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230A -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230A
KR20100025230A KR20080083916A KR20080083916A KR20100025230A KR 20100025230 A KR20100025230 A KR 20100025230A KR 20080083916 A KR20080083916 A KR 20080083916A KR 20080083916 A KR20080083916 A KR 20080083916A KR 20100025230 A KR20100025230 A KR 2010002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ntibacterial
mortar
mortar composition
repair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손석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비티
대신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비티, 대신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이치비티
Priority to KR2008008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5230A/ko
Publication of KR2010002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3Acid resistance, e.g. against acid air or r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 C04B2111/723Repairing reinforced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성화, 염해 및 황산염의 침식 등과 같은 각종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의 보수 후의 단면복구 및 중성화 회복, 표층 강화가 가능하고, 초기 및 장기 강도의 발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천정부분에 10mm 이상의 두께를 한번에 시공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진동 등에도 우수한 부착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수에서 발생하는 균과 황화가스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온, 대기압의 조건에서 30.0∼45.0%의 시멘트에, 5.0∼15.0%의 고로슬래그 또는 제오라이트 미분말, 5.0∼10.0%의 탄산칼슘(CaCo3) 분말, 0.2∼1.0%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0.2∼1.0%의 비닐수지(Vinyl Resin), 0.2∼1.0%의 CSA(Calcium Sulphoaluminate)계 팽창제, 1.0∼3.5%의 산화칼슘(CaO)계 팽창제, 1.0∼3.5%의 무수석고(Anhydrous Gypsum), 0.1∼0.5%의 나일론 섬유(Nylon Fiber), 0.1∼0.5%의 분산제(Dispersion Agent), 0.1∼1.0%의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 30.0∼45.0%의 규사(Silica Sand)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Anti-Bacteria and Chemical Resistance Repair Mortar Composition}
본 발명은 중성화, 염해 및 황산염의 침식, 하수에서 발생하는 황화가스에 침식 등과 같은 각종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구조체로서의 역할을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단면을 복구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동결융해, 염해, 중성화, 화학약품, 하수에서 발생하는 각종 균과 황화가스(S)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손상을 입는 열화가 일어나게 되는 바,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탈락되고 콘크리트 중의 철근이 노출되거나 내부에서 부식되어 그 내구성 및 내하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함에 따라 구조물의 사용연한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부위를 보수 또는 보강하기 위해, 열화 손상된 콘크리트를 제거하여 철근에 대한 보수 또는 보강을 실시한 후 콘크리트가 제거된 부분을 다시 원상으로 복구하기 위하여 미장 또는 뿜어붙이기에 의한 시공 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뿜어붙이기 보수공법의 모르타르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 0412339호(발명의 명칭:구조물 보수재 조성물)과, 국내 공개특허 제 2005-0032358호(발명의 명칭:조강형 수중 불분리 단면복구 시멘트 조성물), 국내 공개특허 제 2005-0032359호(발명의 명칭:단면 주입용 저수축 그라우트 몰탈 조성물), 국내 등록특허 제 0405022호(발명의 명칭:콘크리트 보수용 몰타르 조성물) 등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는 상태인 바,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뿜어붙이기 보수공법들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을 이용하는 보수방법으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 04003397호(발명의 명칭:복개천의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기술은 특수한 경우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보수 방법에 적용되는 모르타르 조성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손상을 주는 열화 요인에 대한 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제조한 것이나 하수에서 발생하는 균과 황화가스에 의한 열화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지 않은 모르타르로, 하수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는 하수박스 등의 보수에는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성화, 염해 및 황산염의 침식 등과 같은 각종 열화 현상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의 보수 후의 단면복구 및 중성화 회복, 표층 강화가 가능하고, 초기 및 장기 강도의 발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천정부분에 10mm 이상의 두께를 한번에 시공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진동 등에도 우수한 부착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수에서 발생하는 균과 황화가스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온, 대기압의 조건에서 30.0∼45.0%의 시멘트에, 5.0∼15.0%의 고로슬래그 또는 제오라이트 미분말, 5.0∼10.0%의 탄산칼슘(CaCo3) 분말, 0.2∼1.0%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0.2∼1.0%의 비닐수지(Vinyl Resin), 0.2∼1.0%의 CSA(Calcium Sulphoaluminate)계 팽창제, 1.0∼3.5%의 산화칼슘(CaO)계 팽창제, 1.0∼3.5%의 무수석고(Anhydrous Gypsum), 0.1∼0.5%의 나일론 섬유(Nylon Fiber), 0.1∼0.5%의 분산제(Dispersion Agent), 0.1∼1.0%의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 30.0∼45.0%의 규사(Silica Sand)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는 각종 유/무기 보수 재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재료의 분리도를 저감함과 더불어, 모르타르에 팽창재 및 나일론 섬유를 적용함에 의해, 기존 콘크리트와의 부착 강도 향상 및 휨강 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콘크리트의 각종 열화요인 중 특히 하수에서 발생하는 균과 황화가스의 침식에 의한 열화에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온, 대기압의 조건에서 30.0∼45.0%의 시멘트에, 5.0∼15.0%의 고로슬래그 또는 제오라이트 미분말, 5.0∼10.0%의 탄산칼슘(CaCo3) 분말, 0.2∼1.0%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0.2∼1.0%의 비닐수지(Vinyl Resin), 0.2∼1.0%의 CSA(Calcium Sulphoaluminate)계 팽창제, 1.0∼3.5%의 산화칼슘(CaO)계 팽창제, 1.0∼3.5%의 무수석고(Anhydrous Gypsum), 0.1∼0.5%의 나일론 섬유(Nylon Fiber), 0.1∼0.5%의 분산제(Dispersion Agent), 0.1∼1.0%의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 30.0∼45.0%의 규사(Silica Sand)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 고로슬래그 또는 제오라이트 미분말, 탄산칼슘(CaCo3) 분말, 아크릴수지, 비닐수지, CSA계 팽창제, 산화 칼슘(CaO)계 팽창제, 무수석고, 나일론 섬유, 분산제,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 규사를 중량 비율로 모르타르 믹서에 모두 넣고 약 2분동안 건식 상태에서 믹싱하여 얻어진다.
상기 팽창제는 모르타르의 침하 수축(Settlement Shrinkage) 및 건조 수축에 의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CSA 계 팽창제는 재령 7일까지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CaO 계 팽창재는 재령 21일까지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크릴 및 비닐 수지는 고분자 입자의 볼베어링 효과에 의해 모르타르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르타르의 점성을 높게 하여 분리를 방지하고, 자체의 부착력으로 기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휨강도 및 모르타르의 표면 경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막 형성에 의한 각종 화학물질 및 수분의 침투를 저하시키므로 중성화 방지 효과가 있고 보수 후 철근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일론 섬유는 길이가 6㎜이고 인장 강도가 800MPa 이상을 갖는 직경 20micron의 단섬유로서, 상기 모르타르의 제조시에 혼합하여 초기 수축 균열의 억제, 균열 확산 억제, 충격 파손 및 마모, 피로 하중에 대한 저항력 증대, 휨강도 및 인성을 증대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모르타르 분체입자 분산제는 나프탈렌 또는 멜라닌계의 고성능 감수제로서, 그 유효 분자가 시멘트 및 각종 분체에 흡착하여 표면전하를 증가시켜, 정전기적 반발력으로 시멘트 등 미분체 입자의 응집을 분산하고, 물이나 공기포를 해방 시켜 페이스트의 유동성을 높게 한다.
상기 방균 및 내산성(또는 내식성) 혼화제는 금속이온과 특수 무기질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방균성 혼화제로 하수에서 발생하는 균 및 황화가스와 반응하여 균질하고 내식성이 강한 금속 도막을 형성하여 균과 황화가스의 지속적인 침식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존의 유기계 방균제와는 달리 반응하여 황화텅스텐, 황화니켈 등과 같은 안정된 금속막을 형성하므로 그 효과의 지속성이 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목표 압축강도를 재령 28일에 35~55 MPa로 하고, 목표 플로우를 170±10mm로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방균 및 내산(식)성을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모르타르로 제작한 시편을 황산 5% 용액에 30일간 침적한 후의 중량변화율을 나타낸 것인 바, 동 도면과 같이 일본 동경도 하수도국시설관리부 <단면수복재의 요구성능>의 내황산성 규격치(중량변화율 -10%이내)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평균 -3.81%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플로우 경시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경시 변화에 따른 플로우 변화는, 60분의 경과 시간까지 20분 간격으로 경과시간에 따른 플로우 변화를 측정한 결과 경과시간 60분에서도 플로우 값이 초기값의 85% 이상을 나타내어 시공성이 충분하여 시공성을 고려한 가사시간을 충분히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재령별 압축강도의 변화를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르타르에 대하여 KS F 4042에 준하여 시험하였으며, 소정의 재령까지 20±2℃의 온도에서 수중양생 후에, 재령 28일까지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재령별 압축 강도는, 상기 모르타르가 KS F 기준인 20 MPa 이상을 발현하였으며, 특히 목표 재령 28일 압축강도가 60 Mpa 이상을 발현하였으므로 규격을 충분히 상회할 뿐 아니라 구조물의 일부로 구조적 역할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재령별 휨 강도의 변화를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모르타르를 몰드 성형한 후에 20±2℃의 온도와, 65±10%의 습도 조건에서 24시간 양생하고, 탈형한 이후에 20±2℃의 온도에서 양생수조에서 수중 양생하여 각 재령에 맞추어 꺼내어 시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재령별 휨강도는 휨강도 시험을 위해 지점간 거리를 10㎝로 하고 각 모르타르의 옆면 중앙에 매초 50±10N의 하중속도를 갖는 최대 하중을 가하여 휨강도를 측정한 결과, KS F 규준 6 MPa 이상인 재령 28일에서의 휨강도가 10 MPa 이상을 발휘하고 있으며, 타사의 일반 보수 모르타르보다 현저히 양호한 휨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부착 강도의 변화를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르타르에 대한 소정의 양생이 끝난 후, 모르타르 시료 도포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상부 인장용 지그를 올려놓고 접착시켜서 시료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10㎜/min의 하중속도로 인장력을 가하여 최대 인장 하중을 가할때의 탈락 발생에 따른 부착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부착 강도는, 상기 모르타르의 부착강도가 KS F 규준인 1 MPa 이상을 휠씬 상회하는 3.0 MPa 이상을 발휘하고 있으며 모두 피부착체인 모르타르의 면에서 탈락하여 양호한 부착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열팽창계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열팽창 계수를 비교하여 보면, 모르타르의 열팽창계수가 각각 1.1∼1.2×10-5/℃ 정도로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와 비슷한 범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보수 모르타르의 열팽창계수가 기존 콘크리트와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보수 후에 두 재료간의 계면에 들뜸 현상이 나타나 부착이 약해져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는 이러한 우려없이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와 유사한 범위를 나타내고 있어서, 콘크리트와 일체로 거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구조적인 안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길이 변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르타르를 각각 40×40×160㎜로 제작하여 20±2℃의 온도, 60±10%의 상대습도에서 28일간 양생한 이후에, 길이를 측정하여 길이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균 및 내산성 모르타르의 길이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길이 변화 시험에서는 모르타르가 CaO 및 CSA 팽창제에 의해 팽창하게 되어 KS F 규준인 ±0.15%를 충분히 만족하는 +0.03∼0.06% 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 바, 우수한 부착력과 길이 변화율이 작은 특성을 가지게 되므로, 기존 콘크리트와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이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중성화 깊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르타르의 중성화 깊이를 파악하기 위한 중성화 저항성 시험은 20±2℃의 온도와, 65±10%의 습도의 조건에서 5%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로 설정된 촉진 중성화 시험기에 모르타르를 넣은 후에, 14일이 경과된 후 꺼내어 단면을 절단하고 절단면에 1%의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분무하여 중성화 깊이를 측정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균 및 내산성 모르타르의 촉진 중성화 실험에 의한 중성화 깊이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에서는 KS F 규준(2mm이하) 이하를 만족하는 값으로 1.0∼1.5mm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내황산성 실험에 의한 중성화 깊이를 측정한 결과로 일본의 동경도 하수국 시설관리부 <단면수복재의 요구성능(5%황산 30일 침적 후 시험)>의 밀도 특성 규격치(중성화 깊이 3mm 이하)를 만족하는 값으로 중성화 침투깊이 1.3∼2.0mm값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방균 및 내산성을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플로우 경시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재령별 압축강도의 변화를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재령별 휨 강도의 변화를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부착 강도의 변화를 비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열팽창계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길이 변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중성화 깊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의 황산 침적 후 중성 화 깊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5)

  1. 상온, 대기압의 조건에서 30.0∼45.0%의 시멘트에, 5.0∼15.0%의 고로슬래그 또는 제오라이트 미분말, 5.0∼10.0%의 탄산칼슘(CaCo3) 분말, 0.2∼1.0%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0.2∼1.0%의 비닐수지(Vinyl Resin), 0.2∼1.0%의 CSA(Calcium Sulphoaluminate)계 팽창제, 1.0∼3.5%의 산화칼슘(CaO)계 팽창제, 1.0∼3.5%의 무수석고(Anhydrous Gypsum), 0.1∼0.5%의 나일론 섬유(Nylon Fiber), 0.1∼0.5%의 분산제(Dispersion Agent), 0.1∼1.0%의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 30.0∼45.0%의 규사(Silica Sand)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또는 제오라이트 미분말, 탄산칼슘(CaCo3) 분말, 아크릴수지, 비닐수지, CSA계 팽창제, 산화칼슘(CaO)계 팽창제, 무수석고, 나일론 섬유, 분산제,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 규사를 중량 비율로 모르타르 믹서에 모두 넣고 건식 상태에서 믹싱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섬유는, 길이가 6㎜이고 인장 강도가 800MPa 이상을 갖는 직경 20micron의 단섬유 형태로 모르타르 제조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나프탈렌 또는 멜라닌계 중 어느 하나의 고성능 감수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균 및 내산성 혼화제는, 금속이온과 무기질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20080083916A 2008-08-27 2008-08-27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20100025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916A KR20100025230A (ko) 2008-08-27 2008-08-27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916A KR20100025230A (ko) 2008-08-27 2008-08-27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30A true KR20100025230A (ko) 2010-03-09

Family

ID=4217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3916A KR20100025230A (ko) 2008-08-27 2008-08-27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523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8821A1 (en) * 2009-11-02 2012-12-27 Polyssive Ltd. Fiber-reinforced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KR101506913B1 (ko) * 2014-06-19 2015-03-30 (주)에이치비티 보수보강용 경량 항균 모르타르 조성물
US20160015605A1 (en) * 2013-03-28 2016-01-21 Gc Corporation Dental gypsum powder
CN109748544A (zh) * 2019-03-18 2019-05-14 赵成颐 道路隔离材料的配方及采用该配方的道路隔离带
CN110282903A (zh) * 2019-07-26 2019-09-27 深圳大学 修复混凝土裂缝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102125800B1 (ko) * 2019-10-23 2020-06-23 효림이엔아이(주) 방수·방식 성능이 우수한 보수모르타르와 보강재를 활용한 관로 및 맨홀 보수·보강공법
KR102156553B1 (ko) * 2019-10-15 2020-09-17 효림이엔아이(주) 내후성이 우수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CN112537937A (zh) * 2021-01-15 2021-03-23 福州大学 一种抗菌粗骨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8821A1 (en) * 2009-11-02 2012-12-27 Polyssive Ltd. Fiber-reinforced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US9896382B2 (en) * 2009-11-02 2018-02-20 Dror Selivansky Fiber-reinforced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US20160015605A1 (en) * 2013-03-28 2016-01-21 Gc Corporation Dental gypsum powder
KR101506913B1 (ko) * 2014-06-19 2015-03-30 (주)에이치비티 보수보강용 경량 항균 모르타르 조성물
CN109748544A (zh) * 2019-03-18 2019-05-14 赵成颐 道路隔离材料的配方及采用该配方的道路隔离带
CN110282903A (zh) * 2019-07-26 2019-09-27 深圳大学 修复混凝土裂缝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CN110282903B (zh) * 2019-07-26 2021-08-24 深圳大学 修复混凝土裂缝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102156553B1 (ko) * 2019-10-15 2020-09-17 효림이엔아이(주) 내후성이 우수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KR102125800B1 (ko) * 2019-10-23 2020-06-23 효림이엔아이(주) 방수·방식 성능이 우수한 보수모르타르와 보강재를 활용한 관로 및 맨홀 보수·보강공법
CN112537937A (zh) * 2021-01-15 2021-03-23 福州大学 一种抗菌粗骨料及其制备方法
CN112537937B (zh) * 2021-01-15 2021-08-31 福州大学 一种抗菌粗骨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5230A (ko) 방균 및 내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0784493B1 (ko) 경량 하이브리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0961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방법
Nam et al. Frost resistance of polyvinyl alcohol fiber and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under freeze thaw cycling
KR100814962B1 (ko) 천연광물이 함유된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단면복구공법
KR10116462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방지 및 단면보수용 폴리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열화방지 및 단면보수방법
US7572501B2 (en) Engineered self healing cementitious composites
KR101741177B1 (ko) 급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KR10090934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복구 공법
KR102193762B1 (ko) 속건성 충진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보수공법
KR101590951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복구방법
KR1011657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무기계 폴리머 시멘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Ohno et al. Sulfuric acid resistance of strain hardening fiber reinforced geopolymer composite
KR102232277B1 (ko) 초속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몰타르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보강보수 공법
KR100671981B1 (ko) 탄성계수 조절용 고분자 세라믹스 복합재료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수ㆍ보강공법
KR100696184B1 (ko) 하이브리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KR100515948B1 (ko) 아질산계 하이드로탈사이트 또는 하이드로칼루마이트를 함유하는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부식억제 보수공법
KR102600824B1 (ko) 작업성이 우수한 고내식성 중성화 방지 친환경 폴리머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의 보수방법
KR101974081B1 (ko)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의 중성화와 염해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Yeih et al. Enhancement of the bond strength of epoxy coated steel by the addition of fly ash
KR100627981B1 (ko) 콘크리트용 내황산성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Lee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mortars made with organic-inorganic repair material
KR100706678B1 (ko)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Chen et al. Effects of 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minibar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cracked UHPC after chloride induced corrosion
Kao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br-modified mortar with fly ash for patch repai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