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499A -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499A
KR20100026499A KR1020080085525A KR20080085525A KR20100026499A KR 20100026499 A KR20100026499 A KR 20100026499A KR 1020080085525 A KR1020080085525 A KR 1020080085525A KR 20080085525 A KR20080085525 A KR 20080085525A KR 20100026499 A KR20100026499 A KR 20100026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ce image
sub
area
image data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249B1 (ko
Inventor
김인수
최홍석
전석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249B1/ko
Priority to US12/424,738 priority patent/US8928748B2/en
Priority to CN2009101461019A priority patent/CN101662583B/zh
Publication of KR2010002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CCTV 등과 같은 감시 카메라 등을 비롯한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획득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에서 움직임영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움직임영역이 존재할 시 그 사실을 알려주는 기능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움직임영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움직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노이즈가 발생한 부분을 움직임영역으 로 확인하거나, 배경 물체의 배치가 바뀐 뒤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움직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배경 물체의 변경된 배치로 인하여 배치가 변경된 부분을 움직임영역으로 확인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영역 확정부는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영역은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서브배 경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영역 확정부가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며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며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의 평균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 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와, 제1차이이미지의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제1평균 획득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와,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와, 제2차이이미지의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제2평균 획득부와,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서브영역을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움직임영역 확정부가 사전설정 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는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는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c2)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영역은 움 직임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c3)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며, 상기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의 평균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1)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a2)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 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a3)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와, (b1)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b2)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b3)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와, (c1)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서브영역을 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c2)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c3)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2) 단계는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 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b2) 단계는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배경영역과 움직임영역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촬영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디지털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 및 움직임영역 확정부(59)를 구비함으로써, 시간이 흐름에 따라 디지털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움직임영역의 존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 및 움직임영역 확정 부(59)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 및 움직임영역 확정부(59)를 구비하고 있으면 족하다.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 및 움직임영역 확정부(59)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디지털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디지털 파일로부터 디지털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디지털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등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 소자(30),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 및 움직임영역 확정부(59)를 구비하면 족하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 및 움직임영역 확정부(59)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3a는 기준이미지(RI)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일 프레임이미지(FI1)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c는 다른 일 프레임이미지(FI2)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기준이미지(RI)라 함은 추후 움직임영역의 존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즉, 추후 획득한 프레임이미지에서의 피사체의 위치가 기준이미지(RI)에서의 피사체의 위치와 상이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움직임영역으로 확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레임이미지(FI1)를 획득하게 되면, 기준이미지(RI)와 비교할 시 의자가 사라졌으므로 의자가 사라진 부분을 음직임영역으로 확정하게 된다. 한편, 의자가 사라진 이후 피사체의 배치에 변함이 없다면 추후 계속해서 도 3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프레임이미지(FI1)를 획득하게 된다. 이 경우 실제로는 더 이상 아무런 움직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와 비교할 시에는 계속해서 의자가 사라진 부분을 움직임영역으로 확정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후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문이 열린 것으로 나타나는 프레임이미지(FI2)를 획득할 시, 실제로는 문이 움직인 부분만이 움직임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기준이미지(RI)와 프레임이미지(RI2)를 비교하게 되면 의자가 사라진 부분과 문이 열린 부분 모두를 움직임영역 으로 확정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레임이미지들만을 비교할 시에는 일 프레임이미지에 노이즈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러한 노이즈가 발생한 부분도 움직임영역으로 확정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레임이미지들만을 비교할 시 피사체의 휘도 등이 배경의 휘도 등과 유사할 경우에는 움직임영역을 정확하게 확정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가 있는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레임이미지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이며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레임이미지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라 한다면,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가 기준이미지(RI)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며, 움직임영역 확정부(59)가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RI)가 있는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자가 사라진 후 피사체의 배치에 변화가 없었다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문이 열렸다면, 실제로는 문이 열린 것이 움직임에 해당하므로 문이 열린 부분을 움직임영역으로 확정할 수 있어야 한다. 제 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가 획득한 제1차이이미지는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기준이미지(RI)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1차이이미지이므로, 문이 열린 부분과 의자가 사라진 부분을 움직임영역의 대상으로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가 획득한 제2차이이미지는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제2차이이미지이므로, 문이 열린 부분을 움직임영역의 대상으로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 사이의 차이에는 노이즈에 의한 차이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노이즈가 존재하는 부분 역시 움직임영역의 대상으로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움직임영역 확정부(59)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에서의 움직임을 문이 열린 부분만으로 정확하게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영역 확정부(59)는,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영역은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한다.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는 현재 프레임이지미(FI2)와 기준이미지(RI) 사이의 차이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데이터인 바, 결국 제1차이이미지에서 일 화소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는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기준이미 지(RI)의 대응하는 화소들 간의 데이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부분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기준이미지(RI)에 있어서 큰 변화가 없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상적인 경우라면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기준이미지(RI)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부분은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0으로 나타나야 할 것이지만 노이즈 등에 의해 0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부분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기준이미지(RI)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부분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변화가 없는 부분이라 함은 움직임이 없는 부분, 즉 배경영역을 의미한다. 도 3a와 도 3c에 있어서는 문이 열린 부분과 의자가 사라진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배경영역으로 판단될 것이다.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다면, 그 부분이 움직임영역인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큰 부분은 도 3a와 도 3c에서는 문이 열린 부분과 의자가 사라진 부분인 바, 실제로는 문이 열린 부분만이 움직임영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다. 이 경우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첫째,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이다.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는 현재 프레임이지미(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 사이의 차이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데이터인 바, 결국 제2차이이미지에서 일 화소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는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의 대응하는 화소들 간의 데이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부분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에 있어서 큰 변화가 없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상적인 경우라면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부분은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0으로 나타나야 할 것이지만 노이즈 등에 의해 0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부분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에 있어서 변화가 없는 부분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변화가 없는 부분이라 함은 움직임이 없는 부분을 의미하는데, 이를 서브배경영역이라 정의한다. 도 3b와 도 3c에 있어서는 의자가 사라진 부분이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될 것이다.
둘째,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경우이다.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부분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움직임영역으로 판단될 것이다.
물론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고려함 없이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만 고려하여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부분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노이즈 등에 의해 실제 움직임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움직임영역 을 확정하는 조건을 부가한 후, 이에 더하여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움직임영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므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만을 분석하였을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즉,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만을 분석하였을 시 노이즈에 의해 책상 부분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크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에서는 책상 부분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아야 해당 부분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할 것이다. 노이즈는 일반적으로 랜덤하게 분포하게 되므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에서의 노이즈 효과가 발생하는 부분은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에서의 노이즈 효과가 발생하는 부분과 상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차이이미지에서 노이즈가 책상 부분에서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제1차이이미지에서도 노이즈가 책상 부분에서 발생할 확률은 낮다. 이에 따라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고려하게 되면 움직임영역 확정에 있어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만을 고려할 시의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움직임영역 확정부(59)가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준이미지와 비교하여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레임이미지를 계속해서 반복하여 획득할 경우, 의자가 사라진 부분은 계속해서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의자가 사라진 부분은 움직임영역이 아니므로 이를 서브배경영역이 아닌 배경영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나아가 움직임영역 확정부(59)가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필요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가 아닌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지를 기준이미지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함에 있어서 화소단위로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비교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기준이미지(FI)에 관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준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와 같이 기준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한다. 예컨대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의 평균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랜덤하게 분포하므로,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면 그러한 노이즈에 의한 효과를 0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노이즈에 의한 잘못된 결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기준이미지 외에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 역시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한다.
그 후,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는 기준이미지(FI)와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는, 현재 프레임이미지(FI2)와 이전 프레임이미지(FI1)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움직임영역 확정부(59)는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움직임영역을 확정한다. 움직임영역 확정부(59)의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으나, 다만 비교대상이 서브영역 단위의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움직임영역 확정부(59)가 움직임영역을 확정함에 있어서 화소 단위의 데이터를 고려하는 경우보다 고려할 데이터의 양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디지털 촬영장치의 하드웨어의 사양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움직임영역을 효과적으로 확정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거치고,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물론 S10 단계와 S20 단계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으며 또한 동시에 병렬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이를 통해 정확하게 움직임영역을 확정할 수 있다.
S30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영역은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논리적 배경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물론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를 블록화하여 처리할 데이터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도 있다. 즉, S10 단계 및 S20 단계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예컨대 도 4 참조),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한다. 그리고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은 예컨대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의 평균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와 상이한 점은,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 제1평균 획득부(53),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56) 및 제2평균 획득부(57)를 더 구비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 제1평균 획득부(53),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56) 및 제2평균 획득부(57) 역시 디지털 신호처리부(5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디지털 신호처리부(50)의 일부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1),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55)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는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랜덤하게 분포하므로,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면 그러한 노이즈에 의한 효과를 0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노이즈에 의한 잘못된 결과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차이이미지(DI1)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한다. 도 7b는 도 7a의 제1차이이미지(DI1)의 일 서브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b에서는 SA1으로 표시된 부분이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위치하는 부분이고, SA2로 표시된 부분이 0인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는 예컨대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서브영역(SA)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SA1에 속하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SA)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한다. 물론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는 각 서브영역에 있어서 제1사전설정값을 결정한다. 제1평균 획득부(53)는 제1차이이미지의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한다.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56)는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와 유사하게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한다. 예컨대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56)는,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평균 획득부(57)는 제2차이이미지의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한다.
움직임영역 확정부(59)는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서브영역을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 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는 제1사전설정값과 제2사전설정값이 일정한 상수로 결정되어 있다. 제1사전설정값 및/또는 제2사전설정값을 크게 설정할 경우, 기준이미지, 이전 프레임이미지 및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휘도차가 크지 않거나, 움직임영역이 실제로 발생하였으나 움직임영역과 배경영역의 휘도차가 크지 않거나, 움직임영역이 실제로 발생하였으나 제1차이이미지 또는 제2차이이미지에서 그 움직임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데이터 크기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는 실제로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사전설정값 및/또는 제2사전설정값을 작게 설정할 경우, 실제로는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 제1사전설정값과 제2사전설정값을 상황에 따라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52)와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56)가 결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1사전설정값과 제2사전설정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각 서브영역의 제1사전설정값과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비교하고, 각 서브영역의 제2사전설정값과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비교하는 바, 제1차이이미지와 제2차이이미지에서 전체적인 휘도의 차이가 크다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과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 역시 크게 되고, 제1차이이미지와 제2차이이미지에서 전체적인 휘도의 차이가 작다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과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 역시 크게 작게 되므로, 움직임영역을 판별함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값(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과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능동적으로 변화시켜 움직임영역의 존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각 서브영역의 제1사전설정값을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기준수치와 비교한다면 실제로는 움직임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이 큼에도 불구하고 각 서브영역의 제1사전설정값을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기준수치와 비교한다면 실제로는 움직임영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움직임영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경우에는 그러한 잘못된 결과에 이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움직임영역 확정부(59)가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거친 후,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S12)를 거치고,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S14)를 거친다.
한편,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20)와,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S22)와,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S24)도 거치는데, S10 내지 S14 단계를 거친 후 S20 내지 S24 단계를 거칠 수도 있고, S20 내지 S24 단계를 거친 후 S10 내지 S14 단계를 거칠 수도 있으며, S10 내지 S14 단계와 S20 내지 S24 단계를 병렬적으로 거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 후,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단계(S30)를 거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서브영역을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한다. 물론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S12 단계는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유사하게 S22 단계는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움직임영역 확정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매체(70)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60)일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기준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b는 일 프레임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c는 다른 일 프레임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기준이미지에 관한 기준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준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a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1차이이미지의 일 서브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렌즈 11: 렌즈 구동부
20: 조리개 21: 조리개 구동부
30: 촬상소자 31: 촬상소자 제어부
40: A/D 변환부 50: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메모리 71: 저장/판독 제어부
70: 저장매체 81: 디스플레이 제어부
80: 디스플레이부 100: CPU
200: 조작부

Claims (17)

  1.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영역 확정부는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영역은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서브배경영역 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영역 확정부가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며,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며,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는,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의 평균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6.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
    제1차이이미지의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제1평균 획득부;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 획득부;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제2사전설정값 결 정부;
    제2차이이미지의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제2평균 획득부; 및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서브영역을 배경영역으로 판단하고,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며,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영역 확정부가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전설정값 결정부는,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 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사전설정값 결정부는,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9. (a)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와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이미지에서의 움직임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c2)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큰 영역은 움직임영역 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c3) 제1차이이미지에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1사전설정값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에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가 제2사전설정값보다 작은 영역은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시,
    상기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를 각각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를 처리한 값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며,
    상기 기준이미지, 현재 프레임이미지 및 이전 프레임이미지의 상호 대응하는 서브영역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 및 복수개의 서브영역들을 갖는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 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서브영역 내의 데이터의 평균을 해당 서브영역의 데이터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4. (a1) 기준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1차이이미지에 관한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a2)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a3)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
    (b1) 현재 프레임이미지와 이전 프레임이미지 사이의 차이인 제2차이이미지에 관한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b2)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이 차지하는 비율 또는 상기 비율을 처리한 값과,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b3)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단계;
    (c1)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서브영역을 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c2)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c3) 제1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1사전설정값이 제1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크고 제2차이이미지의 서브영역들 중 제2사전설정값이 제2사전설정값들의 평균보다 작은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개수의 프레임이미지들에 걸쳐 일정한 영역을 서브배경영역으로 판단할 시 해당 서브배경영역을 배경영역의 일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제1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1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이며,
    상기 (b2) 단계는 제2차이이미지를 복수개의 서브영역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영역에서 0이 아닌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를 갖는 픽셀들의 개수와,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차이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또는 상기 평균을 처리한 값과의 곱을, 해당 서브영역에서의 제2사전설정값으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영역 확정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80085525A 2008-08-29 2008-08-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29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525A KR101299249B1 (ko) 2008-08-29 2008-08-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2/424,738 US8928748B2 (en) 2008-08-29 2009-04-16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computer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CN2009101461019A CN101662583B (zh) 2008-08-29 2009-06-12 数字照相设备、控制该数字照相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525A KR101299249B1 (ko) 2008-08-29 2008-08-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499A true KR20100026499A (ko) 2010-03-10
KR101299249B1 KR101299249B1 (ko) 2013-08-22

Family

ID=4172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525A KR101299249B1 (ko) 2008-08-29 2008-08-29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28748B2 (ko)
KR (1) KR101299249B1 (ko)
CN (1) CN1016625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249B1 (ko) * 2008-08-29 2013-08-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6191160B2 (ja) * 2012-07-12 2017-09-06 ノーリツ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14178739A (ja) * 2013-03-13 2014-09-2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545229B2 (ja) * 2017-08-23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11762A (zh) * 2017-12-27 2018-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89695A (zh) * 2019-02-27 2019-06-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区域确定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92353B (zh) * 2020-01-21 2023-12-19 成都恒创新星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状态变化识别方法
CN113596315A (zh) * 2020-04-30 2021-11-02 鸿富锦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动态场景补偿的拍照方法及摄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859B1 (ko) 1993-08-20 1998-04-10 배순훈 적응적인 영상부호화 제어장치
JP4168490B2 (ja) * 1998-09-03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動き判定装置、その方法および画像情報変換装置
KR100619377B1 (ko) * 2000-02-22 2006-09-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JP4840630B2 (ja) * 2001-06-27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TW582168B (en) * 2002-03-01 2004-04-01 Huper Lab Co Ltd Method for abstracting multiple moving objects
JP4053858B2 (ja) * 2002-09-30 2008-0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信号読出し方法
KR100455294B1 (ko) * 2002-12-06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시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검출 방법, 움직임 검출 방법및 사용자 검출 장치
KR100481538B1 (ko) * 2003-05-19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경영역 변화검출장치 및 방법
JP4375080B2 (ja) * 2004-03-29 2009-12-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002471A1 (en) * 2004-06-30 2006-01-05 Lippincott Louis A Motion estimation unit
JP4476723B2 (ja) * 2004-07-14 2010-06-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6059252A (ja) * 2004-08-23 2006-03-02 Denso Corp 動き検出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車両用監視システム
KR101058019B1 (ko) * 2004-11-10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디스플레이 모드가 수행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639995B1 (ko) * 2005-06-14 2006-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 정합 기반의 고속 움직임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EP1916538A3 (en) * 2006-10-27 2011-02-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Target moving object tracking device
CN100579174C (zh) * 2007-02-02 2010-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运动检测方法和装置
US8300697B2 (en) * 2007-05-10 2012-10-30 Allgo Embedded Systems Private Limited. Dynamic motion vector analysis method
KR101271092B1 (ko) * 2007-05-23 2013-06-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실시간움직임 영역 분할 방법 및 장치
KR101299249B1 (ko) * 2008-08-29 2013-08-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272631B1 (ko) * 2011-06-24 2013-06-10 (주)비앤에스미디어 이동물체 감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8748B2 (en) 2015-01-06
US20100053321A1 (en) 2010-03-04
CN101662583A (zh) 2010-03-03
CN101662583B (zh) 2012-12-26
KR101299249B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249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103136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high dynamic range image data
EP3745704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output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769800B2 (en) Moving object detec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moving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090089071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1713864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映像撮影装置、映像記録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141849A (ja) 主顔選択装置、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8207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image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US107645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110828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apparatus
JP201203402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19285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imag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180220113A1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5610106B1 (ja) 撮像装置の異物情報検出装置および異物情報検出方法
US115758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30259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95314B2 (ja) フリッカ補正装置及びフリッカ補正方法
JP2011211523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撮影装置
US8542302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JP2010079815A (ja) 画像補正装置
KR101396353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20230164436A1 (e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15966B1 (ko) 카메라의 전자 이미지 안정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69561B1 (ko) 노이즈 제거에 사용되는 임계값 결정 장치 및 방법
JP202215830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