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845A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845A
KR20100026845A KR1020080086008A KR20080086008A KR20100026845A KR 20100026845 A KR20100026845 A KR 20100026845A KR 1020080086008 A KR1020080086008 A KR 1020080086008A KR 20080086008 A KR20080086008 A KR 20080086008A KR 20100026845 A KR20100026845 A KR 20100026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unit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건우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845A/ko
Publication of KR2010002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1 입출력부(100)와,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2 입출력부(200)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갱신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대기화면을 갱신함으로써 현재 시각 및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상태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 전자종이, e-paper, 대기화면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Portable device and display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반도체 분야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 및 이용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 의해 촉발된 디지털 컨버전스는 각종 미디어 및 정보통신 환경 전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컨버전스는 디지털 방송, 인터넷, 모바일 등의 확장을 통해 가전, 통신, 방송, 기타 서비스업 등이 융합(converge)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음성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DMB의 시청, MP3 파일의 재생, 사진촬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부(display unit)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된 정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정보 및 사용자입력에 따른 정보 등을 시각적 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디지털 컨버전스의 최근 경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기능은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표시부는 CRT(cathode ray tude) 디스플레이장치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유비쿼터스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이의 장점과 전자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결합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플라스틱 기판 위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반사형의 쌍안정성(bistable) 표시소자가 올라가는 형태의 전자종이가 개발되었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버튼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스틱 또는 손의 접촉으로 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입력 방식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오프(OFF)한 상태에서는 현재의 시각,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상태 및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부를 통해 현재의 시각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전력의 과다한 소모가 발생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오프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현재의 시각,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상태 또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출력부를 통해 현재의 시각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1 입출력부와,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2 입출력부와,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 및 제 2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부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갱신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측정하여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용량산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방전 예상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현재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부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는 메인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설정부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d)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갱신된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방전 예상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에 비해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대기화면을 갱신함으로써 현재 시각 및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상태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현재 전원상태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전력소모 없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 1 입출력부(100)와 제 2 입출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각각 제 1 터치패널(110) 및 제 2 터치패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안정 및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기장 제거시의 투과 상태에 따라 구분된다. 즉, 상기 단안정 방식은 전기장의 제거시 최종적으로 인가한 전기장 신호에 관계없이 언제나 한가지의 투과도만을 보이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기 쌍안정 방식은 전기장의 제거시 최종적으로 인가한 전기장 신호에 따라 검정색 및 흰색의 두가지 투과도를 보이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e-paper, electronic paper)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자종이는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쌍안정성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각각 제 1 컨트롤 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비디오화면을 재생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는 후술할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각각에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비하여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1 컨트롤러(1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또는 전자문서를 재생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데이터의 기록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부(40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쉬 메모리, PRAM(Phase-change RAM), FRMA(Ferro-electric RAM), 그리고 MRAM(Magneto-resistive RAM)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는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되어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되는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ID3 태그정보, 가사정보 및 관련기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음악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 중인 음악의 곡명, 작곡가, 가수 등의 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곡명, 작곡가, 가수 등의 정보는 ID3 태그정보에 포함된 곡 해설정보로부터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부(100)는 가사정보와 인기순위, 방송출연 등의 신문기사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비디오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자막정보, 영화정보 및 관련기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영화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 중인 영화의 제목, 감독, 출연자, 시놉시스 등을 포함하는 영화정보와 자막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영화의 인기순위, 관객동원 등과 관련된 신문기사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이미지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EXIF(exchageable image file format)정보 및 사용자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사진이 재생 중인 경우, 상 기 사진의 카메라 및 렌즈 정보, 촬영날짜, 노출시간, 플래시 사용 여부 등의 EXIF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메시지로 구성되는 사용자입력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은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비디오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한다는 것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재생되거나 또는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최초로 검출된 관련정보 데이터로부터 최종적으로 검출된 관련정보 데이터까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누적하여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음악가사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는 음악가사 등의 정보를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하는 것이다.
상기 순차적으로 누적된 관련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송출되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관련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재생한다.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전자문서의 형태로 재생되는 상기 관련정보는 하나의 페이지에 순차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각각 하나의 페이지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한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1 컨트롤러(1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문서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및 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전자신문 등의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전자신문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흑백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서 재생할 수 없는 컬러 이미지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제 2 입출력부(200)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신부(500)는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에 밑줄이 표시된 하이퍼링크 객체정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어를 검색어로 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링크 대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헤더 부분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메인입출력부를 설정하는 메인설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는 서브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입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전자문서의 재생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재생명령에 대응하는 메인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입출력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 상기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지 아니한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설정되는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은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메인입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예컨대,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설정된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한다. 이때,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 이동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하여 일대 일로 대응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 정면 및 배면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서브입출력부 터치스크린 상의 점들은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면 대칭에 의한 점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즉, 사용자에 의한 특정 위치에 대한 입력은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의 면 대칭에 해당하는 지점의 입력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 이동은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상대적으 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서브입출력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입력의 상대적인 위치 및 속도에 따라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입출력부를 통한 화면의 재생을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상기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만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될 때에 한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사용자명령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중력감지센서(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력감지센서(610)는 중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중력감지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중력을 이용하여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측의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 력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반대 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 2 입출력부(2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패널(110)을 통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조도감지센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도감지센서(620)는 조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조도가 더 높은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조도감지센서(620)에 의해 감지된 조도를 이용하여 조도가 더 높은 측의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지면을 향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반대 측에 형성되며, 지면을 향하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측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제 2 입출력부(2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2 입출 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패널(110)을 통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카메라센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사용자의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가 형성되는 면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형상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사용자측을 향하고 있는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형성되는 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센서(63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사용자측을 향하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터치패널(210)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외 선센서에 의해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입력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650)가 수신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에 버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버튼에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점들과 터치스크린 상의 점들이 각각 일 대 일로 대응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의 입력장치이다. 반면에, 터치패드는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커서를 움직이는 입력장치이다. 상기 터치패드는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점들과 일 대 일로 대응되는 방식에 의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터치입력부에의 접촉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우측면 및 좌측면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우측 손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경우, 상기 우측면에 형성된 터치입력부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또한, 사용자가 우측 손으로 상기 좌측면에 형성된 터치입력부를 접촉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입출력부(2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상태 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 정보 또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된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되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더라도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대기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인가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갱신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한다.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은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기 직전의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변화된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이 갱신된 이후, 상기 제어부(300)는 다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은 용량산출부(800)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용량산출부(800)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측정하여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용량산출부(80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의 잔여용량과 상기 산출된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이용하여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을 막대, 눈금, 도형 형태의 그래픽이미지와 함께 시간을 단위로 한 숫자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는 타이머부(900) 및 메모리부(40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부(900)는 현재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사용자스케줄 정보와 상기 타이머부(900)에 의한 현재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현재 시각과 함께 시각에 따른 사용자스케줄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가 서브입출력부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서브입출력부로 설정된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원종료 신호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또는 배터리의 전기용량이 모두 소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의 인가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최종적인 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하 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원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대기화면을 갱신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현재 전원상태를 알 수 있고, 현재 시각에 따른 스케줄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은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 1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00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 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종이는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쌍안정성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 1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대기모드에 진입시킨다(S110). 여기서, 상기 대기모드는 특정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입출력부의 화면에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현재 시각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설정모드를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S120). 여기서,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하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 정보 또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은 막대, 눈금, 도형 형태의 그래픽이미지와 함께 시간을 단위로 한 숫자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됨을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현재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30). 이때, 상기 대기화면에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14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더라도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고, 따라서 상기 제 2 입출력부에의 인가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상기 대기화면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력소모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은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200).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에는 제 2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 200 단계를 재수행한다.
다음으로, 제 2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대기모드에 진입시킨다(S210). 이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에의 전원 인가를 중단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S220).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 정보 또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의미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30). 이때, 상기 대기화면에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24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제 26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50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어서, 제 25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갱신한다(S26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은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기 직전의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변화된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에는 상기 대기모드에 진입하기 직전의 배터리 잔여용량과 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용량과 시각정보를 재검출하여 갱신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1분으로 설정되면, 상기 대기화면은 매 1분을 주기로 갱신되어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상기 갱신된 대기화면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70).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원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대기화면을 갱신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현재 전원상태를 알 수 있고, 현재 시각에 따른 스케줄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은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300). 이때,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 3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00 단계를 재수 행한다.
다음으로, 제 3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대기모드에 진입시킨다(S310).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 정보 또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대기모드에 진입시키는 것은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의 인가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최종적인 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S320).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은 그래픽이미지 또는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현재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시각은 타이머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스케줄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스케줄이 입력된 해당 날짜가 되면 상기 대기화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30). 이때, 상기 대기화면에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34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이때,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제 36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350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어서, 제 35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갱신한다(S36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은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기 직전의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변화된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갱신된 대기화면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370).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현재 상태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 1 입출력부 110: 제 1 터치패널
120: 제 1 컨트롤러 200: 제 2 입출력부
210: 제 2 터치패널 220: 제 2 컨트롤러
300: 제어부 400: 메모리부
500: 통신부 600: 메인설정부
610: 중력감지센서 620: 조도감지센서
630: 카메라센서 650: 사용자입력부
700: 변환부 800: 용량산출부
900: 타이머부

Claims (20)

  1.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1 입출력부와;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2 입출력부와;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 및 제 2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부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갱신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측정하여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용량산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방전 예상시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현재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부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는 메인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설정부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a)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b)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d)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갱신하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갱신된 대기화면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방전 예상시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 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제 1 입출력부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에 비해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20080086008A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KR20100026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08A KR20100026845A (ko)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008A KR20100026845A (ko)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845A true KR20100026845A (ko) 2010-03-10

Family

ID=4217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008A KR20100026845A (ko) 2008-09-01 2008-09-01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8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40B1 (ko) * 2012-09-19 2014-06-13 김민수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840B1 (ko) * 2012-09-19 2014-06-13 김민수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2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15230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unit in the mobile terminal
US66339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dium
TWI519957B (zh) 用以提供原生及非原生顯示實用程式之應用程式編程介面
US20120098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pages in e-book reader
US11233895B2 (en) Automatic wallpaper sett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00048139A1 (en) Battery power consumption control
US9235266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vibrating section which vibrates depending on reproduction position
CN110149557B (zh) 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WO2020192299A1 (zh) 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5630355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WO2021008295A1 (zh) 小程序的制作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3257821A (zh) 图像显示设备中改变字幕属性的装置和方法
CN112416485A (zh) 信息引导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40127856A1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600301B (zh) 消息处理方法及装置
US20100053108A1 (en) Portable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13619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JP2007198994A (ja) 電子機器
CN113986574A (zh) 评论内容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00026845A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CN111312207A (zh) 文本转音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26846A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
CN108965990B (zh) 控制音高线移动的方法和装置
CN108664421B (zh) 获取多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