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819A -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819A
KR20100031819A KR1020080090628A KR20080090628A KR20100031819A KR 20100031819 A KR20100031819 A KR 20100031819A KR 1020080090628 A KR1020080090628 A KR 1020080090628A KR 20080090628 A KR20080090628 A KR 20080090628A KR 20100031819 A KR20100031819 A KR 2010003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ic acid
sludge
mixing
solidifying ag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239B1 (ko
Inventor
오명환
이준창
오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Priority to KR102008009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2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또는 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MgㆍCaCO3)이나 석회석(CaCO3)또는 플라이애쉬(fly ash)를 1차적으로 혼합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1차 단계의 혼합물과 황산제일철 일수염과 칠수염을 혼합한 정황산액상 고화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 또는 1차, 2차 혼합단계를 순차 또는 동시에 혼합하는 단계 ; 및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고화시키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정황산 액상 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을 40% 이상 함유하고 있는 고함수율의 수분과 슬러지류의 고유물성(악취, 점성, 부패)의 변화를 신속하게 전환시키고, 급격히 수분을 감소시켜 악취저감 및 내부조직의 와해를 촉진시켜 유, 무기성 폐기물을 재활용에 맞는 제품으로 전환시킴으로서 저렴한 비용 및 단시간 내에 고화 처리하여, 운반 및 매립이 용이한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Changing Method of Organic and Inorganic Slurry Using Sulfuric Acid}
본 발명은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국내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정수 슬러지는 전국의 하수처리장과 공단 종말처리장, 그리고 각 단일 공장이나 공단에서 하루 3,000톤 이상의 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매립되거나 해양에 투기되고 있다. 그러나 수분이 80%가량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매립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이 많아 매립지의 반입을 꺼리는 실정이며 바다에 버리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슬러지를 완벽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은 선진국 등에서 이미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또한 슬러지에는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어 적절하게 활용하면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지만 폐기할 경우에는 악취 발생 등의 2차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유효자원의 낭비라는 측면에서 가능한 범위에서 자원으로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 무기성 슬러지(하수슬러지, 폐석분, 정수오니, 폐수오니, 폐석회, 폐석고 등등)중 하수 슬러지와, 정수오니, 폐수오니는 환경법상으로 고화처리 후 일일복토재로 재활용이 가능하나, 현재 유일한 수도권 매립지의 고화처리장 또한 고화처리 기술이 미비하여, 수시복토 즉 매립으로 일일 400톤 정도를 처리하고, 그 외는 전량 직매립 금지에 의해 해양 투기로 처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유, 무기성 슬러지는 다량의 함수율로 인하여, 고가의 소성 방식이 아닌 저렴한 비용으로 수분을 제거하여야 만이 성토재 및 일일복토재로 재활용이 가능하나, 현재로써는 기술적인 대응책이 없는 상태이다.
특히 유기성 폐기물은 대부분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이 높으므로, 하절기에 급속한 부패 및 악취를 발생한다. 또한, 파리 등의 해충과 쥐들의 서식으로 인한 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 무기성 슬러지 폐기물의 처리방법에는 퇴비화, 사료화, 소각화, 탄화, 고형화와 일부 무기산(페산)을 이용한 처리방법 및 하수합병 처리 등이 거론되고 그 중 일부는 현재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메탄가스 발생에 의한 에너지화, 소각처리, 하수합병처리, 고화처리 등은 시간적, 경제적, 장소적, 처리량적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일부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에너지 가격의 폭등으로 인해서 일부처리 방식은 운영상의 문제로 인해서 설비가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슬러지류의 급속건조, 급속발효 방식과 무기산을 이용한 방식 역시 작업공정의 복잡함과 처리시간, 기초기술의 미비로 인해서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유, 무기성 폐자원을 단순히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함수율이 높은 유, 무기성 폐자원의 함수율을 줄이면서 이를 고형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탈수전 약품처리를 하였으나 약품에 의한 2차적 환경오염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어서 탈수전 물리적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고함수의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물리적 처리방법 중 환경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탈수성을 극대화시켜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 초음파 이용법은 슬러지에 초음파를 가하여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슬러지내 제거가 힘든 내부 및 결합수의 결합을 파괴·분리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한편, 고형화 처리방법은 높은 함수비를 가지고 있는 탈수 슬러지에 고화제를 첨가한 후 공학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탈수 슬러지에 고화제를 첨가하여 슬러지의 물리적 성상, 화학적 성상을 개선해 작업능률의 촉진, 중금속류 등 유해물질의 무해화, 안정화를 도모하면서 동시에 강도 등의 토질역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고화제로서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조강시멘트, 고화시멘트 등 각종 시멘트, 알루미늄계 특수시멘트, 아스팔트, 플라스틱, 생석회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하수슬러지 케이크를 고화처리하는 방법에서는 고화제로서 특수시멘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고화의 효과는 우수하나 대부분이 고가의 알루미나계 시멘트이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더불어 알카리계열의 고화제를 단독사용시 슬러지내부의 질소(NH)성분을 자 극해 대량의 암모니아 Gas발생을 유도, 과잉의 탈취설비가 필요하고 환경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 표출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 무기성 슬러지를 이용하여 폐자원을 활용하고자 노력하던 중, 고함수율의 슬러지류에 고농도의 황산(또는 정황산) 액상고화제와 강알카리성의 백운석 , 석회석 또는 플라이애쉬를 혼합하여 산알카리 반응에 의한 발열반응 및 포졸란 반응을 유도하고 Fe의 산화반응과 악취저감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수분감소와 슬러지 특유의 물성을 개선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함수율의 유, 무기성 슬러지의 함수율을 소성이 아닌 고화처리에 의해 흙과 동일한 형태로 안정화시켜, 성토재 및 일일복토재로 재활용하여, 해안투기와 야적에 의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폐기물을 처리하여, 폐기물 발생업체의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여 산업경쟁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성토재 및 일일복토재로 활용함으로써, 토사부족에 따른 2차적인 환경파괴를 방지하며, 아울러 부족한 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MgㆍCaCO3), 석회석(CaCO3) 또는 플라이애쉬를 1차적으로 혼합하는 1차 혼합단계;ⅱ) 상기 1차 단계의 혼합물과, 정황산액상고화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 ⅲ)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고화시키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ⅱ)단계의 정황산액상고화제는 황산제일철 일수화물 또는 칠수화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 용해하여 사용하거나, 황산제일철 일 수염과 황산제일철 칠수염을 1:1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황산액상고화제는 정황산 : 황산제일철일수화물 또는 황산제일철칠수화물의 배합비가 100 : 20~60인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무기성 슬러지 고화처리방법을 과제 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산제일철일수화물과 황산제일철칠수화물의 배합비는 1:1 ~ 1:5 인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무기성 슬러지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차, 2차 혼합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 또는 석회석의 배합비는 8~12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과 정황산액상고화제의 배합비는 100 : 1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에 정황산액상 고화제를 소량씩 투여하며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단계에서 1차 혼합물은 정황산액상고화제와 혼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발열을 이용하여 고화물을 함수율 40%이하가 되도록 한 후 자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 무기성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폐석분, 정수오니, 폐수오니, 폐석회, 폐석고, 축산폐수, 음식물 쓰레기, 준설토 및 염색슬러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오니형태의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을 과제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 또는 석회석의 중량비는 8~12: 4~5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과 황산(또는 정황산) 액상고화제의 중량비는 100 : 15~8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에 황산(또는 정황산) 액상고화제을 조금씩 투여하며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건조단계에서 1차 혼합물은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와 혼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발열을 이용하여 고화물을 함수율 40%이하가 되도록 한 후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 무기성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폐석분, 정수오니, 폐수오니, 폐석회, 폐석고, 축산폐수, 음식물 쓰레기 및 염색슬러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오니형태의 슬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폐산, 알카리 대신에 황산(또는 정황산)액상고화제 및 백운석이나 석회석 분말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폐산에는 중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고화처리에 얻어진 토재를 유기질 비료로 사용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85 중량부의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사용한다. 아울러, 종래에는 알카리로서 소성한 CaO 또는 MgO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알카리 대신에 백운석(MgㆍCaCO3)이나 석회석(CaCO3) 또는 플라이애쉬를 사용함으로써 CO2의 방출을 촉진시켜 건조를 촉진하고, 무기물 비중이 낮아 유효한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고, 백운석에 포함된 Mg는 식물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MgㆍCaCO3), 석회석(CaCO3)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를 1차적으로 혼합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1차 단계의 혼합물과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 및 상기 2차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고화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1차 혼합단계에서는 혼합기(믹서기)를 통해 유, 무기성 슬러지(20)와 백운석 또는 석회석을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8~12: 4~5의 비율로 1차 혼합하는 공정이다. 즉, 혼합기에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 , 석회석 또는 Fly ash을 적정하게 넣고 혼합한다. 백운석, 석회석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는 발열 및 고형제의 기능 및 산과 반응시 발열을 극대화시키는 역할과 고형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황토와 같이 산화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2차 혼합단계에서는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 또는 석회석과 혼합)과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15~85의 적정한 비율로 2차 혼합하는 공정이다. 즉,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에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조금씩 투여하며 혼합을 하는 공정이다. 이때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는 한번에 투여하지 않고 조금씩 투여한다. 이유는 한번에 많은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 투입시 발열에 의한 거품이 발생하여 혼합기 밖으로 유출되기 때문이다.
2차 혼합단계에서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는 백운석, 석회석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의 발열 반응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지나치게 다량 투입될 시 혼합물의 경화속도가 지연되거나, 경화가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건조단계는 2차 혼합단계의 혼합물을 건조하여 함수분을 제거함으로써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차 혼합물은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 와 혼합 즉시 120℃ 정도의 고온의 발열을 시작하여, 수증기가 발생되며, 고화물이 경화되기 시작하여 1일 후 고화물은 함수율 40%이하가 된다.
이때, 혼합물은 최소 24시간의 자연 건조를 시킨다. 이유는 혼합물이 혼합즉시 120℃ 정도의 고온발열이 60분 이상 지속되며, 60분후부터 2시간까지는 60~75℃ 정도의 고열이 발생되어, 60℃ 이하의 고열이 3시간정도를 유지하므로 혼합물은 완전 발열이 끝날 수 있도록 최소 1일 정도의 자연건조단계를 거친다.
그러나 발열온도는 믹싱대상물과 함수율, 상온온도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50~80℃에서 3시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처럼,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의 원리는 수분이 40%이상 내포된 유, 무기성 슬러지에 백운석 , 석회석 또는 Fly ash와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가 혼합됨으로써, 알칼리성의 백운석 , 석회석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와 강산성의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제가 반응하여 유, 무기성 슬러지의 수분과 반응하여 고열이 발생되고, 이때 강산성을 투여함으로써, 백운석 , 석회석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와 황산(정황산)이 격렬히 반응하여 고온이 발생되어, 유, 무기성 슬러지의 수분이 수증기로 증발하여 고화되고 이때, 고화물은 철(Fe), 공기와 반응하여 황토색으로 산화되며, 고화된 혼합물은 흙과 동일한 형태의 고화물이 되는 원리인 것이다. 중화 과정 중에 부분적인 혼합물이 균질 하게 혼합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유해성 가스는 별도로 포집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황산(정황산) 액상고화재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 방법에 의하면, 유, 무기성 슬러지의 문제점인 함수율을 제거하여 흙과 동일한 형태의 고화물로 만들어 줌으로써, 해양투기와 야적으로 인한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 할 수 있고, 경제성이 높으며, CO2 배출시 수분을 함께 배출하고, 무기물의 양을 줄이면서 유기물의 비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반응단계에서 악취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고화효율이 우수하여 인공 복토재, 부숙토 및 퇴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공정의 단순함과 최단처리기간으로 인해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황산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황산을 사용함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 1
음식물 슬러지(W/T(%)) 100 g, 백운석 분말 20 g 및 정황산고화제 15 g(실시예 1),
플라이애쉬 20 g 및 정황산고화제 15 g (실시예 2), 백운석 분말 20 g 및 정황산고화제 20 g(실시예 3), 백운석 분말 20 g 및 정황산고화제 30 g(실시예 4) 및 백운석 분말 60 g 및 정황산고화제 100 g(실시예 5)를 혼합하여 발열을 유도하고, 냉각 후 2일 경과 후 퇴비성분을 시험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고화제를 하수 슬러지(함수율 80.3%, pH 7.2)에 반응시켜 시간 경과에 따른 함수율의 변화 및 악취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악취 정도는 5명이 흡취한 후 1 ~ 5의 점수를 부여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1은 악취가 없음, 5는 악취가 매우 심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치를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함수율은 3일 양생 후 함수율을 나타낸다.
함수율(%) 악취발생정도
실시예 1 39.8 2.4
실시예 2 38.2 1.8
실시예 3 30.4 1.9
실시예 4 25.4 1.3
실시예 5 24.8 2.3
<실시예 5~8>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 2
음식물 슬러지(W/T(%)) 100 g, 석회석 분말 20 g 및 정황산 15 g(실시예 5), 석회석 분말 20 g 및 정황산고화제 20 g(실시예 6), 석회석 분말 20 g 및 정황산 고화제30 g(실시예 7) 및 석회석 분말 30 g 및 정황산고화제 30 g(실시예 8)를 혼합하여 발열을 유도하고, 냉각 후 2일 경과 후 퇴비성분을 시험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고화제를 하수 슬러지(함수율 80.3%, pH 7.2)에 반응시켜 시간 경과에 따른 함수율의 변화 및 악취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악취 정도는 5명이 흡취한 후 1 ~ 5의 점수를 부여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고(1은 악취가 없음, 5는 악취가 매우 심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치를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표 2에서 함수율은 3일 양생 후 함수율을 나타낸다.
함수율(%) 악취발생정도
실시예 5 40.5 2.72
실시예 6 38.2 1.9
실시예 7 33.4 1.6
실시예 8 28.9 1.5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슬러지, 정황산고화제와 백운석 , 석회석 또는 플라이애쉬의 적정 비율이 하수 슬러지의 고화효율 및 악취 감소에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의 처리공정도.

Claims (10)

  1. ⅰ)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MgㆍCaCO3), 석회석(CaCO3) 또는 플라이애쉬를 혼합하는 1차 혼합단계;
    ⅱ) 상기 1차 단계의 혼합물과, 정황산액상고화제를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
    ⅲ) 상기 혼합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고화시키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i)단계의 정황산액상고화제는 황산제일철 일수화물 또는 황산제일철 칠수화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단독 용해하여 사용하거나, 황산제일철 일수염과 황산제일철 칠수염을 1:1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황산액상고화제는 정황산 : 황산제일철일수화물 또는 황산제일철칠수화물의 배합비가 100 : 20~60인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무기성 슬러지 고화처리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황산제일철일수화물과 황산제일철칠수화물의 배합비는 1:1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무기성 슬러지 고화처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2차 혼합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유, 무기성 슬러지와 백운석 또는 석회석의 배합비는 8~12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상기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과 정황산액상고화제의 배합비는 100 : 1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1차 혼합단계의 혼합물에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소량씩 투여하며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1차 혼합물은 정황산액상고화제와 혼합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발열을 이용하여 고화물을 함수율 40%이하가 되도록 한 후 자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 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 무기성 슬러지는 하수 슬러지, 폐석분, 정수오니, 폐수오니, 폐석회, 폐석고, 축산폐수, 음식물 쓰레기, 준설토 및 염색슬러지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오니형태의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KR1020080090628A 2008-09-16 2008-09-16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KR101069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28A KR101069239B1 (ko) 2008-09-16 2008-09-16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28A KR101069239B1 (ko) 2008-09-16 2008-09-16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19A true KR20100031819A (ko) 2010-03-25
KR101069239B1 KR101069239B1 (ko) 2011-10-04

Family

ID=4218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628A KR101069239B1 (ko) 2008-09-16 2008-09-16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2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C20100024A1 (it) * 2010-12-10 2012-06-11 Agrosistemi Srl Metodo e impianto per la preparazione di correttivi agricoli
CN106241939A (zh) * 2016-09-06 2016-12-21 湖北平安电工材料有限公司 改性粉煤灰去除有机硅树脂废水中工业cod的方法
KR20230001092A (ko) * 2021-06-28 2023-01-04 김태훈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와 폐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및 그 아스콘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C20100024A1 (it) * 2010-12-10 2012-06-11 Agrosistemi Srl Metodo e impianto per la preparazione di correttivi agricoli
CN106241939A (zh) * 2016-09-06 2016-12-21 湖北平安电工材料有限公司 改性粉煤灰去除有机硅树脂废水中工业cod的方法
KR20230001092A (ko) * 2021-06-28 2023-01-04 김태훈 알루미늄 블랙 드로스와 폐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및 그 아스콘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239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7796B (zh) 一种用于处理城市污水处理厂污泥的污泥固化剂及其污泥处理方法
KR100757518B1 (ko) 폐산, 폐알칼리 및 슬러지의 처리 및 자원화 방법
RU2293070C2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осадков сточных вод
US20170008790A1 (en) Methods for reducing greenhouse emissions from animal manure
CN102746023A (zh) 一种同步脱氮除磷的人工湿地基质填料及其制备方法
CN112441804B (zh) 一种除磷脱氮型生物滤料制备方法及在一体化农村生活污水处理设备上的应用
KR101954372B1 (ko) 유기성 폐기물을 함유하는 연료탄의 제조방법.
JP2803855B2 (ja) 下水汚泥の資源化システム
CN113149589A (zh) 一种掺污泥焚烧灰渣的土体固化剂及其制备方法
KR100388346B1 (ko) 농수축산 폐기물과 슬러지를 원료로 한 비료와 그 제조방법
KR100337084B1 (ko) 정.하수오니 슬러지를 이용한 퇴비화 제조방법
KR101069239B1 (ko) 정황산액상고화제를 이용한 유, 무기성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KR101781377B1 (ko) 알루미늄 부산물과 산성 액상 고화제를 이용한 축산분뇨 또는 유·무기성 슬러지의 악취 제거 및 개질 방법.
KR100660621B1 (ko) 슬러지를 이용한 수분조절제 제조방법
KR100788441B1 (ko) 산성계 분말 고화제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슬러지의 고화처리방법
CN104129897B (zh) 一种生活污泥的脱水工艺
JP2006315885A (ja) リサイクル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31746A (zh) 一种固化污泥用于路基填土的方法
KR20130123799A (ko)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KR100966784B1 (ko) 유,무기성 폐자원의 고화처리를 위한 고화제 제조방법
CN108609980A (zh) 一种利用脱硫脱硝废弃灰渣将淤泥软基深层固化的方法
KR20030055854A (ko) 유기폐기물 정화제 및 유기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KR100704735B1 (ko) 유기성 폐자원의 악취제거방법
KR100757360B1 (ko) 유·무기성 폐자원의 재처리 방법
KR0174716B1 (ko) 각종 오니 및 슬러지의 안정화 및 고화 처리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