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882A - 고문서 등의 문화재 기록물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고문서 등의 문화재 기록물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882A
KR20100024882A KR1020090011028A KR20090011028A KR20100024882A KR 20100024882 A KR20100024882 A KR 20100024882A KR 1020090011028 A KR1020090011028 A KR 1020090011028A KR 20090011028 A KR20090011028 A KR 20090011028A KR 20100024882 A KR20100024882 A KR 2010002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agent
sterilization chamber
sterilization
vacu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568B1 (ko
Inventor
이기현
정찬광
김동선
김한선
Original Assignee
이기현
정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현, 정찬광 filed Critical 이기현
Publication of KR2010002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재 유물이나 고서화 고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을 살균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살균하고자 하는 고문서, 도서, 기록물, 유가증권 등의 피처리물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하는 살균챔버와;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유도하는 진공발생부와; 상기 살균챔버에 살균약제를 공급하는 살균약제 공급부와;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에 공기 및 살균약제의 혼합물을 순환시키는 순환처리부와; 상기 순환처리부에 결합되어 있고 전자적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터보순환기와 전자밸브와 진공펌프 및 진공해제밸브를 자동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순환처리부에 의하여 액상의 살균약제를 기상의 살균약제로 전환시킨 후 분사노즐을 통하여 살균챔버에 분사시키고 있으므로, 살균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화재, 기록물, 관리보존, 허브정유, 살균, 소독, 살균장치

Description

고문서 등의 문화재 기록물의 살균장치{Apparatus for Disinfecting Archieves, Documents and Paper Money}
본 발명은 문화재 유물이나 고서화 고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을 살균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관이나 기록물 보관센터 또는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는 문화재, 유물, 고서화, 고문서, 지폐 등을 살균약제의 기체혼합물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살균처리할 수 있는 기록물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재나 유물 또는 고문서 등은 자료의 희귀성을 고려하여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하여, 박물관이나 전용 기록물 보관서 등에 보관하고 일반인들로부터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박물관이나 기록물 보관서 등에 보존된 각종의 문서들은 일반적으로 일반인들로부터 접촉이 차단되어 있는 반면에, 사후관리가 미약하여, 각종 먼지가 쌓여지고, 그 보관장소에서 서식하고 있는 각종 공중 부유균(곰팡이, 세균)에 의하여 유물과 기록물이 점차적으로 훼손되어지게 된다. 도서관에 보관된 도서의 경우에도, 이러한 현상은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지폐와 같은 유가증권 등의 경우에는 여러 사람들을 통하여 전전 유통되어지고, 그 과정에서 각종 세균이나 각종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져서, 각종 피부질환과 호흡기질환 또는 알레르기성 질환 등을 유발시키거나 전염시키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로 인하여, 특히 면역성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들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게 되고, 금융기관에서 지폐를 취급하는 담당자들이 피해를 입기도 한다. 또한, 미생물에 오염된 지폐 등의 유가증권들은 각종 악취를 유발하여 취급자들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은행에서 일정한 시기를 정하여 놓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지폐를 회수하여 소독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소독을 행하기 이전에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들에 의해 오염된 채 유통되고 있는 현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오늘날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다수의 소독장치 및 소독방법들이 국내특허로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소독처리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소독장치 및 소독방법으로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30963호 "유물 및 기록물의 소독을 위하여 허브정유를 이용한 소독방법 및 소독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412274호 "허브정유를 이용한 지폐 등 유가증권의 소독방법 및 소독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42967호 "허브정유를 이용한 유물 및 기록물의 소독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638113호 "소독효율을 극대화시킨 문화재 유물 및 기록물의 소독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124097호 "기화수단에 의하여 소 독토록 하는 소독방법 및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각종 소독방법 및 소독장치들은 한결같이 고문서 등의 피처리물을 살균장치에 집어넣고, 상기 살균장치를 대기압에 비해 낮은 진공상태로 조성한 다음, 살균력을 가진 허브 정유를 분사시켜서 미생물을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이와 같은 고문서 등의 살균방법은 살균약제를 살균장치의 내부로 단순히 분사시키는 것으로 소개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각종의 살균장치들은 실질적으로 액상의 물질인 상기의 살균약제를 기체상태로 충분히 전환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살균장치의 내부로 투입시키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경우, 살균장치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피처리물을 완전히 적셔지게 하므로, 종이재질의 피처리물을 오히려 망쳐놓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124097호 "기화수단에 의하여 소독토록 하는 소독방법 및 장치" 를 개발하게 된 동기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폐해에 대해서는 상기의 공개특허의 공보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폐해에 대하여 살균약제를 기화시키는 별도의 카트리지를 만들어 사용하거나, 별도의 이온화장치를 장착하기도 하지만, 이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 것이 오늘날의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살균장치는 액상의 살균약제를 완전하고 충분하게 기체상태로 전환시키지 못한 채 가동시키거나, 별도의 제3의 구성요소를 부착시켜서 간접적으로 살균약제를 기체상태로 전환시키고 있으므로, 살균장치가 매우 복잡해지게 되고, 고가의 장비를 동원하여야 하므로, 살균장치의 배급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살균장치와는 달리, 매우 간단한 구성요소를 활용하면서도 상기의 살균약제를 액상에서 기체상으로 충분하고 완전하게 전환시킨 상태에서 살균챔버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문화재 유물이나 기록물의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개발되었고 선출원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10-804435 호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의 살균장치"에 관한 개량이다.
본 발명은 살균하고자 하는 고문서, 도서, 기록물, 유가증권 등의 피처리물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하는 살균챔버와;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유도하는 진공발생부와; 상기 살균챔버에 살균약제를 공급하는 살균약제 공급부와;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에 공기 및 살균약제의 혼합물을 순환시키는 순환처리부와; 상기 순환처리부에 결합되어 있고 전자적 제어신호를 발생시 켜 터보순환기와 전자밸브와 진공펌프 및 진공해제밸브를 자동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챔버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피처리물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하기 위해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고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이동시키는 살균약제 혼합기체의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의 빈 공간으로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분사시켜주는 분사노즐과, 상기 외부몸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진공발생부는 상기 살균챔버에 형성된 진공흡입구 및 진공배출관과, 상기 진공배출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부유미생물 등을 흡입하여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를 1 기압 이하의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된 먼지 부유미생물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진공배출관은 상기의 살균챔버와 상기의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구성요소 특히 순환파이프 등과는 단절되어 있고 별개로 존재하며, 독립적인 이동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는 상기 살균챔버에 살균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통과, 상기 약제공급통의 내부에 존재하는 살균약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주는 모터 및 임펠러와, 상기 살균약제를 보내주는 통로에 위치하여 상기 살균약제의 공급여부에 따라 개폐되어지는 전자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살균약제 기화부를 더욱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살균약제를 겔 상태로 담아둔 겔 홀더와, 상기 겔 홀더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외부 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챔버의 밑면에 설치되거나, 순환처리부의 순환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처리부의 순환파이프에 설치될 경우에는 전자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 살균챔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기체들이 흡입되어 순환하는 전방 순환파이프와, 상기 전방 순환파이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기체들과 상기 약제공급통의 살균약제를 고속으로 흡입하여 이들을 서로 혼합시켜서 살균약제 혼합 기체로 전환시키는 터보순환기와, 상기 터보순환기의 뒤쪽의 이동통로에 연결되어 있는 후방 순환파이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터보순환기는 액상의 살균약제와 기상의 공기를 흡입하여 기상의 살균약제 혼합기체로 전환시켜주는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콘트롤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축 결합되어 있고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동모터의 앞쪽에서 흡입하여 원주 방향의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면서 흩뿌려주는 터보 팬과,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터보 팬의 사이에 존재하고 이들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판과, 상기의 전동모터와 터보 팬과 격판을 그 내부에 장착시키고 이들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후방 순환파이프에 필터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필터부는 상기의 터보순환기와 상기의 이동통로의 사이에 존재하는 후방 순환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살균챔버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피처리물의 문서의 종류와 재질 및 문서의 보관상태 등에 따라 살균약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살균약제를 투입한 경우에도 상기 터보순환기의 회전수 및 회전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상의 살균약제를 사용하면서도 살균챔버의 내부로 투입되기 전에 액상의 살균약제를 기체상태의 살균약제로 전환시키고, 기체상태로 전환된 살균약제를 살균챔버의 내부로 분사시키고 있으므로, 살균챔버의 내부에 장착되어있는 피처리물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의 피처리물이 종이재질로 구성된 고문서, 고서화, 희귀책자 등일 경우, 문화재 보관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한 잇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기체상태의 살균약제를 살균챔버의 내부로 분사시키고 있으므로, 천연허브정유의 혼합기체가 피처리물(도서관이나 장서보관센터 또는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는 문화재, 유물, 고서화, 고문서, 지폐 등)에 고르게 접촉되어지고, 이로 인하여 피처리물의 살균 및 살충을 더욱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공간적인 배열을 극대화한 것이므로, 매우 콤팩트한 상품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a은 본 발명에 의한 기록물의 살균장치에 관하여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물의 살균장치에 관하여 우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의 도 1a는 개폐문(118)이 닫혀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에, 상기의 도 1b는 상기의 개폐문(118)이 열려있는 상태를 보여주 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모든 부품들을 그 내부에 장착하고 있는 케이싱(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케이싱(10)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를 매우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해주며, 그 내부에 각종의 부품들을 구조적으로 최적인 배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의 케이싱(10)은 그 전면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는 개폐문(118)을 결합시키고 있으며, 상기의 개폐문에는 그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창(11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개폐문(118)을 열었을 경우, 그 내부에 살균챔버(11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개폐문(118)의 위쪽에는 콘트롤부(C)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부품들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살균약제 공급부와 살균약제 기화부의 설치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3a는 살균약제 공급부를 설치한 경우이고, 도 3b는 살균약제 공급부와 살균약제 기화부를 동시에 설치한 것으로서 살균약제 기화부를 후방처리 순화파이프(144)에 설치한 경우이고, 도 3c는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를 살균챔버(110)의 밑면에 설치한 경우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물의 살균장치(100)는 고문서 등의 기록물을 살균 및 살 충처리할 수 있는 살균챔버(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챔버(11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피처리물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하기 위해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몸체(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그 내부의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고 내부 기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살균약제 혼합기체의 이동통로(114)를 상기 외부몸체(112)의 바깥쪽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이동통로(114)는 그 내부가 비어있고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이동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상기 이동통로(11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의 빈 공간으로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고르게 분사시켜주는 분사노즐(11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상기 외부몸체(112)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개폐문(118)에 의하여 밀폐되거나 개방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챔버(110)는 그 내부에 살균등(11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살균등(115)은 피처리물에 조사되어지는 광선에 의하여 살균작용을 행하거나, 광선 및 촉매에 의한 이온화 작용에 의하여 살균작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의 살균등(115)은 자외선 램프 또는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후자의 LED 램프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투시 창(119)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살균챔버(110)의 내부에는 살균하고자 하는 고문서, 도서, 기록물, 유가증권 등의 피처리물을 담은 장입바스켓(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이들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공기 및 피처리물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와 부유미생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그와 동시에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도하는 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진공발생부는 상기 살균챔버(110)에 형성된 진공흡입구(121)와 진공흡입구에 연결된 진공배출관(1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진공흡입구(121)는 살균챔버(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진공발생부는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와 부유미생물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펌프(1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진공펌프(124)는 상기의 진공배출관(12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를 1 기압 이하의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진공펌프(124)에 의하여 흡입된 먼지와 부유 미생물 등은 배출구(126)를 통하여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진공배출관(122)은 상기의 살균챔버(110)와 상기 의 진공펌프(124)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서는, 상기의 진공배출관(122)이 순환처리부와는 완전히 단절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순환처리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진공발생부는 상기의 진공흡입구(121)와 상기의 진공펌프(124)의 사이에 더스트 필터(128)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살균챔버(110)의 내부에서 흡입된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그와 동시에 진공펌프(124)를 이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상기 살균챔버(110)에 살균약제를 공급하는 살균약제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는 상기 살균챔버(110)에 천연허브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한 살균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통(132)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는 피처리물에 기생하고 있는 곤충이나 곰팡이 또는 유해 세균 등을 살충하거나 살균할 수 있는 약제를 의미하며, 이러한 살균약제는 인체에 무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살균약제로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살충력과 살균력이 강력한 천연허브정유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인체에 무해한 천연허브정유로서는, 예컨대 오레가노(Oregano), 마누카(Manuka), 신나몬(Cinnamon), 클로브(Clove), 유칼립투스(Eucalyptus), 라벤더(Lavender), 레몬(Lemon), 미르(Mytle), 쥬니퍼(Juniper), 발삼(Balsam), 오렌지(Orange), 페퍼민트(Pepermint), 세이지(Sage), 티트리(Tea Tree), 버가모트(Bergamot), 카모마일(Chamomile), 갈릭(Galic), 히솝(Hyssop), 파인(Pine), 테러빈(Terebinth), 딜(Dill), 로즈마리(Rosemary), 레몬밤(Lemon balm), 민트(Mint), 셀프힐(Self hill), 스위트 바질(Sweet basil) 등의 허브정유를 1 또는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허브정유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공하고 있는 제품을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는 상기 약제공급통(132)의 내부에 존재하는 살균약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주는 모터(134) 및 임펠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살균약제는 기본적으로 액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수성 액체일 경우 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있고, 인체의 무해성을 원칙으로 하여 화학약품에 해당하는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상기의 약제공급통(132)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살균약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상기의 모터(134)를 가동시켜 균일한 분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는 상기 살균약제를 보내주는 통로에 위치하여 상기 살균약제의 공급여부에 따라 개폐되어지는 전자밸브(13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전자밸브(136)는 콘트롤부(C)에 의하여 자동제어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는 상기 약제공급통을 가열시켜주게 되는 가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를 설치할 경우, 겨울철 야외 또는 겨울철의 저온환경에서 가동시킬 경우에도 균일한 살균약제의 공급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약제의 공급량을 수동적으로 조절하는 니들밸브(도시되지 않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는 순환처리부의 터보순환기(150)의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터보순환기(150)의 위치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살균약제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살균약제의 액상 비중이 공기의 비중보다 크기 때문에, 살균약제의 액상 성분들이 상기 터보순환기(150)의 흡입력과 함께 자유낙하하는 점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를 사용하는 이외에, 살균약제 기화부를 더욱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챔버의 내부에 공급되는 용액상의 살균약제의 공급량을 줄여주고, 그 대신 기체상의 살균약제의 공급량을 추가 내지 확대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체상의 살균약제의 경우에도 인체에 무해한 천연허브정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의 설치 위치 및 그 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4a는 상기 살균약제 기화부를 원통형 챔버의 밑면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 X-X 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원칙적으로 살균약제를 겔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고, 상기 겔 상태의 살균약제에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약제 성분들이 기화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겔 상태의 살균약제가 상온에서 휘발하지 않고 상온 보다 높은 온도에서 휘발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겔 상태의 살균약제(161)와, 상기의 살균약제를 담아두고 있는 겔 홀더(162)와, 상기 겔 홀더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히터(164)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외부 히터(164)는 상기 콘트롤부(C)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진다.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살균챔버(110)의 밑면에 설치되거나, 순환처리부의 순환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처리부의 순환파이프에 설치될 경우에는 전자밸브(166)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살균챔버(110)의 내부 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예컨대, 상대습도 50 % 이상)을 초과할 경우, 상기의 콘트롤부(C)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설정된 기준값은 살균챔버(110)의 내부에서 살균처리되어질 피처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나, 상대습도가 75 %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살균챔버(110)의 내부에서 상대습도 100% 일 경우 이론상 이슬점을 형성하는 것이지만,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벽면이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 가운 겨울철 등의 경우에 살균약제의 기화성분들이 상기 살균챔버(110) 내부의 스테인레스 벽면에 부딪힐 경우 낮은 상대습도하에서도 부분적으로 응결되어서 작은 물방울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살균약제의 응결점을 조사하고 실험한 결과 상대습도 75 % 이하에서는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최대의 상한선으로 설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로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로부터 그 내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순환처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 살균챔버(1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기체들을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통로인 전방 순환파이프(14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전방 순환파이프(142)는 터보순환기(150)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 전방 순환파이프(142)에 연결되어 있는 터보순환기(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는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기체들과 상기 약제공급통(132)의 살균약제를 고속으로 흡입하여 이들을 서로 혼합시켜서 살균약제 혼합 기체로 전환시켜주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 터보순환기(150)의 유출구(159)에 연결되어 있는 후방 순환파이프(1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후방 순환파이프(144)는 상기 살균챔버(110)의 외부에 형성된 이동통로(114)에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터보순환기(1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로서, 도 5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터보순환기의 밀폐형 몸체부(158)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5b는 터보순환팬(154)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는 액상(液相)의 살균약제와 기상(氣相)의 공기를 흡입하여 기상(氣相)의 살균약제 혼합기체로 전환시켜주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는 콘트롤부(C)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동모터(15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는 상기의 전동모터(152)에 축 결합되어 있으면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터보 팬(154)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터보 팬(154)은 후방의 원형차단막(51)과 전방의 원형차단막(53) 및 그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끼움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방사날개(55)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후방의 원형차단막(51)은 상기 전동모터(152) 에 축결합되어 있고, 그 축결합은 체결볼트(57)에 의해 마무리결합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전방의 원형차단막(53)은 그 중앙이 뚫려 있으며, 상기 다수의 방사날개(55)에 의해 상기 후방의 원형차단막(53)에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의 전동모터(15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2장의 후방 원형차단막(51) 및 전방 원형차단막(53)이 동시에 일체적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방사날개(55)들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의 방사날개(55)들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전방 원형차단막(53)의 중앙부분의 뚫려진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공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방사날개(55)들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확산되면서 흩뿌려주게 되고, 흩뿌려진 공기들에 의해 원심력을 일으키면서 결과적으로 싸이클론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싸이클론 회전에 의하여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분산된 기체들은 그 주위를 감싸고 있는 몸체부(158)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몸체부(158)의 어느 한 쪽에 형성된 유출구(159)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작은 물방울 형태로 존재하는 살균약제는 미세하게 부셔지게 되고, 분자수준의 기체상태로 전환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는 상기 전동모터(152)와 상기 터보 팬(154)의 사이에 격판(15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격판(156)은 상기 전동모터(152)의 축을 붙잡아주고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1차로 수행하고, 살균약제의 성분들이 상기 전동모터(152)의 방향으로 침투함으로써 상기 전동모터(152)를 오염시키거나 그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2차적 으로 수행하게 되며, 상기의 살균챔버(110)의 내부 상태가 진공상태이거나 고압상태일 경우에 그와 더불어 상기 터보순환기(150)의 경우에도 그와 동시에 진공상태이거나 고압상태로 작동하게 되는데, 그러한 영향을 상기의 전동모터(152)에서 받지 않도록 해주는 방지판으로서의 기능을 3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는 상기의 전동모터(152)와 터보 팬(154)과 격판(156)을 그 내부에 장착시키고 있는 밀폐형 몸체부(15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밀폐형 몸체부(158)는 그 내부에 상기의 부품들을 내장시킴으로써, 상기의 전동모터(152) 및 상기의 터보팬(154)의 고속회전에 의한 소음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통상적인 터보 팬의 경우 밀폐된 공간은 터보 팬의 외주에 한정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전동모터(152)를 포함한 모든 터보 팬의 구성요소들에 이르기까지 전 부품들을 밀폐시키고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물의 살균장치(100)가 실내에서 사용될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용자들이 소음에 의한 작업 방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몸체부(158)는 상기 전방 순환파이프에 연결된 유입구(151)와, 상기 후방 순환파이프에 연결된 유출구(159)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후방 순환파이프(144)에 필터부(14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필터부(146)는 상기의 터보순환기(150)와 상기의 이동통로(114)의 사이에 존재하는 후방 순환파이프(144)에 설 치될 수 있다. 상기의 필터부(146)는 상기의 살균챔버(110)의 분사노즐(116)에 이르기 전에 살균약제 혼합기체에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피처리물인 문서의 종류와 재질 및 피처리물의 보관상태 등에 따라 살균약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살균약제를 투입한 경우에도 상기 터보순환기(150)의 회전수 및 회전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전방 순환파이프(142)에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진공해제 밸브(148)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진공해제 밸브(148)는 본 발명을 진공상태에서 살균작업을 하였을 경우, 그 진공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공펌프(126)에 의하여 살균챔버(1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의 살균약제 공급부에서 살균약제를 살균챔버(110)에 공급한 후, 상기 진공해제 밸브(148)를 열어서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의 진공해제 밸브(148)를 열어둔 상태에서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를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진공해제 밸브(148)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콘트롤부(C)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트롤부(C)는 전자적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의 터보순환기(150)와, 상기의 모터(134) 및 전자밸브(136)와, 상기의 진공펌프(124) 및 진공해제 밸브(148)와, 상기의 외부 히터(164) 및 전자밸브(166)를 자동제어하게 된다. 상기의 콘트롤부(C)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를 자동으로 운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어질 수 있으며, 위의 각종 부품들의 작용과 관련하여 전자적 제어신호에 의한 구체적인 기능 및 작용은 관련된 부분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피 처리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살균 및 살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장치(100)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살균하고자하는 고문서, 도서, 기록물, 유가증권 등의 피처리물을 살균챔버(110)에 집어넣고 살균시키는 단계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살균하고자하는 피처리물을 선정하고, 선정된 피처리물을 장입바스켓에 올려놓고, 상기 장입바스켓을 살균챔버(110)에 집어넣은 후, 개폐문(118)을 닫는다.
상기 개폐문(118)이 닫혀지면, 콘트롤 판넬의 콘트롤부(C)에 작업조건을 입력시키고, 자동제어에 의하여 진공펌프(124)를 가동시킨다. 상기의 진공펌프(124)는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와 부유 미생물들이 동시에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진공상태에 이르게 되면, 상기 콘트롤부(C)의 자동제어에 의하여, 상기 진공펌프(124)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상기의 진공펌프(124)가 가동을 중지하면,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순환처리부를 가동시킨다. 먼저, 상기의 터보순환기(150)를 가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콘트롤부(C)의 제어에 의하여 전자밸브(136)를 개방시켜서, 상기의 약제공급통(132)으로부터 천연허브정유로 이루어진 살균약제를 상기 전방 순환파이프(142)로 빨려들어가게 한다. 이때, 상기 전방 순환파이프(142)로 빨려들어간 액상의 살균약제는 상기 터보 팬(154)의 앞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후방 원형차단막(51)에 의하여 일단 차단되고 곧바로 직각 방향으로 꺾여져서 사방으로 향하게 되며, 곧바로 상기 터보 팬(154)의 방사날개(55)들에 의하여 원주방향의 방사상으로 흩뿌려지게 되면서 싸이클론 회전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미세한 기체상태로 분산되어지게 된다.
미세한 기체상태로 분산된 살균약제는 상기 터보순환기의 유출구(159)로 향 하게 되고, 후방 순환파이프(144)로 흘러가게 된다. 이어서, 상기의 살균약제는 이동통로(114)를 거쳐서 분사노즐(116)에 이르게 되고, 상기 분사노즐(116)에 의하여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로 균일하게 분사되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거치면서,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장입된 피처리물이 살균 및 살충처리되어지게 된다.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부(C)의 제어에 의하여 자동으로 동작이 중지되어진다. 상기의 설정시간 및 작업조건은 상기의 피처리물의 종류와 그 보관상태를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그 작업조건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에 의해 살균처리 작업이 종료되어지면,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개폐문(118)을 열고, 그 내부에 있는 피처리물을 꺼내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록물의 살균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 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살균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살균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a는 상기 도 2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살균약제 공급부이외에 살균약제 기화부를 후방처리 순환파이프에 설치한 경우이고, 도 3c는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를 챔버의 밑면에 설치한 경우이며,
도 4a는 상기 살균약제 기화부를 원통형 챔버의 밑면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도 4a에 있어서 X-X 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a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터보순환기의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5b는 터보순환팬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살균장치, 110 : 살균챔버,
112 : 외부몸체, 114 : 이동통로,
116 : 분사노즐, 118 : 개폐문,
132 : 약제공급통, 134 : 모터,
136 : 전자밸브, 142 : 전방 순환파이프,
144 : 후방 순환파이프, 150 : 터보 순환기,
152 : 전동모터, 154 : 터보 팬,
156 : 격판, 161 : 겔 상태의 살균약제,
162 : 겔 홀더, 164 : 외부 히터

Claims (9)

  1. 살균하고자 하는 고문서, 도서, 기록물, 유가증권 등의 피처리물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하는 살균챔버(110)와;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 상태로 유도하는 진공발생부와; 상기 살균챔버에 살균약제를 공급하는 살균약제 공급부와;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에 공기 및 살균약제의 혼합물을 순환시키는 순환처리부와; 상기 순환처리부에 결합되어 있고 전자적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터보순환기와 전자밸브와 진공펌프 및 진공해제밸브를 자동제어하는 콘트롤부(C);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a).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피처리물을 집어넣고 살균처리하기 위해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부몸체(112)와, 상기 외부몸체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고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이동시키는 살균약제 혼합기체의 이동통로(114)와, 상기 이동통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의 빈 공간으로 살균약제 혼합기체를 분사시켜주는 분사노즐(116)과, 상기 외부몸체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개폐문(118)을 포함하고 있으며;
    b). 상기의 진공발생부는 상기 살균챔버(110)에 형성된 진공흡입구(121)와, 진공흡입구에 연결된 진공배출관(122)과, 상기 진공배출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부유미생물 등을 흡입하여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를 1 기압 이하의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되는 진공펌프(124)와,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된 먼지 부유미생물 등을 외부로 배출 하는 배출구(126)를 포함하고 있으며,
    c).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 살균챔버(1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의 내부 기체들이 흡입되어 순환하는 전방 순환파이프(142)와, 상기 전방 순환파이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기체들과 상기 약제공급통(132)의 살균약제를 고속으로 흡입하여 이들을 서로 혼합시켜서 살균약제 혼합 기체로 전환시키는 터보순환기(150)와, 상기 터보순환기의 뒤쪽에서 상기의 이동통로(114)에 연결되어 있는 후방 순환파이프(14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처리부의 터보순환기(150)는 상기의 콘트롤부(C)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동모터(152)와, 상기 전동모터에 축 결합되어 있고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동모터의 앞쪽에서 흡입하여 원주 방향의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면서 흩뿌려주는 터보 팬(154)과,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터보 팬의 사이에 존재하고 이들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판(156)과, 상기의 전동모터와 터보 팬과 격판을 그 내부에 장착시키고 이들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밀폐형 몸체부(15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처리부의 터보 팬(154)은 후방의 원형차단막(51)과 전방의 원형차단막(53) 및 그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끼움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방사날개(5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후방 순환파이프(144)에 필터부(146)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환처리부는 상기의 살균챔버(11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피처리물의 문서의 종류와 재질 및 문서의 보관상태 등에 따라 살균약제의 양을 조절하고, 또한 동일한 살균약제를 투입할 경우에 상기 터보순환기(150)의 회전수 및 회전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살균챔버(110)의 내부 살균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그의 내부에 살균등(1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챔버(110)는 그 밑면에 살균약제 기화부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겔 상태의 살균약제(161)와, 상기의 살균약제를 담아두고 있는 겔 홀더(162)와, 상기 겔 홀더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히터(16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순환처리부의 순환파이프에 설치되어지고, 콘트롤부(C)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밸브(166)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약제 기화부는, 살균챔버(110)의 내부 습도가 미리 설정된 상대 습도 50 % ~ 75 % 일 경우, 콘트롤부(C)에서 생성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의 외부히터(164)를 작동시키며, 상기 외부히터(164)의 열에 의해 겔 상태의 살균약제(161)를 기화시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록물의 살균처리 장치.
KR1020090011028A 2008-08-26 2009-02-11 고문서 등의 문화재 기록물의 살균장치 KR101001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411 2008-08-26
KR1020080083411 200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82A true KR20100024882A (ko) 2010-03-08
KR101001568B1 KR101001568B1 (ko) 2010-12-17

Family

ID=4217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28A KR101001568B1 (ko) 2008-08-26 2009-02-11 고문서 등의 문화재 기록물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5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77B1 (ko) * 2010-03-24 2012-03-16 에코미스트 주식회사 책 소독장치
KR101135428B1 (ko) * 2010-08-13 2012-04-13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기록물과 유물 소독장치
CN102582346A (zh) * 2011-12-06 2012-07-18 上海东观档案设备有限公司 一种档案真空充氮消毒揭裱机构及方法
KR101284473B1 (ko) * 2012-04-09 2013-07-09 정석찬 문화재보존용 저산소 살충장치
KR101284415B1 (ko) * 2012-08-02 2013-07-09 대한민국(국립민속박물관장) 문화재보존용 저산소 살충방법
KR101491268B1 (ko) * 2013-06-28 2015-03-04 (주)싱크피플 대용량 저산소 농도 살충챔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78B1 (ko) * 2018-11-27 2020-09-25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이동형 덕트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2344A (en) 1990-01-31 1992-06-16 Mdt Corporation Chemical sterilizer system
JP2005312792A (ja) 2004-04-30 2005-11-10 Mediate:Kk 減圧・常圧併用の消毒方法および消毒装置
KR100804435B1 (ko) * 2007-09-07 2008-02-20 (주)에코미스트코리아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의 살균장치
KR100840254B1 (ko) * 2008-01-28 2008-06-20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기록물과 유물의 소독장치,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77B1 (ko) * 2010-03-24 2012-03-16 에코미스트 주식회사 책 소독장치
KR101135428B1 (ko) * 2010-08-13 2012-04-13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기록물과 유물 소독장치
CN102582346A (zh) * 2011-12-06 2012-07-18 上海东观档案设备有限公司 一种档案真空充氮消毒揭裱机构及方法
KR101284473B1 (ko) * 2012-04-09 2013-07-09 정석찬 문화재보존용 저산소 살충장치
KR101284415B1 (ko) * 2012-08-02 2013-07-09 대한민국(국립민속박물관장) 문화재보존용 저산소 살충방법
KR101491268B1 (ko) * 2013-06-28 2015-03-04 (주)싱크피플 대용량 저산소 농도 살충챔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568B1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568B1 (ko) 고문서 등의 문화재 기록물의 살균장치
US10245345B2 (en) Atomization separating and silencing apparatus and method
US9415130B2 (en) Industrial, germicidal, diffuser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53754A1 (en) Sterilising Filter Arrangement Apparatus & Method
EP2296714B1 (en) Method for disinfecting a space
SG176977A1 (en) Healthcare facility disinfecting process and system with oxygen/ozone mixture
KR101322272B1 (ko) 책 소독 장치 및 책 소독 방법
KR100769063B1 (ko) 기화수단에 의하여 소독토록 하는 소독방법 및 장치
KR20140010650A (ko) 가습기
KR20200097866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KR100849043B1 (ko) 문화재 유물 기록물 등의 살균처리 장치
KR100804435B1 (ko)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의 살균장치
AU2004233510A1 (en) Sterilising Hand Dryer And Method
KR101545789B1 (ko) 친환경 소독제를 이용한 문화재 소독장치
KR20200106593A (ko) 공기청정기
AU2011221409A1 (en) Improved sterilising filter arran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741022B1 (ko) 한약제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KR100804430B1 (ko)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의 살균방법
TW202206119A (zh) 消毒系統以及方法
DE102021001131A1 (de) Raumluftdesinfizierer in dem ein oder mehrere Ventilator/en, eine oder mehrere Beleuchtungseinheiten, LEDs eingebaut sind die eine UV - C Strahlung zwischen 100nm bis 280nm Nanometer abgeben und damit Viren, Bakterien, Schimmel, Pilze, Keime und andere toxische Stoffe eliminieren
JPH11244730A (ja) 空気清浄機
KR101186596B1 (ko) 캐비닛형 탈취 및 방제장치
KR102220721B1 (ko)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0339621Y1 (ko) 다기능 훈증 훈연기
JP4359023B2 (ja) 携帯式芳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