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570A -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570A
KR20100033570A KR1020080092510A KR20080092510A KR20100033570A KR 20100033570 A KR20100033570 A KR 20100033570A KR 1020080092510 A KR1020080092510 A KR 1020080092510A KR 20080092510 A KR20080092510 A KR 20080092510A KR 20100033570 A KR20100033570 A KR 20100033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remote control
switch
signal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일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이선일
김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일, 김준기 filed Critical 이선일
Priority to KR102008009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3570A/ko
Publication of KR20100033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또는 선박의 조명을 위한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RF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RF신호(ID Address)를 수신하여 전등을 제어하는 RF점멸기와 스위치를 장착 또는 부착하고, 상기 RF점멸기에 점등 및 소등 RF신호(ID Address)를 송신하는 벽체 고정식 원격조정장치 및 이동식 원격조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벽체 고정식 원격조정장치와 이동식 원격조정장치를 사용할 경우, 전등기구와 벽체스위치 간의 배관과 배선작업, 벽체스위치박스 매입작업, 그에 따른 결선작업 등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자재비와 인건비 등 공사비를 대폭 절감시키면서도 현재와 같은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동식 원격조정 장치를 사용하여 취침 시 등에 일어나지 않고 앉거나 누워서 전등의 점멸이 가능하다.
또한, RF신호(ID Address)를 무선통신제어수단으로 이용하므로 원격조정장치와 전등의 RF점멸기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인체, 혹은 다른 물체로부터의 방해나 간섭을 줄이고 방향과 각도에 구애됨이 없이 지정된 전등(또는 전등기구)만의 점 소등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원격조정장치의 고유한 식별부호인 고유한 ID Address를 표준화(같은 ID Address를 갖더라도 서로 간섭하지 않을 만큼 충분히 넓은 지역을 하나의 구획으로 하여 그 내부에서는 같은 ID Address가 없도록 하며 타 구획에서는 같은 ID Address가 있어도 무방하게 되므로 비교적 적은 숫자의 ID Address로서 모든 전등의 점멸이 가능함)시켜서 Dip스위치 로 표시하면 본 발명의 RF점멸장치의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사후 관리가 편하여 지는 특징이 있다.
전등기구, RF 점멸장치, ID Address, 원격조정장치(리모콘), Dip 스위치

Description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Remote Control System used with RF signal(ID Address) for Electric Lighting switch on and off}
본 발명은 건축물 또는 선박의 조명을 위한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RF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요소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RF점멸기(10) 및 스위치(20)를 장착 또는 부착하며, 원격조정장치는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 및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원격조정점멸장치의 방향과 각도, 실내의 인체나 경미한 물체(가구, 문짝, 유리, 옷 등),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원격조정장치(리모콘)로서 정확히 지정된 전등(또는 전등기구)만을 작동 시킬 수 있어, 기존의 전등공사 시공방법에서의 벽체에 매입 설치된 벽체스위치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 또는 편리한 위치에 고정 설치된 고정식 원격조정장치(리모콘)에서 보내온 RF신호(ID Address)를 수신하여 지정된 전등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고, 고유 ID Address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는 방법으로 표준화(모든 전등의 ID Address를 다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구획 안에서만 모든 전등의 ID Address를 다르게 하고 일정한 면적을 확보한 타 구획에서는 똑 같은 ID Address가 같은 방법으로 반복되어 주어짐으로서 비교적 적은 숫 자의 ID Address로 모든 전등에 ID Address를 부여하여 같은 ID Address 끼리의 간섭과 방해가 없도록 함)시켜서 Dip스위치(50)로 표시하면 본 발명의 고유한 ID Address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사후 관리가 편리하여 지는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원격조정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등의 점멸은 벽체에 매입 설치된 스위치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하여 점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등의 점멸을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가 설치된 곳까지 사용자가 이동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벽체 또는 천정에 설치된 전등기구와 벽체에 매입 설치된 스위치와의 사이에는 유선의 배선작업이 필요하여 건축물의 구조체 공사 시에는 벽체 및 천정에 미리 PVC관 등으로 배관작업을 하게 되고, 마감부분의 전등공사 시에 배선작업, 스위치 설치작업, 결선작업 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최근에는 일반 적외선 리모콘을 사용하여 스위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리모콘 조작에 의하여 전등기구의 점 소등을 작동할 수 있게 하였으나,
첫째,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점멸방식은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리모콘(4a, 4b)과 무선모듈(1)이 일직선을 이루는 공간 사이에 타 물체로 차단되어 신호가 전달되지 아니하거나, 야간에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무선모듈(1)을 향하여 정확히 점등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둘째, 벽체 고정식 적외선 리모콘(4a)이 공개되었으나 이는 욕실이나 발코니 의 경우 적외선의 특성상 기존의 적외선 리모콘(4a)은 욕실의 내부, 혹은 발코니에 설치하게 되어 종래의 전등기구 스위치와 위치가 바뀌게 되므로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하게 되며, 리모콘 스위치를 습기가 많은 욕실 내부에 고정 할 경우 전원부 및 스위치 부분 등의 부식으로 고장이 쉽게 발생되고 발코니의 경우에는 한냉기에 취약한 적외선의 특성상 오작동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거실. 주방. 식당 등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설치될 경우에는 주사방향과 각도를 사전에 조정하여 지정되지 아니한 이동식 리모콘(4b)을 사용할 경우에는 개방된 공간내의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함께 점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실용신안공보 제 10-0001683호는 적외선통신에 의한 리모콘을 사용하여 조명등기구를 점 소등하는 방법이고,
국내실용신안공보 제 20-0430386호는 유무선 혼합방식으로서, 벽체스위치박스의 설치, 전등기구와 벽체스위치 간의 배선연결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건축물 구조체 공사 시의 PVC관 등의 배관작업, 전원연결을 위한 배선작업과 결선작업, 스위치 설치작업 등이 전등기구가 설치되는 각 실내마다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에 따른 기존의 재래식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비와 인건비 등에 리모콘 관련 공사비가 추가되기 때문에 공사비 증가요인이 되어 실제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무선점멸장치는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정식 리모콘(4a)의 경우; 전등기구와 리모콘 사이에 다른 물체 또는 사람의 이동으로 인하여 전등기구의 점멸에 방해 또는 간섭현상으로 인한 오작동과 욕실, 발코니에서 고정식 리모콘(4a)의 위치를 욕실 내부 또는 발코니 벽체에 고정시켜야하나 이는 기존의 습관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원격조정장치가 욕실의 습기에 부식되고, 외부인 발코니에서는 한냉기에 오작동의 우려가 크다.
이동식 리모콘(4b)의 경우; 리모콘(4b)과 무선모듈(1)간의 방향과 각도를 일치시켜야 하므로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유무선 혼합방식의 경우; 기존의 전등공사비에 리모콘 관련공사비가 추가되어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 또는 선박의 조명제어장치로서 전반적으로 상용화 되지 못하고 장애인용, 노약자용 또는 고급주택의 안방 정도에만 제한적으로 이용되어 진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RF점멸기(10)와 스위치(20)를 장착 또는 부착하고, 원격조정장치(리모콘)를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 또는 별도의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를 이용하여 전등을 점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한 원격조정 점멸장치에서는 적외선 신호의 방향과 각도에 따라 건축 구조물에 적외선 신호가 반사 또는 차단되어 간섭과 방해가 심하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또는 실내의 모든 인체 및 물체로 인한 간섭 및 방해(특히, 거실. 주방. 식당 등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설치될 경우에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지정된 방향과 각도를 가진 리모콘(4a)이 아닌 이동식 적외선 리모콘(4b)으로는 원하는 전등만의 점멸이 불가능함)로 인하여 리모콘과 전등기구의 무선모듈(1)과의 원활한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이 간섭, 반사, 방해, 차단 등으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무선점멸장치를 이용할 경우 대폭적인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음 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적외선 무선점멸장치를 이용한 전등기구가 건축전반에 상용화 되지 못하고 기존의 벽체스위치에 적외선 무선모듈, 무선스위치, 수신센서 등을 부착 또는 장착하는 수준으로 상용화되어 약간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는 있었으나, 원가는 상승하고 기능이 향상되는 수준은 보잘 것이 없는 수준이어서 널리 상용화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건축물 또는 선박의 실내에 근거리에서 수신이 가능한 RF점멸기(10)와 스위치(20) 등을 장착 또는 부착한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RF신호(ID Address)를 송신하는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를 구비하여, 벽체에 고정 설치한 원격조정장치(40a)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의 RF신호(ID Address)에 의해 전등을 점멸시킬 수 있게 되면, 벽체의 스위치로부터 전등기구까지의 전원연결(배관, 배선 및 결선)과 스위치의 벽체 매입설치가 필요 없게 되어 획기적인 공사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점멸장치에서의 문제점인 전등기구나 물체 또는 사람의 이동에 의한 간섭이나 통신 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욕실, 발코니 등의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의 설치위치를 재래식의 벽체스위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여 기존의 주거생활에서의 습관적인 사용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실, 주방의 경우와 같이 개방된 공간에 수 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있을 경우 각각의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원격조정장치(리모콘)에 고유 ID Address를 지정하여 다른 원격조정장치(리모콘)나 다른 무선신호에 구애됨이 없이 지정된 전등(또는 전등기구)만을 정확히 점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RF점멸장치로서 모든 전등을 방해와 간섭 없이 점멸하기 위해서는 무한대의 고유한 ID Address가 필요하다 할 것이나, 이를 표준화하여 1 개 구획 내의 모든 전등은 Dip스위치를 조정하여 고유한 ID Address를 모두 다르게 하고 타 구역에서는 똑 같은 ID Address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도 전등의 점멸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면적과 높이를 가진 구획을 부여하는 표준화 작업을 함으로 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4의 구성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수신부(11), 전원부(12), RF수신제어부(13), 스위치구동부(14), ID조정부(15) 및 스위치(20)등을 장착 또는 부착하고,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 와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는 송신부(41), 전원부(42), RF송신제어부(43), 스위치(44) 및 ID조정부(45)등으로 구성하여, RF신호(ID Address)를 전등의 점멸 신호로서 이용하면, 기존의 적외선 리모콘을 사용할 경우 송신방향을 전등의 무선모듈로 정확히 조준을 하지 않으면 점멸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방향과 각도에 관계없이 일정거리에서의 점멸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등기구의 본체(전등갓 내부 포함) 또는 전등 상호간, 인체 및 실내의 각종 물체(욕실, 발코니에서는 출입문을 투과하여 RF신호를 수신) 등으로 인한 방해나 간섭, 반사, 차단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본 발명의 원격조정장치(리모콘)로서 정확히 작동 시킬 수 있어서 기존의 전등공사 시공방법에서의 벽체에 매입 설치된 벽체스위치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 또는 편리한 위치에 고정 설치된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에서 보내온 RF신호(ID Address)를 수신하여 지정된 전등의 점멸을 할 수 있다.
또한, 거실, 주방, 식당 등에서와 같이 개방된 공간에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있을 경우 도 7,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Dip스위치 표준에 따라 거실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ID조정부(15)에 고유의 ID Address를 지정하고, 거실용 고 정식 원격조정장치(40a)의 ID조정부(45)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의 ID조정부(45)를 거실의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같은 ID Address를 지정하면, 주방이나 식당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거실의 전등(또는 전등기구)만을 정확히 점멸 할 수가 있으며, 같은 방법으로 주방이나 식당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ID조정부(15)에 각각 고유의 ID Address를 지정하고 원격조정장치(리모콘)의 ID조정부(45)에 주방이나 식당의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같은 각각 고유의 ID Address를 지정하면 같은 공간에 있는 전등(또는 전등기구)라도 각각 원격조정장치(리모콘)와 고유한 ID Address가 일치하는 전등(또는 전등기구)만의 점멸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건축물 또는 선박의 각 전등마다 각기 다른 고유한 ID Address를 준다면 전등의 작동에는 지장이 없으나, 무한대의 ID Address가 필요하며 이러한 무한대의 ID Address를 제작 설치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RF점멸장치를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또는 선박에서의 각 전등이 가지는 ID Address가 겹치더라도 점멸에 전혀 지장이 없고 방해나 간섭도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가 확보된 구획을 1개 단위로 하여 그 구획 내에서는 모든 전등의 ID Address가 다르도록 Dip스위치(50)를 조정하여 각 전등마다 다른 ID Address를 부여하며, 다른 구획에서도 일정한 규칙을 갖도록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등마다 다른 ID Address를 부여하면 ID Address가 같더라도 서로 다른 구획 간에서는 서로 간섭할 수 없게 되며, 필요한 ID Address의 숫자는 매우 제한적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전등의 Dip스위치 조정 작업이 간편하게 되어 실 제 현장에서의 적용이 용이하고 관리가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RF점멸기를 장착 또는 부착한 전등 (또는 전등기구)을 건축물, 선박 등에 사용하게 되면 RF신호(ID Address)를 송출하는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를 사용하여 전등기구의 전등을 점멸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벽체매입용 스위치의 설치가 필요 없게 되며, 이에 따라 기존의 벽체매입용 스위치와 전등기구 간의 전원 연결이 필요 없게 되므로 건축물의 구조체(벽체 및 바닥, 천정 등)공사 시에 필수적인 PVC관 등의 배관작업과 그 배관 속으로의 전선 연결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전등공사에서 벽체스위치박스, 배관자재, 연결전선 등의 자재비와 그에 따른 인건비 등이 절감되며, 이에 반하여 공사비가 증가되는 부분은 RF 점멸기, 스위치, 원격조정장치(리모콘) 등과 이를 설치하는 간단한 설치작업으로서, 대폭적인 원가절감과 함께 공사 량의 감소로 인한 공사 관리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것은 물론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의 벽체고정위치는 기존의 습관화된 벽체스위치의 위치 또는 그 외의 편리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어 기존의 습관으로 인한 생활의 불편을 최소화 하면서도 대폭적인 원가절감을 할 수 있고,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는 취침 시 등에 앉거나 누워서 전등의 점멸이 가능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적외선방식의 리모콘에서는 그 제어신호가 지향성으로서, 물체를 투과할 수 없으므로 습기가 많은 욕실에 설치할 경우 전자제품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욕실 내부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같이 욕실입구(거실)에 설치하여도 작동에 전혀 문제가 없고, 발코니와 같이 외부에 설치될 경우 한냉기에 오작동의 우려가 많은 적외선 리모콘의 경우와 달리 기존의 설치위치와 같이 거실측에 설치하여도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점멸에 문제가 없으며, 거실. 주방. 식당 등에서와 같이 개방된 공간에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원격조정장치(리모콘)와 각각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ID Address가 일치하여야 조명의 점멸이 가능하여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를 사용하여도 서로 간섭하지 아니하여 오작동의 염려가 없다.
모든 전등을 위치와 거리에 관계없이 각 전등별로 점멸하기 위해서는 무한대의 고유한 ID Address가 필요하나 본 발명을 실제에 적용하기 위해서 무한대의 고유한 ID Address를 갖는 장치를 만들거나 관리하는 것은 현실 여건상 불가능하며,
이에 본 발명을 실제 적용하기 위하여 1 개 구획 내에서의 모든 전등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서로 다른 ID Address를 부여하고, 다른 구획에서는 똑 같은 규칙에 따라 같은 ID Address가 반복되어 나타날 수 있도록 Dip스위치로서 조작하면 제한적인 숫자의 ID Address로서 모든 건축물과 선박의 전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사후 관리가 용이한 무선점멸장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격조정장치(리모콘)는 고유한 RF신호(ID Address)를 무지향으로 송신하는 안테나가 포함되는 송신부(41), 건전지를 사용하는 전원 부(42), 원격조정장치의 고유한 ID Address를 송신 제어하는 RF송신제어부(43),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스위치(44), 원격조정장치의 고유한 ID Address를 Dip스위치(50)로 지정하는 ID조정부(45) 로 구성되며,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의 벽체고정위치는 기존의 습관화된 벽체스위치의 위치 또는 그 외의 편리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어 기존의 습관으로 인한 생활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조정장치(리모콘)는 ID조정부(45)에서 Dip스위치(50 )를 이용하여 고유한 ID Address를 지정하며, 스위치(44)를 통하여 들어오는 점멸 신호를 RF송신제어부(43)에서 고유한 ID Address로 변환하여 송신부(41)로 전달되고 송신부에서는 무지향성의 RF신호(ID Address)를 근거리에 송신한다.
도 2,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등기구는 RF점멸기(10), 스위치(20) 및 전등(30)으로 구성되고,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RF점멸기(10)는 RF신호(ID Address)를 수신하는 수신부(11),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전환하는 전원부(12), 수신된 ID Address와 고유한 ID Address를 비교하여 스위치를 제어하는 RF수신제어부(13), 스위치 구동부(14), Dip스위치(50)로 고유한 ID Address를 지정하는 ID조정부(15)로 구성된다.
천정에서 전등기구로 공급하는 전원을 AC 전원에서 DC 전원으로 전환시켜 RF점멸기(10)로 공급하고 스위치를 전등기구(또는 전등)에 장착 또는 부착하면 전등기구와 벽체스위치 간의 배관과 배선작업, 벽체스위치박스 매입작업, 그에 따른 결선작업 등이 필요 없게 되므로 자재비와 인건비 등 공사비를 대폭 절감시키면서도 현재와 같은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RF점멸기(10)를 기능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첫째, 점등할 경우;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정식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의 스위치(44)를 작동하면 RF송신제어부(43)에서 고유한 ID Address를 송신부(41)로 보내고 송신부(41)에서는 RF신호(ID Address)를 송신하면 전송되어진 RF신호(ID Address)는 RF점멸기(10)의 수신부(11)를 통하여 RF수신제어부(13)에 수신되고, RF수신제어부(13)에서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신된 원격조정장치의 고유한 ID Address와 ID조정부(15)에서 지정된 고유한 ID Address를 비교하여 같은 값이면 지정된 원격조정장치의 점멸 신호이므로 스위치구동부(14)를 작동(ON)시켜 전등이 소등 상태 이므로 스위치(20)를 ON으로 변환하여 전등을 점등한다.
둘째, 소등할 경우;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고정식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의 스위치(44)를 작동하면 RF송신제어부(43)에서 고유한 ID Address를 송신부(41)로 보내고 송신부(41)에서는 RF신호(ID Address)를 송신하면 전송되어진 RF신호(ID Address)는 RF점멸기(10)의 수신부(11)를 통하여 RF수신제어부(13)에 수신되고, RF수신제어부(13)에서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수신된 원격조정장치의 고유한 ID Address와 ID조정부(15)에서 지정된 고유한 ID Address를 비교하여 같은 값이면 지정된 원격조정장치의 점멸 신호이므로 스위치구동부(14)를 작동(ON)시켜 전등이 점등 상태 이므로 스위치(20)를 OFF로 변환하여 전등을 소등한다.
셋째, 지정되지 않은 RF신호(ID Address)가 수신될 경우;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RF점멸기(10)로 수신되는 다양한 무선 신호나 다른 원격조정장치의 RF신호(ID Address)들이 RF수신제어부(13)에서 고유한 ID Address와 비교하여 다른 값 이 나오면, 스위치구동부(14)는 작동이 되지 않고(OFF) RF수신제어부(13)는 초기화되어 준비 상태가 된다.(점멸되지 아니함)
그러므로 각각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은 지정된 원격조정장치의 점멸 신호만 구분하여 작동하므로 다른 원격조정장치나 다른 무선신호에 구애됨이 없이 지정된 전등만을 정확히 점멸 할 수 있는 것이다.
침실에서와 같이 고정식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로 한 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을 제어하려면, 고정식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 와 지정된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Dip 스위치(50)를 동일한 고유한 ID Address로 지정하여 고정식 원격조정장치(40a)나 이동식 원격조정장치(40b)로 지정된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점멸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거실에서와 같이 한 개의 원격조정장치(리모콘)로 수 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을 점멸하려면,
첫째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들을 동시에 점멸하려면 원격조정장치의 ID조정부(45)와 수 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ID조정부(15)를 동일한 고유한 ID Address로 지정하면 동시에 수 개의 전등 점멸이 가능하고,
둘째, 거실 또는 욕실에서 수개의 전등(또는 전등기구)들을 3개 그룹으로 나누어서(통상 3개 그룹 정도로 나누어짐) 제어하려면, 원격조정장치(리모콘)의 ID조정부(45) 및 스위치(44)에 3개의 각각 다른 고유한 ID Address(가, 나, 다)를 지정하고,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전등(또는 전등기구)들 중에서 1그룹으로 지정된 전등들은 고유한 ID Address를 “가”로 지정하며, 2그룹으로 지정된 전등들은 고 유한 ID Address를 “나”로 지정하고, 3그룹으로 지정된 전등들은 고유한 ID Address를 “다”로 지정한다. 그리하여 1그룹의 전등들을 점멸하려면 원격조정장치에서 고유한 ID Address가 "가“로 지정된 스위치(44)를 사용하여 1그룹의 전등들을 점멸 할 수 있으며, 2그룹의 전등들을 점멸하려면 원격조정장치에서 고유한 ID Address가 "나“로 지정된 스위치(44)를 사용하여 2그룹의 전등들을 점멸 할 수 있고, 3그룹의 전등들을 점멸하려면 원격조정장치에서 고유한 ID Address가 "다“로 지정된 스위치(44)를 사용하여 3그룹의 전등들을 점멸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거실 또는 욕실 등에서 수 개의 전등스위치(2구 스위치 및 3구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ID조정부(15, 45)의 ID Address 표준화 작업을 위하여 도 6, 도 7,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Dip스위치(50)를 세 부분(A, B, C)으로 나누어, 건축물 또는 선박에서 각 층간의 고유한 ID Address 와 인접한 층간의 고유한 ID Address를 Dip스위치(50)의 A로 각 층간의 ID Address를 다르게 지정하면, 101호와 201호, 301호, ..... 등등의 각 층간의 고유한 ID Address를 가지게 되며, 각 호실의 고유한 ID Address 와 인접한 호실의 고유한 ID Address를 Dip스위치(50)의 B로 각 호실을 다르게 지정하면, 101호와 102호, 103호, ..... 등등의 각 호실의 고유한 ID Address를 가지게 되며, 각 실내, 예를 들면 101호 내부의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원격조정장치의 ID Address는 Dip스위치(50)의 C로 각각 고유의 ID Address를 지정하면 101호 내부에서는 각 실(전등)별의 고유한 ID Address를 부여 받을 수 있으며, 각 층. 각 호 및 각 실(전등)의 고유한 ID Address를 구분함으로서 건축물 또는 선박의 내부에서 인접한 다른 층, 다른 호 및 같은 실내의 다른 원격조정장치(리모콘)의 간섭 및 방해가 없이 지정된 전등(또는 전등기구)과 지정된 원격조정장치(리모콘) 사이에서만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건축물 또는 선박의 각 전등(또는 전등기구)마다 서로 간섭하지 아니하고 각각 별도로 점멸할 수 있는 고유의 ID Address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각동별(또는 매5층별, 매10층별 등으로 구획할 수 있음; 고유의 ID Address가 같아도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넓게 구획)로 구획하여 1개 군을 부여하고, 단독주택(다세대, 다가구주택 포함)의 경우에는 1개 가로(도로로 구획되어지는 주택군)를 1개 군으로 구획하여 그 1개 군 내에서는 같은 ID Address를 갖는 전등(또는 전등기구)이 없도록 한다.
1개 동 또는 1개 구획으로 이루어진 1개 군내에서는 각층별 구분을 Dip스위치(50)의 A로서 하고(단독주택의 경우에는 각 대지의 주택별로 구분함), 각 호별 구분은 Dip스위치(50)의 B로 하게 되며(다가구, 다세대주택의 경우에는 각호별로 구분함), 각 세대(공동주택, 다세대, 다가구주택 공히)내에서 개실의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구분은 Dip스위치(50)의 C로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원격조정 점멸장치(리모콘)에서 ID Address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면 한 아파트단지에서 101동 101호와 102동 101호의 각 호별 ID Address는 같게 되고, 101동 102호와 102동 102호, 또는 101동 201호와 103동 201호의 각 호별 ID Address는 같게 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법칙에 따라 모든 전등(또는 전등기구)의 각 개실별 Dip스위치(50) 조정 작업을 하게 될 경우 전국, 또는 세계적인 표준화 Code가 되어 누구나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옆집, 이웃집 등 근거리에 위치한 주택과 Dip스위치(50)가 다르게 되어(원거리의 다른 구획에서는 같은 ID Address가 있게 됨) ID Address의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는 비교적 적은 숫자의 ID Address 부여작업을 일정한 원칙에 의해서 간편하게 Dip스위치(50) 조작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ID Address를 조작하는 일실시예를 든 것으로서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 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효과를 가지는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Dip스위치(50) A, B, C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던가, Dip스위치(50)의 A와 B, 또는 C의 기능을 서로 변경(층별, 호별, 각 전등별 구분)한다던가, 본 발명의 무선점멸장치를 이용한 전등공사 시공방법을 인테리어공사, 조적조, 목구조, 경량철골조, 철골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등 철근콘크리트구조가 아닌 구조의 건축물에 적용할 경우에도 유사한 원가절감효과를 이룰 수 있고 시공관리, 품질관리의 확보가 용이하다 할 것이며, 또한, 건축물의 용도가 다른 호텔, 여관, 오피스텔, 콘도미니엄, 기숙사, 일반주택, 연립주택, 사무실, 학교, 공장, 상가 등의 경우에도 유사한 원가절감효과와 함께 시공관리, 품질관리의 확보가 용이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 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무선점멸장치와 전등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거실, 침실 등에서 본 발명의 RF신호를 이용한 무선점멸장치와 전등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욕실, 발코니 등에서 본 발명의 RF신호를 이용한 무선점멸장치와 전등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또는 전등기구) 및 원격조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무선점멸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6은 건축물 및 선박에서 본 발명의 의 1개로 구획된 군 내 에서의 각 층별, 각 호별, 각 실(전등)별 고유 ID Address를 부여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건축물 또는 선박에서 본 발명의 고유 ID Address 부여를 위한 Dip스위치 조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8은 건축물 또는 선박에서 본 발명에서 Dip스위치를 조작하여 각 층별, 각 실별, 각 실(전등)별로 고유 ID Address를 부여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Claims (4)

  1. 건축물 또는 선박 등에 사용되는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RF신호(ID Address)를 수신하는 수신부,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전환하는 전원부, 수신된 RF신호(ID Address)와 고유한 ID Address를 비교하여 스위치를 제어하는 RF수신제어부, 스위치 구동부, 고유한 ID Address를 지정하는 ID조정부 및 스위치 등을 장착 또는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2. 고정식 원격조정장치(리모콘) 및 이동식 원격조정장치(리모콘)가 RF신호(ID Address)를 송신하는 송신부, 건전지를 사용하는 전원부, 스위치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등의 점멸신호를 고유한 ID Address로 변환하여 송신부로 전송하는 RF송신제어부, 고유한 ID Address를 지정하는 ID조정부 및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3. 전등(또는 전등기구) 및 고정식 또는 이동식 원격조정장치의 ID조정부는 3개 그룹 이상으로 구분하여 조정할 수 있는 Dip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4. 건축물 또는 선박 등에 사용되는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도 6, 도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Dip스위치를 조작 1개 구획 내의 각 층, 각 호, 각 실(전등)별로 Dip스위치 내부의 A, B, C등으로 구분하여 원격조정장치(리모콘)와 전등(또는 전등기구)에 고유한 ID Address를 부여하면, 1개 구획내의 건축물 또는 선박의 모든 전등은 서로 다른 ID Address를 갖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건축물 및 선박의 전등에 무한대로 반복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ID Address)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KR1020080092510A 2008-09-22 2008-09-22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KR20100033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10A KR20100033570A (ko) 2008-09-22 2008-09-22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10A KR20100033570A (ko) 2008-09-22 2008-09-22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570A true KR20100033570A (ko) 2010-03-31

Family

ID=4218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510A KR20100033570A (ko) 2008-09-22 2008-09-22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35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22A3 (ko) * 2010-06-11 2012-02-02 Lim Tae Whan 전등의 rf 스위치 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US9564812B2 (en) 2014-07-23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722A3 (ko) * 2010-06-11 2012-02-02 Lim Tae Whan 전등의 rf 스위치 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US9363870B2 (en) 2010-06-11 2016-06-07 Bandi Comm Tech Inc. RF switch controller power supply apparatus of lamp
US9564812B2 (en) 2014-07-23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627B (zh) 照明控制系統
US9035572B1 (en) Combined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imming control system
US10813199B2 (en) Combined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imming control system
US10278269B2 (en) Combined ligh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imming control system
US9572228B2 (en) Commissioning lighting systems
CA2696986C (en) Interactive appliances, appliance systems and appliance control methods, and controls therefor
US20070189001A1 (en) Multi-functional ballast and location-specific lighting
CA2947019A1 (en) Environmental condition control based on sensed conditions and related methods
US20190150251A1 (en) Smart illuminating controller
US20230313545A1 (en) Dwelling with selectively adjustable living spa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associated thereto
KR101081911B1 (ko) 기축 건물에 설치되는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제어 시스템
JP2002231465A (ja) 照明システム
JP2012032044A (ja) 運転制御システム、運転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100033570A (ko) Rf신호를 이용한 전등의 원격조정 점멸장치
RU106482U1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комфорта
KR20130010778A (ko) 무선 통신부와 led 발광부가 일체화된 led 조명 모듈
KR20100038534A (ko) 인체 및 조도 감지 일체형 듀얼센서
JP2012172878A (ja) 照明機能付き天井暖房装置
WO2021192718A1 (ja) 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プレキャストパネル
TWI737113B (zh) 智慧型電器的開關控制系統及方法
JP2023130911A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80001676A (ko) 무선점멸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등공사 시공방법
JPH08223664A (ja) 電源スイッチ
KR20240020326A (ko) 통합 디스플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는 세대 제어 시스템
TWM634223U (zh) 燈具之控制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