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252A -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252A
KR20100025252A KR1020080083945A KR20080083945A KR20100025252A KR 20100025252 A KR20100025252 A KR 20100025252A KR 1020080083945 A KR1020080083945 A KR 1020080083945A KR 20080083945 A KR20080083945 A KR 20080083945A KR 20100025252 A KR20100025252 A KR 2010002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taking
medication
schedul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은
최재훈
김대희
방선리
박수준
박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8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252A/ko
Priority to US12/410,508 priority patent/US20100057250A1/en
Publication of KR2010002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 형태로 포장된 약에 대한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 복용 스케줄 및 약 복용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고, 약 복용 스케줄 및 약 복용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고, 약 복용 스케줄 요청에 따라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전송하는 복약 관리 서버; 및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을 표시하고 수납된 상기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배출하고,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시스템을 가정, 병원 또는 요양 기관에서 체계적인 복약 관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사 및 간병인과 가족이 환자의 복약에 근거한 복약 대상 환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지속적이고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서버, 약 복용 지원 장치, 수납부, 봉지약 배출부, 프로세스부, 약 복용 스케줄, 약 복용 알림.

Description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pparatus for supporting medication and method for supporting medication in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복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약 관리 시스템에서 봉지 형태로 포장된 약에 대한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6-S-007-03, 과제명: 유비쿼터스 건강관리용 모듈 시스템].
만성질환 환자에 있어 지속적 복약 관리는 질병의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하지만, 고령자의 경우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별도의 복약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실제 정확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 인하여 계획적인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 되어왔다.
기존의 복약 관리를 위한 기술은 약상자들에 약복용 시간을 알리는 형태 즉, 약을 날짜 또는 시간대로 구분되는 칸에 수납하고, 지정된 시간에 시간을 알리는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조제약들이 위생 등의 이유로 봉지약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봉지약을 수용한 복약 관리 방법이 필요한데, 이러한 봉지약의 복용 지원을 위해 종래에는 봉지약을 단순 수납할 수 있는 기술만이 개발되어 있다. 따라서 봉지약의 약 복용 시간 알림 및 복용 여부 판별 등의 관리를 위한 기술이 필요게 되었다.
한편,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게 위해 종래에는 저항을 이용한 특수 전기 저항 장치를 약봉지에 내장하여 약 봉지를 뜯을 경우 복용으로 판단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는 전기 장치가 내장된 봉지를 생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기존의 봉지약을 그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렬로 연속되어 봉지에 포장된 약을 수납하여 개별 봉지 단위로 약의 복용 시간을 알리고, 봉지약을 배출 후 약 복용 완료를 복약 관리 서버에 알리기 위한 복약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복약 관리 시스템은, 약 복용 스케줄 및 약 복용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고, 약 복용 스케줄 요청에 따라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전송하는 복약 관리 서버; 및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을 표시하고 수납된 상기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배출하고,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약 복용 지원 장치는,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하는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 동기화를 제어하고,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지약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부; 상기 복약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약 복용 스케줄의 동기화 및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에 공급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봉지약 배출부; 및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은,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는 단계;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하는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동기화를 통해 수신된 해당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을 알리는 단계; 상기 수납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단계; 및 배출된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복용할 봉지약을 배출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시스템을 가정, 병원 또는 요양 기관에서 체계적인 복약 관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사 및 간병인과 가족이 환자의 복약에 근거한 복약 대상 환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지속적이고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된 형태로 봉지로 포장된 약의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약 복용 지원 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복약 관리 시스템은 약상자 형태의 약 복용 지원 장치(100)와, 복약 관리 서버(200)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 사용자의 휴대폰과 연결된 메시지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기존 통신사나 문자메시지(SMS) 호스팅 업체의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봉지약을 수납하여 약복용 알림 및 약 배출을 수행하며, 수납부(110), 봉지약 배출부(120), 프로세서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일렬로 연결된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수납하며, 두루마리(A) 또는 접힌 상태(B)에서 넣기 위한 덮개(111)가 형성되고, 본체와 결합하여 봉지약 배출부(120)로 봉지약을 전달하기 위한 수납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된 봉지약은 중간에 끊김이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봉지약 배출부(120)는 수납부(110)로부터 봉지약을 공급받아 지정된 시간에 1개 단위로 자동으로 봉지약을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봉지약 배출부(120)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대기실(121), 자동 이송기(122), 회전 지지부(123), 절단기(124), 배출 분리기(125), 배출구(126) 및 미복용 약실(127)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수납부(110)가 본체에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스위치 센서(12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약 대기실(121)은 삽입된 봉지약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129)를 포함한다. 자동 이송기(122)는 롤러 또는 벨트의 형태 및 이를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로 형성되며, 약 대기실(121)에 봉지약이 삽입됨에 따라 자동으로 약봉지를 이송한다. 회전 지지부(123)는 롤러 또는 벨트를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두꺼운 약이 롤러 또는 벨트에 걸릴 경우 탄력적으로 롤러 또는 밸트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절단기(124)는 자동 이송기(122)로부터 출력되는 약봉지를 절단하고, 배출 분리기(125)는 절단된 약봉지를 배출구(126) 또는 미복용 약실(127)로 분리한다. 이러한 봉지약 배출부(120)의 약 배출 동작은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부(130)는 표시부(15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약복용 알림 시간을 계산하고, 봉지약 배출을 제어하고, 복용 완료 송신 등을 상황에 따라 판단하 는 메인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와, 약복용 스케줄, 약복용 완료 여부, 약복용 완료에 대한 서버 동기화 여부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부(130)는 복약 관리 서버(200)와, 약복용 스케줄 동기화 제어, 약의 유무 판단 및 이를 위한 약 대기실(121) 내의 센서(129) 제어, 시간 유지 및 스케줄 시간에 대한 약 복용 시간 판단, 약복용 알림을 위한 알림 표시부 제어, 약복용 여부 판단, 약 배출 조절, 입력부(140)의 모드 선택에 의한 외출 상황의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케줄 및 복용 여부는 첨부된 도 4에 나열된 정보를 기본으로 표현하며, 여기에 '복용 완료에 대한 서버 동기화 여부'와 '외출 모드' 여부가 각각 'Yes' 또는 'No'의 값을 가지는 필드로 추가되고, 기본적으로 복약 관리 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복약 관리 서버(200)의 IP 주소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약 복용 지원을 위한 모드 즉, 스케줄 동기화 취소, 스케줄 취소, 약배출, 외출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며, 이 외에 약상자의 상황별 상태 선택 및 복약 관리 서버(200)에 대한 설정 등을 위한 메뉴의 탐색 및 설정 버튼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시각 및 청각을 통하여 약복용 알림 상황을 전달하기 위한 LCD 또는 LED, 스피커로 구성되며, 복용 시간이 되면 유색 LED 점멸로 약복용이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고,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LCD를 통해 약복용 시간, 약복용 방법, 약 성분 등의 텍스트 메시지를 출력한다.
통신부(160)는 직접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유무선 랜, 모뎀 또는 가정 내 건강관리 셋탑박스와 지그비(Zigbee)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약복용 스케줄을 복약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약복용 스케줄에 따른 복약 결과(약 정보의 동기화 및 약복용 여부 등)를 복약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한편, 복약 관리 서버(200)는 약복용 스케줄 및 약 복용 여부를 저장 및 편집하며,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복용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해당 데이터베이스(210)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220), 약복용 스케줄을 약 복용 지원 장치(100)에 전송하고 복용 여부를 통보받는 동기화 모듈(230), 특정 약 복용 지원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스케줄을 송신하고 해당 약 복용 지원 장치(100)로부터 약 복용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240) 및 약 복용 여부를 단문 메시지로 발송하기 위한 메시지 발송 모듈(2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40)은 고유의 메시징 프로토콜을 갖는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0) 저장되는 약 복용 관리 정보는 복약 관리 대상이 되는 환자의 약 복용 스케줄과 해당 스케줄에 대한 약 복용 여부, 약 복용 지원 장치(100) 및 사용자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일 예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210)의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211) 및 스케줄 테이블(2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테이블(211)은 사용자 ID, 사용자 이름, 약 복용 지원 장치의 ID, 복용 대상 휴대폰 번호, 간병인 휴대폰 번호 필드로 구성된다. 스케줄 테이블(212)은 약 복용 지원 장치 ID, 알림 시작시간, 알림 종료시간, 복용법 및 지시사항, 약복용 여부, 스케줄 타입 필 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약 관리 서버(200)는 약 복용 지원 장치(100)로부터 약 복용 스케줄을 요청받으면,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100)에 대한 약 복용 스케줄을 '약상자 ID, 알림 시작시간, 알림 종료시간, 복용법 및 지시 사항, 스케줄 타입' 의 리스트 형태로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약 복용 스케줄은 알림 시간이 빠른 순서대로 정렬되어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약 복용 지원 장치(100)에서의 봉지약 배출부(120)의 약 배출 동작에 대해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수납부(110)를 본체에 장착하면, 수납부(110)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수납된 봉지약은 순차적으로 약 대기실(121)로 삽입된다. 즉, 수납부(110)는 봉지약의 시작부분을 약 대기실(121)의 이동로를 따라 밀어 기준 지점까지 봉지약을 삽입한다. 이후, 자동 이송기(122)가 약 대기실(121)에 대기하고 있는 봉지약을 절단 지점까지 이송한 후 절단 지점에서 봉지약을 일시적으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절단기(124)는 고정된 봉지약을 절단 지점에서 자동으로 절단한다. 이때, 배출 분리기(125)는 지정된 상황에 따라 봉지약을 상하로 움직여 봉지약 배출부(120) 내에서 배출 방향을 결정하여 이동시킨다. 즉, 배출 분리기(125)는 사용자가 약 복용을 위해 약 배출 버튼을 눌러 입력부(140)로부터 약 배출 신호가 수신되면 배출구(126)를 통해 외부로 봉지약을 배출한다. 반면, 상기 절단된 봉지약을 유효시간 내에 복용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메뉴를 통해 스케줄 취소를 선택한 경우 미복용 약실(127)로 상기 절단된 봉지약을 이송하여 보관한다. 여기서 상기 유효시간은 약 복용 지정 시간부터 일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나, 다음 약복용 시간 직전 등으로 알림 정책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복용 약실(127)에 복용하지 않은 봉지약을 보관하면 특정 시간에 복용해야 할 약이 정확한 시간에 복용되지 않고 다음 복용 스케줄에 배출되어 잘못된 약을 복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미 복용 약실(127)에는 덮개가 형성되어 내부의 약을 일괄적으로 수거,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복약 관리 시스템에서의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전원이 켜지거나, 본체에 수납부(110)가 장착되면, 약 복용 스케줄을 점검한 후 복약 관리 서버(200)와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약 복용 스케줄 동기화가 완료되면, 1102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기존의 스케줄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현재 약 대기실(121)에 적재된 봉지약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약 대기실(121)에 약이 적재되어 있지 않으면, 1103단계에서 표시부(150)로 약 없음 메시지를 전송하여 표 시부(150)에 약 없음을 표시하거나 알람을 발생하도록 한다. 반면, 약 대기실(121)에 약이 적재되어 있으면, 1104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가장 빠른 약 복용 스케줄에 대해 약 복용 알림 시간인지를 확인하여 알림 시간이 아닌 경우 1105단계에서 일정 시간을 대기한 후 다시 1101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약 복용 스케줄에 대한 약 복용 시간 알림은 2종류가 있다. 약 복용 스케줄은 알림 시작시간과 알림 종료시간으로 구성되는데, 시작시간 이후부터 종료시간 이전까지 약을 복용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Ontime'알림과, 종료시간 이후부터 약상자에 설정된 제한 시간까지 약을 복용할 시간이 지났음을 알리는 'Overtime' 알림으로 구분된다.
반면, 약 복용 알림 시간인 경우, 1106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표시부(150)로 약 복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약 복용 시간임을 표시하거나 알람을 발생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약 복용 알림 메시지는 상기 2 종류의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알림 상황을 2단계로 구분하여 전달되는데, 이를 위해 프로세서부(130)에서는 현재시간과 약 복용 스케줄 시간을 비교하여 상황에 따라 2단계의 메시지를 구분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50)를 확인하여 약을 복용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부(140)의 약 배출 버튼을 누른다.
1107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프로세서부(130)에서 입력부(140)로부터 사용자의 약 배출 버튼 누름에 따른 약 배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상기 약 배출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1108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약 대기실(121)에 대기된 봉지약을 자동 이송기(122)를 통해 이송하고, 이송된 봉지약을 절단기(124)를 통해 절단한 후 배출구(126)를 통해 절단된 봉지약을 배출한다. 여기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가 약 배출 버튼을 눌러 약을 배출하고 나면, 약 복용 완료 상태를 판단하여 완료된 경우 봉지약을 배출구(126)를 통해 외부로 배출 후 해당 봉지약의 스케줄에 대해 상기 비화발성 메모리에 복용 완료를 기록한다.
반면, 약 배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약을 미복용한 상태이므로 약 복용 지원 장치는 1105단계에서 일정시간(유효시간) 대기한 후 다시 110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봉지약 배출부(120)의 배출 분리기(125)는 절단된 봉지약을 미복용 약실(127)로 전달한다. 여기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가 약을 미복용하여 약 복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활성 메모리에 해당 봉지약의 미복용을 기록한다.
한편, 알림 종료시간으로부터 지정된 제한 시간이 경과되거나 다음 스케줄 시간이 되면 약복용 알림을 표시하지 않고 약 배출 버튼 눌림 여부에 상관없이 약 배출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약 배출 과정은 스케줄의 타입에 따라 배출 절차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조재된 약은 성분이 봉지마다 모두 동일하여 순서에 상관없이 복용할 수 있는 순서 유동형 약과, 아침, 점심, 저녁 등 매번 복용할 약의 성분이 구분되어 반드시 복용 순서가 지켜져야 하는 순서 고정형 약이 있다. 상기 순서 유동형의 약은 약을 먹지 않고 스케줄을 건너뛸 경우 다음 스케줄에 같은 약을 복용해도 문제가 없으므로 스케줄이 경과한 경우에도 약을 상기와 같이 미복용 약실(127)로 배출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순서 고정형의 약은 약을 먹지 않고 스 케줄을 건너뛸 경우(즉, 점심약을 먹지 않은 상태에서 저녁 약을 먹을 시간이 된 경우) 경과된 스케줄에 해당하는 약이 상기와 같이 미복용 약실(127)로 배출되어야 한다.
1109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복약 관리 서버(200)와 접속하여 약 복용 여부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는 약 복용 완료 메시지를 복약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이전의 약 복용 스케줄 중에서 복용 완료 여부가 전송되지 않은 약 복용 스케줄이 있을 경우 해당 약 복용 스케줄도 같이 복약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만약, 복약 관리 서버(200)와의 접속이 실패하면, 상기 비활성 메모리에 해당 약 복용 스케줄에 대한 서버 연동 기록을 미완료로 표시하여 다음 접속 시 연동이 미 완료된 약 복용 스케줄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1110단계에서 모든 봉지약이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모든 약이 배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1101단계를 진행하여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모든 약이 배출된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모든 스케줄 완료 후 남은 약에 대해서는 자동절단 없이 일괄적으로 미복용 약실(127)로 배출되도록 일괄 배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약 봉지 지원 장치(100)는 봉지약 배출 시 약봉지가 장치에 걸리거나 끼는 등의 이유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상황을 표시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봉지약 수납부(110)를 본체에서 탈거하고, 봉지약을 재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서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약 복용 스케줄 동기화를 위해 복약 관리 서버(200)와 접속하여 우선적으로 시간을 수신하여 동기화한 후, 1202단계에서 프로세서부(130)에서 복약 관리 서버(200)로 복용 대상 환자에 대한 약 복용 스케줄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복약 관리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상기 요청한 약복용 스케줄을 약 복용 지원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1203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복약 관리 서버(200)로부터 약 복용 스케줄을 수신한다.
1204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비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이 있는지 확인하여 없는 경우에는 1205단계에서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에 상기 수신된 약 복용 스케줄을 저장한 후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이 있는 경우 1206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과 상기 수신된 약 복용 스케줄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일치하지 않는 경우 1207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스케줄 연동 오류 메시지를 표시부(150)로 전송하여 스케줄 연동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1208단계에서 스케줄 연동 오류 메시지를 복약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복약 관리 서버(200)는 스케줄 연동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여 스케줄 관리자에게 오류 발생을 알려서 약 복용 스케줄을 조정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1209단계에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동기화 취소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에 의해 동기화 취소가 입력되면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1201단계로 진행하여 서버측의 편집 또는 사용자에 의해 스케줄 목록이 갱신되거나 동기화를 명시적으로 취소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의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내에 약 복용 스케줄을 저장하므로 전원이 꺼지더라도 약 복용 스케줄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다시 전원이 켜진 후 서버 연결의 오류 등으로 약 복용 스케줄이 동기화되지 않더라도 기존에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대로 약 복용 지원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가 가정에 있지 않고 외출할 경우에도 약복용 알림 서비스를 지속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부(150)의 LCD를 통해 외출 모드를 선택하고, 외출 시 가져갈 약의 개수를 선택하면, 약 복용 지원 장치(100)는 지정된 수만큼의 약봉지가 배출하고, 해당 약에 대한 스케줄들을 외출 모드로 변경한다. 외출 모드의 스케줄에 대해서는 약의 유무에 상관없이 해당 스케줄의 알림 시간을 판단하여 알림 시간일 경우 복약 관리 서버(200)의 메시지 발송 모듈(250)을 이용하여 약 복용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약에 대한 복용을 완료하면, 복약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약 복용 알림 메시지에 응답으로 복용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약 복용 스케줄을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지원 장치의 봉지약 배출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서버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5)

  1. 약 복용 스케줄 및 약 복용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고, 약 복용 스케줄 요청에 따라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전송하는 복약 관리 서버; 및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을 표시하고, 수납된 상기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배출하고,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 서버는,
    상기 약 복용 스케줄 및 상기 약 복용 지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와 약 복용 스케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화 모듈;
    상기 약복용 스케줄을 편집하는 편집 인터페이스; 및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로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전송하고,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로부터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에 따른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 서버는,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에 따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발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외출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로부터 약을 배출 받아 휴대한 경우, 약 복용 알림 시간이 되면 상기 약 복용 지원 장치로부터 요청을 받아 약 복용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답장을 받아 상기 외출 모드에 따른 약 복용 스케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시스템.
  5.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는 수납부;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하는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 동기화를 제어하고,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 시간을 판단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지약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부;
    상기 복약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약 복용 스케줄의 동기화 및 상기 봉지약의 복용 여부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에 상기 공급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봉지약 배출부; 및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약 배출, 약 복용 스케줄 취소 또는 외출 모드를 선택받아 해당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부로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약 배출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대기시키는 약 대기실;
    상기 약 대기실에 대기한 봉지약을 자동으로 이송하고, 절단선 부분에서 상기 봉지약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자동 이송기;
    상기 고정된 봉지약을 절단하는 절단기; 및
    상기 절단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약 배출부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황에 따라 상기 절단된 봉지약의 배출 방향을 결정하는 배출 분리기; 및
    상기 절단된 봉지약을 지정된 시간 내에 복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절단된 봉지약을 보관하는 미복용 약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
  9. 제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약 대기실에 대기하고 있는 봉지약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약이 없을 경우 상기 표시부로 약 없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
  10. 조재된 봉지약을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납하는 단계;
    약 복용 스케줄을 관리하는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동기화를 통해 수신된 해당 약 복용 스케줄에 따라 약 복용 알림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을 알리는 단계;
    수납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단계; 및
    배출된 봉지약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외출 모드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외출 시 휴대할 약의 개수만큼 상기 수납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약 복용 알림 시간이 되면, 사용자 휴대폰으로 약 복용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약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시간을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수신하는 단 계; 및
    상기 수신된 해당 약 복용 스케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관리 서버와의 약 복용 스케줄을 동기화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해당 약 복용 스케줄과 상기 미리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해당 약 복용 스케줄과 상기 미리 저장된 약 복용 스케줄이 일치하지않는 경우 스케줄 연동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연동 오류 메시지를 상기 복약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된 봉지약을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된 봉지약을 순차적으로 대기시키는 단계;
    상기 약 복용 알람 시간이 되면, 대기되어 있는 봉지약을 이송하여 절단선 부분에서 절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약 복용 배출 버튼을 눌러 약 복용 배출 신호가 수신되면 절단된 봉지약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유효 시간 경과 또는 상기 약 복용 스케줄을 취소하는 경우 상기 절단된 봉지약을 미복용 약실에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모든 약 복용 스케줄 완료 후 남은 약이 존재하면, 모든 남은 약을 자동절단 없이 일괄적으로 상기 미복용 약실로 이송하여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지원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KR1020080083945A 2008-08-27 2008-08-27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KR20100025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45A KR20100025252A (ko) 2008-08-27 2008-08-27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US12/410,508 US20100057250A1 (en) 2008-08-27 2009-03-25 Dosage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medicine-taking ser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edicine-taking ser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945A KR20100025252A (ko) 2008-08-27 2008-08-27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52A true KR20100025252A (ko) 2010-03-09

Family

ID=4172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945A KR20100025252A (ko) 2008-08-27 2008-08-27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57250A1 (ko)
KR (1) KR201000252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07B1 (ko) * 2012-10-18 2015-03-18 (주)제이브이엠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137381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처방약 자동 배출 및 복약 관리 기능을 갖는 트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1630A1 (en) * 2005-11-14 2012-04-26 Kantilal Kasan Daya Pharmaceutical packaging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me
US20140108027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20140114471A1 (en) * 2012-10-18 2014-04-24 Jvm Co., Ltd.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TW201438700A (zh) * 2013-04-12 2014-10-16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自動取藥機與自動取藥之系統與方法
WO2015060296A1 (ja) * 2013-10-22 2015-04-3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配薬支援システム
CN104843410B (zh) * 2014-12-31 2017-05-03 上海趣医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适于与外部终端设备结合的智能药盒
DE102019134447A1 (de) * 2019-12-16 2021-06-17 CompWare Medical GmbH modulare EDV im Gesundheitswe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rreichung einer Polymedik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0551A (en) * 1995-07-26 1998-01-20 Ridgeway; Donald G. Self-medication monitoring system
US6004020A (en) * 1997-06-11 1999-12-21 Bartur; Meir Medication dispensing and monitoring system
US6289656B1 (en) * 2000-07-12 2001-09-18 Mckesson Automated Healthcare, Inc. Packaging machine
US6401991B1 (en) * 2001-02-15 2002-06-11 Kathleen H. Eannone Computer timed-locked medication container with individual compartments
US6594549B2 (en) * 2001-04-04 2003-07-15 Bruce Siegel Web-enabled medication dispenser
AU2002342196A1 (en) * 2001-05-15 2002-11-25 E-Medication Aps A medicine dispenser
US7002476B2 (en) * 2003-01-30 2006-02-21 Leap Of Faith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ompliance system
US7264136B2 (en) * 2003-08-26 2007-09-04 Concept Medical Technologies, Inc. Medication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US7963201B2 (en) * 2003-08-26 2011-06-21 Concept Medical Technologies, Inc. Medication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US7720568B2 (en) * 2003-12-19 2010-05-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ed delivery of products
US20060022806A1 (en) * 2004-08-02 2006-02-02 Auerbach David M Medicament container
US7269476B2 (en) * 2004-12-11 2007-09-11 Nitesh Ratnakar Smart medicine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07B1 (ko) * 2012-10-18 2015-03-18 (주)제이브이엠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137381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유빅스코리아 처방약 자동 배출 및 복약 관리 기능을 갖는 트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57250A1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5252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장치, 그 장치에서의 약복용 지원 방법
US20240112782A1 (en) Tracking Use of Medical Device
KR100620257B1 (ko) 의료 시스템 및 의학적 자가 치료를 위해 환자에 의해사용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7844361B2 (en) Prescription drug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US8483872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7295890B2 (en) Prescription drug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US9043015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assembly
US9600635B2 (en)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US9323897B2 (en) Medication dispenser
US10682284B2 (en) Pill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pills
US8423181B2 (en) Tablet dispenser system
US20160371462A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WO2010054205A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140277705A1 (en) Medication Compliance Monitor - Method and Apparatus
JP2006520659A (ja) 投薬情報を示しかつ配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752772A1 (en) Medical reminder and dispensing device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US20080047969A1 (en) Method for detecting pill removals from pre-sorted medicine array packs
KR20120075532A (ko) 약복용 이력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JP6021105B2 (ja) 服薬管理システム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39341A (ko) 복약 관리장치
JP2011030934A (ja) 服薬管理装置とプログラム及び服薬管理方法
WO2017069142A1 (ja) 薬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