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970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970A
KR20100031970A KR1020080090886A KR20080090886A KR20100031970A KR 20100031970 A KR20100031970 A KR 20100031970A KR 1020080090886 A KR1020080090886 A KR 1020080090886A KR 20080090886 A KR20080090886 A KR 20080090886A KR 20100031970 A KR20100031970 A KR 20100031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x frame
support
box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648B1 (ko
Inventor
고충훈
Original Assignee
고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충훈 filed Critical 고충훈
Priority to KR102008009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64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로서, 내부에 조명등(120)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110)가 마련되고 하부 둘레에 날개부(10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천정의 공간부 입구에 삽입되는 지지틀(170)에 상기 날개부(101)가 밀착됨과 동시에 천정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등박스(100)와,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상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나사(S)로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130)와,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면에 나란하게 밀착되어 지지틀(170)에 나사(S)로 고정되는 걸림부재(140)와,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204)을 갖는 수직면(203) 및 내향경사면(201)이 순차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201)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202)이 형성되는 시트박스골조(200)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233)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230)와,
상기 등박스(100)의 제1힌지부재(130)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재(130)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210)과,
상기 등박스(100)의 걸림부재(140) 직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일측이 나사(S)로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220)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형 타입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실시예로서, 내부에 조명등(120)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110)가 마련된 장방형의 형태로 천정에 노출상태로 설치되는 등박스(100)와,
양측에 지지부(151)가 상향 절곡된 상태로 양쪽 중앙이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152)에 밀착되어 나사(S)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앵커볼트(152)와 앵커볼트(152) 사이의 부위가 상기 등박스(100)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B) 및 너트(N)로 고정되는 행거프레임(150)과,
상기 행거프레임(150)의 일측 저면에 나사(S) 및 너트(N)로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160)와,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204)을 갖는 수직면(204) 및 내향경사면(201)이 순차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201)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202)이 형성되며 내측에 등박스(100)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04)에 지지되는 시트박스골조(200)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 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233)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230)와,
상기 등박스(100)의 제2힌지부재(160) 직하방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재(160)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210)과,
상기 제2힌지부재(160)의 반대편측 시트박스골조(200) 상면에 일측이 나사(S)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220)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노출형 조명장치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Figure P1020080090886
조명장치, 등박스, 시트박스골조, 스트레치시트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등이 내설되는 등박스를 천정 매립형 또는 천정에 부착함과 동시에 시트박스골조의 안쪽에 수용되는 타입으로 설치하되, 상기 조명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조명장치의 시공시간 단축은 물론 등박스에 내설된 조명등의 교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조명기술의 발달과 함께 조명장치가 조명등의 빛을 단순히 조사하는 용도에 그치지 않고 빛의 투과 효율을 조절하는 간접 조명을 통해 보다 세련되고 고급스런 실내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현재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규격화된 패널구조를 갖는 천정 마감장치"를 명칭으로 하는 특허등록 제572174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하측의 각 벽체(1) 내측면에 둘러져 결합되고, 이들 벽체(1)의 내측으로 각각 대향되는 면에 각각 결합되어 천정을 다수구획으로 분할하며 설치된 벽체프레임(11) 및 분할프레임(12); 상기 분할된 구획과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되며, 분할프레임(12)에 의해 분할된 공간을 마감하기 위한 스트래치시트(2)가 결합되어 벽체프레임(11) 및 분할프레임(12)에 장착되는 시트패널(20); 상기 시트패널(20)에 일 끝단이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벽체프레임(11) 및 분할프레임(12)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및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프레임(11)(12)과 시트패널(20)을 연결하는 연결기구(30);로 이루어진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 스트래치시트(2)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푼(3)이 부착되며, 이같이 하푼(3)이 부착된 스트래치시트(3)는 열풍기로 가열된 후, 적절한 힘으로 스트래칭시키면서 시트패널(20)의 결합부(23)에 결합되어 천정을 마감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기구(30)는, 시트패널(20)에 일측이 결합된 고리(31); 이 고리(31)의 타측에 결합되고, 벽체프레임(11) 및 분할프레임(12) 측을 향하여 확장된 탄성부(34)가 형성되며, 이 탄성부(34)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벽체프레임(11) 및 분할프레임(12)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이부(35)를 갖는 토션스프링(32); 벽체프레임(11) 및 분할프레임(12)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돌출형성된 면에 탄성부재(32)의 탄성부(34)가 끼워지기 위한 슬릿(36)이 형성된 스토퍼(3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천정마감장치는 시트패널(20)을 개방하기 위해서, 시트패널(20)을 아래로 당기면 토션스프링(32)이 하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스토퍼(33)에 걸려서 1차로 정지되고, 더 힘을 주어 시트패널(20)을 아래로 당기면 토션스프링(32)의 걸이부(35)가 걸이구멍(37)에 끼워지면서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천정마감장치는, 시트패널(20)이 일정한 중량체로 이루어진 경우 작업자가 약간만 힘을 주어도 시트패널(20)의 하중과 토션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시트패널(20)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겠으나, 시트패널(20)이 경량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개방시 작업자가 큰 힘을 주어 아래로 당겨야만 토션스프링(32)의 탄성이 작용하므로 시트패널(20)의 개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시트패널(20)은 토션스프링(32)의 힘만으로 지탱되고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주어 시트패널(20)에 아래로 당기게 되면 토션스프링(32)이 스토퍼(33)의 슬릿(36)에서 이탈되어 시트패널(20)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결기구(30)는 현장에서 발생되는 시트패널(20)과 각 프레임(11)(12) 사이에 오차가 발생될 때, 고리(31)에 연결된 토션스프링(32) 또는 스토퍼(33)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과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시트패널(20)을 각 프레임(11)(12)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토션스프링(32) 양측 탄성부(34)를 손으로 잡아당겨서 스토퍼(33)의 슬릿(36)에서 분리해야 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해야하므로 시트패널(20)의 분리가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토션스프링(32)이 뒤틀리면서 손에서 빠져나와 스트레치시트(2)의 표면을 텐션으로 타격하여 스트레치시트(2)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천정마감장치는 대부분이 매입되는 형태로써 공간이 확 보되어 있는 천정에 적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반대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천정에 무리하게 설치하는 경우 조명기구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확산 각도가 좁아지게 되며 조명등과 조명등 사이에 음영부위가 발생되어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천정마감장치의 하단부를 돌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를 지탱하기 위한 구조물을 별도로 용접하거나 마감을 위해 VP(Vinyl Paint)도장의 공정을 실시해야만 하는 등 매우 번거롭고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작업공정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조명등이 내설되는 등박스를 천정 매립형 또는 천정에 부착함과 동시에 시트박스골조의 안쪽에 수용되는 타입으로 설치하되, 상기 조명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조명장치의 시공시간 단축은 물론 등박스에 내설된 조명등의 교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로서, 내부에 조명등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가 마련되고 하부 둘레에 날개부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천정의 공간부 입구에 삽입되는 지지틀에 상기 날개부가 밀착됨과 동시에 천정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등박스와,
상기 등박스의 개방공간부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상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등박스의 개방공간부 내부 일측면에 나란하게 밀착되어 지지틀에 나사로 고정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등박스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을 갖는 수직면 및 내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이 형성되는 시트박스골조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조의 개방홈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등박스의 힌지부재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힌지부재와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등박스의 걸림부재 직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일측이 나사로 시트박스골조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 및 접착제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형 타입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실시예로서, 내부에 조명등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가 마련된 장방형의 형태로 천정에 노출상태로 설치되는 등박스와,
양측에 지지부가 상향 절곡된 상태로 양쪽이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의해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앵커볼트와 앵커볼트 사이의 부위가 상기 등박스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 및 너트, 그리고 나비너트로 순차 고정되는 행거프레임과,
상기 행거프레임의 일측 저면에 나사 및 너트로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와,
상기 등박스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을 갖는 수직면 및 내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등박스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지지되는 시트박스골조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 조의 개방홈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등박스의 제2힌지부재 직하방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힌지부재와 볼트 및 너트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힌지부재의 반대편측 시트박스골조 상면에 일측이 나사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 및 접착제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노출형 조명장치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정 매립형 또는 천정 노출형 타입의 조명장치가 동시에 제공됨에 따라 설치부위에 대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조명장치의 시공을 보다 빠르고 쉽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크부재의 간단한 회전만으로 스트레치시트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를 어려움없이 한 번에 편리하게 개방하거나 닫을 수 있어 조명등의 교체나 기타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의 장공과 상기 장공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의 유동폭에 의해 스트레치시트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의 전후 및 좌우이동이 가능하므로 현장조립시 발생될 수 있는 설치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부에 조명등(120)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110)가 마련되고 하부 둘레에 날개부(10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천정의 공간부 입구에 삽입되는 지지틀(170)에 상기 날개부(101)가 밀착됨과 동시에 천정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등박스(100)와,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상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나사(S)로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130)와,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면에 나란하게 밀착되어 지지틀(170)에 나사(S)로 고정되는 걸림부재(140)와,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204)을 갖는 수직면(203) 및 내향경사면(201)이 순차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201)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202)이 형성되는 시트박스골조(200)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233)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230)와,
상기 등박스(100)의 제1힌지부재(130)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재(130)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210)과,
상기 등박스(100)의 걸림부재(140) 직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일측이 나 사(S)로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220)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립형 타입의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힌지부재(130)는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나사(S)로 고정 가능하도록 상부로부터 측면에 통공(132)을 갖는 수직상의 지지부(131)와, 상기 지지부(131)의 하단부와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연장부(133)와, 상기 연장부(133)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연결되며 일측에 장공(136)을 갖는 결합부(135)가 연장 형성된 연결부(1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브라켓(210) 연결을 위한 볼트(B)와 상기 장공(136)의 유동폭에 따라 시트박스골조(200)가 좌우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140)는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측면에 나사(S)로 고정 가능하도록 상부로부터 통공(142)을 갖는 지지부(141)와, 상기 지지부(141)의 하단부에 삽입홈(144)을 갖는 디귿자형태의 걸림부(14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걸림부(143)의 삽입홈(144)에 로크부재(220)의 삽입부(223)가 탈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상기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는 조 인트부(231)를 평면상 기역자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조인트부(231)의 상면에 렌치볼트(233)의 체결을 위한 나선공(23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10)은 일측이 제1힌지부재(130)의 장공(136)과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 가능하도록 통공(212)을 갖는 수직상의 지지부(211)와, 상기 지지부(211)의 하단부에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수평상의 고정부(2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로크부재(220)는 일측이 나사(S)로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측에 통공(222)을 갖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한쪽에 계단상으로 연결되며 걸림부재(140)의 삽입홈(144)에 탈삽입되는 사다리꼴형태의 삽입부(223)와, 상기 지지부(220)의 선단부 외측에 로크부재(220)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직하방으로 절곡된 스토퍼(2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박스(100)와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의 접촉부 둘레에는 차광고무(180)를 설치하여 조명등(120)의 빛샘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등박스(100)를 천정에 매립형태로 설치하는데 특징이 있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박스(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에 등박스(100)를 매립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이 천정에 등박스(100) 설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면, 장방형의 등 박스(100)를 상기 천정의 공간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등박스(100)의 날개부(101)를 천정의 공간부 입구에 삽입되는 지지틀(17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박스(100)의 천정의 공간부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제1힌지부재(130)의 지지부(131)를 대향되게 밀착시킨 후 상기 지지부(131)의 통공(132)에 나사(S)를 끼워 상기 제1힌지부재(130)를 등박스(100)에 고정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제1힌지부재(130)가 설치되는 등박스(100)의 반대편측 개방공간부(110)의 내부 측면에 걸림부재(140)의 지지부(141)를 밀착시킨 다음 통공(142)에 나사(S)를 끼워 상기 걸림부재(140)를 천정의 공간부에 삽입된 지지틀(170)에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제1힌지부재(130)의 연결부(134)와 걸림부재(140)의 걸림부(143)는 등박스(100)의 하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야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등박스(100)에 제1힌지부재(130)와 걸림부재(140)를 설치하게 되면, 도 12에서와 같은 조립구조로 시트박스골조(200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시트박스골조(200)는 필요에 따라 절단 사용하는 길이재로써,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하게 되며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상기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연결부재(230)의 조인트부(231)를 각각 삽입한 다음 상기 조인트부(231)의 나선공(232)에 렌치볼트(233)를 끼워 이를 조여주게 되면 상기 조임력에 의해 연결부재(230) 일체가 개방홈(202)의 상부로 부상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홈(202)의 천정에 밀착되어 시트박스골조(200)와 직각으로 놓인 다른 시트박스골조(200)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시트박스골조(200)의 단면구조를 위쪽 면적보다 아래쪽 면적을 넓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스트레치시트(300) 설치시 상단 접착부(302)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스트레치시트(300)의 투광면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시트박스골조(2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 일측에 지지브라켓(210)을 설치하게 되는 바, 상기 지지브라켓(210)의 고정부(213)를 시트박스골조(200)에 미리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부(211)를 제1힌지부재(130)의 직하방에 놓이도록 하여 볼트(B) 및 너트(N)로써 상호 신속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현장조립시 발생될 수 있는 설치오차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210)으로 연결된 시트박스골조(200)가 볼트(B)와 제1힌지부재(130)의 장공(136)에 의해 확보된 유동폭에 의해 좌우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힌지부재(130)와 지지브라켓(210)의 연결이 완료되면, 걸림부재(140) 직하방쪽의 시트박스골조(200) 상면에 로크부재(220)를 나사(S)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로크부재(220)의 삽입부(223)가 걸림부재(140)의 삽입홈(144)에 탈삽입 될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 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스트레치시 트(300)는 신축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 재질의 시트이고, 그 설치방법은 스트레치시트(300)를 열풍기(미도시)로 가열하여 사방에서 잡아늘여 시트박스골조(200)에 설치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스트레치시트(300)는 원재료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채, 고광택 효과등 세련되고 고급스런 실내미관을 제공하며, 특히 반투명 스트레치시트(300)를 사용하면 설치 후 빛이 투과되는 효율이 60-70% 정도로 줄어들어 은은하고 포근한 실내 공간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공되는 스트레치시트(300)는 시트박스골조(200)에 설치하게 될 때 상기 시트박스골조(200)의 사각 밑변의 높이, 접착면, 그리고 여분 치수를 감안하여 도면화하여 이에 따라 재단하게 되는데, 상기 스트레치시트(300)의 재단치수는 실치수보다 3-5%정도 축소시킨 상태로 도면화하여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트레치시트(300) 설치시 열풍가열되면서 스트레치시트(300)가 늘어나 시트박스골조(200)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치시트(300)는 재단 후 모서리부분, 즉 절개부(301)쪽의 경우에는 벌어짐 방지를 위해 고주파 용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하게 되며 이렇게 시트박스골조(2000에 씌어진 스트레치시트(300)의 마감은 도 13에서와 같이 스트레치시트(300)의 접착부(302)에 접착력이 강력한 아크릴계 또는 구조용 양면테이프(310)를 먼저 부착하되, 상기 양면테이프(310) 결합력을 확실히 하기 위해 롤러 등으로 압력을 주어 양면테이프(310) 부착면을 압착시키게 되나 상기 늘어난 스트레치시트(300)의 장력이 큰 경우 양면테이프(310)의 뒤쪽 공간에 접착제(320)를 도포하여 스트레치시트(300)를 이중으로 프레임에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 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착된 스트레치시트(300)는 최종적으로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단 끝에 맞추어 자투리 부분을 커터로 제거하여 마무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예 따른 조명장치는 등박스(100)의 높이가 낮은 일부 매입형태에 적용되는 것이다.
먼저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에 내설된 조명등(120)의 교체와 유지보수를 위해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시트박스골조(200)에 나사(S)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로크부재(220)의 스토퍼(224)를 잡고 이를 외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로크부재(220)가 상기 나사(S)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때 걸림부재(140)의 삽입홈(144)에 끼워져 있던 로크부재(220)의 삽입부(223)가 상기 삽입홈(14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가 제1힌지부재(130)와 지지브라켓(210)을 연결하고 있는 볼트(B)를 중심으로 하향 개방되면서 요구하는 조명등(120)의 교체와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작업을 완료하고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를 다시 닫아주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1힌지부재(130)의 결합부(135)에 형성된 장공(136)과 상기 제1힌지부재(130)와 지지브라켓(210)을 연결하고 있는 볼트(B)에 의해 확보된 전후 및 좌우 유동폭에 의해 상기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를 별도의 조정작업이 요구됨이 없이 신속히 닫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상기 로크부재(220)의 삽입부(223)를 걸림부재(140)의 삽입홈(144)에 다시 끼워주는 것으로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를 원상태로 간단히 복귀시켜 줄 수 있어 조명장치의 시공은 물론 설치 후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설명상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경우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조명등(120)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110)가 마련된 장방형의 형태로 천정에 노출상태로 설치되는 등박스(100)와,
양측에 지지부(151)가 상향 절곡된 상태로 양쪽 중앙이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152)에 밀착되어 나사(S)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앵커볼트(152)와 앵커볼트(152) 사이의 부위가 상기 등박스(100)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B) 및 너트(N), 그리고 나비너트(N')로 고정되는 행거프레임(150)과,
상기 행거프레임(150)의 일측 저면에 나사(S) 및 너트(N)로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160)와,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204)을 갖는 수직면(204) 및 내향경사면(201)이 순차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201)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202)이 형성되며 내측에 등박스(100)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04)에 지지되는 시트박스골조(200)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233)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230)와,
상기 등박스(100)의 제2힌지부재(160) 직하방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재(160)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210)과,
상기 제2힌지부재(160)의 반대편측 시트박스골조(200) 상면에 일측이 나사(S)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220)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힌지부재(160)는 행거프레임(150)의 일측 저면에 나사(S) 및 너트(N)로 고정 가능하도록 통공(162)을 갖는 수평상의 지지부(161)와, 상기 지지부(161)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연결되는 절곡지지부(163)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지지부(163)의 외방으로 중앙에 장공(165)을 갖는 돌출부(164)가 연장 형성되어 지지브라켓(210) 연결을 위한 볼트(B)와 상기 장공(165)의 유동폭에 따라 시트박스골조(200)가 좌우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설치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천정에 등박스(200)를 매립형태로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등박스를 스트레치시트(300)가 설치된 시트박스골조(200) 안쪽에 삽입 상태로 설치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첨부도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박스(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에 행거프레임(150) 설치를 위한 앵커볼트(152)를 사전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박스(100)의 기본적인 구조, 시트박스(200) 연결구조, 스트레치시트(300) 부착구조 등은 제1실시예에서의 조명장치와 유사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서는 등박스(100)를 천정에 부착함과 동시에 시트박스골조(200)의 안쪽에 수용되는 타입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틀(170)과, 상기 지지틀(170)에 밀착되는 등박스(100)의 날개부(101)와, 제1힌지부재(130)와, 걸림부재(140)를 삭제하되, 구조적으로 변형을 가한 제2힌지부재(160)와 행거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조명등(120)이 내설되는 장방형의 등박스(100)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비된 행거프레임(150)의 일측에 제2힌지부재(160)를 나사(S) 및 너트(N)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행거프레임(150)을 앵커볼트(152)쪽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앵커볼트(152)를 나사(S)로 고정하게 되며 상기 행거프레임(150)의 앵커볼트(152)와 앵커볼트(152) 사이에 다수의 볼트(B)를 끼우되, 행거프레임(150)의 저면에 등박스(100)와의 간격유지를 위해 상기 볼트(B)에 너트(N)를 1차로 체결한 다음 상기 볼트(B)의 선단부를 등박스(100)로 관통시켜 상기 등박 스(100)의 개방공간부(110) 안쪽에서 상기 볼트(B)의 선단부에 나비너트(N')를 최종 체결하게 되는 조립구조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조립구조로 등박스(100)를 포함한 일련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등박스(100)를 천정에 앵커볼트(152)로 고정된 행거프레임(150)에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비너트(N')와 제2힌지부재(160)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S)의 분리만으로 등박스(1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의 개폐에 있어서도, 로크부재(220)의 삽입부(223)가 시트박스골조(200)의 내측으로 수용된 등박스(100)의 상면 일측을 걸림부재(140)가 요구됨이 없이 밀착 상태로 동일하게 고정시켜 주거나 회동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개방된 부위를 통해 일반인도 조명등의 교체나 기타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4는 제1힌지부재의 사시도
도 5는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로크부재의 사시도
도 7은 지지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10은 도9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11은 제2힌지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시트박스골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13은 스트레치시트의 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구성도
도 14는 스트레치시트의 전개도
도 15는 종래의 천장 마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6은 종래의 천장 마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등박스 101 : 날개부
110 : 개방공간부 120 : 조명등
130 : 제1힌지부재 131 : 지지부
132 : 통공 133 : 연장부
134 : 연결부 135 : 결합부
136 : 장공 140 : 걸림부재
141 : 지지부 142 : 통공
143 : 걸림부 144 : 삽입홈
150 : 행거프레임 151 : 지지부
152 : 앵커볼트 160 : 제2힌지부재
161 : 지지부 162 : 통공
163 : 절곡지지부 163 : 절곡지지부
164 : 돌출부 165 : 장공
170 : 지지틀 180 : 차광고무
200 : 시트박스골조 201 : 내향경사면
202 : 개방홈 203 : 수직면
204 : 걸림턱 210 : 지지브라켓
211 : 지지부 212 : 통공
213 : 고정부 220 : 로크부재
221 : 지지부 222 : 통공
223 : 삽입부 224 : 스토퍼
230 : 연결부재 231 : 조인트부
232:나선공 233 : 렌치볼트
300 : 스트레치시트 301 : 절개부
302 : 접착부 310 : 양면테이프
320 : 접착제

Claims (9)

  1. 내부에 조명등(120)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110)가 마련되고 하부 둘레에 날개부(10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천정의 공간부 입구에 삽입되는 지지틀(170)에 상기 날개부(101)가 밀착됨과 동시에 천정에 매립상태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등박스(100)와,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상부가 대향되게 밀착되어 나사(S)로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130)와,
    상기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면에 나란하게 밀착되어 지지틀(170)에 나사(S)로 고정되는 걸림부재(140)와,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204)을 갖는 수직면(203) 및 내향경사면(201)이 순차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201)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202)이 형성되는 시트박스골조(200)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233)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230)와,
    상기 등박스(100)의 제1힌지부재(130) 직하방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재(130)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210)과,
    상기 등박스(100)의 걸림부재(140) 직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일측이 나 사(S)로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220)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130)는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일측 정면 및 배면에 나사(S)로 고정 가능하도록 상부로부터 측면에 통공(132)을 갖는 수직상의 지지부(131)와, 상기 지지부(131)의 하단부와 수평상으로 연결되는 연장부(133)와, 상기 연장부(133)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연결되며 일측에 장공(136)을 갖는 결합부(135)가 연장 형성된 연결부(1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브라켓(210) 연결을 위한 볼트(B)와 상기 장공(136)의 유동폭에 따라 시트박스골조(200)가 좌우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40)는 등박스(100)의 개방공간부(110) 내부 측면에 나사(S)로 고정 가능하도록 상부로부터 통공(142)을 갖는 지지부(141)와, 상기 지지부(141)의 하단부에 삽입홈(144)을 갖는 디귿자형태의 걸림부(14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걸림부(143)의 삽입홈(144)에 로크부재(220)의 삽입부(223)가 탈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30)는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상기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는 조인트부(231)를 평면상 기역자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조인트부(231)의 상면에 렌치볼트(233)의 체결을 위한 나선공(2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10)은 일측이 제1힌지부재(130)의 장공(136)과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 가능하도록 통공(212)을 갖는 수직상의 지지부(211)와, 상기 지지부(211)의 하단부에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수평상의 고정부(213)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220)는 일측이 나사(S)로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측에 통공(222)을 갖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의 한쪽에 계단상으로 연결되며 걸림부재(140)의 삽입홈(144)에 탈삽입되는 사다리꼴형태의 삽입부(223)와, 상기 지지부(220)의 선단부 외측에 로크부재(220)의 과도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직하방으로 절곡된 스토퍼(22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박스(100)와 스트레치시트(300)가 부착된 시트박스골조(200)의 접촉부 둘레에는 차광고무(180)를 설치하여 조명등의 빛샘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내부에 조명등(120) 설치를 위한 개방공간부(110)가 마련된 장방형의 형태로 천정에 노출상태로 설치되는 등박스(100)와,
    양측에 지지부(151)가 상향 절곡된 상태로 양쪽 중앙이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152)에 밀착되어 나사(S)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앵커볼트(152)와 앵커볼트(152) 사이의 부위가 상기 등박스(100)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B) 및 너트(N), 그리고 나비너트(N')로 고정되는 행거프레임(150)과,
    상기 행거프레임(150)의 일측 저면에 나사(S) 및 너트(N)로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160)와,
    상기 등박스(100)의 하부에 장방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안쪽에 상부로부터 걸림턱(204)을 갖는 수직면(204) 및 내향경사면(201)이 순차 형성되어 상기 내향경사면(201)의 상부와 하부에 개방홈(202)이 형성되며 내측에 등박스(100)가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04)에 지지되는 시트박스골조(200)와,
    상기 장방형으로 배치되는 시트박스골조(200)의 모서리부 연결을 위해 시트박스골조(200)의 개방홈(202)에 반분된 형태로 삽입되어 렌치볼트(233)로 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230)와,
    상기 등박스(100)의 제2힌지부재(160) 직하방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제2힌 지부재(160)와 볼트(B) 및 너트(N)로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이 시트박스골조(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지지브라켓(210)과,
    상기 제2힌지부재(160)의 반대편측 시트박스골조(200) 상면에 일측이 나사(S)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크부재(220)와,
    상기 장방형의 시트박스골조(200) 바닥면과 측면을 동시에 포용 가능하도록 모서리부에 삼각형태의 개방된 절개부(301)를 갖으며 각 측면 상부에 접착부(302)가 마련되어 시트박스골조(200)의 각 상면에 양면테이프(310) 및 접착제(320)로 순차 부착되는 스트레치시트(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재(160)는 행거프레임(150)의 일측 저면에 나사(S) 및 너트(N)로 고정 가능하도록 통공(162)을 갖는 수평상의 지지부(161)와, 상기 지지부(161)의 일측에 수직상으로 연결되는 절곡지지부(163)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지지부(163)의 외방으로 중앙에 장공(165)을 갖는 돌출부(164)가 연장 형성되어 지지브라켓(210) 연결을 위한 볼트(B)와 상기 장공(165)의 유동폭에 따라 시트박스골조(200)가 좌우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80090886A 2008-09-17 2008-09-17 조명장치 KR100971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86A KR100971648B1 (ko) 2008-09-17 2008-09-17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86A KR100971648B1 (ko) 2008-09-17 2008-09-17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70A true KR20100031970A (ko) 2010-03-25
KR100971648B1 KR100971648B1 (ko) 2010-07-22

Family

ID=4218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886A KR100971648B1 (ko) 2008-09-17 2008-09-1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6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64B1 (ko) * 2010-04-19 2010-09-06 고충훈 조명장치의 시트박스 개폐구조
KR101104022B1 (ko) * 2010-05-08 2012-01-06 김기성 이중 구조인 조명등 커버의 지지대 구조
US8408757B2 (en) 2010-11-2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ssed lighting apparatus and cover therefor
CN109915773A (zh) * 2017-12-12 2019-06-21 张皓 一种伸缩式防尘吸顶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91A (ko) * 2002-06-07 2003-12-18 주식회사 우영 직하 발광형 백라이트
KR20050070315A (ko) * 2003-12-30 2005-07-07 삼성물산 주식회사 거실의 건강 조명장치
KR20060029100A (ko) * 2004-09-30 2006-04-04 오희택 조사범위 조절식 천정 매입식 조명기구
FR2882588B1 (fr) 2005-02-25 2007-04-27 Normalu Sa Caisson lumineux a raidisseur invisible
KR200394691Y1 (ko) 2005-06-09 2005-09-05 신상태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64B1 (ko) * 2010-04-19 2010-09-06 고충훈 조명장치의 시트박스 개폐구조
KR101104022B1 (ko) * 2010-05-08 2012-01-06 김기성 이중 구조인 조명등 커버의 지지대 구조
US8408757B2 (en) 2010-11-2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ssed lighting apparatus and cover therefor
CN109915773A (zh) * 2017-12-12 2019-06-21 张皓 一种伸缩式防尘吸顶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648B1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138B1 (ko) 프레임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차양구조
US4817655A (en) Canopy assembly
US4865066A (en) Canopy assembly
US20200318827A1 (en) Ceiling mountable light box system
KR100971648B1 (ko) 조명장치
GB1579354A (en) Lighting fixture for a ceiling structure
US20190331362A1 (en) Ventilator mounting bracket
CN204693105U (zh) 一种卡扣方式组装的面板灯
CN204084025U (zh) 一种嵌入式led面板灯箱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KR200485772Y1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CN211169430U (zh) 凹型电梯吊顶
CN211114236U (zh) 一种玻璃墙及智慧建筑
KR102113490B1 (ko) 천장 히든점검구
US20040191071A1 (en) Prefabricated frame for ceiling fan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JP3131695U (ja) 移動式布製幕固定座体
KR102404221B1 (ko) 천장부착 조명등장치
KR200343572Y1 (ko) 규격화된 패널구조를 갖는 천장 마감장치
KR20100002171U (ko) 욕실용 천장패널
CN211817308U (zh) 一种天花及装配式建筑
KR100854311B1 (ko) 매립형 조명등의 커버하우징
KR20110030773A (ko) 시공의 편리함과 용이함을 갖도록 한 실내 장식등
CN205979353U (zh) 一种led投光灯组
JP4713322B2 (ja) エントランスユニット
KR20220137566A (ko) 바리솔 시트를 이용한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