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824A -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824A
KR20100030824A KR1020080089731A KR20080089731A KR20100030824A KR 20100030824 A KR20100030824 A KR 20100030824A KR 1020080089731 A KR1020080089731 A KR 1020080089731A KR 20080089731 A KR20080089731 A KR 20080089731A KR 20100030824 A KR20100030824 A KR 2010003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fixture
implant
angle correction
shape
corr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175B1 (ko
Inventor
왕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Priority to KR1020080089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1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하부의 천공된 홈에 임플란트 고정구를 식재한 후에 코티칼본삽입부에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를 임플란트 고정구와 코티칼본삽입부에 삽입하여 각도를 보정하는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고정장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각도보정장치.

Description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Positon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고정구(픽스츄어)(인공치근) 식립시 초기 고정용 장치의 일종으로서, 주변 치조골(코티칼본삽입부)에 고정시켜 임플란트 고정구(픽스츄어)를 초기고정을 유지시켜 주는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및 기타 소재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의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여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시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조골에 즉시 식립할 수 있 는 경우와,
치조골의 측별골의 자연적 흡수와 인위적 손실로 인해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의 식립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골이식술을 이용하여 골이식술 후 3~6개월 후 임플란트 고정구를 식립하여 왔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고정구는 시술 환자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시술시 초기고정을 얻어야만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골유착이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 임플란트 고정구의 식립 시 초기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기존 임플란트 고정구를 제거하고 좀 더 긴 임플란트 고정구 또는 굵은 임플란트 고정구를 재 식립하거나 본그라프트를 하여 일정기간 후 식립하여 환자의 불편함과 비용, 시술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재 시술시 시술실패와 부작용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35444호에는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X-선 촬영 보조구에 있어서, 스텐트에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방향지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X-선 촬영시 임플란트 삽입용 홀의 천공방향을 나타냄과 동시에 X-선 배율 보정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X-선 촬영 보조구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535443호에는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치은 제거 보조구에 있어서,
스텐트에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커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의 치은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치은 제거 보조구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535445호에는 환자의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보조구에 있어서, 평단면이 트랙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면에 임플란트 식립방향으로 천공되는 개구부와;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드릴삽입공이 임플란트 식립방향으로 형성되는 드릴삽입공; 상기 드릴삽입공은 상기 몸체부의 하면으로 갈수록 전후 또는 좌우로 폭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드릴안내 보조구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611946호에는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는 드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드릴수용공을 형성하며, 상기 드릴의 천공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및상기 드릴수용공의 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며, 임플란트될 치아와 인접하게 배치된 치아의 인상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672796호에는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17, 17', 17")을 수납하기 위한 임플란트(1)로서, 종 방향 축(9), 원위 단부(3), 및 근위 단부(4)를 구비하고, 그 근위 단부(4)로부터 종 방향 축(9)의 방향을 따라 임플란트(1)의 내부로 결합 핀(17, 17', 17")용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며, 임플란 트(1)는 그 외측 표피 면에서 형상 결속 또는 마찰 결속에 의해 인체 또는 동물체의 뼈에 있는 수납 구멍의 내측 표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수납 리세스(10)에 맞춰진 결합 핀(17, 17', 17")은 클램핑, 가열 접합, 접착, 또는 시멘팅에 의해 그 수납 리세스(10) 속에 앵커 고정될 수 있으며, 의료용 요소는 앵커 고정 상태에서 그 횡단면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있는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을 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부(16)의 접촉 면(18)에 의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배정된 임플란트(1)의 접촉 면(5)에 전면적으로 접하고,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외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되지 않는 임플란트(1)에 있어서, 수납 리세스(10)는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를 기점으로 하여 원통형 섹션(10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0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0V)이 연접되며, 결합 핀(17, 17', 17")은 의료용 요소의 헤드부(16)를 기점으로 하여 마찬가지로 원통형 섹션(17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7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7V)이 연접되며,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그리고 그 바닥(11)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정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전술된 횡단면 형태간의 전이는 급격하지 않게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요소의 결합 핀 수납용 임플란트가 알려져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595606호에는 임플란트픽스츄어(10)에 고정되어 대합치에 압력을 가하여 교정시킬 수 있는 교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되는 임플란트픽스츄어와 교정구를 이용한 대합치 교정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10731호에는 티타늄 재질로 된 통상 의 치과용 임플란트(가)에 있어서, 턱뼈의 치조골에 삽입 고정되는 나사부(1)와 이물질 투입방지를 위한 치은부(2)가 연설된 상부에 다양한 형태의 교정용 철사(3)(3')를 삽입하는 관통구(4)와 이에 삽입되는 교정용 철사(3)(3')를 고정하는 탄성재질의 밴드링(5)이 걸리는 안내홈(6)을 외주연으로 형성하고 상면에 상기 나사부(1)를 턱뼈의 치조골과 분리자재 되게 하는 랜치와 같은 통상의 치공구가 결합되는 체결구(7)를 요입되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의 식립 시 초기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기존 임플란트 고정구를 제거하고 좀 더 긴 임플란트 고정구 또는 굵은 임플란트고정구를 재 식립하거나, 일정기간 경과후 식립하여 환자의 불편함과 비용, 시술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재 시술시 시술실패와 부작용의 위험이 높아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의 식재후 임플란트 고정구의 위치가 잘못되었거나, 너무 가늘어서 흔들리거나 할 경우에는, 임플란트 고정구를 재 식재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 고정구의 시술시 코티칼본 삽입부를 형성하고, 그 가운데 임플란트 고정구를 삽입고정시킨 후, 코티칼본삽입부 상부테두리와 임플란트 고정구 사이에 간격조절용 보정장치를 전후좌우에 삽입시켜 임플란트 고정구를 정확한 위치에 식재하도록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보정장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시술 환자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시술시 초기고정을 얻어야만 고정구와 치조골의 골유착이 이루어지므로 식립 시 초기고정을 얻지 못할 경우 초기고정 및 각도조정을 얻을 수 있으며,
기존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식립 시 초기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기존 픽스츄어를 제거하고 좀 더 긴 픽스츄어 또는 굵은 픽스츄어를 재 식립하거나 본 그라프트를 하여 일정기간 후 식립하여 환자의 불편함과 비용, 시술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해결하였며, 또한 재 시술시 시술실패와 부작용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동시에 시술이 용이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시술시간 및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며 경제적으로 절약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구(픽스츄어)의 초기 고정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하부에 코티칼본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티칼본삽입부에 중앙에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를 식재한 후에, 코티칼본삽입부 상부테두리와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사이에 간격조절용 보정장치를 전후좌우에 삽입시켜 임플란트고정구(인공치근)을 정확한 위치에 식재하도록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보정장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티칼본 삽입부에 삽입되어 뼈(코티칼본)와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사이에 고정되는 보정장치는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반원형형상, 타원형 형상, 다각뿔 형상, 역다각뿔형상, 피라미드 형상, 및 역피라미드형상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인 것이다.
일 예로 역다각뿔 형태의 뾰족한 삼각뿔 형태로 일측면에 홈 또는 톱니홈이 형상된 형태이며, 상부의 길이는 0.5mm~5mm로 형성되어 있으며 삼각뿔의 높이는 2mm~4mm의 형태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는 골유착의 실패시 재수술한 임플란트의 고정과 수술시 동요 또는 미세하게 움직이는 임플란트의 고정, 수술시 임플란트의 각도보정등에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코티칼본삽입부 하부의 천공된 홈에 임플란트를 식재한 후에 코티칼본삽입부에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각도 보정장치를 임플란트 고정구와 코티칼본삽입부에 삽입하여 각도를 보정되,
코티칼본삽입부 상부테두리와 임플란트 고정구 사이에 역삼각뿔형상의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를 전후좌우에 삽입시켜 임플란트 고정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위치시켜, 임플란트 고정구의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 고정구를 고정시켰다.
( 그 후에, 상기 코티칼본 삽입부의 공간부에 인공뼈로 충전시켜 임플란트 고정구를 고정시킨 다음에, 그 상부에 인공치아를 결합핀에 의해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수술하였다. )
실시예 2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하부의 천공된 홈에 임플란트를 식재한 후에 코티칼본삽입부에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를 이용하여 각도를 보정하되,
코티칼본삽입부 상부테두리와 임플란트 고정구 사이에 역피라미드형상의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를 전후좌우에 삽입시켜 임플란트 고정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위치시켜, 임플란트 고정구의 각도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 고정구를 고정시켰다.
( 그 후에, 상기 코티칼본 삽입부의 공간부에 인공뼈로 충전시켜 임플란트 고정구를 고정시킨 다음에, 그 상부에 인공치아를 결합핀에 의해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수술하였다. )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 도2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로 시술한 측단면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상부(1,10), 홈부(2), 하부(3,30), 톱니홈부(20), 좌측면부(4,4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뿔형상을 뒤집어 논 형상으로서,
상부의 폭이 0.5mm~5mm, 2mm~4mm의 높이를 갖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역삼각뿔 형상이며,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삼각측면의 일측면에 "V" 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홈부(2)와, 상부(1)의 삼각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좌측면부(4)와, 말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하부(3)로 구성된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각도 보정장치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각도 보정장치 다른 예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폭이 0.5mm~5mm, 2mm~4mm의 높이를 갖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피라미드형상을 엎어 놓은 형상으로서, 역피라미드 형상이며,
일측면에는 "V" 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 좌측면부(40)와,
그 반대편에는 "W" 자 형상의 톱니 형상의 홈이 형성된 톱니홈부(20)와,
말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하부(30)로 구성된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각도 보정장치임을 알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
도2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로 시술한 측단면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 다른 예
도면의 부호설명
상부(1,10), 홈부(2), 하부(3,30), 좌측면부(4,40), 톱니홈부(20).

Claims (4)

  1.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방법에 있어서,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의 하부에 코티칼본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티칼본삽입부에 중앙에 임플란트 고정구를 식재한 후에, 코티칼본삽입부 상부테두리와 임플란트 고정구 사이에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를 전후좌우에 삽입시켜 임플란트 고정구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보정 방법.
  2.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는 반원형형상, 타원형 형상, 다각뿔 형상, 역다각뿔형상, 피라미드 형상, 및 역피라미드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다각뿔 형상의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는 상부의 폭이 0.5mm~5mm, 2mm~4mm의 높이를 갖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역삼각뿔 형상이며,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삼각측면의 일측면에 "V" 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 홈부(2)와, 상부(1)의 삼각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이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좌측 면부(4)와, 말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하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피라미드 형상의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는 역피라미드 형상이며, 양측면에 톱니형태의 홈부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구(인공치근) 고정용 각도 보정장치.
KR1020080089731A 2008-09-11 2008-09-11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KR10103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731A KR101033175B1 (ko) 2008-09-11 2008-09-11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731A KR101033175B1 (ko) 2008-09-11 2008-09-11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824A true KR20100030824A (ko) 2010-03-19
KR101033175B1 KR101033175B1 (ko) 2011-05-11

Family

ID=4218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731A KR101033175B1 (ko) 2008-09-11 2008-09-11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1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049B1 (ko) * 2003-03-03 2006-01-26 정필훈 팽창위치 조절이 가능한 다중 팽창형 임플란트
KR20030038610A (ko) * 2003-04-21 2003-05-16 박명현 양측 여닫이 문
KR200338610Y1 (ko) * 2003-10-23 2004-01-16 서호영 나사 풀림 고정용 삼각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175B1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KR1009817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JP4740139B2 (ja) 容易に挿入可能な骨圧縮インプラント
JP20075026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9687323B2 (en) Temporary anchorage device with external plate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US4799886A (en) Dental submerged endosseous implant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US20090291414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363062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KR20200053276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KR20090016560A (ko)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033171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KR101037892B1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33175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KR100929987B1 (ko) 임플란트
KR100742306B1 (ko)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KR101452477B1 (ko) 다수개의 종방향 톱니부를 갖는 프레스 핏 치과 임플란트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