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914A - 오일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914A
KR20100030914A KR1020080089884A KR20080089884A KR20100030914A KR 20100030914 A KR20100030914 A KR 20100030914A KR 1020080089884 A KR1020080089884 A KR 1020080089884A KR 20080089884 A KR20080089884 A KR 20080089884A KR 20100030914 A KR20100030914 A KR 20100030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ampling
inspection unit
unit
bea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665B1 (ko
Inventor
이영구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6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30Oils, i.e. hydrocarbon liquids for lubricating proper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오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부재가 구비된 육안 검사 유닛,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을 채취한 후 유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에 연통되게 구비된 샘플링 검사 유닛을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육안 검사 유닛과 샘플링 검사 유닛이 오일의 육안 검사와 유분석을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 오일 검사 장치, 육안 검사 유닛, 드레인 유닛, 샘플링 검사 유닛, 오일 샘플링 챔버, 오일 샘플링 포트, 오일 샘플링 기구

Description

오일 검사 장치 {Oil inspecting device}
본 발명은 오일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오일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기계는 모터, 터빈, 감속기 등과 같은 기계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계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 또는 직선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윤활용 오일(이하, ‘오일’이라 함)이 채워져 있다. 이 오일은 베어링의 윤활, 냉각, 청결 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회전기계가 장시간 구동되면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각종 이물질과 수분이 발생되어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오일의 육안 확인을 위한 오일 검사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오일 검사 장치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일측에 투명부재가 구비된다. 즉, 상기 오일 검사 장치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서부터 유입된 오일을 투명부재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오일의 오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일 검사 장치는 육안 검사만으로 오일의 상태를 점검하기 때문에, 장기 사용으로 인한 오일의 변색인지 아니면 부품들의 비정상적인 마모로 인한 오일의 변색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계의 이상유무와 고장의 원인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으므로, 상기 회전기계의 유지, 관리, 및 보수가 적기에 실시되지 않아 상기 회전기계의 신뢰성과 안정성도 크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오일의 육안검사 및 유분석을 병행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을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오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회전기계의 이상유무 및 고장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회전기계의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적기에 실시하여 회전기계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변경만으로 오일의 유분석 기능을 수행하는 샘플링 검사 유닛을 추가시킴으로써, 기존의 오일 검사 장치에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오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오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부재가 구비된 육안 검사 유닛,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을 채취한 후 유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에 연통되게 구비된 샘플링 검사 유닛을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육안 검사 유닛과 샘플링 검사 유닛이 오일의 육안 검사와 유분석을 병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일 검사 장치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육안 검사 유닛 및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외기와 차단된 구조로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므로,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한 회전기계가 운전되는 중에도 오일의 채취 및 유분석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과 유사한 오일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이 배치되면,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서부터 상기 육안 검사 유닛으로 유입되는 오일을 채취한다. 따라서,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과 매우 비슷한 상태의 오일을 채취하기 때문에, 상기의 오일의 유분석으로 인하여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오일 샘플링 챔버,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오일 샘플링 포트, 및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일 샘플링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오일 샘플링 챔버와 오일 샘플링 포트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기존의 오일 검사 장치에 샘플링 검사 유닛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이 채워진 오일 샘플링 기구를 이용하여 각종 유분석 장비가 구비된 분석실로 간편하게 오일을 가져갈 수 있다. 또한,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오일의 채취 작업이 실시되기 때문에, 상기 오일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과 수분이 오일에 침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는,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를 통해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입구가 연결된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상기 커넥터부를 연결한 후 상기 펌핑부를 동작시켜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는,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에서부터 오일을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일측이 연결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를 통해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입구가 연결된 펌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송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오일 감지 장치가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를 좀더 편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는, 상기 펌핑부의 입구로 흡입된 오일을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펌핑부의 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의 유분석시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로부터 상기 저장부를 탈거하여 각종 유분석 장치에 오일을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일 검사 장치는, 상기 육안 검사 유닛 내의 오일에 함유 된 수분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된 드레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생성된 이물질과 수분이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하부로 침전된 후 상기 드레인 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의 오염을 감소시키고, 상기 이물질과 수분의 영향으로 인한 오일의 기능 상실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는, 육안으로 오일의 상태를 검사하는 육안 검사 유닛 및 오일을 유분석하는 샘플링 검사 유닛을 포함하므로,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한 회전기계의 이상유무 및 고장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기계의 이상유무 및 고장원인에 따라 회전기계의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적기에 실시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회전기계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샘플링 검사 유닛이 간단한 구조로 추가되므로, 기존의 오일 검사 장치에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 샘플링 챔버로부터 오일 샘플링 기구의 펌핑부 또는 저장부에 오일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채취되므로, 오일의 채취시 샘플링 검사 유닛의 외부로부터 오일에 이물질과 수분이 침투될 가능성이 낮아 오일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펌핑부 또는 저장부에 오일이 채워져 간편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를 구비한 회전장치의 베어링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10)는 회전기계(2)의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베어링 하우징(4)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기계(2)는 모터, 터빈, 감속기 등과 같은 장치로써, 동력을 회전하면서 전달하는 회전축이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4)은 회전축에 배치된 베어링을 지지하는 부품으로써, 윤활과 냉각을 위한 오일이 내부에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 검사 장치(10)의 내부에는 베어링 하우징(4)으로부터 오일이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기계(2)의 작동시 베어링 하우징(4)의 내부에 생성된 이물질과 수분도 오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일 검사 장치(10)는 육안 검사 유닛(20), 샘플링 검사 유닛(40), 및 드레인 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육안 검사 유닛(20)은 오일의 육안 검사를 수행하는 유닛이다.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40)은 오일의 유분석을 수행하는 유닛으로써 육안 검사 유닛(20)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유닛(30)은 오일과 이물질 및 수분의 배출을 수행하는 유닛으로써 육안 검사 유닛(20)의 하부에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육안 검사 유닛(20)은, 베어링 하우징(4)의 하부에 연통되게 고정되는 상부 바디(22)와, 상기 상부 바디(22)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체결부재(23)로 상부 바디(22)와 연결되는 하부 바디(24)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4)에서 유입된 오일의 수용 공간(25)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 바디(22)와 하부 바디(24)의 사이에 배치된 투명 소재의 투명 바디(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22)는 베어링 하우징(4)의 하부에 연통되게 체결되기 위하여 상부에 관 형상의 체결돌기(21)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하우징(4)의 하부에는 암나사가 구비된 체결홀(4a)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홀(4a)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 바디(22)의 내부에는 체결돌기(21)에서부터 오일 수용 공간(25)의 상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4)의 중앙에는 오일 수용 공간(25)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드레인 유닛(30)이 관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투명 바디(26)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와 하부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투명 바디(26)는 유리나 플라스 틱과 같은 투명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바디(22)와 하부 바디(24) 및 투명 바디(26)를 체결부재(23)들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바디(22)의 하부 및 하부 바디(24)의 상부에 체결부재(23)들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관통홀(22a)(24a)들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디(22)의 하부 및 하부 바디(24)의 상부에는 투명 바디(26)의 상부와 하부가 끼워지는 고정홈(22b)(24b)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2b)(24b)의 내부에는 오일 수용 공간(25)을 밀봉시키기 위하여 실링(seal ring)(28)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유닛(30)은, 상기 하부 바디(24)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게 배치된 관 형상의 밸브 하우징(32)과, 상기 밸브 하우징(3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오일 수용 공간(25)에 저장된 오일과 이물질 및 수분의 배출 유로(36)를 개폐하는 밸브 바디(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32)의 상부는 오일 수용 공간(25)의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32)의 하부는 외기와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 밸브 바디(34)의 내부에는 오일 수용 공간(25)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의 배출 유로(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36)는 밸브 바디(34)의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오일 수용 공간(25)에 연통되게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드레인 유닛(30)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채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40)은, 상기 육안 검사 유닛(20)의 상부 바디(22)에 오일의 이동 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오일 샘플링 챔버(42)와,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42)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오일 샘플링 포트(44)와,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을 채취하기 위하여 오일 샘플링 포트(4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일 샘플링 기구(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샘플링 검사 유닛(40)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을 채취하기 때문에,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40)이 채취한 오일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이물질과 수분이 침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42)는 상부 바디(22)의 체결돌기(21)로부터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 바디(22)에 형성된다.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42)는 오일 수용 공간(25)보다 상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베어링 하우징(4)과 매우 가깝게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4)에서 생성된 이물질과 수분 등은 오일 수용 공간(25)으로 모두 침전되고,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은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을 유분석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 상태를 간접적으로 유분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42)는 상부 바디(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유분석시 필요한 량의 오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44)는,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42)의 일측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오일의 유로(50a)가 형성된 포트 본체(50)와, 상기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트 본체(50)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된 개폐 밸브(52)와,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46)와 결합되는 포트 본체(50)의 단 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포트 마개(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밸브(52)는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필요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채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글로브 밸브와 콕 밸브 및 나비 밸브 등과 같이 손잡이를 돌려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개폐 밸브(52)를 설명하지만, 포트 본체(50)와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결합시 자동으로 개방되는 체크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샘플링 포트(44)와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결합시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통해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46)는,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44)의 포트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부(60)와, 상기 커넥터부(60)에서부터 오일을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60)에 일측이 연결된 이송부(62)와, 상기 이송부(62)의 타측에 입구가 연결된 펌핑부(64)와, 상기 펌핑부(64)의 입구로 흡입된 오일을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펌핑부(64)의 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저장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60)는, 포트 본체(5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포트 마개(54)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나, 포트 마개(54)와 달리 포트 본체(50)의 유로(50a)와 연통되는 홀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62)는 커넥터부(60)에서부터 펌핑부(64)의 입구로 오일을 안내하는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는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사용 편의를 위하여 유연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62)는, 상기 커넥터부(60)의 홀에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펌핑부(64)의 입구에 타측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펌핑부(64)는, 이송부(62)와 저장부(66)가 연결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펌프 하우징(70)과, 상기 펌프 하우징(70)에 배치되어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을 저장부(66)로 펌핑하는 펌프 본체(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하우징(70)의 입구에는 펌핑부(64)에서부터 이송부(62)로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74)가 배치된다. 상기 펌프 본체(72)는 다양한 종류의 펌프가 채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펌프가 채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펌프 본체(72)는, 상기 펌프 하우징(70)과 연통되게 배치된 실린더(76)와, 상기 실린더(76)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6)는 오일을 저장하는 용기로써, 펌프 하우징(70)의 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겹합되는 입구부(66a)가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66)는 오일과의 화학 반응이 발생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66)는 펌핑부(64)가 채취한 오일의 량을 간편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 하우징(4)과 육안 검사 유닛(20) 및 샘플링 검사 유닛(40)은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 구조이므로, 베어링 하우징(4)과 육안 검사 유닛(20) 및 샘플링 검사 유닛(40) 내의 오일의 압력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샘플링 검사 유닛(40)의 오일 채취 작업이 회전기계(2)의 운전시 실시되더라도 회전기계(2)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그로 인해서 회전기계(2)가 운전되는 중에도 필요할 때마다 샘플링 검사 유닛(40)의 유분석 작업을 실시간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드레인 유닛(30)은 육안 검사 유닛(20)에 외기와 비차단된 상태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드레인 유닛(30)의 작동시 회전기계(2)의 작동을 먼저 정지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일 검사 장치(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기계(2)의 구동시 오일 검사 장치(10)의 육안 검사 유닛(20)을 통하여 오일 수용 공간(25)으로 유입된 오일의 색상 및 이물질과 수분의 유입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만일, 상기 오일의 색상이 심하게 변색되면,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이 변질된 것으로 판단하고,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을 교체시켜 준다. 또한, 상기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과 수분의 량이 일정량 이상이면, 드레인 유닛(30)을 개방시켜 오일과 함께 이물질과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왜냐하면, 상기 이물질과 수분의 량이 증가되면, 오일의 가수분해와 산화가 촉진되어 오일의 기능이 상실되고,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발생되며, 회전기계(2) 내의 구동 부품간의 마찰과 마모가 심화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드레인 유닛(30)의 개방은 회전기계(2)를 먼저 정지시킨 후에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오일의 육안 검사 및 이물질과 수분의 배출로 인하여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의 이상을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으나, 오일의 이상이 실제로 발생되면 오일의 이상 상태를 육안 검사만으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즉, 오일의 이상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회전기계(2)의 이상으로 인한 것인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오일 검사 장 치(10)의 샘플링 검사 유닛(40)을 이용하여 오일의 유분석을 실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오일 샘플링 포트(44)를 개방한 후 오일 샘플링 기구(46)를 오일 샘플링 포트(44)에 연결한다. 즉, 오일 샘플링 포트(44)의 포트 본체(50)의 단부에서 포트 마개(54)를 탈거하고,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커넥터부(60)를 포트 본체(50)의 단부에 연결한다. 그리고, 오일 샘플링 포트(44)의 개폐밸브(52)를 회전시켜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개방한 후,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펌핑부(64)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펌핑부(64)를 작동시키면,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은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지나 이송부(62)로 유입된 후, 이송부(62)를 따라 펌핑부(64)의 입구로 이송된 오일은 펌핑부(64)의 출구를 거쳐 저장부(66)의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펌핑부(64)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펌핑부(64)의 펌프 본체(72)의 실린더(76)로부터 피스톤(78)을 끌어당기면, 펌프 하우징(70)의 입구로 유입된 오일은 제 1 체크밸브(74)를 통과한 후 실린더(76)와 저장부(66)로 유입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펌핑부(64)의 펌프 본체(72)의 실린더(76)에 피스톤(78)을 밀어 넣으면, 실린더(76) 내의 오일은 펌프 하우징(70)의 출구를 통과한 후 저장부(66)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76) 내의 오일은 체크밸브(74)에 막혀 펌프 하우징(70)의 입구로 유동될 수 없기 때문에, 펌프 하우징(70)의 출구를 통해 저장부(66)에 모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40)은 오일의 채취시 외부의 이물질과 수분이 오일의 내부로 유입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오일 샘 플링 챔버(42) 내의 오일과 동일한 상태로 저장부(66)에 오일이 저장되어 유분석의 신뢰성과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부(66)에 적량의 오일이 저장되면, 포트 본체(50)의 유로(50a)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개폐밸브(52)를 조작하고, 포트 본체(50)에서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커넥터부(60)를 분리한 후 포트 본체(50)에 포트 마개(54)를 다시 씌운다. 그리고,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펌프 하우징(70)에서 저장부(66)를 분리한 후, 저장부(66)를 유분석 장치로 가지고 가서 유분석 장치에 오일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46)를 유분석 장치로 직접 가지고 간 후, 펌프 하우징(70)에서 저장부(66)를 분리하여 유분석 장치에 오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유분석 장치가 오일을 분석하면, 오일의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오일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회전기계(2)의 이상 유무도 오일의 상태로부터 파악이 가능하다. 특히, 회전기계(2)의 고장시 고장 원인의 파악에도 오일의 분석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검사 장치(10)는 육안 검사 유닛(20)의 육안 검사 및 샘플링 검사 유닛(40)의 유분석을 병행하기 때문에, 오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의 상태에 따라 오일의 교체 및 회전기계(2)의 정비가 실시될 수 있으므로, 회전기계의 유지, 관리, 보수가 적기에 실시되어 회전기계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회전기계(2)의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도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오일 검사 장치(10)의 샘플링 검사 유닛(40)은 회전기계(40)의 운전 중에도 실시간으로 오일의 유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 므로, 회전기계(2)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기계(2)의 고장을 예측하여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1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100)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10)와 상이한 점은,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과 수분의 배출 기능을 담당하는 드레인 유닛이 생략되고, 샘플링 검사 유닛(140)이 보다 단순한 구조로 형성된 점이다. 물론, 상기 오일 감지 장치(100)와는 별도로 베어링 하우징(4)의 하부에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드레인 유닛(30)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일 검사 장치(100)는 육안 검사 유닛(20) 및 샘플링 검사 유닛(140)으로만 구성되므로, 도 2 내지 도 4의 오일 검사 장치(10)와 달리 베어링 하우징(4)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베어링 하우징(4) 내의 오일이 오일 검사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조건만 충족된다면, 오일 검사 장치(100)는 베어링 하우징(4)의 상부 또는 측부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오일의 육안 검사 및 유분석 작업시 작업자가 보다 편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오일 검사 장치(100)의 설치 위치도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140)은 오일 샘플링 챔버(42), 오일 샘플링 포 트(44), 및 오일 샘플링 기구(146)를 포함하되, 오일 샘플링 챔버(42)와 오일 샘플링 포트(4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10)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146)는, 오일 샘플링 포트(44)의 포트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부(160)와, 상기 커넥터부(160)에 오일이 출입되는 출입구가 연결되고 내부에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펌핑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160)는 펌핑부(164)의 출입구에 직접 연결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10)의 커넥터부(6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펌핑부(164)는, 커넥터부(60)와 연결되는 출입구를 구비한 펌프 하우징(170)과, 상기 펌프 하우징(170)에 배치되어 오일 샘플링 챔버(42) 내의 오일을 펌핑한 후 저장하는 펌프 본체(17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100)의 오일 샘플링 기구(146)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10)의 오일 샘플링 기구(46)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구성이 간단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오일 검사 장치(100)를 오일의 채취 작업시 편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오일 샘플링 기구(146)는 오일 샘플링 포트(44)에 커넥터부(60)를 직접 연결할 수 있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오일 샘플링 기구(46)의 이송부(62)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146)의 펌프 본체(172)에 오일이 저장되므로, 오일 샘플링 기구(146)를 이용하여 유분석 장치로 오일을 직접 이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 샘플링 기구(146)는 오일의 채취시 포트 본체(50) 에 커넥터부(160)를 연결한 후 펌핑부(164)를 동작시켜 펌핑부(164)의 내부로 오일을 흡입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160)를 포트 본체(50)에서 분리한 후 유분석 장치가 있는 장소로 오일 샘플링 기구(146)를 가지고 가서 유분석 장치에 오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일 검사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를 구비한 회전장치의 베어링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오일 검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일 검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회전기계 4: 베어링 하우징
10, 100: 오일 검사 장치 20: 육안 검사 유닛
30: 드레인 유닛 40, 140: 샘플링 검사 유닛
42: 오일 샘플링 챔버 44: 오일 샘플링 포트
46, 146: 오일 샘플링 기구 60, 160: 커넥터부
62: 이송부 64, 164: 펌핑부
66: 저장부

Claims (7)

  1.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오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부재가 구비된 육안 검사 유닛;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을 채취한 후 유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에 연통되게 구비된 샘플링 검사 유닛;
    을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 내의 오일과 유사한 오일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배치된 오일 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검사 유닛은,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오일 샘플링 챔버;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오일 샘플링 포트; 및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일 샘플링 기구;를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 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는,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를 통해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입구가 연결된 펌핑부;를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는,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에서부터 오일을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에 일측이 연결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커넥터부 및 상기 오일 샘플링 포트를 통해 상기 오일 샘플링 챔버 내의 오일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의 타측에 입구가 연결된 펌핑부;를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일 샘플링 기구는, 상기 펌핑부의 입구로 흡입된 오일을 저장하기 위 하여 상기 펌핑부의 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육안 검사 유닛 내의 오일에 함유된 수분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육안 검사 유닛의 하부에 연통되게 배치된 드레인 유닛을 더 포함하는 오일 검사 장치.
KR1020080089884A 2008-09-11 2008-09-11 오일 검사 장치 KR10108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884A KR101081665B1 (ko) 2008-09-11 2008-09-11 오일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884A KR101081665B1 (ko) 2008-09-11 2008-09-11 오일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914A true KR20100030914A (ko) 2010-03-19
KR101081665B1 KR101081665B1 (ko) 2011-11-09

Family

ID=4218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884A KR101081665B1 (ko) 2008-09-11 2008-09-11 오일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276A (ko) * 2017-09-21 2019-03-29 이운상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WO2021119719A1 (en) * 2019-12-16 2021-06-24 Shane Park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storing fluid samples from vehicles and machinery
CN114371037A (zh) * 2022-02-10 2022-04-19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风机齿轮箱润滑油的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6944U (ko) 1978-12-11 1980-06-16
KR200296247Y1 (ko) * 2002-08-26 2002-11-29 이동규 베어링 오일의 수분 감지 및 분리장치
JP4825049B2 (ja) * 2006-05-12 2011-11-30 株式会社キューヘン 採油用冶具及び油入電気機器の採油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276A (ko) * 2017-09-21 2019-03-29 이운상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WO2021119719A1 (en) * 2019-12-16 2021-06-24 Shane Park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storing fluid samples from vehicles and machinery
AU2020408367B2 (en) * 2019-12-16 2021-12-16 Shane Park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storing fluid samples from vehicles and machinery
CN114371037A (zh) * 2022-02-10 2022-04-19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风机齿轮箱润滑油的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665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739B2 (en) In situ sampling and monitoring a fluid
CN105116132B (zh) 一种柴油机润滑油在线采集监测装置
US11137110B2 (en) Condition monitoring pod
US4764344A (en) Devic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quantitative composition of gases
US7938029B2 (en) Simplified oil sampling assembly
KR101081665B1 (ko) 오일 검사 장치
DK3056893T3 (en) Flow analyzer for harsh environments
JPH06501313A (ja) 圧流体システムから標本用流体サンプルを採取するための方法及びサンプリング装置
KR101430433B1 (ko) 볼 플로트 트랩
JP2583007Y2 (ja) 自動化学アナライザ
CN107630931B (zh) 斗提机尾轮传动轴承装置
KR101521242B1 (ko) 배관검사로봇 배관 진출입장치
CN209992234U (zh) 一种润滑油在线取样装置
US5001805A (en) Lubrication evacuation method
US4925496A (en) Evacuation method for motor operated valves lubricant
EP4028743B1 (en) Automated hydrogen sulfide sampler
US118465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hydrocarbon sampling device
CN107957481B (zh) 硫化氢浓度检测装置
KR200382601Y1 (ko) 자동 채수기
CN215811921U (zh) 密闭式硫化氢采样检测器
KR102320793B1 (ko)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CN111175246B (zh) 采用近红外光谱分析原油品质的检测装置
CN117825666A (zh) 润滑油分析装置、柴油机监测系统及控制方法
KR20230040039A (ko) 윤활유 채취용 모터라이즈드 핸드 펌프
Fitch et al. The basics of used oil sam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