)의 상부면에 부착된 이어잭(130)의 접속구에 이어폰(140)을 삽입하여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여 청취하거나 운전 중에 손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소형화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공간 상의 제약으로 인해 안테나부(122)와 이어잭(130)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130)은 메인 회로 기판(121)의 하단부에 설치된 안테나부(122)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부(122)를 장착하는 캐리어(도시되지 않음)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이어잭(130)은 그 내부에 금속 배선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어잭(130)으로 인해 기생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잭(130)을 안테나부(122)의 주위에 설치해도 이어잭(130)의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접속구를 통하여 이어잭(130)에 연결되는 이어폰(140)의 직경은 2.5 mm 또는 3.5 mm일 수 있다. 2.5 mm 이어잭(130)의 경우, 기존의 휴대 단말기(100)에서 주로 지원되는 이어잭(130)으로서 휴대 단말기(100) 전용의 이어폰(140)을 사 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으나, 주로 사용되는 이어잭(130)의 형태이다. 또한, 3.5 mm 이어잭(130)의 경우, 일반 이어폰(140) 또는 헤드셋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고음질의 사운드를 즐길 수 있으므로 최근 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에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3.5 mm 이어잭(130)도 안테나부(122)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형이면서도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휴대 단말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 안테나부(122)의 주위에 설치된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어잭(130)의 주위에는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터브란 고주파 회로에서 임피던스 정합이나 신호의 선별적 필터링을 위하여 신호선 외에 부가적으로 장치되는 조그만 선로를 의미한다. 이러한 스터브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스터브는 안테나부(122)의 주위에 설치된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쉬프트(Shift)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안테나의 주파수 사용 대역과 무관한 주파수로 이동시켜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안테나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어잭(130)에서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의 쉬프트(Shift)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서 스터브의 설치 형태에 따른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스터브(131)는 이어잭(130)의 일 측면에 연결되며, 이어잭(130)의 일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브(131)는 이어잭(130)이 설치된 메인 회로 기판(121)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이어잭(130)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이어잭(130)과 메인 회로 기판(12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스터브(131)가 이어잭(13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터브(131)는 이어잭(130)의 상부면, 전후 또는 좌우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브(132)는 메인 회로 기판(121) 상에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브(133)는 이어잭(130)이 설치된 메인 회로 기판(121)의 상부면의 반대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스터브(131, 132, 133)의 설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어잭(130)의 주위에 간단히 스터브 만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별도의 다른 조치 없이도 간단하게 쉬프트 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터브가 기생 공진 주파수를 쉬프트 시켜 안테나의 주파수 송수신 특성을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이어잭(130)을 안테나부(122)의 주변에 설치 가능하고,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에 따라 간단히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하여 기생 공진 주파수의 쉬 프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5b의 실험 데이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이어잭(130)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했을 때의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a 내지 도 5b는 3.5 mm 이어잭(130)이 안테나부(122) 주위에 설치된 경우의 실험을 토대로 작성된 도면이다.
도 4a는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하기 전의 VSWR 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하기 전에 주파수에 따른 VSWR 값과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안테나의 주파수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주파수에 따른 VSWR 값을 의미하고 있다.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은 전력 정재파 비로서, 주파수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그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안테나의 주파수 효율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122)의 주위에 설치된 이어잭(130)의 영향으로 약 1900 MHz 부분(도 4a의 'A')에서 기생 공진이 발생하여, US??PCS 대역인 1850 MHz ~ 1990 MHz의 주파수 영역에서 VSWR 값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안테나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한 후의 VSWR 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한 후에 주파수에 따른 VSWR 값과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안테나의 주파수를 의미하고, 세로축은 주파수에 따른 VSWR 값을 의미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어잭(130)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하여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US??PCS 대역이 아닌 다른 주파수 영역으로 쉬프트 시킬 수 있다. 도 5a에서는 약 1900 MHz인 기생 공진 주파수를 약 1800 MHz 부분(도 4a의 'A')으로 쉬프트 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와 도 5b를 비교해 보면, 예를 들어, 안테나의 주파수가 1930 MHz일 때에는 VSWR 값은 4.2에서 1.4로 감소하고 안테나의 주파수 효율은 9 %에서 24 %로 약 167% 정도 까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어잭(130)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하게 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PCS 대역인 1850 MHz ~ 1990 MHz의 주파수 영역에서 VSWR 값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안테나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기생 공진 주파수의 쉬프트 양은 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도 4a 내지 도 5b에서 설명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이며, 안테나부(122)의 주파수 사용 대역, 기생 공진 주파수의 쉬프트 양 등은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서는 안테나부의 주위에 설치되는 이어잭(130)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어잭(130)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부속품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안테나 부의 주위에 설치된 부속품의 주위에 길게 형성된 스터브를 설치함으로써 부속품 때문에 발생하는 기생 공진에 의한 성능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의 주위에 설치된 부속품의 안테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안테나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속품을 안테나부의 주위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회전형(Rotating type) 및 이들의 조합형(Combination type)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부는 F 안테나(F Type Antenna), 슬롯형 안테나(Microstrip Slot Antenna), 링형 안테나(Microstrip Ring Antenna), 애퍼처 결합형 안테나(Microstrip Aperture Array Antenna), 스트립라인형 안테나(Microstrip Stripline Antenna) 등의 패치형 평판 안테나(Microstrip patch antenna)나, 역 F 안테나(Inverted F Antenna), 표면실장형 안테나(SMD), 단일 초고주파 집적회로 안테나(MMIC)와 같은 초소형 안테나, 변형된 다양한 내장형 안테나 등 모든 종류의 내장형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부속품의 일 예로 이어잭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스터브의 설치 형태에 따른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하기 전의 VSWR 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하기 전에 주파수에 따른 VSWR 값과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한 후의 VSWR 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이어잭의 주위에 스터브를 설치한 후에 주파수에 따른 VSWR 값과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 단말기
110: 상부 케이스 120: 하부 케이스
121: 메인 회로 기판 122: 안테나부
130: 이어잭 131, 132, 133: 스터브

Claims (9)

  1. 내부에 메인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메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메인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되는 부속품; 및
    상기 부속품의 주위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부속품에서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를 쉬프트(Shift)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Stu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부속품에서 발생하는 기생 공진 주파수의 쉬프트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는 상기 부속품의 일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일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는 상기 부속품이 설치된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상기 부속품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부속품과 상기 메인 회로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는 상기 메인 회로 기판 상에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터브는 상기 부속품이 설치된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의 상부면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부속품은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접속구를 통해 이어폰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되는 이어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93237A 2008-09-23 2008-09-23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34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37A KR20100034213A (ko) 2008-09-23 2008-09-23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237A KR20100034213A (ko) 2008-09-23 2008-09-23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213A true KR20100034213A (ko) 2010-04-01

Family

ID=4221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237A KR20100034213A (ko) 2008-09-23 2008-09-23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42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0543A1 (en) * 2018-06-15 2019-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djacent to antenna
US10594023B2 (en) 2018-02-14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4023B2 (en) 2018-02-14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WO2019240543A1 (en) * 2018-06-15 2019-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djacent to antenna
KR20190141852A (ko) * 2018-06-15 2019-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에 인접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9796B2 (en) 2018-06-15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djacent to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515B2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U2008205147B2 (en) Antenna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671804B2 (en) Tunable antennas for handheld devices
US10135121B2 (en) Antenna for portable device
US7952529B2 (en) Dual band antenna
KR101394858B1 (ko) 내장형 안테나들을 갖는 커넥터들
US7230575B2 (en) Dual-band chip antenna module
US6473042B1 (en) Antenna for an electronic device
AU200820514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EP1930981A1 (en) Built-in type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20100090921A1 (en) Built-i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CN101971417B (zh) 天线承载体和设备
KR20100034213A (ko) 기생 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휴대 단말기
RU2523443C2 (ru) 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KR101090005B1 (ko)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0881469B1 (ko)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장치
CN208570909U (zh) 扬声器天线集成装置和通信设备
KR101030141B1 (ko) 내장형 안테나 모듈
KR100827114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10283445A (ja) 携帯端末機器
KR20070064190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22447A (ko) 저주파 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20090102500A (ko) 저주파 대역용 능동형 안테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