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160A -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 - Google Patents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160A
KR20100029160A KR1020107004509A KR20107004509A KR20100029160A KR 20100029160 A KR20100029160 A KR 20100029160A KR 1020107004509 A KR1020107004509 A KR 1020107004509A KR 20107004509 A KR20107004509 A KR 20107004509A KR 20100029160 A KR20100029160 A KR 2010002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field
storage device
transmission
external electromagne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레이노넨
테에무 한눌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2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0Protective measures on heads, e.g. against excessive tempera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11B19/041Detection or prevention of read or write error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기억장치의 제어 작동에 관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억장치의 외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장에 관한 작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장치에의 데이터 저장 및 상기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억장치와 통신장치는 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Controlling operation of a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자기적, 광학적, 또는 자기-광학적 기억장치와 같은 기억장치의 제어 작동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의 액세스(access)를 위한 무선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들을 송신할 수 있고 기억장치를 갖는 통신장치(communication device)에 관한 것이다.
통신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휴대폰(cellular phone),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통신장치들 또는 사용자 단말기들; 또는 무선 응용 규약(wireless applications protocol; WAP) 또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과 같은 적합한 네트워크 규약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통신시스템은 통신장치들 및/또는 통신시스템과 연계된 다른 노드(node)와 같은 개체(entity)들 중의 둘 이상 간에 통신 세션(session)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로 볼 수 있다. 무선 통신시스템들은 사용자들에게 이동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지에스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지피알에스(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유엠티에스(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같은 셀방식의(cellular) 시스템과; 예를 들어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비-셀방식(non-cellular)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기술은 예를 들어 티디엠에이(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에프디엠에이(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씨디엠에이(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wideband CDMA)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시스템은 피에스티엔(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예로 들 수 있는 고정 라인(line) 통신시스템과 같은 다른 통신시스템, 또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예로 들 수 있는 피에스디엔(PSDN: packet switched data network)과의 통신 세션도 수립시킬 수 있다.
통신장치는, 전화를 걸고 받는 것,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를 경험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달리 이용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통신장치는 통신 네트워크의 송수신 네트워크 요소들과 무선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RF) signal)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수단, 스피커 수단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통신장치의 작동은 제어 버튼, 음성 명령 등과 같은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통신장치에는 처리장치(processor) 개체와 기억수단(memory means)이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 또는 사용자 장비와 같은 이동통신장치에서는 반도체 기술에 의하여 전기식 기억 수단(electrical memory means)이 전형적으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한 전기식 기억 수단들은 외부의 자기장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 그들은 물리적으로 소형의 장치이기 때문에 전기적 간섭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차폐(shield)될 수 있다. 이동전화기에 사용되는 기억 회로(memory circuit)의 물리적인 크기는 전형적으로 1cm x 1cm 보다 작고, 그 높이는 2~4 mm 정도이다.
이동통신장치에 의하여 송신되고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의 크기 및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기억 용량에 대한 요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동식 사용자 장비를 위한 데이터와 응용프로그램들을 저장 및 처리하기 위하여 하드디스크가 추가적인 또는 보다 큰 기억 용량을 제공할 것이다.
하드디스크(또는 고정된 디스크)는 회전하는 디스크의 트랙(track)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하여 독출 및 기록 헤드(reading and writing head)를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 명세서에서는, 용어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독출/기록 헤드를 단순히 독출 헤드로 부르기로 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하드디스크 내에서 독출 및 기록의 작동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독출 및 기록에 관한 원칙은, 씨디(CD: compact disk),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k)를 예로 들 수 있는 광학식 디스크, 및 엠디(MD: mini disk)를 예로 들 수 있는 자기-광학식 디스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장치에서, 무선주파수 신호가 송신기 또는 수신기 회로(chain)를 통해 전파될 때 상기 무선주파수 신호는 강한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드디스크의 독출 헤드는 자기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독출 헤드의 코일에 가해진다. 외부의 전자기장 또는 무선주파수 신호는 데이터의 독출/기록을 제어하는 독출 헤드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의 전자기장은 하드디스크와 이동식 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훼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드디스크가 정확하게 기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독출 헤드가 부정확한 트랙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독출 또는 기록의 오류로 귀결될 수 있는 것이다.
통신장치 내의 하드디스크를 둘러싸는 차폐물(shielding)을 향상시킴에 의하여 외부의 전자기장으로부터 하드디스크가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폐물은 사용자 장비의 중량 및 가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물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가 상기 하드디스크로 전파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해결방안으로서는 전자기파의 발생원을 최소화시킴에 의하여 하드디스크를 보호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주파수 모듈(RF module) 내에서 무선주파수 신호를 적절하게 차폐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인쇄배선기판(printed wired board; PWB) 상에서의 상호연결과 불완전한 지면(ground plane)때문에 언제나 가능한 것은 아닐 것이다. 또한 안테나로부터의 라디오통신신호의 송신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기장도 하드디스크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허공보 US 6,023,390 에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magnetic disk drive)의 액츄에이터에서의 알고리즘(algorithm)에 의한 편중력 교란(bias force disturbance) 및 런아웃 교란(runout disturbance) 보상이 기술되어 있다. 편중력 교란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의 유연한 특성에 의하여 야기된다. 런아웃 교란은 디스크의 횡방향으로의 불규칙성(irregularity)에 의하여 야기되는데, 이것은 디스크의 중심이 스핀들 모터 축(spindle motor axle)과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또는 디스크의 장착에 결함이 있는 때에 발생될 수 있다.
하드디스크 및 다른 기억장치의 외부의 전자기장으로부터의 보호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장치 내의 다양한 기억장치(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하는 해결책으로 이어질 것이다. 특히 개선된 보호는, 장비의 크기 및 중량이 중요한 이동식 사용자 장비에서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기기(device) 내의 기억장치(memory)의 제어 작동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기억장치의 외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장에 관한 작용 정보(activity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독출과 기억장치에의 데이터 저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통신장치 내에서 기억장치의 외부에 있는 전자기장에 관련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 기억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기억장치로의 데이터 저장 및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은 상기 외부의 전자기장에 관련된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기억장치, 상기 기억장치의 외부에 있는 전자기장에 관련된 통신장치, 상기 외부의 전자기장에 관련된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된, 상기 기억장치로의 데이터 저장 및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을 포함하는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억장치는 자기적 기억장치, 광학적 기억장치, 또는 자기-광학적 기억장치일 수 있다. 그러한 기억장치들로서는 하드디스크, 씨디(CD), 디브이디(DVD), 엠디(MD), 에스아이엠(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엠엠씨(MMC: multimedia memory card)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변형예들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하드디스크 및 다른 기억장치의 외부의 전자기장으로부터의 보호가 개선된다. 이것은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장치 내의 다양한 기억장치(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하는 해결책으로 이어진다. 특히 개선된 보호는, 장비의 크기 및 중량이 중요한 이동식 사용자 장비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예들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으로서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통신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하드디스크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 신호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자기장과 같이 기억장치의 외부에 있는 외부 전자기장에 관련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자기적, 광학적, 또는 자기-광학적 기억장치를 통신장치 내에 배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무선주파수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기장이 존재하는 때의 외부 전자기장을 고려하여 실시예들이 제안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억장치의 독출 헤드의 작동은 외부 전자기장이 존재하는 때, 예를 들어 통신장치가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때에, 중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항력(counter force)에 의하여 외부 전자기장에 대한 보상(compensation)이 생성될 수 있는데, 상기 대항력은 독출 헤드 위치제어부에 가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독출 헤드 배치시스템의 제어값 변경이 상기 보상을 할 수 있다. 상기 기억장치 내에서 외부 자기장을 보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내부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드디스크의 독출 헤드는 대기 영역(parking area)과 같이 알려진 안전한 위치로 구동될 수 있다. 대기 영역은 하드디스크가 회전하지 않거나 또는 하드디스크를 작동시키는 전압이 차단(shut down)된 때에 사용된다. 대기(parking)는 독출 헤드가 디스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독출 헤드가 하드디스크 표면과 접촉하면, 하드디스크의 그 영역은 물리적으로 손상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도 1 에는 라디오(radio) 수신 및 송신을 위한 안테나(12)를 포함하는 통신장치(1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장치(10)에는 표시부(display; 13) 및 제어버튼(14)들이 제공되어 있다. 나아가 처리장치 개체(processor entity; 15), 전기식 기억수단(16), 및 하드디스크(20)이 제공되어 있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통신장치가 도시되어 있을 뿐이다. 도 1 의 통신장치는 모바일 스테이션의 일 형태를 갖는다. 통신장치의 형태는 도 1 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라디오 수신 및 송신 수단은 통신장치의 케이싱(casing)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임의의 적합한 형태의 제어버튼이 예를 들어 통신장치의 형태, 크기, 용도에 따라 적당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다른 통신장치들 또는 사용자 단말기들은, 예를 들어 배경기술 부분에서 앞서 설명된 기기들과, 외부 전자기장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기억장치와 함께 무선주파수 신호의 근원을 포함하는 다른 통신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자기적 기억장치, 광학적 기억장치, 및 자기-광학적 기억장치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기억장치의 예로서는, 하드디스크 외에도, 씨디(CD: compact disk),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k), 엠디(MD: minidisk), 에스아이엠(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엠엠씨(MMC: multimedia memory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장은 셀방식이거나 비-셀방식인 작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셀방식 시스템의 예로서는, 지에스엠(GSM), 지피알에스(GPRS) 또는 유엠티에스(UMTS)와 같은 무선 이동식 통신시스템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비-셀방식의 무선 시스템의 예로서는, 블루투스, 무선랜(WLAN),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 에는 하드디스크(20)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독출 헤드(22)는 제어 메카니즘(24)의 자기 코일에 자기장을 유도시킴에 의하여 조종된다. 상기 제어 메카니즘(24)의 자기 코일은 독출 헤드(22)를 회전 디스크(26)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독출 헤드(22)는 회전 디스크(26)의 표면에 있는 자기 물질의 극성을 바꾸는 소형 코일을 포함한다. 외부의 전자기장이 상기 독출 헤드(22) 또는 제어 메카니즘(24)의 자기 코일에 자기장을 유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 간섭장(electrical interference field)이 헤드 위치 제어 전자 소자(head location control electronics)에 전달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어 메카니즘(24)을 구동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독출 헤드(22)에 의하여 기록되거나 독출될 데이터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도 2 에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에 기초한 독출 헤드 배치 제어부를 갖는 하드디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 코일이 자기장을 생성시키는데, 이것이 독출 헤드를 원하는 위치로 구동한다. 상기 독출 헤드 위치는 자기장의 강도에 관련된다.
상기 독출 헤드 배치는 다른 방식으로도 행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스텝 모터(step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독출 헤드의 위치가 스텝 모터의 제어에 관련된다. 그러한 다른 제어 시스템도 외부의 전자기장에 대해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신호(32)는 기억 수단(16) 내에 있는 적절한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장치 개체(15)로 전해질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 개체(15)는 하드디스크(20)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장치 개체(15)는, 안테나(12) 또는 다른 송신 및 수신 수단에 연결된 무선주파수 모듈(RF module; 17)이 작동할 때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power level)을 초과하여 송신할 때를 인지한다. 상기 처리장치 개체(15)는 기저대역(base band) 신호(34)에 의하여 인지할 수도 있다. 상기 기저대역 신호는 송신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송신 온/오프(ON/OFF), 송신 파워 레벨, 송신 타이밍, 및 송신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주파수 모듈(17)이 작동할 때, 데이터 신호(32) 내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기억 수단(16)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주파수 모듈이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외부 전자기장이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 미만인 적당한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는 처리장치 개체(15)에 의하여 상기 기억 수단(16)으로부터 하드디스크(20)로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주파수 모듈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34)는 직접 하드디스크(20)로 전해질 수 있다. 상기 하드디스크(20)는 이들 무선주파수 상태 표시 신호를 보상 또는 제어의 목적의 입력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 제어 및 상태 정보도 데이터 신호의 포맷으로 하드디스크로 전송될 수 있다.
지에스엠(GSM) 과 같은 시간 동기식(time synchronized)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 내의 무선주파수 모듈이 작동하는 때, 즉 무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때를 쉽게 판정할 수 있다. 무선주파수 송신은, 예를 들어 무선주파수 모듈이 작동할 때 또는 상기 송신이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하여 이루어질 때 하드디스크의 독출과 기록의 작동을 방지함에 의하여, 하드디스크의 독출 및 기록 활동과 다중화(multiplex)될 수 있다. 상기 방지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 수단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지는 단순히 무선주파수 모듈이 작동할 때 독출 및 기록 작동을 중지시킴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과 같은 비펄스(non-pulsed)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패킷이 비펄스 방식으로 송신 및 수신되고, 그 송신은 연속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독출 및 기록 작동은 연속적인 출력 무선주파수 신호를 고려하도록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무선주파수 모듈이 작동하지 않아서 상기 하드디스크의 외부에 추가적인 전자기장이 생성되지 않는 때에는, 상기 독출 및 기록 헤드를 배치시키기 위하여, 자기장에 의하여 야기되는 제1 세트(set)의 힘 값(force value)들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 모듈이 작동하는 때에는, 그 무선주파수 신호에 의하여 야기되는 간섭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2 세트의 힘 값들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세트의 힘 값들은 상기 독출 헤드가 하드디스크의 트랙 중 바른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세트의 힘 값들은 조정에 의하여 결정되어져서 색인표(look-up table)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정은, 예를 들어 통신장치의 제조 중에 수행될 수 있다. 기기의 무선주파수 모듈 자체의 송신에 의하여 하드디스크의 독출 및 기록에 대해 가해지는 영향은 제조 중에 연구될 수 있다. 송신 파워 레벨이 변경되고 독출 및 기록 작동이 수행된다. 실제의 독출 헤드 위치가 상기 색인표에 저장되는데, 이것은 송신 파워 레벨 정보 및 추가적인 내부 자기장 값, 즉 상기 독출 헤드를 바른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자기 코일에 인가될 필요가 있는 제2 세트의 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통신장치의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설정함에 의하여, 추후에 색인표가 통신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장치는 하드디스크에 송신의 온/오프, 송신 파워 레벨, 송신 타이밍, 또는 송신 주파수를 알려 줄 수 있다. 만일 송신 중에 독출 또는 기록 작동이 수행되고 그 작동이 실패하면, 통신장치는 새로운 독출 또는 기록 작동이 수행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로서, 음성 호(voice call)에서 지에스엠(GSM) 송신이 수행되는 때, 송신 버스트(transmission burst)가 서로 4ms(millisecond) 떨어져서 발생할 수 있다. 지에스엠(GSM) 900 시스템에서는, 최대 송신 파워가 +33 dBm (decibel compared to milliwatt)와 동등한 2W 이다. 지에스엠(GSM)에서는 이동식 전화기의 이동 송신 파워 레벨이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변화한다. 송신 파워는 30 dB 를 초과하여 변화할 수 있다. 한편,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시스템에서는, 송신이 언제나 온(on) 상태이지만, 송신 레벨이 1초에 1600 회 바뀔 수 있다.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시스템에서의 최대 송신 레벨은 +21 dBm 와 동등한 125 mW 일 수 있다. 이들과 같은 예시적인 경우에서, 지에스엠(GSM) 송신은 하드디스크 독출 헤드 위치를 매우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고,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송신은 하드디스크 독출 헤드 위치를 일정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송신 파워 레벨은 대략 70 dB 정도 변화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파워 레벨은 하드디스크 작동에 유해하지만, 최저의 송신 파워 레벨은 하드디스크 작동에 유해하지 않다.
지에스엠(GSM) 및 더블유씨디엠에이(WCDMA) 의 조합과 같이 조합된 송신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통신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시스템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들을 배경으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와 교시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로 이동식 통신장치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외부의 전자기 간섭에 의하여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 다른 형태의 통신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송신 주파수, 송신 타이밍, 및 파워 레벨 정보는, 자체 무선주파수 송신에 의하여 야기되는 외부 간섭에 대해 보다 강건하고 제거가능한 메모리 카드(memory card)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자기적, 광학적, 또는 자기-광학적 기억장치와 같은 기억장치의 제어 작동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의 액세스를 위한 무선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고 기억장치를 갖는 통신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0: 통신장치
12: 안테나
13: 표시부
14: 제어버튼
15: 처리장치 개체(processor entity; 15)
16: 전기식 기억수단(16)
20: 하드디스크(20)

Claims (36)

  1. 기억장치의 외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장에 관한 작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장치에의 데이터 저장 및 상기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자기적 기억장치, 광학적 기억장치, 및 자기-광학적 기억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독출/기록 헤드 배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하드디스크, 씨디(CD: compact disk),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k), 엠디(MD: minidisk), 에스아이엠(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엠엠씨(MMC: multimedia memory card)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독출/기록 헤드 배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통신장치의 송신 및 수신 수단으로부터의 무선주파수 신호 및/또는 통신장치의 송신 및 수신 수단으로의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통신장치에 제공된 기억장치의 독출/기록 헤드 배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송신 또는 수신이 진행 중인가에 관한 정보, 송신/수신 파워 레벨에 관한 정보, 송신/수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 및/또는 송신/수신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작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장이 작용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한다고 나타낼 때에, 상기 기억장치로의 저장 및/또는 기억장치로부터의 독출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전기적 기억 수단 내에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작용 정보가 외부 전자기장의 작용이 없거나 또는 외부 전자기장이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 미만이라고 나타낼 때에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독출/기록 헤드(reading/writing head) 배치 제어에 가해지는 대항력(counter force)에 의하여 상기 외부 전자기장에 대한 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색인표로부터 작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색인표에 의하여 대항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단계는, 독출/기록 헤드 배치 시스템의 제어값을 변경함으로써 외부 전자기장을 위한 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색인표로부터 작용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색인표에 의하여 제어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작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장이 작용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한다고 나타낼 때에, 상기 기억장치의 독출/기록 헤드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를 위한 방법.
  14. 프로그램 코드 수단(program code mea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을 구비한, 컴퓨터에 의해 독출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전산 수단(computing means)에서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단계들 중의 임의의 것을 수행하는 것인, 컴퓨터에 의해 독출가능한 저장 매체.
  15.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외부 전자기장에 관한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장은 기억장치에 대해 외부에 있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자기적 기억장치, 광학적 기억장치, 또는 자기-광학적 기억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씨디(CD: compact disk),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k), 엠디(MD: minidisk), 에스아이엠(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엠엠씨(MMC: multimedia memory card)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장은,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이 가능한 통신장치의 송신 및/또는 수신 수단에 의하여 생성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장은 셀방식의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셀방식의 작용은 이동식 통신시스템의 작용을 포함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장은 비-셀방식의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셀방식의 작용은 블루투스 시스템, 무선랜, 또는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작용을 포함하는,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장이 작용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한다고 나타낼 때에, 상기 기억장치로의 저장 및/또는 기억장치로부터의 독출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된,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기장을 보상하기 위하여, 독출/기록 헤드 제어부에 대항력이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독출/기록 헤드 배치 시스템의 제어값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장이 작용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한다고 나타낼 때에, 상기 기억장치의 독출/기록 헤드를 미리 정해진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
  26. 제 16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장치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27. 기억장치 및 제어기(controller)를 포함하는 통신장치로서, 상기 제어기는 전자기장에 관한 작용 정보에 근거하여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기장은 기억장치에 대해 외부에 있는, 통신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 자기적 기억장치, 광학적 기억장치, 또는 자기-광학적 기억장치인, 통신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 하드디스크, 씨디(CD), 디브이디(DVD), 엠디(MD), 에스아이엠(SIM), 또는 엠엠씨(MMC)인, 통신장치.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는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무선주파수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관한 정보는, 송신 또는 수신이 진행 중인가에 관한 정보, 송신/수신 파워 레벨에 관한 정보, 송신/수신 타이밍에 관한 정보, 및/또는 송신/수신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32. 제 27 항, 제 28 항, 제 29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작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장이 작용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한다고 나타낼 때에, 상기 기억장치로의 데이터 저장 및 기억장치로부터의 데이터 독출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된, 통신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작용 정보가 외부 전자기장의 작용이 없거나 또는 외부 전자기장이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 미만이라고 나타낼 때에 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기적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
  34. 제 27 항, 제 28 항, 제 29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기장을 보상하기 위하여, 독출/기록 헤드 제어부에 대항력을 생성시키는 수단 또는 독출/기록 헤드 배치 시스템의 제어값을 변경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항력을 생성시키는 수단 또는 제어값을 변경시키는 수단은 색인표에 의하여 제어되는, 통신장치.
  36. 제 27 항, 제 28 항, 제 29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장이 작용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파워 레벨을 초과한다고 나타낼 때에, 상기 기억장치의 독출/기록 헤드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구동되도록 구성된, 통신장치.
KR1020107004509A 2004-10-27 2004-10-27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 KR20100029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04/000636 WO2006045877A1 (en) 2004-10-27 2004-10-27 Controlling operation of a memory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727A Division KR20070064679A (ko) 2007-05-23 2004-10-27 기억장치의 제어 작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160A true KR20100029160A (ko) 2010-03-15

Family

ID=3622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509A KR20100029160A (ko) 2004-10-27 2004-10-27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95978B2 (ko)
EP (1) EP1817675A1 (ko)
KR (1) KR20100029160A (ko)
CN (1) CN101048766A (ko)
WO (1) WO2006045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6973B2 (en) 2006-06-23 2009-12-01 Nokia Corporation System scheduler for mobile terminals
US7689172B2 (en) 2007-06-13 2010-03-30 Nokia Corporation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device components
JP2010224401A (ja) * 2009-03-25 2010-10-0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EP3734297A1 (en) * 2019-04-30 2020-11-04 Rohde & Schwarz GmbH & Co. KG Test or measurement instrumen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8370B1 (fr) 1995-09-06 1997-11-07 France Telecom Installation pour l'echange d'informations a distance entre un objet portatif passif et une station, objet et station correspondants
KR0176570B1 (ko) 1996-01-31 1999-04-15 김광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헤드의 리켈 및 파킹 방법
ES2116919B1 (es) * 1996-06-28 1999-04-16 Pirelli Cables Sa Sistema de identificacion de cables, en especial cables de energia o de telecomunicaciones.
KR100212988B1 (ko) 1996-06-29 1999-08-02 윤종용 액츄에이터의 외란 보상방법 및 장치
US5845195A (en) * 1996-07-17 1998-12-01 Miodownik; Saul Digital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device for insertion into floppy diskette drive
US5991700A (en) 1997-10-15 1999-11-23 Sherwood Services, A.G. EMI stability indicator for tympanic thermometer
US7274918B1 (en) * 2001-01-11 2007-09-2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nding an am radio program
JP3482469B2 (ja) 2001-05-21 2003-12-22 北海道大学長 磁気記憶素子、磁気メモリ、磁気記録方法、磁気記憶素子の製造方法、及び磁気メモリの製造方法
JP4660013B2 (ja) 2001-05-23 2011-03-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装置、画像記録媒体、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03157655A (ja) 2001-11-20 2003-05-30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045809B2 (ja) * 2002-02-08 2008-02-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4272632A (ja) * 2003-03-10 2004-09-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50266803A1 (en) * 2004-06-01 2005-12-01 Nati Dinur Apparatus and methods for adaptation of signal detection threshold of a WLA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8766A (zh) 2007-10-03
EP1817675A1 (en) 2007-08-15
US20080043361A1 (en) 2008-02-21
WO2006045877A1 (en) 2006-05-04
US7995978B2 (en)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694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nk quality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US9295004B2 (en) Duty cycling to reduce average transmit power
EP1814239B1 (en) A communic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KR100440105B1 (ko) 송신 전력 제어 장치와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장치 및 기지국 장치
US7796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up timer for high-spe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787996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nd tracking radiation emitted from mobile phones
EP21862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higher order 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A258628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transmission timing of a downlink control channel in support of enhanced uplink operation
JP4744377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EP1766804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EP2200381A2 (en) Apparatuses for channel quality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50398B1 (ko) 프리앰블을 측정하여 효과적인 슬립 주기를 결정하는와이브로 단말기 및 방법
JP2004048784A (ja) 無線電話用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EP2308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management
EP136077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51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삭제되는 슬롯 및 프레임을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KR101120330B1 (ko) 다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가진 이동국에서 통신 서비스 레벨들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한 방법
JP399310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EP1581021A1 (en) Enhanced power control for PDSCH during soft handover
EP1581855B1 (en) Optical record carrier recording apparatus
KR20100029160A (ko) 기억장치의 작동 제어
KR20070064679A (ko) 기억장치의 제어 작동
WO2012157337A1 (ja) 処理装置、充電システム、充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1597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data integrity of removable media of an electronic device
JP2001309024A (ja) 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