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637A -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637A
KR20100031637A KR1020107002874A KR20107002874A KR20100031637A KR 20100031637 A KR20100031637 A KR 20100031637A KR 1020107002874 A KR1020107002874 A KR 1020107002874A KR 20107002874 A KR20107002874 A KR 20107002874A KR 20100031637 A KR20100031637 A KR 2010003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ontent
purchas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159B1 (ko
Inventor
가즈야 다까하시
마사야 아이하라
아끼라 야마시따
오사무 이께다
준 이와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10003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등을 제공한다. 배포되는 콘텐츠(10)에 그 콘텐츠(10)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유저에 대응하는 허가 유저 정보(11)가 대응지어진다. 유저 단말기(3)는 유저(2)를 특정하는 유저 특정 정보(36a)와 허가 유저 정보(11)가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 유저 특정 정보(36a) 및 허가 유저 정보(11)를 서버(4)로 송신한다. 서버(4)는 수신한 유저 특정 정보(36a) 및 허가 유저 정보(11)를 각각 배포처 및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41a)를 생성하고 유저 특정 정보(36a)와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여 유저 단말기(3)에 제공한다. 그리고, 신허가 유저 정보를 취득한 유저 단말기(3)는 허가 유저 정보(11)를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한다.

Description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콘텐츠를 복수의 유저에게 배포하기 위한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화상이나 음악의 콘텐츠(이하, 총칭하여「콘텐츠」라고 한다)에 관하여, 정규의 구입 수속을 거치지 않는 불법 복제가 문제되고 있다. 당해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복제 방지 기능이나 복제 횟수 제한을 정규 상품에 부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복제를 「배포」로 파악하여 정규의 구입 수속을 거치지 않고 복제된 콘텐츠는 소정의 과금 처리를 하지 않으면 사용되지 않도록 구성된 과금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1:국제공개제01/033546호팜플렛
그러나, 종래의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제된 콘텐츠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할 수는 있지만, 각 콘텐츠가 배포되는 루트를 관리하여 각 콘텐츠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텐츠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유저 단말기와, 상기 유저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이며,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유저를 특정하는 유저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특정 정보 취득부와,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허가 유저 정보가 대응지어진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경우에 상기 유저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는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는 상태 판별부와, 상기 상태 판별부에 의해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콘텐츠가 이용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상태 판별부에 의해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허가 처리 요구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하는 변경 처리부와,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배포처로 하고, 상기 허가 유저 정보를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와,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에 제공하는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를 가짐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포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된다. 따라서, 콘텐츠는 다른 유저 단말기로부터 직접 복제함으로써 또는 콘텐츠가 복제된 기록 매체를 통하여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와 유저 특정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다. 취득 시의 허가 유저 정보는, 배포원의 유저 특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정보이기 때문에 새로운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자기의 유저 특정 정보에 대응하도록 재기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버의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에서 새로운 유저의 유저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신허가 유저 정보가 생성되고, 유저 단말기의 변경 처리부에서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가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허가 유저 정보는 콘텐츠가 새로운 유저에게 취득될 때마다 새로운 유저에 대응하도록 재기입된다. 한편, 서버에서는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에서 새로운 유저의 유저 특정 정보를 배포처로 하고, 콘텐츠에 대응지어져 있는 현재의 허가 유저 정보를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가 생성된다. 따라서, 유저 관련 정보에 있어서의 배포원 또는 배포처를 거슬러 가면 1개의 콘텐츠에 관한 배포 루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포되는 콘텐츠의 출처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트러블 발생 시의 원인 분석에도 유효하다.
구입이나 계약 등,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 당해 조건이 미리 만족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하여 적용해도 좋고, 변경 처리에 의해 허가 유저 정보가 변경될 때까지 본 시스템에서 당해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당해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경우에만 변경 처리가 실행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유저가 당해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처리는 본 발명의 서버에서 행하여져도 좋고, 다른 사이트에서 행하여져도 좋다.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신허가 유저를 생성」하는 형태에는 유저 특정 정보 자체를 가공하여 생성하는 경우와, 유저 특정 정보 이외의 정보를 추가하여 가공 생성하는 경우 혹은 대응짓기 테이블 등에 의해 대응짓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가공에는 암호화 처리의 경우나 단순한 변환 처리의 경우 등이 포함된다. 「소정의 관계」에는 일치하는 관계, 공식 등 소정의 수순에 의해 도출시킬 수 있는 관계, 대응짓기 테이블에 의해 대응지어져 있는 관계 등을 포함한다. 특정 정보 취득부가 유저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형태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됨으로써 취득되는 경우와, 미리 유저 단말기에 기억된 유저 특정 정보가 취득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유저 단말기에 고유한 단말기 고유 정보를 기억하는 고유 정보 기억부를 갖고, 상기 특정 정보 취득부는, 상기 고유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단말기 고유 정보를 상기 유저 특정 정보로서 취득해도 좋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를 본 발명의 유저로서 취급하여 유저에 의한 유저 특정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본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배포되는 콘텐츠의 이용을 유저 단말기를 단위로 하여 관리할 수 있다. 유저 단말기에 고유한 단말기 고유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에는 개체 식별 번호(UID), 및 SIM 카드나 UIM 카드에 기록된 유저에게 고유한 정보가 적용 가능하고, 유저 단말기가 컴퓨터인 경우에는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등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를 기억하는 허가 정보 기억부와, 상기 변경 처리부에 의해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변경될 때까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것을 나타내다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허가 정보를 제어하는 허가 정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상태 판별부는 상기 허가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해도 좋다.
이에 의해, 허가 유저 정보가 유저 특정 정보와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한번 변경되면 허가 정보에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것이 설정되므로 한번 허가 유저 정보가 변경된 유저 단말기에서는 그 후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는 어떤 정보든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단말기를 소유하는 유저가 콘텐츠를 분실하거나 삭제해 버린 경우에도 새로운 콘텐츠를 취득하여 콘텐츠 기억부에 복제하면 그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가 어느 유저를 나타내는 경우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구입에 관한 구입 처리를 행하기 위한 구입 사이트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저 단말기의 허가 처리 요구부는, 상기 유저 단말기 정보가 배포처에 설정되어 있는 유저 관련 정보가 상기 서버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구입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는 구입 처리 판별부를 갖고,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되고 또한 상기 구입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허가 유저 정보를 포함하는 구입 등록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구입 등록 요구를 수신한 상기 서버의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는, 수신한 구입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허가 유저 정보에 의해 상기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구입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한 상기 필요한 정보에 의해 상기 구입 사이트에 접속하는 콘텐츠 구입부를 갖고, 상기 서버의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입 처리를 행한 유저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유저 특정 정보가 배포처에 설정되어 있는 유저 관련 정보의 유무에 따라 구입 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당해 유저 관련 정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유저에게 구입 처리를 재촉할 수 있다. 그리고, 구입 처리를 행한 유저에 대하여 신허가 유저 정보가 제공된다. 구입 처리를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형태에는 유저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구입 완료 통지가 구입 사이트로부터 직접 또는 서버를 통하여 유저 단말기에 송신되어 당해 통지가 유저 단말기에서 유지되는 경우나 구입 완료 통지가 서버로 송신되어 서버에서 유지되는 경우 등이 있다. 「구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에는 구입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카운트 ID나 패스워드 등이 있다.
상기 서버의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유저에 대하여 고유하게 부여되는 구입 처리 식별 정보를 상기 필요한 정보로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입 처리 식별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기에 송신함과 함께 생성된 상기 유저 관련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구입 사이트로부터 상기 구입 처리가 행하여진 상기 구입 처리 식별 정보를 취득하면 그 구입 처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유저 관련 정보에 상기 구입 처리가 된 것을 나타내는 구입 정보를 대응짓는 구입 후 처리부를 갖고, 상기 유저 단말기의 구입 처리 판별부는 상기 유저 관련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구입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구입 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유저 단말기의 허가 처리 요구부는 상기 구입 처리 판별부에서 상기 구입 처리가 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유저 정보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서버의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신유저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신유저 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특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유저 관련 정보가 생성된 후에도 구입 정보에 의해 구입 처리가 행하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기 때문에 유저 관련 정보의 생성과 구입 처리를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사정에 따라 구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구입 처리를 한번 행한 콘텐츠이면 허가 유저 정보가 다른 경우에도 신허가 유저 정보가 새로운 유저에 대하여 발행되어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는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관련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배포원에 설정되어 있는 허가 유저 정보로부터 그 허가 유저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상기 배포처로 하여 설정되어 있는 유저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유저 관련 정보에 소정의 특전 정보를 부가하는 특전 부가 수단을 가져도 된다. 이에 의해, 다른 유저에게 콘텐츠를 배포한 유저에 대응하는 유저 관련 정보에는 배포한 수에 따라 특전이 부여되므로 유저에게 특전을 부여하면 콘텐츠 배포의 모티베이션을 높일 수 있다. 특전 정보로서는 포인트나 특전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에 있어서의 허가 유저 정보가 부정하게 재기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저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유저 단말기는 휴대형 단말기이어도 좋다. 특히 휴대형 단말기의 경우 예를 들어 게임에서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시간이 걸리고 또한 통신 환경이 만전되어 있지 않지만, 대용량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를 통하여 배포되는 콘텐츠로 하면 휴대형 단말기이라도 문제없이 대용량 데이터를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배포 방법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유저 단말기와, 상기 유저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가능한 서버에서 행하여지는 콘텐츠 배포 방법이며, 상기 유저 단말기에서 상기 유저를 특정하는 유저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허가 유저 정보가 대응지어진 콘텐츠를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경우에 상기 유저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는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콘텐츠가 이용되는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취득된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하는 스텝이 행하여지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배포처로 하고, 상기 허가 유저 정보를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에 제공하는 스텝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처리를 유저 단말기 및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콘텐츠 배포 시스템으로서 구현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포되는 콘텐츠에 그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유저에 대응하는 허가 유저 정보가 대응지어진다. 유저 단말기는 유저를 특정하는 유저 특정 정보와 당해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 유저 특정 정보 및 허가 유저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서버는, 수신한 유저 특정 정보 및 허가 유저 정보를 각각 배포처 및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수신한 유저 특정 정보와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여 유저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리고, 신허가 유저 정보를 취득한 유저 단말기는 허가 유저 정보를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콘텐츠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저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서버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서버가 유지하는 유저 관련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서버 및 유저 단말기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입 확인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입 등록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구입 후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ID 변경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콘텐츠가 서버로부터 제공되어 복수의 유저 단말기에 배포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배포 시스템(1)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콘텐츠 배포 시스템(1)은, 유저(2)의 조작을 접수하는 유저 단말기(3)와, 유저 단말기(3)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서버(4)로 구성된다. 유저 단말기(3)와 서버(4)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된다. 본 형태의 유저 단말기(3)는 유저(2)가 소유하는 휴대형 전화기이며, 따라서 유저 단말기(3)와 네트워크(5)는 일부 무선 회선으로 접속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3) 및 서버(4)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소정의 구입 사이트(7)에 접속 가능하다. 구입 사이트(7)는 구입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콘텐츠(10)에 관한 과금 처리를 행하기 위한 사이트이다. 구입 사이트(7)에서 구입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처리 ID를 서버(4)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유저 단말기(3)에 의해 구입 사이트(7)에서의 구입 처리가 가능해진다.
콘텐츠 배포 시스템(1)에 있어서 배포되는 콘텐츠(10)는 게임 소프트이다. 유저 단말기(3)에는 SD 카드(6)가 장착 가능하고, 콘텐츠(10)는 SD 카드(6)에 의해 다른 유저 단말기(3')로부터 유저 단말기(3)에 배포된다. 즉, 본 형태에서는 유저 단말기(3')를 구입원으로 하여 유저 단말기(3)가 콘텐츠(10)를 구입한다. 콘텐츠(10)에는 콘텐츠(10)의 이용이 허가되는 유저 단말기를 나타내는 허가 유저 ID(11)가 대응지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유저 단말기와 유저가 1 대 1로 대응할 것으로 간주하여, 유저 단말기를 단위로 하여 콘텐츠(10)의 이용을 허가한다. 허가 유저 ID(11)는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되고, 허가 유저 ID(11)에는 사용된 비밀 키에 대응하는 공개 키(11a)가 대응지어져 있다. 이하, 공개 키(11a)가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ID(11)를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라고 한다.
본 형태의 경우 다른 유저 단말기(3')로부터 SD 카드(6)에 콘텐츠(10)가 복제된 시점에서는 SD 카드(6) 내의 콘텐츠(10)에는 다른 유저 단말기(3')를 나타내는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대응지어진다. 이 상태에서 SD 카드(6)를 통하여 유저 단말기(3)에 콘텐츠(10)가 취득된 경우에도 콘텐츠(10)의 허가 유저 ID(11)가 유저 단말기(3)를 나타내도록 허가 유저 ID(11)를 변경하는 처리(이하 「변경 처리」라고 한다)가 유저 단말기(3)에 의해 행하여지지 않는 한, 콘텐츠(10)는 유저 단말기(3)에서 기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저 단말기(3)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든 유저 단말기는 유저 단말기(3)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유저 단말기(3)는, 유저(2)의 조작을 접수하는 버튼이나 키를 포함하는 입력부(31)와, 화상을 출력하는 화면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32)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10)의 배포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는 배포 정보 기억부(33)와, SD 카드(6)를 장착하는 카드 장착부(34)와, 서버(4)나 구입 사이트(7)와 행하는 데이터 통신의 인터페이스인 단말기 통신부(35)와, 유저 단말기(3)의 단말기 고유 정보(36a)가 기억된 고유 정보 기억부(36)와 및 각 구성(31 내지 36)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 유닛(30)을 구비한다.
단말기 제어 유닛(30)은, 주로 CPU와 그 동작에 필요한 RAM, ROM 등의 기억 영역으로 구성되고,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 제어 유닛(30)은 주로, 상태 판별부, 콘텐츠 처리부, 허가 처리 요구부, 변경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배포 정보 기억부(33)에는 콘텐츠의 이용에 대하여 유저 단말기(3)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인 허가 정보(33a)가 기억되어 있다. 허가 정보(33a)는 콘텐츠에 따라 준비되며,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을 때는 대응하는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허가 정보(33a)는, 예를 들어 미리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고, 콘텐츠(10)가 SD 카드(6)로부터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복제될 때에 당해 허가 정보(33a)가 생성되어도 좋고, 또는 콘텐츠(10)의 허가 정보(33a)의 참조 시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생성되어도 좋다. 또한,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있어서의 허가 정보(33a)의 플래그는 유저 단말기(3)에 의해 후술하는 ID 변경 처리를 거치지 않는 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의해, 배포 정보 기억부(33)는 허가 정보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배포 정보 기억부(33)는 읽고 쓰기 가능한 메모리이지만, 유저(2)에 의해 판독되지 않도록 프로텍트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SD 카드(6) 내의 콘텐츠(10)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복제됨으로써 콘텐츠(10)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유저 단말기(3)에서 유지되어 이용된다. 이에 의해, 배포 정보 기억부(33)는 콘텐츠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단말기 고유 정보(36a)는 유저 단말기(3)의 고유 정보로서 미리 설정된 정보이며, 고유 정보 기억부(36)는 판독 전용 메모리이다. 본 형태에서는, 단말기 고유 정보(36a)는 휴대형 전화에 고유하게 설정된 UID이다. 이하, 단말기 고유 정보(36a)를 「UID(36a)」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유저(2)와 유저 단말기(3)가 1 대 1로 대응한다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유저 단말기(3)에 고유한 UID(36a)는 유저 특정 정보로서 기능한다. UID(36a)가 콘텐츠 배포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경우 단말기 제어 유닛(30)이 고유 정보 기억부(36)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 제어 유닛(30)은 특정 정보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서버(4)의 하드웨어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서버(4)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가 기억되는 서버 기억부(41)와, 유저 단말기(3)나 구입 사이트(7)와 행하는 데이터 통신의 인터페이스인 서버 통신부(42)와, 각 구성(41, 42)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 유닛(40)에 의해 구성된다. 서버 제어 유닛(40)은, 주로 CPU와 그 동작에 필요한 RAM, ROM 등의 기억 영역으로 구성되고,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서버 기억부(41)에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당해 프로그램이 기동함으로써 서버(4)는 주로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한다. 서버 기억부(41)에는 유저 관련 정보(41a)가 더 기억되어 있다. 유저 관련 정보(41a)의 데이터 구조를 도 4에 도시한다.
유저 관련 정보(41a)는 콘텐츠마다 기억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유저 관련 정보(41a)」라고 할 때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콘텐츠(10)에 대응지어진 유저 관련 정보(41a)를 나타낸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각 콘텐츠는 콘텐츠명, 버전 번호, 그 외 고유한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식별자(이하 「콘텐츠 식별 정보」라고 한다)에 의해 식별된다. 따라서, 유저 관련 정보(41a)는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도록 기억되어 있다.
구입 유저(411)는 콘텐츠(10)를 구입한, 즉 배포처로 한 유저 단말기(3)의 UID(36a)이다.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413)는 UID(36a)(구입 유저(411))가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된 정보이다. 구입 정보(414)는 유저 단말기(3)에 의해 콘텐츠(10)의 구입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구입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기(3)의 콘텐츠(10)에 관한 구입 상태는 서버(4)에 의해 관리된다.
구입 연월일(415)은 콘텐츠(10)의 구입 처리가 된 연월일을 나타낸다. 구입원 유저 ID(416)는 콘텐츠(10)의 구입원, 즉 배포원인 유저 단말기(3')에 대응하는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를 나타낸다. 처리 ID(417)는 구입 사이트(7)에서 구입 처리를 행하는 유저 단말기(3)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포인트(418)는 유저 단말기(3)가 콘텐츠(10)를 다른 유저 단말기에 배포함으로써 유저 단말기(3)에 대하여 부여되는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포인트(418)가 소정의 기준 이상이 되면 유저 단말기(3)에 대하여 소정의 특전이 제공된다.
유저 단말기(3')로부터 복제된 콘텐츠(10)를 유지하는 SD 카드(6)를 유저 단말기(3)에 장착 후, 유저 단말기(3)에서 콘텐츠(10)가 이용되는 콘텐츠 처리가 행하여질 때까지 서버(4) 및 유저 단말기(3) 각각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흐름의 개요를 도 5의 시퀀스도에 따라 설명한다. 서버(4)에 있어서의 처리 및 유저 단말기(3)에 있어서의 처리는 각각 서버 제어 유닛(40) 및 단말기 제어 유닛(3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형태의 콘텐츠 처리에서는 콘텐츠(10)에 기초한 게임이 개시된다.
우선, SD 카드(6)가 유저 단말기(3)의 카드 장착부(34)에 장착되어, 소정의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콘텐츠(10)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복제된다(스텝 S50). 당해 복제 시에 콘텐츠(10)에 대응하는 허가 정보(33a)가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생성된다. 복제된 콘텐츠(10)에 대응지어진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는 콘텐츠(10)의 구입원인 유저 단말기(3')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3)에 의해 콘텐츠 처리를 개시할 때의 개시 조작이 있으면, 우선 허가 정보(33a)를 참조함으로써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스텝 S52), 허가되어 있을 때는 콘텐츠(10)를 이용하는 처리인 콘텐츠 처리로 진행한다(스텝 S64).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을 때는 구입 등록 확인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54).
구입 등록 확인 처리에서는 유저 단말기(3)의 UID(36a) 및 콘텐츠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구입 등록 확인 요구를 서버(4)에 송신하고, 서버(4)로부터 확인 결과를 취득함으로써 구입 등록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구입 등록 처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 식별 정보, UID(36a)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를 포함하는 구입 등록 요구를 서버(4)에 송신한다. 서버(4)에서는 구입 등록 확인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 확인 처리가 행하여지고(스텝 S55), 구입 등록 요구를 수신하면 구입 등록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56).
서버 확인 처리에서는 구입 등록 확인 요구에 포함되는 UID(36a)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서버 기억부(41)에 있어서의 유저 관련 정보(41a)의 유무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확인 결과로 한다. 또한, 유저 관련 정보(41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입 정보(414)가 확인 결과에 포함된다. 또한, 구입 정보(414)가 구입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유저 관련 정보(41a)의 처리 ID(417)도 확인 결과에 포함된다. 구입 등록 처리에서는 구입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3)의 유저 관련 정보(41a)가 생성되고, 생성된 처리 ID(417)를 포함하는 등록 결과가 유저 단말기(3)에 송신된다. 구입 등록 확인 처리 및 구입 등록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확인 결과 또는 등록 결과로부터 처리 ID(417)를 취득한 유저 단말기(3)는 구입 사이트(7)에 처리 ID(417)에 의해 액세스하여 콘텐츠(10)를 구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금 처리를 행한다(스텝 S57). 당해 과금 처리는 종래 기지의 처리이면 된다. 구입 사이트(7)에 있어서 과금 처리가 종료되면 구입 사이트(7)로부터 처리 ID(417)를 포함하는 구입 완료 통지가 서버(4) 및 유저 단말기(3)에 송신된다. 구입 완료 통지를 수신한 서버(4)에서는 구입 후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58). 구입 후 처리에서는 처리 ID(417)를 키로 하여 유저 단말기(3)의 유저 관련 정보(41a)를 검색하고, 검색한 유저 관련 정보(41a)를 구입 처리 후의 상태로 설정한다. 구입 후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구입 완료 통지를 수신한 유저 단말기(3)에서는 배포 정보 기억부(33)의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를 변경하기 위해 ID 변경 처리로 진행한다(스텝 S60). ID 변경 처리에서는 UID(36a),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 요구를 서버(4)에 송신하고, 송신된 UID(36a)에 기초하여 생성된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가 포함되어 있는 변경용 정보를 서버(4)로부터 취득하여, 콘텐츠(10)에 대응지어진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를 취득한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로 변경한다. ID 변경 처리의 상세를 후술한다. ID 변경 처리의 종료 후, 콘텐츠 처리로 진행한다(스텝 S64).
변경 요구를 수신한 서버(4)에서는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62).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에서는 수신한 변경 요구에 포함되는 UID(36a)에 기초하여 신허가 유저 ID가 생성되어, 공개 키와 신허가 유저 ID가 대응지어진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가 포함되는 변경용 정보가 유저 단말기(3)에 송신된다.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유저 단말기(3)에서 행하여지는 구입 등록 확인 처리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구입 등록 확인 처리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유저 단말기(3)의 단말기 제어 유닛(30)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스텝 S100에서 구입 등록 확인 요구를 생성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 구입 등록 확인 요구에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 및 UID(36a)가 포함된다. 구입 등록 확인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스텝 S102에서 확인 결과를 서버(4)로부터 취득한다. 계속되는 스텝 S104에서는 취득한 확인 결과에 의해 구입 등록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확인 결과에 구입 정보(414)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입 등록 처리 완료라고 판별하고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는 구입 정보(414)가 나타내는 내용에 따라 구입 처리가 종료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구입 처리가 처리 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구입 처리가 미처리인 경우에는 구입 처리를 재촉하는 메시지와 함께 구입 사이트(7)에 액세스하기 위한 처리 ID(417)를 표시한다. 그 후, 구입 등록 확인 처리는 종료된다.
유저 단말기(3)의 유저 관련 정보(41a)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결과의 경우 구입 등록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한다. 당해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구입 등록 요구를 생성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 구입 등록 요구에는 UID(36a)와 콘텐츠(10)의 콘텐츠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계속하여 스텝 S108에서 서버(4)로부터의 등록 결과를 취득한다. 등록 결과에는 유저 단말기(3)의 유저 관련 정보(41a)가 생성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와, 구입 사이트(7)에 액세스하기 위한 처리 ID(417)가 포함된다. 등록 결과를 취득 후,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예를 들어 유저(2)에 구입 처리를 재촉하는 메시지 및 처리 ID(417)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 후, 구입 등록 확인 처리는 종료된다.
다음에, 구입 등록 요구를 수신한 서버(4)에서 행하여지는 구입 등록 처리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구입 등록 처리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서버(4)의 서버 제어 유닛(40)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스텝 S120에서 구입 등록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어, 구입 등록 요구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122로 진행하여 구입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10)에 관한 유저 관련 정보(41a)를 생성한다. 구입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UID(36a)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 각각은 구입 유저(411) 및 구입원 유저 ID(416)에 각각 설정된다.
유저 관련 정보(41a)의 생성 시에는 상기 2개의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는 공란이며, 구입 정보(414)는 구입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유저 관련 정보(41a)는 생성되면 서버 기억부(41)에 기억된다. 유저 관련 정보(41a)의 생성 후, 스텝 S124로 진행하여 구입 사이트(7)에 액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 ID(417)를 생성하고, 생성된 처리 ID(417)를 유저 관련 정보(41a)에 설정한다. 계속하여 스텝 S126에서 생성된 처리 ID(417)를 포함하는 등록 결과를 유저 단말기(3)에 송신한다. 그 후, 구입 등록 처리는 종료된다.
서버(4)에서 행하여지는 구입 후 처리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24에서 구입 완료 통지에 포함되는 처리 ID(417)를 키로 하여, 서버 기억부(41)를 참조하여 처리 대상의 유저 관련 정보(41a)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스텝 S125에서 특정된 유저 관련 정보(41a)의 구입 정보(414)를 구입 처리가 종료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고, 구입 연월일(415)을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127로 진행하여 특정된 유저 관련 정보(41a)의 구입원 유저 ID(416)를 참조한다. 구입원 유저 ID(416)에는 구입원인 유저 단말기(3')의 키를 구비한 유저 ID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당해 키를 구비한 유저 ID를 디코드하여 구입원 유저 단말기(3')의 UID(36a')를 취득하고 UID(36a')를 키로 하여 구입원 유저 단말기(3')의 유저 관련 정보(41a')를 특정한다.
유저 관련 정보(41a')가 특정되면 스텝 S128로 진행하여 유저 관련 정보(41a')의 포인트(418')에 소정의 포인트를 가산한다. 이에 의해, 구입원 유저 단말기(3')는 콘텐츠(10)를 다른 유저에게 배포할수록 포인트(418')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인트(418')에 관한 처리 후, 구입 후 처리는 종료된다.
변경 요구를 수신한 서버(4)에서 행하여지는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에 대하여 도 9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서버(4)의 서버 제어 유닛(40)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스텝 S130에서 변경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변경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132로 진행하여 변경 요구에 포함되는 UID(36a)를 소정의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함으로써 신허가 유저 ID를 생성한다. 신허가 유저 ID는 암호화된 비밀 키에 대응하는 공개 키가 대응지어져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로서 취급된다.
다음에, 스텝 S134에서 변경 요구에 포함되는 UID(36a)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서버 기억부(41)를 참조함으로써 유저 관련 정보(41a)를 특정한다. 유저 관련 정보(41a)의 특정 후, 스텝 S136으로 진행하여 특정된 유저 관련 정보(41a)의 허가 유저 ID(413)에 생성된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를 설정한다. 그 후, 스텝 S138로 진행하여 생성된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와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용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신허가 유저 ID 생성 처리는 종료된다.
허가 유저 ID(11)의 변경에 관하여 유저 단말기(3)에서 행하여지는 ID 변경 처리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ID 변경 처리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유저 단말기(3)의 단말기 제어 유닛(30)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스텝 S140에서 콘텐츠(10)의 콘텐츠 식별 정보 및 UID(36a)를 포함하는 변경 요구를 생성하여 서버(4)에 송신한다. 그 후, 변경용 정보의 수신 대기 상태로 되어, 스텝 S142에서 변경용 정보를 수신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변경용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단된 경우는 스텝 S144로 진행하여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를 변경용 정보에 포함되는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3)가 유지하는 콘텐츠(10)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ID(11)는 유저 단말기(3)의 단말기 고유 정보(36a)와 소정의 관계를 갖는 정보로 된다. 계속하여 스텝 S146으로 진행하여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10)에 대응하는 허가 정보(33a)의 플래그를 설정한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3)는 변경 처리가 종료되어 콘텐츠(10)의 이용이 허가된 상태로 된다. 허가 정보(33a)의 처리 후, ID 변경 처리는 종료된다.
단말기 제어 유닛(30)은, 스텝 S52에 의해 상태 판별부로서 기능하고, 스텝 S106 및 스텝 S140에 의해 허가 처리 요구부로서 기능하고, 스텝 S144에 의해 변경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서버 제어 유닛(40)은 스텝 S122에 의해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하고, 스텝 S132에 의해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단말기 제어 유닛(30)은 스텝 S146에 의해 허가 정보 제어부로서 기능하고, 스텝 S104에 의해 구입 처리 판별부로서 기능하고, 스텝 S57에 의해 콘텐츠 구입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서버 제어 유닛(40)은 스텝 S124 및 스텝 S125에 의해 구입 후 처리부로서 기능하고, 스텝 S127 및 스텝 S128에 의해 특전 부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마지막으로, 서버(4)로부터 콘텐츠(10)가 점포(T)에 제공되어, 점포(T)로부터 유저(2')를 거쳐 유저(2)가 콘텐츠(10)를 구입할 때까지의 흐름에 대해,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점포(T)는 콘텐츠(10)를 서버(4)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점포 서버(TS)에 있어서 다운로드하면 된다. 그 때의 허가 유저 ID(11)는 서버(4)에서 점포(T)에 고유한 점포 고유 정보가 암호화됨으로써 생성된다.
점포(T)는 콘텐츠(10)를 SD 카드(6')에 기억하여 판매한다. 유저(2')는 이 SD 카드(6')를 구입하여 소유하는 유저 단말기(3')에 장착한다. 콘텐츠(10)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SD 카드(6')로부터 유저 단말기(3')의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복제되면, 도 5에 도시된 스텝 S50 이후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60의 ID 변경 처리에서는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유저 단말기(3')의 UID(36')에 대응한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로 변경된다.
다음에, 유저(2)가 유저(2')로부터 콘텐츠(10)를 취득할 때는 유저(2')는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유지되는 콘텐츠(10) 및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를 SD 카드(6)에 복제하여 유저(2)에게 배포한다. 유저(2)가 SD 카드(6)를 취득한 후,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유저 단말기(3)의 UID(36a)에 대응하는 신허가 유저 ID로 변경될 때까지의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유저(2)가 다른 유저에게 콘텐츠(10)를 배포할 때도 유저(2')가 유저(2)에게 배포할 때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허가 정보(33a)를 사용하지 않고, 스텝 S52에서 허가 유저 ID(11)와 단말기 고유 정보(36a)를 직접 비교함으로써 허가/불허가를 판단해도 좋다. 이 경우는 ID 변경 처리에 있어서의 스텝 S146은 불필요하다. 또한, 콘텐츠(10)는 유저 단말기(3)에 내장되어 있는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복제되지 않고, SD 카드(6) 내에 유지된 채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는 SD 카드(6)가 콘텐츠 기억부로서 기능하여, SD 카드(6) 내의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11)가 새로운 키를 구비한 허가 유저 ID로 변경된다. 또한, 허가 정보(33a)는 배포 정보 기억부(33)에 생성된다.
또한, 이 경우에 구입원의 유저(2')의 SD 카드(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10)를 유저(2')로부터 취득하는 형태에는 SD 카드(6')를 그대로 취득하는 경우 및 SD 카드(6')로부터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다른 SD 카드(6)에 콘텐츠(10)를 복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콘텐츠(10)는 MD나 CD-ROM 등의 SD 카드 이외의 기록 매체에 의해 배포되어도 좋고, 유저 단말기(3, 3') 사이에서 직접 복제되어도 좋다. 유저 특정 정보는 유저를 특정하는 것이면 되나, 유저 단말기(3)가 휴대형 전화인 경우 SIM 카드나 UIM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이어도 좋다.
또한, 게임 소프트는 미리 소정의 서버로부터의 다운로드에 의해 유저 단말기(3)에 유지되고, SD 카드(6)에 의해 배포되는 콘텐츠(10)는 당해 게임 소프트에서 사용되는 화상이나 음악 등의 대용량 데이터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당해 게임이 개시될 때에 허가 정보(33a)가 판별된다. 콘텐츠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배포 대상의 콘텐츠는 하나이어도 좋다. 이 경우는 시스템 내에 있어서 콘텐츠(10)의 종류를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할 필요는 없다. 유저(2)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유저 단말기(3)에 고유한 단말기 고유 정보(36a)가 아니라, 유저(2)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유저 식별 정보이어도 좋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3)에 있어서, 유저 식별 정보마다 배포 정보 기억부(33)를 설치하여 동일한 유저 단말기(3)라도 유저마다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Claims (9)

  1.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유저 단말기와, 상기 유저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유저를 특정하는 유저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특정 정보 취득부와,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허가 유저 정보가 대응지어진 콘텐츠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경우에 상기 유저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는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는 상태 판별부와,
    상기 상태 판별부에 의해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콘텐츠가 이용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상태 판별부에 의해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특정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허가 처리 요구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하는 변경 처리부와,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배포처로 하고, 상기 허가 유저 정보를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와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에 제공하는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를 갖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유저 단말기에 고유한 단말기 고유 정보를 기억하는 고유 정보 기억부를 갖고, 상기 특정 정보 취득부는, 상기 고유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단말기 고유 정보를 상기 유저 특정 정보로서 취득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를 기억하는 허가 정보 기억부와,
    상기 변경 처리부에 의해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변경될 때까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허가 정보를 제어하는 허가 정보 제어부를 갖고.
    상기 상태 판별부는, 상기 허가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의 구입에 관한 구입 처리를 행하기 위한 구입 사이트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저 단말기의 허가 처리 요구부는,
    상기 유저 단말기 정보가 배포처에 설정되어 있는 유저 관련 정보가 상기 서버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구입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는 구입 처리 판별부를 갖고,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되고 또한 상기 구입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허가 유저 정보를 포함하는 구입 등록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구입 등록 요구를 수신한 상기 서버의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는, 수신한 구입 등록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허가 유저 정보에 의해 상기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구입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한 상기 필요한 정보에 의해 상기 구입 사이트에 접속하는 콘텐츠 구입부를 갖고,
    상기 서버의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는, 상기 구입 처리를 행한 유저에 대응하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유저 관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유저에 대하여 고유하게 부여되는 구입 처리 식별 정보를 상기 필요한 정보로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입 처리 식별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기에 송신함과 함께, 생성된 상기 유저 관련 정보에 대응지어 기억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구입 사이트로부터 상기 구입 처리가 행하여진 상기 구입 처리 식별 정보를 취득하면 그 구입 처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유저 관련 정보에 상기 구입 처리가 된 것을 나타내는 구입 정보를 대응짓는 구입 후 처리부를 갖고,
    상기 유저 단말기의 구입 처리 판별부는 상기 유저 관련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구입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구입 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유저 단말기의 허가 처리 요구부는 상기 구입 처리 판별부에서 상기 구입 처리가 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신유저 정보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서버의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신유저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신유저 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 특정 정보에 의해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관련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배포원에 설정되어 있는 허가 유저 정보로부터 그 허가 유저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상기 배포처로 하여 설정되어 있는 유저 관련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유저 관련 정보에 소정의 특전 정보를 부가하는 특전 부가 수단을 갖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배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휴대형 단말기인, 콘텐츠 배포 시스템.
  9.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유저 단말기와, 상기 유저 단말기와 데이터의 송수신 가능한 서버에서 행하여지는 콘텐츠 배포 방법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기에서,
    상기 유저를 특정하는 유저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 유저를 나타내는 허가 유저 정보가 대응지어진 콘텐츠를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허가 유저 정보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경우에 상기 유저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유저는 상기 콘텐츠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하고,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상기 콘텐츠가 이용되는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취득된 유저 특정 정보 및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서버로부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콘텐츠에 대응지어진 허가 유저 정보를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로 변경하는 스텝이 행하여지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유저 특정 정보를 배포처로 하고, 상기 허가 유저 정보를 배포원으로 하는 유저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유저 특정 정보와 상기 소정의 관계를 갖도록 상기 신허가 유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에 제공하는 스텝이 행하여지는, 콘텐츠 배포 방법.
KR1020107002874A 2008-03-03 2008-12-16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 KR101098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1745A JP4834686B2 (ja) 2008-03-03 2008-03-03 コンテンツ配布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布方法
JPJP-P-2008-051745 2008-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37A true KR20100031637A (ko) 2010-03-23
KR101098159B1 KR101098159B1 (ko) 2011-12-26

Family

ID=4105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874A KR101098159B1 (ko) 2008-03-03 2008-12-16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1909B2 (ko)
EP (1) EP2251816A4 (ko)
JP (1) JP4834686B2 (ko)
KR (1) KR101098159B1 (ko)
CN (1) CN101896918A (ko)
WO (1) WO20091101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689A (ko) * 2013-06-28 2016-03-03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84450A (ko) * 2013-11-29 2016-07-13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설치 패키지 인가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7377B2 (en) * 2014-06-19 2016-10-1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ssociating consumer states with interests in a content-centric network
JP7218228B2 (ja) * 2019-03-26 2023-02-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12885B (zh) * 1995-02-13 2010-12-22 英特特拉斯特技术公司 用于安全交易管理和电子权利保护的系统和方法
DE69638122D1 (de) 1996-09-04 2010-03-18 Intertrust Tech Corp Zuverlässige Infrastrukturhilfssysteme, Verfahren und Techniken für sicheren elektronischen Handel, elektronische Transaktionen, Handelsablaufsteuerung und Automatisierung, verteilte Verarbeitung und Rechteverwaltung
CN1339150A (zh) 1999-10-29 2002-03-06 索尼株式会社 数字数据发射方法和设备,数字数据再生方法和设备,数字数据复制方法和设备,数据记录媒体,以及数字数据的存储和再生方法
JP2001236388A (ja) * 2000-02-22 2001-08-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63393B2 (ja) * 2000-10-26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421411B2 (en) * 2001-07-06 2008-09-02 Nokia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20030154132A1 (en) * 2001-11-12 2003-08-14 Tomoki Ogawa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distribu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839609A (zh) * 2003-08-20 2006-09-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再现系统
JP2006139335A (ja) * 2004-11-10 2006-06-01 Japan Wave:Kk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不正使用防止方法及びこの不正使用防止方法に係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689A (ko) * 2013-06-28 2016-03-03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관리 장치, 관리 방법,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84450A (ko) * 2013-11-29 2016-07-13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설치 패키지 인가 방법 및 장치
KR101869901B1 (ko) * 2013-11-29 2018-07-20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설치 패키지 인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1816A1 (en) 2010-11-17
JP2009211249A (ja) 2009-09-17
KR101098159B1 (ko) 2011-12-26
EP2251816A4 (en) 2012-12-26
US8401909B2 (en) 2013-03-19
CN101896918A (zh) 2010-11-24
US20110137746A1 (en) 2011-06-09
JP4834686B2 (ja) 2011-12-14
WO2009110156A1 (ja) 200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073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7484246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8402459B2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license management computer,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license management program embodied on computer readable medium
US7310732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uthenticating a user based on an identification certificate identified in a secure container
RU2560784C2 (ru) Модель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для переноса состояний и данных
JP5284989B2 (ja) 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の更新
KR20120014561A (ko) 사용자 ⅰd에 기초한 강화된 제품 기능
KR20040030454A (ko) 콘텐츠 이용권한 관리시스템, 콘텐츠 이용권한 관리방법및 정보처리장치와 컴퓨터 프로그램
JP2004021755A (ja) 記憶装置
MXPA06010778A (es) Estructura de manejo de derechos digital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ortatil y metodo de manejo de contenidos que usa el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ortatil.
JP4533935B2 (ja) ライセンス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WO2008004525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39;informations, dispositif d&#39;enregistrement d&#39;informations, système de traitement d&#39;informations, procédé de mise à jour de programme, programme, et circuit intégré
JP200710908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利用装置及び方法
JP2008538033A (ja) ユーザ及びデバイス基盤のドメインシステムを示すドメインコンテキスト及びその管理方法
US20030009667A1 (en) Data terminal device that can easily obtain content data again, a program executed in such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such program
KR101098159B1 (ko) 콘텐츠 배포 시스템 및 콘텐츠 배포 방법
JP2005174359A (ja) 保護情報の使用を権限付与する携帯用権限付与装置及び関連方法
KR101979323B1 (ko) 소프트웨어 저작권 인증 관리 방법
KR101649528B1 (ko)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권리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198336A (ja) 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JP2005284506A (ja)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を構成する機器、管理局、リムーバブルメディア
JP2004234591A (ja) 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公開サーバ、端末、ライセンス発行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8217300A (ja) 生体情報付きファイル暗号化システム及び復号化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JP2013045126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閲覧制御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閲覧プログラム
KR100467570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