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512A - 피봇형 도어 클로져 - Google Patents

피봇형 도어 클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512A
KR20100032512A KR1020080091435A KR20080091435A KR20100032512A KR 20100032512 A KR20100032512 A KR 20100032512A KR 1020080091435 A KR1020080091435 A KR 1020080091435A KR 20080091435 A KR20080091435 A KR 20080091435A KR 20100032512 A KR20100032512 A KR 2010003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vot
stopper
spr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규
Original Assignee
박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규 filed Critical 박인규
Priority to KR102008009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512A/ko
Publication of KR2010003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봇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서, 문틀 또는 문짝에 내장 설치되는 바디(10)및 바디커버(20)와;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스토퍼(40)의 스프링공(42)과 바디(10)측면의 스프링공(13)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50)과;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나사(60)와; 스토퍼(40)의 측단에 위치되어 스프링(50)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 되는 것으로서, 핀(4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43)를 가지는 한 쌍의 스토퍼(40)와; 바디(10)에 대하여 회전 운동되는 것으로서, 상대 운동하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된 피봇(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봇형 도어 클로져 {pivot type door closer}
본 발명은 피봇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가의 유리도어나, 아파트의 방화도어, 사무실의 출입 도어, 제품의 도어 등에 사용하여, 그 도어들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피봇형 도어 클로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도어에는, 열려진 이후에 리턴 되어 닫힐 수 있도록 리턴유압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리턴유압장치는 대형이어서 바닥에 매립 설치하거나, 유리도어에 설치할 경우 유리도어의 상, 하부 측에 연결부속이 보이지 않도록 위장하기 위해 넓은 철판을 사용하고, 방화도어의 경우 실내 측에 리턴유압장치를 노출 설치한다.
그런데, 상기한 리턴유압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많고, 또한 누유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더 나아가 사무실의 출입 도어는 대형의 리턴유압장치가 노출 설치되어 미관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소형화 로 내장설치를 구현할 수 있어 도어나 가전제품 같은 회전대상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스프링을 이용하므로 누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피봇형 도어 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봇형 도어 클로져는,
문틀 또는 문짝에 내장 설치되는 바디(10)및 바디커버(20);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스토퍼(40)의 스프링공(42)과 바디(10)측면의 스프링공(13)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50)과;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나사(60)와; 스토퍼(40)의 측 단에 위치되어 스프링(50)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 되는 것으로서, 핀(4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43)를 가지는 한 쌍의 스토퍼(40)와; 바디(10)에 대하여 회전 운동되는 것으로서, 상대 운동하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된 피봇(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피봇(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피봇홈(11)과 한 쌍의 스토퍼(40)가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더(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의 상, 하부에는 상기 가이더(12)가 끼어지는 가이더홈(41)이 형성되고; 스토퍼(40)의 측 단에는 상기 롤러(43)가 회전가능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롤러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홈(44)의 상, 하부에는 그 롤러(4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45)이 끼어지는 핀공(46)이 형성된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트랙(31)의 단면은, 장축의 직경과 단축의 직경이 다른 타원형 형태(인볼류트 커브)로 되어 있고; 상기 롤러트랙(31)의 장축과 단축에는 상기 롤러(43)가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다수의 롤러트랙홈(3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봇형 도어 클로져는, 문틀 또는 문짝에 내장 설치되는 바디(10)및 바디커버(20);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스토퍼(40)의 스프링공(42)과 바디(10)측면의 스프링공(13)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50)과;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나사(60)와; 스토퍼(40)의 측 단에 위치되어 스프링(50)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되는 것으로서, 핀(4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43)를 가지는 한 쌍의 스토퍼(40)와; 바디(10)에 대하여 회전 운동되는 것으로서, 상대 운동하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된 피봇(30)을 포함함으로써, 소형화로 제작할 수 있어 원가절감이 가능함과 동시에 견고함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원의 피봇형 도어 클로져는 유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누유고장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대상물이 자동으로 리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봇형 도어 클로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봇형 도어 클로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바디(10)에 대한 피봇(30)의 상대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봇형 도어 클로져는, 문틀 또는 문짝에 내장 설치되는 바디(10)및 바디커버(20);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스토퍼(40)의 스프링공(42)과 바디(10)측면의 스프링공(13)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50)과;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하는 다수의 조절나사(60)와; 스토퍼(40)의 측 단에 위치되어 스프링(50)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 되는 것으로서, 핀(4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43)를 가지는 한 쌍의 스토퍼(40)와; 바디(10)에 대하여 회전 운동되는 것으로서, 상대 운동하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된 피봇(30)을 포함한다.
바디(10)의 내부하단에는, 피봇(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피봇홈(11)과 한 쌍의 스토퍼(40)가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더(12)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10)의 양 측면에는, 스프링(50)이 관통하며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 하는 조절나사(60)가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스프링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10)의 상단에는, 바디커버(20)를 바디(10)에 부착 고정하는 커버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커버(20)의 내부하단에는, 피봇(3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피봇홈(21)과 한 쌍의 스토퍼(40)가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더(22)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커버(20)에는, 바디커버(20)를 바디(10)의 커버고정홈(14)에 고정하는 2개의 바디고정공(23)과, 힌지를 문틀 또는 문짝에 부착 고정하는 8개의 볼트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30)은, 상대 운동하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 을 구성하고, 또한 바디(10)와 바디커버(20)의 피봇홈(11,21)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피봇(30)의 상 하단에는, 바디(10)와 바디커버(20)의 피봇홈(11,21)에 끼어지는 회전돌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피봇(20)의 상부 측에는 바디커버(20)의 피봇홈(21)을 관통하여 문틀 또는 문짝에 끼어지는 회전저지돌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저지돌부(34)가 문틀 또는 문짝에 끼어질 때 회전되지 않아야 하며,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저지돌부(34)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문틀 또는 문짝의 끼움 부는 장공 형태의 회전저지 돌부(34)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피봇(30)의 외 주면에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트랙(31)의 단면은, <도 3> 내지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수평축)과 단축(수직축)의 직경이 다른 타원형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타원형 형태의 하나로서 인볼류트(involute)형이 있다.
스토퍼(40)의 상, 하부에 가이더(12,22)가 끼어지는 가이더홈(41)이 형성됨으로써, 스토퍼(40)는 상호 멀어지거나 좁아지는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다.
스토퍼(40)의 측 단에는 롤러(43)가 회전가능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롤러홈(44)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홈(44)의 상, 하부에는 그 롤러(4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핀(45)이 끼어지는 핀공(46)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43)는 롤러홈(44)에 끼어진 상태에서, 핀(45)이 핀공(46) 및 롤러(43)를 관통함으로써, 스토퍼(40)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50)은, 한 쌍의 스토퍼(40)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를 가한다. 이러한 스프링(50)은 본실시 예에서 8 개를 사용한다.
조절나사(60)는, 스프링(50)을 고정하며, 도어의 리턴 속도를 맞추기 위하여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한다.
바디(10)부는, 문틀 또는 문짝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블록 형상을 가지는 바디(10)와, 바디(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바디커버(20)를 포함한다.
바디커버(20)는, 볼트(B)로 바디(10)와 체결됨으로써 바디(10)에 고정되고, 볼트 홈(24)에 끼워지는 외부 볼트에 의해 문틀 또는 문짝에 고정 배치된다.
피봇(30)은 중간 외 주면에 장축의 직경과 단축의 직경이 다른 타원형 (인볼류트<involute>형) 형태의 롤러트랙(31)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30)의 롤러트랙(31)에는 롤러(43)가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다수개의 롤러트랙홈(32), 본실시 예에서는 4 개의 롤러트랙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장축 에 대응되는 롤러트랙(31)에 2 개의 롤러트랙홈(32)이 형성되어 있고, 단축에 대응되는 롤러트랙(31)에 2 개의 롤러트랙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봇(30)은 바디(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회전대상물이 고정되는 구조의 회전저지돌부(34)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바디커버(20)가 문틀 또는 문짝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대상물, 예를 들면 회전저지돌부(34)에 고정되는 도어(미 도시)가 회전되면, 피봇(30) 외주면의 롤러트랙(31)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스토퍼(40)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타원형인 롤러트랙(31)의 면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더(12,22)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됨으로서 바디(10)에 대해 회전이 정지되고, 상대 회전되는 롤러트랙(31)에 의하여 한 쌍의 스토퍼(40)가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직선 운동을 한다.
즉, 평소(도어 열림)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스토퍼(40)의 롤러(43)가 장축의 롤러트랙(31)에 형성된 롤러트랙홈(32)에 끼어져 위치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회전대상물을 닫힘 방향으로 진행하다 놓게 되면, 피봇(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양 스토퍼(40)와 바디(10)의 측면 사이의 스프링(50)이 탄성바이어스 되면서, 양 스토퍼(40)와 바디(10)의 측면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단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스토퍼(40)를 바디(10)의 피봇홈(11)방향으로 가이더(12,22)를 따라 직선 운동 시킨다.
그러다 회전대상물을 회전시켜 피봇(30)이 회전되면(45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3)에 밀착된 롤러트랙(31)의 직경이 좁아지게 되고, 스프링 (50)에 탄성바이어스 되는 양 스토퍼(40)는 상호 좁아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피봇(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대상물이 자동으로 리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회전대상물이 좀 더 회전되어 피봇(30)이 회전되면(0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3)에 밀착된 롤러트랙(31)의 직경이 가장 좁아지게 되고, 결국 단축에 형성된 롤러트랙홈(32)에 롤러(43)가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대상물은 회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닫힘 각도에서 회전대상물이 회전하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봇형 도어 클로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바디(10)에 대한 피봇(30)의 상대회전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11 ... 바디피봇홈
12 ... 바디가이더 13 ... 바디스프링공
14 ... 커버고정홈
20 ... 바디커버 21 ... 커버피봇홈
22 ... 커버가이더 23 ... 바디고정공
24 ... 볼트홈
30 ... 피봇 31 ... 롤러트랙
32 ... 롤러트랙홈 33 ... 회전돌부
34 ... 회전저지돌부
40 ... 스토퍼 41 ... 가이더홈
42 ... 스프링공 43 ... 롤러
44 ... 롤러홈 45 ... 핀
46 ... 핀공 50 ... 스프링 60 ... 조절나사

Claims (4)

  1. 회전 및 직선운동의 기준블록인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로서, 바디(10)와 결합되어 문틀 또는 문짝에 고정되는 바디커버(20);
    상기바디(10)에 대하여 회전 운동되는 것으로서, 상대 운동하는 상기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된 피봇(30);
    상기 바디(10)의 스프링공(13)과 스토퍼(40)의 스프링공(42)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50);
    상기 피봇(30)의 양 측 단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50)에 의하여 탄성 바이어스 되는 것으로서, 회전되는 롤러(43)와 핀(45)을 각각 가지는 스토퍼(40);
    상기 스프링(50)을 고정하며, 도어의 리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프링(50)의 탄성을 조절하는 조절나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형 도어 클로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30)의 외 주면에는 스토퍼(40)의 롤러(43)가 밀착되는 롤러트랙(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40)의 상, 하부에는 상기 가이더(12,22)가 끼어지는 가이더 홈(41)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 형 도어 클로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0)의 측 단에는 상기 롤러(43)가 회전가능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롤러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40)의 롤러 홈(44) 상, 하부에는 롤러(43)의 회전을 지지하는 핀(45)이 끼어지는 핀공(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형 도어 클로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30)의 롤러트랙(31) 단면은, 장축의 직경과 단축의 직경이 다른 타원형 (인볼류트<involute>형)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롤러트랙(31)의 장축과 단축에는 상기 롤러(43)가 선택적으로 끼어지는 다수의 롤러 트랙홈(32)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피봇형 도어 클로져.
KR1020080091435A 2008-09-18 2008-09-18 피봇형 도어 클로져 KR20100032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35A KR20100032512A (ko) 2008-09-18 2008-09-18 피봇형 도어 클로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35A KR20100032512A (ko) 2008-09-18 2008-09-18 피봇형 도어 클로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512A true KR20100032512A (ko) 2010-03-26

Family

ID=4218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435A KR20100032512A (ko) 2008-09-18 2008-09-18 피봇형 도어 클로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5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75B1 (ko) * 2011-12-22 2012-05-18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다기능 도어 클로져
CN103835605A (zh) * 2014-02-12 2014-06-0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360度自由定位旋转轴
WO2015060519A1 (ko) * 2013-10-24 2015-04-30 삼화정밀 주식회사 컴팩트 플로어 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275B1 (ko) * 2011-12-22 2012-05-18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다기능 도어 클로져
WO2015060519A1 (ko) * 2013-10-24 2015-04-30 삼화정밀 주식회사 컴팩트 플로어 힌지
CN103835605A (zh) * 2014-02-12 2014-06-0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360度自由定位旋转轴
CN103835605B (zh) * 2014-02-12 2016-05-11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360度自由定位旋转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229B2 (en) Hinge
US3065498A (en) Hinge device
JP5535580B2 (ja) 自動開閉扉蝶番
KR101950877B1 (ko) 핀롤러가 구비된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KR20048177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00032512A (ko) 피봇형 도어 클로져
KR101123852B1 (ko) 여닫이 도어용 경첩
KR101550499B1 (ko) 자석힌지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KR100936963B1 (ko) 스프링식 주축경첩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KR100718239B1 (ko) 도어용 경첩
KR101244032B1 (ko) 밸런스 도어
JP2007056515A (ja) 二軸ヒンジ装置
KR100963437B1 (ko) 고하중 창호용 롤러
KR102383839B1 (ko) 도어용 플로어 힌지 장치
CN109914955A (zh) 一种宠物窝双向开门铰链
JP2020139295A (ja) 補助ドアクローザおよび開き戸構造体
KR100403161B1 (ko) 힌지
KR101552544B1 (ko)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551682B1 (ko) 폴딩도어용 힌지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시스템
KR200249985Y1 (ko) 힌지
KR102179836B1 (ko) 이중 레일 구조의 폴딩 도어 개폐장치
KR200486873Y1 (ko) 자동 조심용 경첩
KR101383363B1 (ko) 구간완충댐퍼 및 이를 사용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24

Effective date: 201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