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913A -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913A
KR20100031913A KR1020080090789A KR20080090789A KR20100031913A KR 20100031913 A KR20100031913 A KR 20100031913A KR 1020080090789 A KR1020080090789 A KR 1020080090789A KR 20080090789 A KR20080090789 A KR 20080090789A KR 20100031913 A KR20100031913 A KR 2010003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destinatio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경
Original Assignee
김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경 filed Critical 김한경
Priority to KR102008009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913A/ko
Publication of KR2010003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발명은 기존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바코드를 이용하여 목적지 및 경유지를 설정할 수있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외부적인 장치인 바코드 리더를 연결하여 바코드가 목적지에 해당되는 바코드를 읽으면 자동적으로 해당 위치가 목적지로 설정이 되는 것이다.
네이게이션, GPS, 바코드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using bar-code search easy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최근에 GPS 수신기를 내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르는 길을 찾아가거나 목적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폭발적으로 그 수요가 많아졌다. 양산되어 나온 자동차에 옵션 제품으로 부착되기도 하고, 차량 출고 후에 애프터마켓에서도 널리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를 찾는 것은 아는 곳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모르는 곳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상의 어려움이 많이 있었다. 특히 전자제품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이나, 외국인이 어느 지점을 찾아갈 때(운전을 직접하지 않더라도 언어의 장벽이 있을 수 있음.), 여행을 가서 근처의 다른 명승지를 찾아갈 때 등, 해당 지역의 정보를 바코드로만 가지고 있다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택배 서비스에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광지를 소개하는 책자나 인터넷 사이트에 바코드를 넣어서 이것만 가지고 있으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외국 바이어가 한국에 찾아올 때도, 바코드만 이메일로 보내면 이걸 프린트해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용을 용이하게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바코드리더가 연결(또는 내장함)되어 바코드로 된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면 단말기에서 목적지 또는 경유지를 바로 설정되게 하는 방법이며, 부가적으로 즐겨찾기 등에 저장도 쉽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GPS 수신기를 내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르는 길을 찾아가거나 목적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자동차에 부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터치 패널를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으로 눌러서 목적지를 설정하였는데, 처음 가는 곳을 찾기 위해서는 초성검색, 주소검색, 전화번호 검색, 지명검색, 카테고리 검색등이 있으나 한글을 잘 모르는 사람(외국인)이나 전자제품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설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그림<1~17>은 종래의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찾는 방법을 나타낸 화면이다.
그림의 각 단계가 매우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각 단계별로 터치패널 또는 리모콘 등의 입력장치를 여러 번 동작해야만 목적지 설정이 가능하다.
1) 위치 찾기
메뉴선택
☞ 좌측 하단의 메인 메뉴 버튼을 누름 →[위치찾기]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1
<그림 1>
위치 검색
☞ 검색 메뉴에서 [명칭검색]을 선택 →검색할 지명 입력 →검색 건수 확인
→[전국검색]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2
<그림 2>
위치확인
☞ 검색결과 중 원하는 지점을 선택 →[이동]버튼 선택 →[목적지] 버튼 누름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3
<그림 3>
경로탐색 실시
☞ 목적지 설정 후 메뉴 중 [추천도로]를 선택 → 경로 탐색을 실시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4
<그림 4>
경로안내 시작
☞ 정보 확인 → [안내시작]버튼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5
<그림 5>
2) 경로저장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6
<그림 6>
위치검색
☞ 경로검색에서 [명칭검색] 아이콘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7
<그림 7>
명칭검색
☞ [명칭검색] 결과 화면 나타남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8
<그림8>
위치 확인
☞ 원하는 곳을 선택한 후, [위치보기] 아이콘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09
<그림 9>
지점등록
?지도화면 왼쪽의 [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0
]아이콘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1
<그림 10>
저장하기
☞ [저장하기]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2
<그림 11>
3) 경로검색
명칭검색
가. 기본메뉴 화면에서 명칭검색 아이콘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3
<그림 12>
나. 명칭입력
☞ [명칭검색] 입력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4
<그림 13>
다. 탐색하기
☞ 찾고자 하는 곳을 선택한 후, [바로탐색]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5
<그림 14>
주변검색
가. [주변검색]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6
<그림 15>
나. 주변 시설물 항목 선택
☞ 찾고자 하는 시설물 항목을 선택한 후, [검색]아이콘 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7
<그림 16>
다. 탐색하기
☞ [바로탐색]선택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8
<그림 17>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코드(Barcode)는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가 정보를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검은 막대(bar) 및 하얀 막대(space)를 조합시켜 문자나 숫자의 인코딩 정보를 코드화한 인쇄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의 구성 방법은 보통 13자리이고, 인코딩 정보는 GPS position 정보와 매칭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코드는 앞서 설명한 바코드의 통상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1차원(점), 2차원 (평면), 3차원(입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만들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코드(Barcode)는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가 정보를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 굵기가 다른 검은 막대(bar) 및 하얀 막 대(space)를 조합시켜 문자나 숫자의 인코딩 정보를 코드화한 인쇄물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의 구성 방법은 보통 13자리이고, 인코딩 정보는 GPS position 정보와 매칭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코드는 앞서 설명한 바코드의 통상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1차원(점), 2차원 (평면), 3차원(입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만들 수 있다.
<그림 18>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18>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a)은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코드 판독부(b), 네비게이션 S/W (c)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a)의 별도의 입력 장치인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부(b)를 외부에서 연결하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a)내에 내장함으로써 목적지 및 경유지의 위치를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a)내의 네비게이션 S/W(c)에서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외부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쉽게 설정할 수 있다. 기존의 사용자는 물론이고, 네비게이션의 안내 언어와 상관없이 쉽게 길안내를 받을 수 있다. 택시 또는 택배 운송용 등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외국인과 같이 한글이용이 어렵거나 네비게이션 사용을 어려워하는 계층에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GPS 좌표를 기반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은 별도의 Database가 필요 없으며, 13자리의 바코드 숫자를 이용하여 위도, 경도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현재의 제품에 외장형 시리얼 또는 USB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향후에는 내장하는 제품도 가능하다. 또한 바코드 리더를 이용하여 사전에 목적지를 쉽게 설정하면, 운행 중에 목적지 설정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그림 1~17>은 종래의 네비게이션에서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지점을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18>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Figure 112008065210208-PAT00019
<그림 18>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용을 용이하게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바코드리더가 연결(또는 내장함)되어 바코드로 된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판독하면 단말기에서 목적지 또는 경유지를 바로 설정되게 하는 방법이며, 부가적으로 즐겨찾기 등에 저장도 쉽게 만든 것이 특징이 다.
최근에 GPS 수신기를 내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르는 길을 찾아가거나 목적지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폭발적으로 그 수요가 많아졌다. 양산되어 나온 자동차에 옵션 제품으로 부착되기도 하고, 차량 출고 후에 애프터마켓에서도 널리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를 찾는 것은 아는 곳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모르는 곳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상의 어려움이 많이 있었다. 특히 전자제품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이나, 외국인이 어느 지점을 찾아갈 때(운전을 직접하지 않더라도 언어의 장벽이 있을 수 있음.), 여행을 가서 근처의 다른 명승지를 찾아갈 때 등, 해당 지역의 정보를 바코드로만 가지고 있다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택배 서비스에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광지를 소개하는 책자나 인터넷 사이트에 바코드를 넣어서 이것만 가지고 있으면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외국 바이어가 한국에 찾아올 때도, 바코드만 이메일로 보내면 이걸 프린트해서 사용하면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목적지 설정의 복잡함과 사용이 어려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비게이션 사용을 바코드를 통해서 쉽고 편하게 한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길을 안내해 주는 GPS 수신 네비게이션 단말기, 바코드를 판독하여 바코드의 정보로부터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판독부, 그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설정이 되도록 만들어진 네비게이션 S/W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1항에서 언급한 네비게이션 S/W가 바코드 리더를 통해 판독된 지점을 즐겨찾는 곳이나, 중요한 곳을 사전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
KR1020080090789A 2008-09-16 2008-09-16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1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789A KR20100031913A (ko) 2008-09-16 2008-09-16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789A KR20100031913A (ko) 2008-09-16 2008-09-16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13A true KR20100031913A (ko) 2010-03-25

Family

ID=4218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789A KR20100031913A (ko) 2008-09-16 2008-09-16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9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0020A (zh) * 2012-12-26 2013-04-17 深圳市诺威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导航仪的信息交互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0020A (zh) * 2012-12-26 2013-04-17 深圳市诺威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导航仪的信息交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760B1 (ko) 터치패널을 병설한 정보표시장치
US6470268B1 (en) Navigation destination entry via glyph to digital translation
US6694252B2 (en) Method of displaying landmark in navigation device
EP1589321A1 (en) Route guidance method, navigation apparatus,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server
JP200701036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10039253A (ko) 지리적 정보의 기계 판독가능한 표시
CN101852617B (zh) 兴趣点方位的指示方法及系统
JP5278786B2 (ja) 地図情報出力システム
US8756004B2 (en) Identification tag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253066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00031913A (ko)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JP515943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目的地設定システム
JPH06103498A (ja) Gpsを使った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82818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4950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案内経路の生成方法
JP2006112981A (ja) 情報処理装置
JP2005274472A (ja) 案内装置及び携帯端末
TW201000857A (en) Navigation device with global position system and navigation method thereof
JP200222847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153866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記憶媒体
KR100390476B1 (ko) 길안내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09845A (ja) 地図中ランドマークの選択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132821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る位置コード
JP2007147427A (ja) 目的地案内システム
KR2008000348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예약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