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368A -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368A
KR20100030368A KR1020080089290A KR20080089290A KR20100030368A KR 20100030368 A KR20100030368 A KR 20100030368A KR 1020080089290 A KR1020080089290 A KR 1020080089290A KR 20080089290 A KR20080089290 A KR 20080089290A KR 20100030368 A KR20100030368 A KR 20100030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phor
fermented
cosmetic composition
skin elasticity
improv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태
박시준
박숙경
이지영
이승지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08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368A/ko
Publication of KR2010003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11Microorganisms using fungi
    • Y10S435/94Saccharomyces
    • Y10S435/942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뇌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배양하여 얻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은 진피세포인 피브로블라스트(Fibroblast)에서 피부 탄력 성분인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피부 노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탄력 저하를 효과적으로 개선해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장뇌삼, 천상초, 녹용, 당귀, 구기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엘라스틴, 피부 탄력 개선

Description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the Fermented Extract of Panax ginseng by Sacharomyces cerevisiae}
본 발명은 장뇌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로 배양하여 얻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노화 현상이 나타난다. 노화 현상은 우리 몸의 안과 밖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일어나게 된다. 밖에서 일어나는 대표적인 현상이 피부 노화이며, 주로 피부 건조함, 피부 색소 침착, 피부 주름 증가 등의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가장 눈에 띄게 나타나는 증상이 주름(Wrinkle)과 탄력 저하이다.
피부 탄력(Skin Elasticity)은 진피층을 구성하는 탄력 성분의 저하 등에 의해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탄력성분이 과량으로 생성되거나 생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노화방지 제품들은 주름 개선을 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탄력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노화 방지법은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등의 진피 매트릭스 성분의 생성과 이의 분해를 억제하는 방법이 있으며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은 위의 방법 외에 탄력성분의 합성을 촉진해줌으로써 주름과 탄력 개선을 동시에 해 주는 것이다.
탄력을 개선해주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해주거나, 엘라스틴의 분해를 억제해주는 등의 방법과, 탄력 저하의 주 원인이 되는 자외선의 조사를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따라서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탄력 주성분인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해주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러한 효과를 주기 위해서 대부분의 회사들이 식물 추출물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천연물질을 발효를 통해 새로운 물질로 만들어 효능과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액은 미생물에 의해 자극성분들이 분해되거나 다른 물질로 전환됨으로써 피부 자극이 저하되는 장점들이 있으며 미생물에 의한 발효 산물들이 또한 피부에 좋은 영향을 줌으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노화로 인해 저하되는 피부 탄력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장뇌삼 및 천연 한약 성분을 효모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장뇌 보액이 피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의 문제점, 특히 피부 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장뇌 보액은 효모로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장뇌삼, 천상초(만병초), 구기자, 당귀 및 녹용을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물인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장뇌 보액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0%(w/w)로 함유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 장뇌 보액은 엘라스틴의 생합성을 촉진해주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인 발효 장뇌 보액은 장뇌삼과 한약 성분을 효모로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물로서, 세포 활성 및 엘라스틴 합성을 촉진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발효 장뇌 보액’이란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효모(Saccharomyces)로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물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 장뇌삼(Panax Ginseng)은 산삼의 일종으로서, 산삼은 크게 천종, 지종 및 장뇌(인종)의 3종류로 분류되며, 천종은 천연 산삼으로 조류가 종자를 먹은 뒤 산속에 배설하여 자생한 것이고, 지종은 천종의 씨앗이 주위에 떨어져 자생한 것이다. 그리고 장뇌는 산삼의 종자를 채취하여 깊은 산속에 씨를 뿌려 야생 상태로 인위적으로 재배한 산삼을 지칭하며, 장뇌삼 또는 장뇌산삼(長腦山蔘), 장로(長蘆), 산양산삼이라고도 한다. 장뇌라는 이름은 줄기와 뿌리를 잇는 뇌 부분이 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일반인은 구분하기 어렵다. 깊은 산 속 그늘진 박달나무나 옻나무 아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데, 절반 정도 그늘지고 외진 곳에서만 자라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산삼은 그 종자를 뿌려도 싹이 잘 나오지 않으며 땅 속에서 없어지는 경우가 많고, 자란다고 해도 몇 년을 채 넘기지 못하고 썩어 없어지기 쉽기 때문에 매우 귀하지만, 장뇌삼은 모양이나 약효면에서 자연산 산삼과 거의 비슷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장뇌삼은 산삼 중에서 비교적 구입이 용이하며, 인삼에 비하여 주성분인 사포닌이 더 많고 약리 효능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다. 장뇌삼의 공지된 약리학적 효능은 당뇨, 간질환, 고혈압, 부인병 및 갱년기 증상의 치료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장뇌삼”은 장뇌삼의 다양한 기관(예: 잎, 꽃, 줄기 및 뿌리 등)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장뇌삼의 뿌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천상초(Rhododendron brachycarpum)는 높고 추운 산꼭대기에서 자라는 늘 푸른 떨기나무로 높이는 1∼4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고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5∼7개가 모여 달린다. 꽃은 6∼7월에 피고 10∼20개씩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서 털이 빽빽이 난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으로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고 안쪽 윗면에 녹색 반점이 있으며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씨방에는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열매는 삭과(capsule)로서 타원 모양이며 길이 약 2cm이고 9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천상초는 하늘의 신선이 가꾸는 꽃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만병을 고친다고 만병초, 만년동안 산다고 해서 만년초로 불리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천상초 추출물’은 천상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잎, 가지 또는 뿌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당귀(Angelica gigas)는 산형과(Apiaceae)에 속하는 한약재의 뿌리를 일컬으며 뿌리는 1-2m 정도이고 뿌리를 약물로 사용하는데 주성분은 정유성분이다. 성질은 온하며 독이 없고 신맛과 단맛이 나는데 약간 쓴맛이 돈다. 당귀의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약리학적으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본 발명에서는 당귀의 뿌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구기자(Lycium chinense)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자라고 줄기 끝은 아래로 약간 처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모여서 나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자주색의 꽃은 종처럼 생겼으며 가을에 열매와 뿌리 껍질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구기자와 지골피라고 한다.
이러한 구기자는 단백질, 지방, 당질, 칼슘, 인, 철분, 베타인, 루틴, 비타민(A, B1, B2, C) 등이 들어 있어 흡수가 빠르며, 한방에서는 강장제, 해열제로 쓰 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시력을 좋게 하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을 예방하며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들기름과 섞어 숙성해 두었다가 머리에 바르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 주고 화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녹용은 사슴과(Cervidae)에 속하는 척추 동물인 숫사슴의 각질화된 뿔을 말하며 대개 봄, 여름에 구각은 탈락되고 새로 나는 뿔로서, 아직 각질이 형성되지 않아서 내부에 혈관이 있고 유연한 성질을 띠는 것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발효 장뇌 보액은 효모(Saccharomyces)를 이용하여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배양하여 이로부터 수득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효모균은 진핵미생물(핵과 세포질이 핵막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는 생물)에 속하며 세포벽, 세포막, 핵, 사립체, 과립 등 세포 소기관을 갖추고 있다. 성의 구별이 없는 이들은 주로 출아법(budding)으로 번식하는데, 분리된 많은 효모들 중에는 발효능이 없는 것, 출아법 대신 분열(fission) 혹은 출아-분열(bud-fission)방법으로 증식하는 것, 자낭포자(ascospore)가 아닌 사출포자(ballistospore)를 형성하거나 포자(spore)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 등 다양한 그룹의 효모도 존재한다. 크기는 보통 5-10× 5-12㎛로 세균의 5-10배 크기이며, 적정 pH는 4.5-5.5이나 1-10에서도 생존한다. pH 1에서 12시간 생존하는 효모는 박 테리아보다 산에 강하므로 배지의 pH를 3.5~3.8 정도로 맞추면 박테리아의 오염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효모는 균종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20~25℃에서 잘 자란다. 보통은 50℃이상에서는 사멸한다고 하지만 그 온도 이상에서 합성이 되지 않는 성장요소를 배지에 직접 첨가해 줌으로서 어느 정도는 극복이 가능하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경우 40℃이상에서 사멸하지만 배지에 올레익산(oleic acid)와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을 첨가해 줌으로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효모 균체 자체는 단세포 식물로서 단백질과 미량광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이다.
본 발명에서, 발효 장뇌 보액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a)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각각 동량으로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을 100 내지 500 메쉬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드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을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에 1 내지 50 g/L 첨가하고, 효모를 10,000 내지 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 따른 배양물을 30 - 37℃에서, pH 5-7로 호기적 또는 통성 혐기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하는 단계; 및
d) 단계 c)로부터 얻어진 배양액을 여과한 후 5 내지 10일 동안 저온 숙성시 켜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발효 장뇌 보액은 다음과 같이 하여 얻었다: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각각 동량으로 포함하는 한약재 분말을 300메쉬 체로 분말화 한 뒤 미생물 배양액에 10 g/L 첨가하고, 효모 균주를 50,000 cfu/L로 첨가하여 30 - 37℃에서, pH 5-7로 호기적 또는 통성 혐기적인 조건으로 발효조에서 약 7일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양액을 얻은 후 이 액을 0.25μM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 여과액은 다시 10일간 저온 숙성 시킨 후 재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어졌으며, 사용하기 전에 최종 고형분의 농도를 10g/L가 되게 유지하였다.
본 발명에서, 발효 장뇌 보액은 세포 활성을 촉진시켜 주며, 피부 탄력을 촉진시켜 주며, 피부 자극을 완화해주는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효 장뇌 보액을 화장료에 첨가함으로써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손상, 즉 피부 탄력 저하에 대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발효 장뇌 보액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20.0 %(w/w)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10%(w/w)이다. 발효 장뇌 보액의 함량이 0.0001 %(w/w)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주름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발효 장뇌 보액의 함량이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며, 피부자극을 유발하거나 제형의 안정성에 있어서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발효 장뇌 보액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 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효모를 이용한 발효 장뇌 보액 제조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각각 동량으로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말화 한 후 300메시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효모 배양액(Potato Dextrose Broth, 아큐메디아 , 미합중국)에 첨가하여 10g/L가 되게 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효모 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7일간, 30℃,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 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 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발효액을 이하 ‘발효 장뇌 보액’이라 통칭한다. 이하 실험예에 사용된 발효 장뇌 보액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 장뇌 보액 제조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장뇌삼과 천상초, 녹용, 당귀 및 구기자를 각각 동량으로 포함하는 한약재를 분말화 한 후 300메시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7일간, 30℃, pH 5-7로 유지하며 정치한 후 이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0.25 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 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 한 액을 이하 ‘장뇌 보액’이라 통칭한다. 이하 실험예에 사용된 장뇌 보액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실험에 사용한 장뇌 보액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발효 장뇌 보액의 섬유아 세포 증식 효과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의 섬유아 세포 증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제조예 1에 따른 발효 장뇌 보액 및 제조예 2에 따른 장뇌 보액의 최종 농도를 0.5, 1.0%로 하여 혈청이 2.5% 함유되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발효 장뇌 보액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그마, 미합중국) 솔루션(3mg/ml)을 첨가하여 세포 생존율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세포 생존율=[(시험물질 흡광도-대조군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
발효 장뇌 보액의 세포 활성 증진 효과
시험 물질농도(%) 세포 생성 증가율(%)
발효 장뇌 보액 0.5% 162.6
발효 장뇌 보액 1.0% 173.4
장뇌 보액 0.5% 123.6
장뇌 보액 1.0% 121.5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발효 장뇌 보액은 장뇌보액에 비해 세포 생성 증가율이 훨씬 뛰어났으며, 우수한 세포 생성 증가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발효 장뇌 보액의 엘라스틴 합성 증진 효과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의 엘라스틴 합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100파이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발효 장뇌 보액, 장뇌보액을 각각 최종 농도 0.5 및 1.0%로 하여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발효 장뇌 보액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엘라스틴 생성량을 Biocolar Elastin Assay Kit(아일랜드)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엘라스틴 양을 측정하였다. 엘라스틴 생성율(%)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엘라스틴 생성 증가율(%)=[(시험군 엘라스틴양/대조군 엘라스틴 양)-1]× 100
발효 장뇌 보액의 엘라스틴 합성 증진 효과
시험 물질농도(%) 엘라스틴 생성증가율(%)
발효 장뇌 보액 0.5% 146.6
발효 장뇌 보액 1.0% 134.4
장뇌 보액 0.5% 108.2
장뇌 보액 1.0% 120.4
이상의 실험예 1 및 2를 통해,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이 장뇌 보액에 비해 피부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는 엘라스틴 합성 촉진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처방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유연화장수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발효 장뇌 보액 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니콜 HCO 60 0.4
메틸 파라벤 0.2
향, 0.01
증류수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2: 영양화장수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발효 장뇌 보액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1.5
스테아릴 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 에탄올아민 0.12
메틸파라벤 0.2
0.02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영양크림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단위:중량%)
발효 장뇌 보액 3.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타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메틸파라벤 0.2
0.05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한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이 함유된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제 사용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발효 장뇌 보액을 각각 3%(w/w)를 함유하고 있는 처방예 3의 영양 크림과 처방예 3에서 발효 장뇌 보액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4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얼굴의 한쪽 면에는 처방예 3의 영양 크림을 사용하고 다른쪽 면에는 비교예의 크림을 사용하였다. 6주 후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Skin cutometer(C+K,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로 한 주름 개선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기기평가)
화장품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유효율(%)
우수 약간 없음
처방예 3의 크림 14 5 1 95.0
비교예의 크림 3 3 14 30.0
상기 표 6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한 처방예 3의 크림은 발효 장뇌 보액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의 크림에 비하여 약 3배 이상의 높은 탄력개선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본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한 대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 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발효 장뇌 보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장뇌 보액은 효모로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장뇌삼, 천상초(만병초), 구기자, 당귀 및 녹용을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장뇌 보액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0%(w/w)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장뇌 보액은 엘라스틴의 생합성을 촉진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89290A 2008-09-10 2008-09-10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0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90A KR20100030368A (ko) 2008-09-10 2008-09-10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90A KR20100030368A (ko) 2008-09-10 2008-09-10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368A true KR20100030368A (ko) 2010-03-18

Family

ID=4218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290A KR20100030368A (ko) 2008-09-10 2008-09-10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3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656A (zh) * 2020-04-30 2020-08-28 杭州谦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解假丝酵母和日本清酒酵母共生发酵产物的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656A (zh) * 2020-04-30 2020-08-28 杭州谦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解假丝酵母和日本清酒酵母共生发酵产物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0410B1 (ko) 버섯 균사체 및 청호밀 태좌의 혼합 배양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0382B1 (ko) 결명자, 갈대, 제주조릿대, 지모 및 치자의 혼합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3371A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44494B1 (ko) 털마삭줄을 포함하는 마삭줄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0368A (ko) 효모 생전환 기술에 의해 얻은 발효 진액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3B1 (ko) 수선화 비늘줄기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