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793B1 -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793B1
KR102320793B1 KR1020190168252A KR20190168252A KR102320793B1 KR 102320793 B1 KR102320793 B1 KR 102320793B1 KR 1020190168252 A KR1020190168252 A KR 1020190168252A KR 20190168252 A KR20190168252 A KR 20190168252A KR 102320793 B1 KR102320793 B1 KR 10232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ondenser
water quality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750A (ko
Inventor
윤창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793B1/ko
Priority to US17/119,552 priority patent/US12007169B2/en
Publication of KR2021007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water or other liquid as the cooling med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1/00Controlling arrangements with features specially adapted for cond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37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an enclosure (hazardous waste, radioac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72Devices not actuated by pressure difference
    • G01N2001/1481Archimedian screw; Au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수질분석용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질분석용 유도장치는, 복수기에 삽입되는 삽입배관; 상기 삽입배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제공부를 갖는 스크류추진부; 및 상기 복수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뒤쪽으로 흐를 때 상기 물을 유입시켜 상기 복수기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삽입배관에 마련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inside plant condenser to the outside for water quality analysis}
본 발명은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에 관한 것을, 특히 복수기 내부의 물을 스크류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취출하도록 하여 장비를 소형화하고,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의 복수기 내부에는 복수가 담겨 있다. 복수는 히터를 통해 가열된 후 최종적으로 보일러와 터빈을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복수기(1)의 내부에는 증기의 냉각을 위해 해수관(2)이 설치되기 때문에 해수의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복수가 보일러 및 터빈 등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복수기(1) 물의 수질은 전도도(Conductivity)를 분석하여 분석될 수 있다. 종래, 복수기(1) 물의 전도도는 복수기 핫트웰 셀(3)(Hotwell Shell) 내부의 복수를 펌프로 취출하여 수질분석설비로 이송시켜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복수기(1) 내부는 정상 운전 중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복수기(1)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된 이후에 펌프(4)를 가동하는 경우, 상기 펌프압에 의해 복수기(1) 내부의 물을 외부로 흡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해수 누설시 운전원은 복수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샘플링 밸브(5)를 순차적으로 개폐하면서 누설 위치를 파악하는데, 밸브의 개폐상태, 펌프용량, 펌브와 분석기 간의 거리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누설위치가 특정되어야 하지만, 트레이(Tray)의 저장용량은 수 분 이내로 제한되어 있고 펌프(5)의 용량에 따른 분석기까지의 도달 시간 등도 정확히 계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누설위치를 파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누설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기 내부의 물을 스크류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외부로 취출하도록 하여 장비를 소형화하고,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는, 복수기에 삽입되는 삽입배관; 상기 삽입배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제공부를 갖는 스크류추진부; 및 상기 복수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뒤쪽으로 흐를 때 상기 물을 유입시켜 상기 복수기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삽입배관에 마련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복수기의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의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배관에는, 상기 수질분석기를 경유한 상기 물이 다시 복수기로 회수되는 회수관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배관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복수기의 외벽에 결합되는 가이드관; 상기 삽입배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배관이 상기 가이드관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전밸브는 상기 가이드관을 폐쇄하도록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은, 일단부가 상기 복수기의 외벽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기하여 돌출되는 연결관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밸브는, 상기 연결관부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배관은, 상기 복수기의 외벽을 비스듬이 기울어져 관통하여 상기 복수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질분석기를 경유한 물을 상기 회수관 측으로 공급하는 회수펌프가 상기 수질분석기와 상기 회수관 사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질분석기는 상기 유입된 물의 수질을 측정한 측정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전단에는 상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승압시키도록, 상기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모양의 입구부를 갖는 유입노즐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는, 복수기 내부의 물을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취출하므로, 복수기의 운전 중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상기 복수기 내부의 진공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상기 복수기에 설치되는 삽입배관에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복수기의 원하는 부위에 장착 가능하므로 그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삽입배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장비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는 상기 복수기에 여러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 취출장치가 설치된 각각의 개별 위치에서 수질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해수가 누출된 것인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채용된 삽입배관은 가이드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유지 내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제공하며, 나아가 상기 삽입배관이 상기 가이드관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가이드관에 마련된 회전밸브가 상기 가이드관을 폐쇄하도록 하므로, 복수기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복수기의 개략적 단면도,
도2는 종래 취출장치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가 복수기에 설치된 개략적 설치도,
도4는 도3의 취출장치의 사시도,
도5는 도4의 분리도,
도6은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가 복수기에 설치된 개략적 설치도이고, 도4는 도3의 취출장치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분리도이다. 도6은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200)는, 삽입배관(10), 스크류추진부(20), 배출관(30)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배관(10)은 상기 복수기(1)에 삽입되는 관형의 부재이다. 상기 삽입배관(10)은 복수기(1)의 외벽을 비스듬이 기울어져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삽입배관(10)의 단부는 상기 복수기(1)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크류추진부(20)는 상기 복수기(1) 내부의 물을 스크류(22)의 추진력에 의해 외부로 취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류추진부(20)는 회전축(21), 스크류(22), 및 동력제공부(2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삽입배관(10)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21)의 길이는 상기 삽입배관(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부는 상기 삽입배관(1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삽입배관(10)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스크류(22)는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22)는 몸체부(221)와 블레이드(22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21)의 일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체결홈(2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23)은 상기 회전축(21)에 결합된 어댑터(24)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어댑터(24)는 상기 회전축(21)에 고정되는 고정부(241)와 상기 체결홈(223)이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24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21)의 단부에는 상기 스크류(2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25)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동력제공부(23)는, 상기 회전축(21)에 동력을 전력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동력제공부(23)는 상기 회전축(21)의 타단부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제공부(23)는, 모터(231), 모터고정부(232), 및 기어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31)는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모터(231)는 상기 모터고정부(232)에 고정된다. 상기 기어부(233)는 상기 모터(231)의 모터축(234)과 상기 회전축(21)을 기어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모터축(234)에 결합되는 제1 기어(235)와 상기 회전축(21)에 결합되는 제2 기어(236)가 서로 맞물려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배관(10)의 양단부에는 제1 마감부재(40) 및 제2 마감부재(5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마감부재(40)는 상기 삽입배관(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추진부(20)는 상기 제1 마감부재(4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마감부재(40)에는 상기 회전축(21)이 삽입되는 결합되는 제1 삽입공(4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삽입공(41)은 상기 제1 마감부재(4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공(41)의 그 길이만큼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하여, 상기 회전축(21)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마감부재(50)는 상기 삽입배관(1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추진부(20)는 상기 제2 마감부재(5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마감부재(50)에는 상기 회전축(21)이 삽입되는 제2 삽입공(5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삽입공(51)은, 상기 제1 마감부재(40)의 제1 삽입공(4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마감부재(5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공(51)의 그 길이만큼 상기 회전축(21)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2 삽입공(51)은 상기 제1 삽입공(41)과 함께 상기 회전축(21)의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삽입배관(10)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기(1) 내부을 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회전축(21)과 함께 상기 삽입배관(10)에 삽입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복수기(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크류(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22)의 뒤쪽으로 흐를 때, 상기 물을 유입시켜 상기 복수기(1)의 외부로 유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30)의 전단에는 상기 복수기(1)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노즐(31)이 결합된다. 상기 유입노즐(31)은 상기 제1 마감부재(40)에 삽입되고, 상기 유입노즐(31)의 후단측과 상기 배출관(30)의 전단은 제1 연결단관(32)에 연결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노즐(31)은 상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승압시키도록, 상기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모양의 입구부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200)는, 수질분석기(60), 회수관(70), 가이드관(80), 회전밸브(90), 및 회수펌프(1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질분석기(60)는, 상기 배출관(30)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복수기(1)의 물을 유입시켜서 상기 물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배출관(30)으로부터 토출된 물은 취출튜브(64)를 경유하여 상기 수질분석기(60)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30)의 단부와 취출튜브(64)는 제2 연결단관(65)에 의해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수질분석기(60)는 상기 복수기(1)의 물이 유입되는 챔버(61)와 상기 챔버(61) 내에 마련되는 측정센서(6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질분석기(60)는, 상기 복수기(1) 내부의 수질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상기 복수기(1)의 물이 토출되는 지점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지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센서(62)로는 양이온 전도도(SC: Specific Conductivity) 측정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측정센서(62)로는 양이온 전도도 측정센서 및 비전도도(CC: Cation Conductivity) 측정센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질분석기(60)는 상기 유입된 물의 수질을 측정한 측정센서(62)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해 발전소 제어설비(300)로 제공되어 발전소 운전에 활용된다. 물론, 상기 전송부(63)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수관(70)은, 상기 수질분석기(60)를 경유한 물을 다시 복수기(1)로 회수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회수관(70)은 상기 삽입배관(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회수관(70)의 단부는 상기 제1 마감부재(40)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마감부재(40)에는 상기 회수관(70)을 통해 회수된 물이 다시 복수기(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출수공(4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수관(70)의 단부에는 제4 연결단관(72)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마감부재(50)와 연결된다. 상기 회수관(70)에 의해 상기 복수기(1)로부터 취출된 물이 다시 복수기(1)로 회수되므로, 복수기(1)의 내부의 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80)은 상기 삽입배관(10)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복수기(1)의 외벽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관(80)은 상기 삽입배관(10)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관(80)은 일단부가 상기 복수기(1)의 외벽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관(81)과, 상기 제1 가이드관(81)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관(8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가이드관은 플랜지에 나사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제1 가이드관(81)은 상기 복수기(1)의 외벽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사전에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제2 가이드관(82)은 주변 구조물의 배치 및 간섭 가능성을 고려하여 환경에 맞게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제1 가이드관(8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밸브(90)는, 상기 삽입배관(10)이 관통하는 관통공(91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밸브(90)는 삽입부(91)와 파지부(92)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91)는 상기 가이드관(8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관(80)에는 상기 가이드관(80)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기하여 돌출되는 연결관부(11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부(110)는 상기 가이드관(8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91)는 상기 연결관부(110)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관통공(911)은 상기 삽입부(91)에 마련된다. 상기 관통공(911)은, 상기 삽입부(91)가 상기 가이드관(8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배관(10)이 상기 가이드관(80)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배관(10)의 단부를 복수기(1)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즉, 상기 삽입부(91)에 형성된 관통공(911)을 통해 상기 삽입배관(10)이 삽입된다.
상기 파지부(92)는, 상기 삽입부(91)의 회전을 위해 상기 삽입부(91)의 상측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배관(10)은 상기 가이드관(80)을 통해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배관(10)이 상기 가이드관(80)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전밸브(90)는 상기 가이드관(80)을 폐쇄하여 상기 복수기(1)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지부(92)는 상기 삽입배관(10)이 상기 가이드관(8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삽입부(9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파지부(92)는 회전에 적절한 공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구의 모양에 대응하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수펌프(100)는, 상기 수질분석기(60)를 경유한 물을 상기 회수관(7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회수펌프(100)는 상기 수질분석기(60)와 상기 회수관(70)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회수펌프(100)는 상기 수질분석기(60)와 제1 회수튜브(101)에 연결되고, 상기 회수펌프(100)와 상기 회수관(70)은 제2 회수튜브(102)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회수튜브(102)와 상기 회수관(70)은 제3 연결단관(7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결합의 용이성 및 수밀성을 확보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1)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200)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복수기(1)의 외벽에 제1 가이드관(81)이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관(82)은 상기 제1 가이드관(81)과 플랜지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80)에 마련된 연결관부(110)에 회전밸브(9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회전밸브(90)의 관통공(911)이 상기 가이드관(80)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911)은 상기 가이드관(80)과 연통되도록 삽입한다.
한편, 삽입배관(10) 내부에 회전축(21)과 스크류(22)를 가조립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관(80)에 삽입한다. 상기 가조립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삽입배관(10)에 회전축(21)을 삽입한다. 상기 회전축(21)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마감부재(40)의 제1 삽입공(41)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노출된 상기 회전축(21)에 스크류(22)와 어댑터(24)가 결합된다.
상기 배출관(30) 및 회수관(70) 역시 상기 삽입배관(10)에 삽입 설치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삽입배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부를 제1 연결단관(32)을 매개로 유입노즐(31)과 연결시킨다. 상기 회수관(70)은 상기 삽입배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마감부재(4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마감부재(40)를 상기 삽입배관(10)의 단부와 나사 방식에 의해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삽입배관(10)의 일단부에 대한 가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삽입배관(10)의 타단부에는 제2 마감부재(5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21)은 상기 제2 마감부재(50)의 제2 삽입공(51)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제2 마감부재(5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제2 연결단관(65)에 의해 취출튜브(64)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관(70)의 타단부는 상기 제3 연결단관에 의해 제2 회수튜브(102)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마감부재(50)는 상기 삽입배관(10)의 타단부와 볼트(120)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각각 상기 볼트(120)를 체결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배관(10)과 상기 제2 마감부재(50)의 외측에는 각각 상기 제1 체결부(121) 및 제2 체결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120)는 상기 제1 체결부(121) 및 상기 제2 체결부(122)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가조립된 삽입배관(10)을 상기 가이드관(80)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삽입배관(10)은 상기 가이드관(80)에 이미 결합된 회전밸브(90)의 관통공(911)을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22)가 상기 복수기(1) 내부의 물에 잠기는 지점까지 삽입된다.
이어서, 스크류추진부(20)를 상기 제2 마감부재(50)의 일단부에 결합시킨다. 상기 모터고정부(232)에는 모터(231) 및 기어부(23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마감부재(40)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모터고정부(232)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 마감부재(50)와 결합된다.
이어서, 배출관(30)을 취출튜브(64)에 의해 수질분석기(60)와 연결한다. 상기 수질분석기(60)는 경유한 물은 회수관(70)을 통해 재 유입되도록, 제1,2 회수튜브(101,102) 및 회수펌프(100)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2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취출장치(200)는, 상기 모터(231)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22)가 회전되고, 상기 스크류(22)의 후단 측으로 흐르는 물은 배출관(30)을 유입되어 수질분석기(60)까지 유동한 후, 수질분석이 수행된 후 다시 회수관(70)을 통해 복수기(1)의 내부로 순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복수기(1)의 물은 스크류(22)의 회전력에 의해 수질분석기(60)까지 유동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기(1)의 물의 이동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압력 관계가 성립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22)가 회전할 때 상기 스크류(22) 후단의 압력을 P1, 상기 복수기(1)의 물이 상기 배출관(30)에 유입될 때의 압력을 P2, 스크류(22) 후단에서 배출관(30)을 통해 수질분석기(60)까지 물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압력을 P3, 그리고 배출관(30)을 물이 이동할 때 배출관(30) 내부에서 손실되는 압력을 P4라 할 때, P1+P2 >P3+P4인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조건하에서 복수기(1)의 내부의 물은 상기 물을 수질분석기(60)로 흡입하는 추가적인 구성없이 복수기(1)의 내부에서 수질분석기(60)까지 유동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수질분석을 위해 보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200)는, 복수기(1) 내부의 물을 스크류(22)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취출하므로, 복수기(1)의 운전 중 복수기(1) 내부의 진공도를 고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즉, 본 발명은, 종래 발전소의 가동 중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복수기(1)로부터 수질분석용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취출하는 방식은 상기 펌프에 과부하를 유발하여 펌프의 파손을 야기하고, 펌프의 교체 및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을 초래하였던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200)는, 종래 복수기(1)의 하부의 여러 지점과 펌프를 연결하는 배관 시공을 생략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기(1)에 설치되는 삽입배관(10)에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복수기(1)의 원하는 부위에 장착 가능하므로 그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삽입배관(10)의 길이를 짧게 하여 장비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200)는 상기 복수기(1)에 여러 지점에 설치되는 경우, 취출장치(200)가 설치된 각각의 개별 위치에서 수질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지점에서 해수가 누출된 것인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종래와 같이 수질분석용 펌프에 복수의 배관이 연결된 경우, 파손된 배관을 확인하기 위해서 각 배관에 연결된 밸브를 하나씩 닫으면서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누수 지점을 확인하는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은 누출 지점의 확인을 신속 간편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채용된 삽입배관(10)은 가이드관(8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유지 내지 보수가 간편하며, 상기 삽입배관(10)을 상기 가이드관(80)으로부터 분리할 때 회전밸브(90)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관(80)을 폐쇄할 수 있으므로, 복수기(1)의 진공 상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전소에 사용되는 각종 용기 내부의 액체를 취출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수중 펌프를 대체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삽입배관 20... 스크류추진부
21... 회전축 22... 스크류
221... 몸체부 222... 블레이드
223... 체결홈 23... 동력제공부
231... 모터 232... 모터고정부
233... 기어부 234... 모터축
235... 제1 기어 236... 제2 기어
24... 어댑터 241... 고정부
242... 돌출부 25... 너트
30... 배출관 31... 유입노즐
32... 제1 연결단관 40... 제1 마감부재
41... 제1 삽입공 42... 출수공
50... 제2 마감부재 51... 제1 삽입공
60... 수질분석기 61... 챔버
62... 측정센서 63... 전송부
64... 취출튜브 65... 제2 연결단관
70... 회수관 71... 제3 연결단관
80... 가이드관 81... 제1 가이드관
82... 제2 가이드관 90... 회전밸브
91... 삽입부 911... 관통공
92... 파지부 100... 회수펌프
110... 연결관부 101... 제1 회수튜브
102... 제2 회수튜브 200... 취출장치
300... 제어설비 1... 복수기
2... 해수관 3... 핫트웰 셀
4... 펌프 5... 샘플링 밸브

Claims (10)

  1. 복수기에 삽입되는 삽입배관;
    상기 삽입배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제공부를 갖는 스크류추진부;
    상기 복수기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뒤쪽으로 흐를 때 상기 물을 유입시켜 상기 복수기의 외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삽입배관에 마련되는 배출관;
    상기 삽입배관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복수기의 외벽에 결합되는 가이드관; 및
    상기 삽입배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배관이 상기 가이드관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전밸브는 상기 가이드관을 폐쇄하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복수기의 물이 유입되며, 상기 물의 수질을 분석하는 수질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배관에는, 상기 수질분석기를 경유한 상기 물이 다시 복수기로 회수되는 회수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일단부가 상기 복수기의 외벽에 결합되는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기하여 돌출되는 연결관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밸브는, 상기 연결관부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회전을 위해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배관은, 상기 복수기의 외벽을 비스듬이 기울어져 관통하여 상기 복수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분석기를 경유한 물을 상기 회수관 측으로 공급하는 회수펌프가 상기 수질분석기와 상기 회수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분석기는 상기 유입된 물의 수질을 측정한 측정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전단에는 상기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승압시키도록, 상기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방향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모양의 입구부를 갖는 유입노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KR1020190168252A 2019-12-16 2019-12-16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KR10232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52A KR102320793B1 (ko) 2019-12-16 2019-12-16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US17/119,552 US12007169B2 (en) 2019-12-16 2020-12-11 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from plant condenser to the outside for water quality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52A KR102320793B1 (ko) 2019-12-16 2019-12-16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50A KR20210076750A (ko) 2021-06-24
KR102320793B1 true KR102320793B1 (ko) 2021-11-02

Family

ID=7631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252A KR102320793B1 (ko) 2019-12-16 2019-12-16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2007169B2 (ko)
KR (1) KR1023207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53Y1 (ko) 2003-12-08 2004-03-10 신동석 관로용 수질측정장치
JP2014232018A (ja) * 2013-05-28 2014-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の吸引装置及び流体の吐出装置
CN204831837U (zh) * 2015-07-31 2015-12-02 江西吉安国泰特种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液态危险物料取样装置
CN208043469U (zh) * 2018-04-02 2018-11-02 河南弘腾农业有限公司 一种可定量自动取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44Y2 (ja) 1987-01-09 1994-05-18 グラフテツク株式会社 静電吸着パネル
JP2910629B2 (ja) * 1995-04-26 1999-06-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水質分析計の試料濾過装置
NO328834B1 (no) * 2008-09-12 2010-05-25 Fras Technology As Fluidanalysesystem og metode for drift av et analysesystem
CN103197038B (zh) * 2013-02-26 2014-12-17 北京师范大学 一种基于在水域内运动采样分析方法的水质分析系统
CN203132798U (zh) * 2013-03-11 2013-08-14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直插式凝汽器泄漏监测装置
JP6019344B2 (ja) * 2013-03-15 2016-11-02 国立研究開発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 計測震度概算システム及び計測震度概算方法
CN207081572U (zh) * 2017-07-20 2018-03-09 黄伟 一种水质勘测用水源取样装置
CN207161075U (zh) * 2017-09-25 2018-03-30 冯国勇 一种采油井口防冻取样器
CN208333981U (zh) * 2018-05-07 2019-01-04 吉林市楷强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取样装置
CN208333963U (zh) * 2018-06-01 2019-01-04 湖北欧凯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固定式水质采样器
CN208297180U (zh) * 2018-06-28 2018-12-28 山东晟原石化科技有限公司 真空自保冷采样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253Y1 (ko) 2003-12-08 2004-03-10 신동석 관로용 수질측정장치
JP2014232018A (ja) * 2013-05-28 2014-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の吸引装置及び流体の吐出装置
CN204831837U (zh) * 2015-07-31 2015-12-02 江西吉安国泰特种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液态危险物料取样装置
CN208043469U (zh) * 2018-04-02 2018-11-02 河南弘腾农业有限公司 一种可定量自动取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0868A1 (en) 2021-06-17
KR20210076750A (ko) 2021-06-24
US12007169B2 (en) 202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1967A (en) Automatic insertion device
JP2008151046A (ja) 立軸ポンプの内部観察装置
KR102320793B1 (ko) 수질분석을 위해 복수기 내부의 물을 취출하는 취출장치
KR200397044Y1 (ko) 가스누설 검사장치
CN206670982U (zh) 一种用于凝汽器检漏的凝结水取样装置
KR20140004740U (ko) 닫힘 토크제어 모터구동 평형게이트 밸브용 누설검사 장치 및 검사방법
EP3078894B1 (en) Device for positioning a probe for measuring data from a fluid inside a channel and related method
CN106969946A (zh) 一种用于凝汽器检漏的凝结水取样方法及装置
US20190376632A1 (en) Under-pressure tapping and access assembly for pressurized pipe
KR102066995B1 (ko)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 누설검사장치
KR101081665B1 (ko) 오일 검사 장치
KR200426986Y1 (ko) 점검구 일체형 상수도관
CN110514433A (zh) 一种检测阀门全性能的自动控制试验台设备
JP5166361B2 (ja) 水噴霧ノズル及びトンネル用水噴霧設備の点検装置
KR101244557B1 (ko) 잠수운항체에서의 누수검사장치
CN214467893U (zh) 一种小口径模拟管路收发球的动力装置
KR101217928B1 (ko) 누수감시용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운항체의 누수검사장치
CN217889461U (zh) 一种扇形段下进水形式轴承座测水压装置
CN220751327U (zh) 一种不同规格流量计校准装置
US20230066570A1 (en) Ache tube leak testing tool
CN219657089U (zh) 一种滑阀泄漏测试装置
CN219714868U (zh) 一种水体取样检测装置
US118465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hydrocarbon sampling device
US20030075234A1 (en) Device for removing fluid from a container
KR102481430B1 (ko) 지하수 관측망 수위센서 유도관이 구비된 지하수관정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