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133A -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133A
KR20100030133A KR1020080088927A KR20080088927A KR20100030133A KR 20100030133 A KR20100030133 A KR 20100030133A KR 1020080088927 A KR1020080088927 A KR 1020080088927A KR 20080088927 A KR20080088927 A KR 20080088927A KR 20100030133 A KR20100030133 A KR 20100030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ody
button
main body
ope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133A/ko
Publication of KR20100030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전면에 제 1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되는 본체부(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의 후면에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와 다른 패널로 구성되는 제 2디스플레이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개구부(18)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8)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12,14)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는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4)는 이-페이퍼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버튼체(20)에 의해 전환되는 모드상태가 표시되는 서브디스플레이부(16)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중에 이-페이퍼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적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브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버튼체

Description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듀얼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각각 모바일 기기의 정보를 재생시키는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란 휴대폰, PDA 등과 같이 이동성을 가진 전자기기들을 말한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가볍고 소형화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 기능이 떨어지는 점과 확장성이 부족하고,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약점이 있다.
최근 들어 각종 모바일 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디지털기기의 예를 들면, MP3플레이어, 보이스레코더, PDA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엠비,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춘 모바일 기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LCD)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디지털기기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데, 최근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여러 가지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패널로 주로 사용되는 액정디스플레이는 선명하고 고화질의 영상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지만 자체발광 기능이 없어 백라이트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광원을 필요로 하므로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경우 전력소모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적은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진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에는 제 1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와 다른 패널로 구성되는 제 2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는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는 이-페이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버튼체에 의해 전환되는 모드상태가 표시되고,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는 서브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버튼체가 회전될 때 상기 개구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해 간섭방지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체는, 정육면체 형상의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에 의해 눌러지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버튼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기판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기판에 신호를 전달하는 로터리스위치가 실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에는 제 1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와 다른 패널로 구성되는 제 2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버튼체와, 상기 제 1버튼체의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 2버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는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는 이-페이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버튼체에 의해 전환되는 모드상태가 표시되고,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는 서브디스플레이부가 더 구 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한 쌍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각각의 개구부의 개구되는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버튼체가 회전될 때 상기 개구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체는, 정육면체 형상의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에 의해 눌러지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버튼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기판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기판에 신호를 전달하는 로터리스위치가 실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부 중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표시된 화면이 유지되는 이-페이퍼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적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서브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버튼체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3D 화면도 조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체를 통해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시예를 구성하는 버튼모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외관 및 골격은 본체부(10)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려한 외관을 위해 모서리부는 곡면 처리된다.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메인기판을 비롯하여 메모리, 인터럽트 컨트롤러, 배터리 등 모바일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제 1본체부(10)의 전면에는 제 1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에는 모바일 기기의 작동상태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실행에 따른 영상 등이 표시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제 1본체부(10)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LCD)나 이-페이퍼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로 액정디스플레이 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표면에 전극이 프린트되거나 진공증착된 터치글라스의 배면에 액정표시장치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액정디스플레이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고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의 액정은 자기발광성이 없어 백라이트(Back light)와 같은 광원을 필요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페이퍼(E-paper)는 0.1㎜ 이하의 작은 공이나 캡슐 등을 이용하여 잉크의 효과를 내는 것이다. 이러한 이-페이퍼는 전자종이로도 불리며, 액정디스플레이보다 작은 구동 전력으로 보다 오랫동안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참고로, 이-페이퍼는 전기영동(Electrophoretic) 현상을 이용하여 최초의 화면을 표시할 때에만 전원을 필요로 한다.
이-페이퍼 기술은 전기장에 의한 마이크로 입자의 빠른 이동을 이용하여 일정한 공간 내에 부유하는 대전된 입자를 정전기적으로 이동시켜 색을 표시하는 기술로서, 어떠한 극에서든 이동이 일어난 후에는 메모리 효과로 인해 전압을 제거해도 입자들의 위치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미지가 사라지지 않아 마치 종이에 잉크로 인쇄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자체적인 발광은 하지 않지만 시각 피로도가 대단히 낮아 실제 책을 보는 것과 같은 편안한 감상이 가능하며 패널의 유연성이 뛰어나 구부릴 수 있는 정도가 높으며 그 두께 역시 대단히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 표시된 이미지가 패널을 리셋하지 않는 한 오랜시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극히 낮아 모바일 기기로서의 활용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후면에는 제 2디스플레이부(14)(도 2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4)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나 이-페이퍼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12,14)는 서로 다른 방식의 패널이 사용된다. 즉,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에 액정디스플레이가 사용되면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4)는 이-페이퍼를 사용한다.
상기 본체부(10)의 전면 일측에는 서브디스플레이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는 모바일 기기의 모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버튼체(20)에 의해 모드가 전환된다.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는 버튼체(20)의 회전에 따라 다른 모드의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상태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1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는 개구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8)는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본체부(10)의 측면 일부를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개구부(18)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8)의 내측에는 간섭방지부(19)(도 3 참조)가 요입되어 형성된 다. 상기 간섭방지부(19)는 버튼체(20)가 회전될 때 상기 개구부(18)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한 부분이다. 상기 간섭방지부(19)는 본체부(10)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부분을 내측으로 요입하여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8)에는 버튼체(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버튼체(20)는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12,14)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체(20)가 제 1디스플레이부(12)를 제어할 경우에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된 모드를 선택한 후에 하게 된다. 상기 버튼체(20)의 외관 및 골격은 버튼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버튼몸체(2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버튼몸체(22)가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면마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면체 형상의 버튼몸체(22)에서 네 개의 면이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몸체(22)가 회전되어 각 면이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위치할 때마다 메뉴모드, 음악재생모드, 라디오모드, 동영상재생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버튼몸체(22)에는 버튼(24)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24)은 상기 버튼체(20)의 조작시에 사용자가 누르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24)은 상기 버튼몸체(22)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버튼(24)의 하단에는 누름돌기(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24')는 아래에서 설명될 택트스위치(28)를 눌러주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돌기(24')는 상기 버튼(24)의 하단에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24)의 양측에는 상기 버튼몸체(22)의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25)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버튼(24)이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버튼몸체(22)의 내부에는 기판(26)이 장착된다. 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기판(26)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연통부(34)를 통해 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26)에는 택트스위치(28)가 실장된다. 상기 택트스위치(28)는 상기 누름돌기(24')에 의해 눌러져 기판(26)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버튼몸체(22)의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30)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몸체(22)의 회전중심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힌지축(30)의 선단에는 걸이리브(32)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리브(32)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걸어져 상기 버튼몸체(2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힌지축(30)에는 상기 기판(26)에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통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34)는 상기 힌지축(30)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몸체(22)의 내부와 본체부(10)의 내부를 서로 연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걸이리브(32)에 인접한 부분에는 로터리스위치(36)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스위치(36)는 메인기판(38)에 실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체(20)의 회전을 감지하여 메인기판(38)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기판(38)으로 전달된 신호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 전달되어 해당모드에 따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외관 및 골격은 본체부(110)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려한 외관을 위해 모서리부는 곡면 처리된다.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는 제 1디스플레이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12)에는 모바일 기기의 작동상태나 멀티미디어 파일의 실행에 따른 영상 등이 표시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12)는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12)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LCD)나 이-페이퍼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후면에는 제 2디스플레이부(114)(도 6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14)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나 이-페이퍼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112,114)는 서로 다른 방식의 패널이 사용된다. 즉,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12)에 액정디스플레이가 사용되면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114)는 이-페이퍼를 사용한다.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 일측에는 서브디스플레이부(116)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는 모바일 기기의 모드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버튼체(120,130)에 의해 모드가 전환된다.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는 버튼체(120)의 회전에 따라 다른 모드의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상태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11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에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하여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개구부(118,118')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8,118')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 일부를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개구부(118,118')는 두 개로 구성되는데, 측면으로 개구되는 방향이 서로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버튼체(120,130)의 회전방향이 서로 수직한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개구부(118,118')에는 버튼체(120,13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버튼체(120,130)는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112,114)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체(120,130)가 제 1디스플레이부(112)를 제어할 경우에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에 표시된 모드를 선택한 후에 하게 된다. 상기 버튼체(120,130)는 제 1버튼체(120)와 제 1버튼체(120)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버튼체(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버튼체(120)는 상기 개구부(11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 1버튼체(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버튼몸체(12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버튼몸체(122)가 회전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면마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면체 형상의 제 1버튼몸체(122)에서 네 개의 면이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버튼몸체(122)가 회전되어 각 면이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에 위치할 때마다 메뉴모드, 음악재생모드, 라디오모드, 동영상재생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 1버튼몸체(122)에는 제 1버튼(124)이 구비된다. 상기 제 1버튼(124)은 상기 제 1버튼체(120)의 조작시에 사용자가 누르는 부분이다. 상기 제 1버튼(124)은 상기 제 1버튼몸체(122)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 1버튼몸체(122)는 제 1힌지축(12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버튼체(130)는 상기 개구부(11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 2버튼체(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 2버튼체(130)는 상기 제 1버튼체(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이는 상기 버튼체(120,130)를 3D UI(user interface)(도 7 참조)에서 활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튼체(120,130)는 서로 수직한 축(X축,Y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3D 화면에서 사용자가 버튼체(120,130)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튼체(120,130)는 2D 화면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버튼체(130)에는 상기 제 1버튼몸체(122), 제 1힌지 축(123) 및 제 1버튼부(124)에 대응되는 제 2버튼몸체(132), 제 2힌지축(133) 및 제 2버튼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버튼몸체(132), 제 2힌지축(133) 및 제 2버튼부(134)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설명한다.
모바일 기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버튼체(20)를 조작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버튼체(20)를 회전시켜 모바일 기기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버튼체(20)는 회전되면서 네 개의 면이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체(20)의 각 면마다 모드를 전환, 예를 들면, 메뉴모드, 음악재생모드, 라디오모드, 동영상재생모드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버튼체(20)에 의해 선택된 모드상태는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된 모드 중에 원하는 모드를 버튼(24)을 눌러 선택하고 서브디스플레이부(16)를 터치하여 모바일 기기의 각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가 동영상재생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영상을 재생시키면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제 1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동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재생된 동영상은 캡쳐를 통해 이-페이퍼로 구성된 제 2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페이퍼로 구성된 제 2디스플레이부(14)는 화면의 내용이 변경될 때에만 전원이 소모되므로 전력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오랜시간에 걸쳐 그 내용을 보더라도 전원 소모가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버튼체(20)로 제 2디스플레이부(14)를 조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체(20)로 서브디스플레이부(16)에서 메뉴모드를 선택한 다음에 제 2디스플레이부(14)를 조작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0)를 뒤집고 상기 버튼체(20)를 회전시키면서 제 2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된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버튼체(20)를 회전시키면 제 2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된 페이지가 넘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체(120,1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16)에는 다양한 모드 상태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버튼체(120,130)를 각각 X축,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D 화면에서는 상기 버튼체(120,130)를 회전시켜 메뉴가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 1버튼체(120) 또는 제 2버튼체(130) 중에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체(120,130)로 3D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모드창이 3D화면으로 표시된 상태에 서 상기 제 1버튼체(120)로는 모드창을 회전시키면서 버튼(124)으로 원하는 모드창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버튼체(130)를 회전시키면서 선택된 모드창에서 원하는 폴더를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상기 버튼체(120,130)로 제 2디스플레이부(114)를 조작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버튼체(120,130)로 페이지를 넘기는 기능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16)가 버튼체(20)에 의해 조작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상기 버튼체(20)가 직접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화면을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튼체(120,130)가 본체부(110)에 3개 이상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새로 추가된 버튼체는 Z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도 2의 선 Ⅰ-Ⅰ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모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서브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부 12 : 제 1디스플레이부
14 : 제 2디스플레이부 16 : 서브디스플레이부
18 : 개구부 20 : 버튼체
22 : 버튼몸체 24 : 버튼
24' : 누름돌기 25 : 날개부
26 : 기판 28 : 택트스위치
30 : 힌지축 32 : 걸이리브
34 : 연통부 36 : 로터리스위치
38 : 메인기판 110 : 본체부
112 : 제 1디스플레이부 114 : 제 2디스플레이부
116 : 서브디스플레이부 118,118' : 개구부
120 : 제 1버튼체 130 : 제 2버튼체

Claims (15)

  1. 전면에는 제 1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와 다른 패널로 구성되는 제 2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는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는 이-페이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버튼체에 의해 전환되는 모드상태가 표시되고,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는 서브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버튼체가 회전될 때 상기 개구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 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는,
    정육면체 형상의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에 의해 눌러지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버튼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기판에 신호를 전달하는 로터리스위치가 실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8. 전면에는 제 1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와 다른 패널로 구성되는 제 2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버튼체와, 상기 제 1버튼체의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 2버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2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버튼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부는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는 이-페이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버튼체에 의해 전환되는 모드상태가 표시되고,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디스플레이로 만들어지는 서브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한 쌍이 상기 본체부의 측면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각각의 개구부의 개구되는 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버튼체가 회전될 때 상기 개구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섭방지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체는,
    정육면체 형상의 버튼몸체와;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버튼에 의해 눌러지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버튼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기판과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기판에 신호를 전달하는 로터리스위치가 실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KR1020080088927A 2008-09-09 2008-09-09 모바일 기기 KR20100030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27A KR20100030133A (ko) 2008-09-09 2008-09-09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27A KR20100030133A (ko) 2008-09-09 2008-09-09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33A true KR20100030133A (ko) 2010-03-18

Family

ID=4218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27A KR20100030133A (ko) 2008-09-09 2008-09-09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1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26Y1 (ko) * 2013-11-21 2014-07-04 조원석 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426Y1 (ko) * 2013-11-21 2014-07-04 조원석 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75903U (zh) 可正反双面显示与操作的可携式电子装置
US10627868B2 (en) Flexible device
TWI587120B (zh) 電子裝置及一同使用之附屬裝置
US8269754B2 (en) Portable terminal,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805428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I412992B (zh) 用於表示圖形使用者介面元件的位置及方向之方法、電子裝置、設備及電腦可讀媒體
TWI409731B (zh) 電子裝置
AU2011203606B2 (en)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JP5638084B2 (ja) 表示方法
RU250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нклинометром
TWI436193B (zh) 具有可組態介面之多面板裝置及設備與用於其之電腦可讀媒體及方法
CN102165856A (zh) 采用旋转机构的坞站
TWI410824B (zh) 具有整合顯示元件與輸入元件之模組的電子裝置
US20120262367A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4838328A (zh) 可折叠式电子显示器
TW201024977A (en)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TW201331822A (zh) 可轉換的運算裝置
US20150055012A1 (en) Electronic device
KR201900537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0858A (ko) 양면 스크린을 적용한 스마트 모션 유저 인터페이스
KR20100030133A (ko) 모바일 기기
CN111221383B (zh) 一种电子设备
KR20100027482A (ko) 모바일 기기
KR20100025890A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CN208834209U (zh) 一种电子笔记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