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465A -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 Google Patents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465A
KR20100032465A KR1020080091367A KR20080091367A KR20100032465A KR 20100032465 A KR20100032465 A KR 20100032465A KR 1020080091367 A KR1020080091367 A KR 1020080091367A KR 20080091367 A KR20080091367 A KR 20080091367A KR 20100032465 A KR20100032465 A KR 20100032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ffee maker
motor
coffee
fix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헌
Original Assignee
강석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헌 filed Critical 강석헌
Priority to KR102008009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465A/ko
Publication of KR2010003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커피 메이커의 본체 투입구와 연통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통원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높이차를 가지며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 고정되어 전원이 투입되면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외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관체의 양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형의 제1 및 제2지지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에는 제1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관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원두를 볶아내기 위해 히터의 외부에 회전이 가능한 관체를 구비하여 통원두를 볶는 과정에서 관체를 회전시켜 통원두가 골고루 가열되게 함으로서 볶음기의 구조가 컴팩트해짐은 물론, 히터가 구비된 관체를 다수개 배치하여 일정한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서 히터의 열량이 통원두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원두커피, 통원두, 볶음

Description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coffee-bean roasting apparatus of coffee maker}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원두를 볶는 경우 통원두를 원두의 맛과 향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고르게 볶아주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를 이용하는 커피 메이커는 생(生) 통원두를 볶는 볶음기와, 상기 볶음기를 통해 구워진 통원두를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로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를 거친 입자형태의 원두와 온수가 혼합투입되면 커피액을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드립터와, 상기 드립터를 거쳐 추출되는 커피액이 집수되는 포트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커피 메이커는 그 볶음기의 내부로 생 통원두가 투입되면 볶음기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가 구동되면 그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통원두를 가열함으로 인해 통원두를 골고루 볶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히터 구동으로 인한 전력소모 역시 커지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통원두를 고르게 볶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반기를 볶음기의 내부에 더 구비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교반기를 더 구비함으로 인해 볶음기의 외형이 크기가 커지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볶음기 내부의 히터가 단순히 일정 열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시즈히터 등을 이용함으로서 볶아지는 통원두의 향과 맛을 그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통원두를 골고루 가열하며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원두를 볶는 과정에서 원두의 향과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구조의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피 메이커의 본체 투입구와 연통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통원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높이차를 가지며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히팅수단과, 상기 히팅수단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 고정되어 전원이 투입되면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외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관체의 양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형의 제1 및 제2지지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에는 제1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관체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구동기어가 회전 하면 상기 관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의 외측 중앙에는 제1 및 제2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는 제1 및 제2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가 모터축상에 구비되는 제2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세라믹도료를 코일 표면에 도포한 원적외선 히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는 상기 원적외선 히터의 원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유리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원두를 볶아내기 위해 히터의 외부에 회전이 가능한 관체를 구비하여 통원두를 볶는 과정에서 관체를 회전시켜 통원두가 골고루 가열되게 함으로서 볶음기의 구조가 컴팩트해짐은 물론, 히터가 구비된 관체를 다수개 배치하여 일정한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서 히터의 열량이 통원두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아우러, 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통원두를 볶아냄으로 인해 원적외선이 원두의 내부에 깊숙히 침투되게 함으로서 원두의 향과 맛을 그대로 살리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기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기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볶음기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이용해 통원두를 볶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이용해 통원두를 볶은 후 분쇄기로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볶음기가 구비되는 커피 메이커(1)는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에는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터(20)와 상기 드립터(20)를 거쳐 추출되는 커피액이 집수되는 포트(30)가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부(12)의 상단에는 드립터(20)의 상단테두리가 걸치지는 걸림턱(12a)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 타측에는 조작판넬(4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생(生) 통원두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되는 생(生) 통원두를 볶는 볶음기(100)와, 상기 볶음기(100)를 통해 구워진 통원두를 일정 크기 이하의 크기로 입자로 분쇄하는 분쇄기(200)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물탱크(14)에서 물공급관(14a)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관(16a)을 통해 온수상태로 상기 드립터(20)로 투입시키기 위해 메인히터(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히터(16)가 작동되면 열은 상기 포트(30)의 하부에도 전달되는 구조로 이와 같은 메인히터의 구조는 일반적인 공지(公知)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볶음기(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볶음기(100)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2)와 연통되게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일(-)자형 히팅수단(120)를 배치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히팅수단(120)은 다수개를 수평으로 나란히 인접하게 배치시에 높이차를 둠으로서 통원두(2)가 안착되는 안착부(101)가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오목한 형상의 안착부(101)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팅수단(120)은 표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세라믹도료를 코일에 도포된 원적외선(IR) 히터(122)와, 상기 히터(122)의 외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히터(122)를 보호하도록 감싸되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관체(124)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의 사이에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의 사이에는 원형의 제1 및 제2지지돌부(130a,132a)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도록 상기 관체(124)의 양단 관통공(124a)에 끼워지며, 상기 관체(124)의 내부에는 상기 원적외선 히터(122)가 관통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상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체(124)는 금속관이 사용될 수 있지만, 원적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유리재질의 유리관을 사용함으로서 통원두(2)의 내부까지 원적외선이 깊숙히 투입되도록 하여 골고루 익히게 함은 물론 원두 고유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130)에는 제1모터(14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140)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1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체(124)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구동기어(14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25)가 구비된다.
따라서, 다수의 히팅수단(120)이 수평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관체(124)에는 각각 종동기어(125)가 연이어서 치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어(124)가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직접 치합되는 종동기 어(125)는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접한 관체(124')의 종동기어(125')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의 외측 중앙에는 제1 및 제2회전축(140,142)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40,142)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는 제1 및 제2축공(115,116)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수단(120)이 구비된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가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132)의 테두리에는 제1기어부(132a)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132a)가 치합되는 제2기어(133)가 모터축상에 구비되는 제2모터(13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히팅수단(120)이 구동되어 관체(124)를 회전시키면서 통원두(2)를 볶은 후, 상기 제2모터(135)를 구동시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안착부(101)에 놓여진 통원두(2)가 하부로 쏟아져 내리게 된다.
따라서, 통원두(2)를 볶는 경우 히팅수단(120)의 히터(122) 및 제1모터(140)가 제어판넬(42)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다가 통원두(2)가 일정시간 예를 들어 5분 정도 볶아진 상태에서 제2모터(135)를 구동시켜 히팅수단(120)이 구비된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통원두(2)가 하부로 쏟아지고, 상기 제2모터(135)를 역회전시키면 원위치된다.
이때, 상기 통원두(2)는 통상 140 ~ 150℃의 온도로 굽게 되며 이와 같은 온 도는 히터(122)의 길이 조정 등을 통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히팅수단(120)을 통해 볶아진 통원두(2)는 하부의 안내부(118)를 따라 안내되며 분쇄기(200)로 투입되어 일정크기로 분쇄되며, 분쇄된 후 드립터(20)의 필터(22)로 투입되어 커피액이 추출되며, 추출된 커피액은 포트(30)의 내부에 집수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볶음기(100)의 안내부(118)를 따라 통원두(2)가 안내되어 케이스(202) 내부로 투입되면 드립터(20)로 투입시키기 위해 일정하게 분쇄시켜 주는 분쇄기(2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분쇄기(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18)를 통해 통원두(2)가 유입되면 안착되되 상광하협(上鑛河峽)하는 깔대기 형상의 공간부(212)를 갖고 중앙하부에는 상기 공간부(212)와 연통되는 배출공(213)이 형성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220)와, 상기 제3모터(220)의 모터축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공간부(212)를 향해 배치되는 원뿔형상의 커팅체(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21)의 공간부(212) 내부면에는 다수의 커팅홈(212a)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체(230)의 외부면에는 커팅날(23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공간부(212)의 내부면 경사각(θ1)은 상기 커팅체(230)의 외부면 경사각(θ2)에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서 통원두(2)가 상기 공간부(212)에 원활하 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3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커팅체(230)가 회전하는 경우 커팅날(232)과 커팅홈(212a)에 의해 통원두(2)의 표면부터 서서히 깎이게 되며 그와 같이 분쇄된 원두는 배출공(213)을 통해 배출되어 드립터(20)로 투입된다.
한편, 상기 제3모터(220)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가동플레이트(222)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플레이트(222)는 본쇄기(200)의 커버체(202)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턱(202a)에 지지되며 상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24)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가동플레이트(222)는 하부로 약한 힘으로 가압되는 구조로 인해 커팅체(230)의 외부면이 통원두(2)에 접촉이 되는 상태로 통원두(2)의 표면을 깎아 내게 되어 통원두(2)를 원활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가동플레이트(222)는 상기 지지턱(202a)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정 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어 커팅체(230)의 하단부가 상기 몸체(210)의 공간부(212)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마모가 방지됨은 당연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볶음기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투입구(12)를 통해 생(生) 통원두(2)를 투입하면 볶음기(100)의 하우징(110) 내부로 통원두(2)가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볶음기(100)의 하우징(110) 내 부에는 다수의 일(-)자형 히팅수단(120)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부(101)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피 메이커(1)의 본체 전방에 구비되는 조작판넬(4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히팅수단(20)의 히터(22)에 전원이 투입됨과 동시에 제1고정플레이트(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모터(140)를 구동시켜 통원두(2)를 볶으면서 관체(24)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모터(140)를 구동시킴으로 인해 구동기어(142)가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기어(142)가 회전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치합되는 종동기어(125)를 회전시키게 되어 다수의 관체(124)가 동시에 회전하게 됨에 따라 통원두(2)가 회전하면서 골고루 볶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대략 5분 정도 수행한 후, 전원이 차단되어 히터(122)와 제1모터(140)의 구동이 멈추게 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모터(135)가 구동되어 제2기어(133)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고정플레이트(132)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132a)가 치합된 상태이므로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가 제1 및 제2회전축(140,14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안착부(101)에 놓여진 통원두(2)가 하부로 쏟아져 내리게 된다.
그리고, 쏟아져 내린 통원두(2)가 안내부(118)를 따라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분쇄기(200) 내부로 투입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분쇄되어 드립터(10)로 투입된다.
그리고, 드립터(20)의 필터(22)를 거쳐 추출된 커피액은 포트(30)의 내부에 집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볶음기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볶음기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볶음기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이용해 통원두를 볶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를 이용해 통원두를 볶은 후 분쇄기로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의 분쇄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커피 메이커 10: 본체
20: 드립터 30: 포트
100: 볶음기 200: 분쇄기

Claims (3)

  1. 커피 메이커의 본체 투입구(12)와 연통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통원두(2)가 안착되는 안착부(101)가 형성되도록 높이차를 가지며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일자형 히팅수단(120)과, 상기 히팅수단(120)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로 이루어지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120)은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의 사이에 고정되어 전원이 투입되면 발열하는 히터(122)와, 상기 히터(122)의 외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관체(1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의 사이에는 상기 관체(124)의 양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지는 원형의 제1 및 제2지지돌부(130a,132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130)에는 제1모터(14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모터(140)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142)가 구비되며,
    상기 관체(124)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상기 구동기어(142)가 회전하면 상기 관체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기어(142)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플레이트(130,132)의 외측 중앙에는 제1 및 제2회전축(140,14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40,142)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는 제1 및 제2축공(115,1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132)의 테두리에는 제1기어부(132a)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132a)에 치합되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132)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133)가 모터축상에 구비되는 제2모터(1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122)는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세라믹도료를 코일 표면에 도포한 원적외선(IR) 히터(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124)는 상기 원적외선(IR) 히터(122)의 원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유리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KR1020080091367A 2008-09-18 2008-09-18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KR20100032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367A KR20100032465A (ko) 2008-09-18 2008-09-18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367A KR20100032465A (ko) 2008-09-18 2008-09-18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465A true KR20100032465A (ko) 2010-03-26

Family

ID=4218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367A KR20100032465A (ko) 2008-09-18 2008-09-18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4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92B1 (ko) * 2011-06-14 2013-09-10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있어서의 할로겐 히터를 구비한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CN108954678A (zh) * 2018-08-23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转动式红外加热装置及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92B1 (ko) * 2011-06-14 2013-09-10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에 있어서의 할로겐 히터를 구비한 커피 원두 로스팅용 케틀
CN108954678A (zh) * 2018-08-23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转动式红外加热装置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856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CN201759362U (zh) 咖啡机
KR101424208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추출 방법
KR101591771B1 (ko) 음료 추출 기기
EP0386267B1 (en) Coffee maker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KR100958453B1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20120050684A (ko) 핸드드립 커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커피드립기
KR20090075650A (ko)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KR20100032465A (ko) 커피 메이커의 볶음기
KR101167254B1 (ko) 곡물 볶음기
KR101638824B1 (ko) 커피 생원두 로스팅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20100032469A (ko) 커피 메이커의 분쇄기
CN107126092B (zh)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KR100622781B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제조기구
KR930004465B1 (ko) 커피 제조기
JPH02237519A (ja) コーヒーメーカ
JPH02302227A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KR20240051556A (ko) 오작동에 의한 손상한 커피메이커
KR20220000863U (ko) 원두 로스팅 장치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970002796B1 (ko) 전자동 커피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