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8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82A
KR20100026882A KR1020080086054A KR20080086054A KR20100026882A KR 20100026882 A KR20100026882 A KR 20100026882A KR 1020080086054 A KR1020080086054 A KR 1020080086054A KR 20080086054 A KR20080086054 A KR 20080086054A KR 20100026882 A KR20100026882 A KR 20100026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ixed
magnet
movable suppor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1127B1 (ko
Inventor
강성호
백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127B1/ko
Priority to US12/385,623 priority patent/US8014091B2/en
Publication of KR2010002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유닛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배럴과,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소정의 자기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렌즈배럴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여, 자동초점조절이나 줌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 구동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전자장치 등의 카메라 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다양한 IT 기기 등에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기들이 점점 소형화, 슬림화 되면서 카메라 모듈 자체의 크기도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장치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자동초점조절(Auto-Focusing)이나 줌(Zoom)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고사양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 자동초점조절이나 줌 기능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배럴을 광축을 따라 소정 거리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렌즈배럴을 이동시킬 때 하우징과 렌즈배럴은 판스프링이나 탄성와이어 등의 탄성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이 점차 소형화 및 고화소화 됨에 따라 보다 적은 전류 입력으로 길어진 구동거리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탄성수단의 강도는 점점 작아지는 방향으로 설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수단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 렌즈배럴의 처짐과 광축 어긋남 등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렌즈배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확실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렌즈배럴의 구동에 따른 오차를 개선하여 자동초점조절이나 줌 등의 기능 수행 시 이동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구동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배럴; 및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소정의 자기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렌즈배럴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일 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와,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 부재에 대한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코일 부재와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마그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 닛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와,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자기력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자성 부재와,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상기 제1지지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는 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볼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볼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된 볼 부재가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 중 다른 한 면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 중 상기 마그네트가 구비된 쪽의 반대쪽에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재는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코일 부재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각 위치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코일 부재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각 위치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과 일체를 이루는 이동유닛이 고정유닛에 대해 자기력에 의해 지지되면서 광축 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이 자동초점조절이나 줌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 구동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유닛의 고정유닛에 대한 이동이 볼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여 구동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홀 센서에 의해 이동유닛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 도면에 도시된 것은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소 과장되거나 실제와는 다소 다르게 나타 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한 구동력으로 렌즈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때 마그네트는 일정한 자기장을 형성하며 코일은 그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므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일정한 힘을 받게 된다.
그 힘에 의해 렌즈모듈을 이동시키면서 자동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타입의 카메라 모듈을 이른바 VCA(Voice Coil type Actuator) 카메라 모듈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마그네트의 역할을 마그네트 부재가 하며, 상기한 코일의 역할을 코일 부재가 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부재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과, 고정유닛(20), 그리고 이동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유닛(20)은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이동유닛(30)은 상기 고정유닛(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렌즈배럴(31)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초점조절(Auto Focusing) 또는 줌(Zoom)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배럴(3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구조물로서 이동유닛(20)과 한몸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유닛(20)은 하우징(10)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지지부재(21)와, 상기 고정지지부재(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성 부재(23)와, 상기 고정지지부재(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코일 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30)은 상기 렌즈배럴(31)과 결합되어 또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이동지지부재(32)와, 상기 이동지지부재(32)의 상기 고정지지부재(21)와 마주보는 쪽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유닛(30)의 마그네트 부재(33)와 상기 고정유닛(20)의 코일 부재(24)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일 부재(24)의 후면 쪽에 상기 자성 부재(23)가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33)가 상기 자성 부재(23)에 대해 자기력이 작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지부재(21)의 상기 이동지지부재(32)와 마주보는 쪽에는 수용홈(22)을 마련하여 상기 코일 부재(24)가 상기 수용홈(22)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22)에는 상기 마그네트 부재(33)와 마주보도록 홀 센서(25)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코일 부재(24)는 상기 홀 센서(25)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재(21)와 상기 이동지지부 재(3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지지부재(21)의 상기 이동지지부재(32)와 마주보는 면은 제1지지면(21a)이고, 상기 이동지지부재(32)의 상기 고정지지부재(21)와 마주보는 면은 제2지지면(32a)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면(32a)에 가이드 홈(34)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홈(34)에 볼 부재(35)가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볼 부재(35)가 상기 제1지지면(21a)에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부재(32)가 이동할 때 상기 볼 부재(35)는 상기 제1지지면(21a)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 홈(34)은 상기 볼 부재(35)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지지면(32a)에 가이드 홈(34)을 구비하고 볼 부재(35)가 수용되도록 하여 제1지지면(21a)과 접촉되는 구성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1지지면(21a)에 가이드 홈(34)을 마련하고 볼 부재(35)가 수용되도록 하여 제2지지면(32a)에 상기 볼 부재(35)가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동유닛(30)이 광축을 따라 위로 이동하는 경우를, 도 3은 이동유닛(30)이 광축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재(32)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부재(33)의 자기력은 고정지지부재(21)에 구비되는 자성 부재(23)에 작용하여 마그네 트 부재(33)를 자성 부재(23) 쪽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이동지지부재(32)가 고정지지부재(21)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 부재(33)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여하한 부재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자성 부재(23)는 금속 등과 같이 자기력에 의해 마그네트 부재(33)로 이끌릴 수 있는 모든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 부재(33)가 자성 부재(23)를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지지부재(32)는 고정지지부재(2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부재(32)의 제2지지면(32a)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34)에 수용되는 볼 부재(35)는 그 일부가 가이드 홈(34)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지지부재(21)의 제1지지면(21a)에 밀착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지지면(21a)과 상기 볼 부재(35)의 접촉 마찰에 의해 상기 볼 부재(35)는 회전한다.
상기 볼 부재(35)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한다.
한편, 고정지지부재(21)의 수용홈(22)에 구비되는 코일 부재(24)는 마그네트 부재(33)와 서로 전기자기적 영향력을 주고 받으며 이동지지부재(32)가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마그네트 부재(33)에서 제공되는 자기력과 코일 부재(2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 로렌츠 힘이 발생되어 이동지지부재(32)가 이 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재(21)의 수용홈(22)에 구비되는 홀 센서(25)는 마그네트 부재(33)로부터 자기력을 제공받아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이동지지부재(32)가 이동하면서 마그네트 부재(33)의 각 위치마다 홀 센서(25)에서는 각각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이동지지부재(32)가 정확하게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이동지지부재(32)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 부재(33)는 이동지지부재(32)의 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 길게 구비되고, 마그네트 부재(33)의 각 부분마다 자기장이 다르게 발생하므로 홀 센서(25)에서도 마그네트 부재(33)의 각 위치마다 다른 신호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 상한과 이동 하한에서의 홀 센서(25) 신호값을 설정하여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 시 상한과 하한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서 그 구간마다 홀 센서(25)의 신호값을 설정하여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이 각 구간별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면 단면 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도 하우징(10)과, 고정유닛(20), 그리고 이동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유닛(20)은 고정지지부재(21)와 마그네트 부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유닛(30)은 이동지지부재(32)와 자성 부재(37), 코일 부재(38) 그리고 홀 센서(3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렌즈배럴(31)은 이동지지부재(3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지지부재(32)에는 수용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자성 부재(37), 코일 부재(38), 그리고 홀 센서(39)가 상기 수용홈(36) 내에 고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마그네트 부재가 이동지지부재(32)에 구비되는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마그네트 부재가 고정지지부재(21)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자성 부재, 코일 부재, 그리고 홀 센서가 고정지지부재(21)에 구비되는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이동지지부재(32)에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 부재(26)는 고정지지부재(21)의 이동지지부재(32)의 수용홈(36)과 마주보는 쪽에 구비되고, 코일 부재(38)와 홀 센서(39)는 상기 마그네트 부재(26)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자성 부재(37)는 코일 부재(38)로부터 전방부 쪽에 구비되어 마그네트 부재(26)의 자기력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지지부재(21)와 상기 이동지지부재(3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지지부재(21)의 상기 이동지지부재(32)와 마주보는 면은 제1지지면(21a)이고, 상기 이동지지부재(32)의 상기 고정지지부재(21)와 마주보는 면은 제2지지면(32a)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21a)에 가이드 홈(27)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홈(27)에 볼 부재(28)가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볼 부재(28)가 상기 제2지지면(32a)에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지지부재(32)가 이동할 때 상기 볼 부재(28)는 상기 제2지지면(32a)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 홈(27)은 상기 볼 부재(28)의 회전을 가이드 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면(21a)에 가이드 홈(27)을 구비하고 볼 부재(28)가 수용되도록 하여 제2지지면(32a)과 접촉되는 구성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2지지면(32a)에 가이드 홈(27)을 마련하고 볼 부재(28)가 수용되도록 하여 제1지지면(21a)에 상기 볼 부재(28)가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마그네트 부재(26)가 자성 부재(37)를 자기력에 의해 끌어당김으로써 이동지지부재(32)가 고정지지부재(21)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부재(26)와 코일 부재(38) 사이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이동지지부재(32)는 광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홀 센서(39)는 마 그네트 부재(26)의 각 위치마다 다른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에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 작용 효과에 관하여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동유닛(30)이 광축을 따라 위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이동유닛(30)이 광축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면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유닛;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배럴; 및
    상기 고정유닛에 대해 소정의 자기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렌즈배럴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일 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와,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 부재에 대한 자기력에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코일 부재와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마그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와,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자기력 의해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자성 부재와,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코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상기 제1지지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을 지지하는 볼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볼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볼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된 볼 부재가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 중 다른 한 면과의 접촉 저항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 중 상기 마그네트가 구비된 쪽의 반대쪽에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 위치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는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코일 부재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각 위치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상기 마그네트 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코일 부재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트 부재의 각 위치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80086054A 2008-09-01 2008-09-01 카메라 모듈 KR100961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54A KR100961127B1 (ko) 2008-09-01 2008-09-01 카메라 모듈
US12/385,623 US8014091B2 (en) 2008-09-01 2009-04-14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54A KR100961127B1 (ko) 2008-09-01 2008-09-01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82A true KR20100026882A (ko) 2010-03-10
KR100961127B1 KR100961127B1 (ko) 2010-06-07

Family

ID=4172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54A KR100961127B1 (ko) 2008-09-01 2008-09-0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14091B2 (ko)
KR (1) KR1009611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036A (ko) * 2014-04-25 2015-11-05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US10175449B2 (en) 2012-10-11 2019-01-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13020A (ko) * 2017-02-08 2020-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11262593B2 (en) 2017-02-08 2022-03-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72934A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1379A3 (en) * 2009-12-15 2011-08-03 Dialog Imaging Systems GmbH Camera module having a low-friction movable lens
US20110215889A1 (en) * 2010-03-05 2011-09-08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Stabilized ball bearings for camera lens
KR101095108B1 (ko) * 2010-03-23 2011-12-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8282398B2 (en) * 2010-04-30 2012-10-09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Energy transfer via rolling elements of rolling-element bearings
US8320756B2 (en) 2010-08-10 2012-11-27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Single actuator configuration for a camera module
JP5932295B2 (ja) * 2011-11-01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1285412B1 (ko) * 2011-12-21 2013-07-19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KR101588951B1 (ko) * 2014-04-16 201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US9438802B2 (en) * 2014-05-30 2016-09-06 Apple Inc.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libration
JP3200481U (ja) 2015-02-26 2015-10-22 株式会社Est レンズ駆動装置
JP6708471B2 (ja) * 2016-04-21 2020-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波モータ及び振動波モータが搭載された光学機器
US10082640B2 (en) * 2016-05-24 2018-09-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ual stage actuator
KR102587749B1 (ko) * 2016-08-24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자동 초점 조절 가능한 전자 장치
KR101823272B1 (ko) * 2016-12-01 2018-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767958B2 (ja) 2017-10-10 2020-10-14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EP3751324A3 (en) * 2019-06-14 2021-03-31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136A (en) * 1993-06-17 1997-01-07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magnet apparatu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exposure of camera using the same
JP4403609B2 (ja) * 1998-12-11 2010-01-27 株式会社ニコン ブレ補正装置及び光学装置
KR100466508B1 (ko) 2004-03-08 2005-01-15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US7131740B2 (en) * 2004-03-17 2006-11-07 Olympus Corporation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0591819B1 (ko) 2004-05-11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전자석을 이용한 카메라의 줌잉 기능을 가진 렌즈체 및그를 이용한 카메라폰
US7528885B2 (en) * 2005-02-07 2009-05-05 Ensky Technolog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ens rotation positioning structure
JP4955356B2 (ja) 2006-09-20 2012-06-20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レンズ移動装置
KR100790717B1 (ko) 2007-01-23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카메라모듈 패키지
JP2008203402A (ja) * 2007-02-19 2008-09-04 Konica Minolta Opto Inc センサ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522428B2 (ja) 2007-05-01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影装置及び観察装置
US8363324B2 (en) 2008-01-10 2013-01-29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Lens positioning system
KR100950917B1 (ko) * 2008-08-06 2010-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5449B2 (en) 2012-10-11 2019-01-0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24036A (ko) * 2014-04-25 2015-11-05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KR20200013020A (ko) * 2017-02-08 2020-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210043541A (ko) * 2017-02-08 2021-04-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11262593B2 (en) 2017-02-08 2022-03-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44927A (ko) * 2017-02-08 2022-04-1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72934A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센서 시프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127B1 (ko) 2010-06-07
US8014091B2 (en) 2011-09-06
US20100053784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127B1 (ko) 카메라 모듈
KR102400386B1 (ko) 줌렌즈용 구동장치
US11719997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898227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handshaking correcting device
US9726862B2 (en) Lens assemblies and actuators for optical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9494769B2 (en) Multi-lens imaging module and actuator with auto-focus adjustment
KR102350710B1 (ko)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2163416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00209439A1 (en) Optical system
KR20160012455A (ko) 카메라 모듈
KR101314178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70051928A (ko) 카메라 모듈
KR20190101762A (ko) 카메라 모듈
KR102561934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WO2011068115A1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EP3748428B1 (en) Camera module
US11899274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20210014875A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015966A (ko)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1112933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KR20210041947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17644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KR20200035522A (ko) 렌즈 구동장치
JP4527051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