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873A -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873A
KR20100024873A KR1020080097274A KR20080097274A KR20100024873A KR 20100024873 A KR20100024873 A KR 20100024873A KR 1020080097274 A KR1020080097274 A KR 1020080097274A KR 20080097274 A KR20080097274 A KR 20080097274A KR 20100024873 A KR20100024873 A KR 2010002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ignal
liquid crystal
inter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347B1 (ko
Inventor
김의태
최용우
정인재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TW09813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TWI419128B/zh
Priority to CN200910177688XA priority patent/CN101714342B/zh
Priority to US12/588,051 priority patent/US8552968B2/en
Publication of KR2010002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비전력에서 인테리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입력되는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회로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노멀 구동에 비해 낮은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발생하고,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독출하는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 상기 노멀 구동을 위한 외부 영상신호 및 외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스케일러부; 구동모드에 따른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의 출력 및 상기 스케일러부의 출력 중 어느 한 출력을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에 공급하는 선택부; 상기 구동회로들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을 발생하는 내부 전원회로; 상기 내부 전원회로에 입력되는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스케일러부를 구성하는 회로들의 전원을 발생하는 외부 전원회로;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시,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 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는 마이콤을 구비한다.
소비전력, 인테리어, 액자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소비전력으로 인테리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통해 액정층의 광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및 박형화와 저 소비전력의 장점을 가지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액정셀마다 스위칭소자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소자의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동영상 구현에 유리하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칭소자로는 도 1과 같이 주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한다)가 이용되고 있 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감마기준전압을 기준으로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함과 동시에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GL)에 공급하여, 데이터전압을 액정셀(Clc)에 충전시킨다. 이를 위해, 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되며, 그리고 TFT의 드레인전극은 액정셀(Clc)의 화소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1)의 일측 전극에 접속된다. 액정셀(Clc)의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1)는 TFT가 턴-온될 때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을 충전하여 액정셀(Clc)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캔펄스가 게이트라인(GL)에 인가되면 TFT는 턴-온(Turn-on)되어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라인(DL) 상의 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이때 액정셀(Clc)의 액정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하여 배열이 바뀌면서 입사광을 변조한다.
통상, LCD TV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백라이트 유닛, 구동회로들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액정모듈과, 스케일러 및 파워 유닛을 구비하는 시스템모듈로 이루어진다.
액정패널에는 도 1과 같은 화소들이 형성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직하형 방식과 에지(edge)형 방식으로 대별된다. 에지형 방식은 평판 외곽에 광원을 배치하고 투명한 도광판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액정패널 전면(全面)으로 입사시킨다. 직하형 방식은 액정패널의 배면(背面)에 광원을 배치하여 액정패널의 전면(全面)을 직접 조광하는 방식으로 에지형 방식과 비교하여 여러 개의 광원을 배치하여 휘도를 높일 수 있고, 발광면을 넓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큰 화면의 액정패널이 요구되는 LCD TV와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이 채용된다. 구동회로들에는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및 백라이트 구동회로등이 포함되고, 제어부에는 타이밍 콘트롤러등이 포함된다.
스케일러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액정모듈에 표시되기에 적합하도록 이미지처리함과 아울러 입력 영상에 동기되는 동기신호들을 생성한다. 파워 유닛은 액정모듈, 스케일러, 및 음향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포함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을 발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대면적화의 최근 추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인테리어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 입력신호를 받는 입력단 이외의 모든 전원이 차단되는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서는 영상표시가 불가능하여 인터리어 기능으로의 수행이 실질적으로 어렵다. 상기 대형화 추세인 점을 감안할 때 비 시청시 거의 한쪽 벽면을 무덤덤한 검은색의 흉한 모습으로 채우는 것은 시감적으로 실내환경을 저해하고 답답한 느낌을 주어 심미적인 관점에서 불리하다.
둘째, 고정세화, 대면적화의 경향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이 매우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비추어 보건 데, 인테리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노멀 구동 모드로 장시간 계속해서 구동시키기에는 소비전력에 있어서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소비전력에서 인테리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입력되는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회로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노멀 구동에 비해 낮은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발생하고,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독출하는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 상기 노멀 구동을 위한 외부 영상신호 및 외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스케일러부; 구동모드에 따른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의 출력 및 상기 스케일러부의 출력 중 어느 한 출력을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에 공급하는 선택부; 상기 구동회로들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을 발생하는 내부 전원회로; 상 기 내부 전원회로에 입력되는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스케일러부를 구성하는 회로들의 전원을 발생하는 외부 전원회로;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시,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는 마이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의 갱신에 이용되는 제2 내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마이콤은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상태에서의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허여하여, 상기 외부 저장부의 제2 내부 영상신호가 상기 스케일러부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를 거쳐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의 생성에 이용되는 오실레이션 클럭을 발생하는 내부 오실레이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액정패널의 해상도 정보와 상기 오실레이션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타이밍신호 생성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기 위한 상기 디밍신호를 발생하는 디밍비 제어부; 및 내부 영상신호의 독출 및 갱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밍비 제어부는, 노멀 구동시 최대 디밍비를 갖는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100%로 가정했을 때, 상기 디밍신호를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의 밝기로 설정한다.
외부 조도를 센싱하기 위한 조도 센싱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디밍신호는 상기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 상기 외부 조도가 밝을 수록 높은 디밍비를 갖도록 설정된다.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 생성부는, F 값의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되는 외부 타이밍신호에 대응하여, F/2 값보다 작은 프레임 주파수들 중 플리커가 시인되지 않는 최소 구동 주파수에 동기되는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선택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마이콤에서 생성되며, 구동모드 및 데이터 갱신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갖는다.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선택신호의 논리레벨이 반전된 직후로부터 k 프레임 후의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선택신호의 반전시 발생될 수 있는 화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선택신호의 라이징 에지를 기준으로 전후 k 프레임 기간동안 블랙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백라이트를 소등시켜 상기 액정패널에 블랙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은 상기 노멀 구동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회선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 도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입력되는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회로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노멀 구동을 위한 외부 영상신호 및 외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스케일러부, 상기 구동회로들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을 발생하는 내부 전원회로, 및 상기 내부 전원회로에 입력되는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스케일러부를 구성하는 회로들의 전원을 발생하는 외부 전원회로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신호가 셀프 스크린 구동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신호가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지시하면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차단하고,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해 미리 저장된 제1 내부 영상신호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며, 상기 노멀 구동에 비해 낮은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와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에 공급하여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디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모든 전원이 ON 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 영상 을 정상적으로 표시(일반적 TV시청)하는 노멀 구동 모드와 모든 전원이 OFF 되어 영상이 전혀 표시되지 않는 스탠바이 모드 외에, 액정모듈로 공급되는 전원만 ON 되는 셀프 스크린 모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이 셀프 스크린 모드에서, 액정모듈의 내부 오실레이션 클럭등을 통해 발생된 제2 동기신호에 맞추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액정모듈에 표시함으로써, 액정모듈을 시스템모듈과는 별개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초절전 백라이트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생성하여 백라이트 광원을 구동시킴으로써 백라이트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줄인다. 이러한 셀프 스크린 구동은 노멀 구동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회선을 통해 구현되며 노멀 구동에 비해 낮은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시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때문에 노멀 구동에 비해 소비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은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액자와 같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TV 시청(노멀 구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실내 거실환경의 인테리어에 기여할 수 있어, 초절전 인테리어 기능을 겸비한 TV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모듈(10)과, 액정모듈(1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시스템모듈(30)을 구비한다.
액정모듈(10)은 액정패널(11),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3), 타이밍 콘트롤러(14), 멀티플렉서(15), 제1 제어기(16), 메모리(17), 제2 제어기(18), 오실레이터(Oscillator:19), DC-DC 변환기(20), 백라이트 구동회로(21), 백라이트 유닛(22) 및 조도 센싱부(23)를 구비한다.
액정패널(11)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 액정패널은 m 개의 데이터라인들(DL)과 n 개의 게이트라인들(GL)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m×n 개의 액정셀들(Clc)을 포함한다.
액정패널(11)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데이터라인들(DL), 게이트라인들(GL), TFT들,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가 형성된다. 액정셀들(Clc)은 TFT에 접속되어 화소전극들(1)과 공통전극(2) 사이의 전계에 의해 구동된다. 액정패널(11)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2)이 형성된다. 공통전극(2)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는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고,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는 화소전극(1)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패널(11)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타이밍 콘트롤러(14)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DC) 에 응답하여 노멀 구동을 위한 외부 영상신호(이하,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 라 함) 또는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내부 영상신호(이하,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 라 함)를 감마기준전압 발생회로(미도시)로부터의 감마기준전압들(GMA)을 참조하여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을 데이터전압으로써 액정패널(11)의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구동회로(12)는 클럭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한 쉬프트레지스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R2G2B2)를 일시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쉬프트레지스터로부터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R2G2B2)를 1 라인분씩 저장하고 저장된 1 라인분의 디지털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래치, 래치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값에 대응하여 감마기준전압의 참조하에 정극성/부극성의 감마보상전압을 선택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정극성/부극성 감마전압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가 공급되는 데이터라인(DL)을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 및 멀티플렉서와 데이터라인(DL) 사이에 접속된 출력버퍼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트 드라이브 IC들로 구성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액정패널(11)의 수평라인을 선택하는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 구동회로(13)는 쉬프트 레지스터,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액정셀(Clc)의 TFT 구동에 적합한 스윙폭으로 변환하기 위한 레벨 쉬프터, 및 레벨 쉬프터와 게이트라인(GL) 사이에 접속되는 출력 버퍼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로 구성된다.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외부 타이밍신호(이하, "제1 동기신호(SYNC1)" 라 함) 또는 내부 타이밍신호(이하, "제2 동기신호(SYNC2)" 라 함)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GDC,DDC)을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는 라이징(Rising) 또는 폴링(Falling)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 내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래치동작을 지시하는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 SSC),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출력을 지시하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및 액정패널(11)의 액정셀들(Clc)에 공급될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지시하는 극성제어신호(POL)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는 한 화면이 표시되는 1 수직기간 중에서 스캔이 시작되는 시작 수평라인을 지시하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 GSP), 게이트 구동회로(13) 내의 쉬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어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로써 TFT의 온(ON) 기간에 대응하는 펄스폭으로 발생되는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Gate Shift Clock : GSC), 및 게이트 구동회로(13)의 출력을 지시하는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 GOE)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입력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 또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액정패널(11)의 해상도에 맞게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15)는 시스템모듈(30)로부터의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 제 어기(16)의 출력신호(R1G1B1,SYNC1) 또는 제2 제어기(18)의 출력신호(R2G2B2,SYNC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타이밍 콘트롤러(14)에 공급한다. 예컨대, 멀티플렉서(15)는 제1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제1 제어기(16)의 출력신호(R1G1B1,SYNC1)를 선택함으로써 액정모듈(10)이 노멀 구동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는 반면, 제2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제2 제어기(18)의 출력신호(R2G2B2,SYNC2)를 선택함으로써 액정모듈(10)이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
제1 제어기(16)는 노멀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모듈(30)로부터 입력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와 제1 동기신호(SYNC1)를 멀티플렉서(15)의 일측 입력단으로 연계한다. 한편, 제1 제어기(16)는 액정패널(11)의 응답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변조부와, 액정패널(1)의 명암비를 강조하기 위한 제2 변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변조부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제1 보상값을 메모리(17)로부터 독출하여 이 제1 보상값으로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를 변조함으로써 액정패널(11)의 응답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제1 변조부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3236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57119호 등에 개시된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액정의 응답특성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제2 변조부는 한 화면분의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에 대하여 휘도를 분석하고 그 휘도 분석결과에 따라 메모리(17)에 저장된 제2 보상값들로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 터(R1G1B1)를 변조하여 밝은 영상 부분에 표시될 데이터(R1G1B1)의 휘도값을 높이는 반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상 부분에 표시될 데이터(R1G1B1)의 휘도값을 낮춘다. 이와 동시에, 제2 변조부는 휘도 분석 결과에 따라, 밝은 영상 부분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높이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어두운 부분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낮추도록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휘도를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제2 변조부는 영상분석 결과에 따라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의 휘도를 변조함과 동시에 백라이트 휘도를 제어하여 표시영상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증가시켜 동영상에서 동적 명암대비(Dynamic contrast ratio)를 크게 한다. 이러한 제2 변조부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0099334호, 제10-2004-0030334호 등에 개시된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액정패널(11)의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메모리(17)는 노멀 구동시, 액정패널(11)의 응답특성 향상을 위한 제1 보상값 또는 액정패널(11)의 명암비 향상을 위한 제2 보상값을 각각 룩업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7)는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k(k는 1이상의 자연수)프레임 분의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7)는 셀프 스크린 구동시,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외부 조도별 디밍신호(Dimming)를 룩업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한다. 디밍신호(Dimming)는 백라이트의 점등 기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써, 셀프 스크린 구동시 소비되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노멀 구동시에 비해 훨씬 낮은 디밍비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노멀 구동시 최대 디밍비를 갖는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100% 로 가정했을 때, 셀프 스크린 구동시의 디밍신호(Dimming)는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의 밝기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디밍신호(Dimming)는 10% 이내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 시인성 확보를 위해 외부 조도가 밝을 수록 높은 디밍비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오실레이터(19)는 오실레이션 클럭(Oscillation Clock: OSC)을 발생한다.
제2 제어기(18)는 셀프 스크린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모듈(30)로부터의 제2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제2 제어기(18)는 오실레이터(19)로부터의 오실레이션 클럭(OSC)을 기반으로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셀프 스크린 동기신호인 제2 동기신호(SYNC2)를 생성한다. 제2 제어기(18)는 제2 동기신호(SYNC2)에 동기시켜 메모리(17)에 저장된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독출하고, 독출된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와 함께 이 제2 동기신호(SYNC2)를 멀티플렉서(15)의 타측 입력단에 공급한다.
또한, 제2 제어기(18)는 조도 센싱부(23)로부터의 조도 정보(IS)에 기초하여 백라이트 유닛(22)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신호(Dimming)를 메모리(17)로부터 독출한다.
또한, 제2 제어기(18)는 시스템모듈(30)로부터 일정 기간을 주기로 입력되는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이용하여 메모리(17)에 기 저장된 데이터(R2G2B2)를 갱신한다. 이러한 제2 제어기(18)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DC-DC 변환기(20)는 내부 전원회로로서 시스템모듈(30)로부터 입력되는 제1 구동전원(DP1)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액정패널(11)에 공급되는 다수의 전압들을 발생한다. DC-DC 변환기(20)로부터 발생되는 전압들로는 VDD 전압, Vcom 전압, 15V 이상의 VGH 전압, -4V 이하의 VGL 전압등이 있다. VDD 전압은 아날로그 감마보상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12)의 감마 저항스트링에 공급된다. Vcom 전압은 데이터 구동회로(12)를 경유하여 액정패널(11)에 형성된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이다. VGH 전압은 TFT의 문턱전압 이상으로 설정된 스캔펄스의 하이논리전압으로써 게이트 구동회로(13)에 공급된다. VGL 전압은 TFT의 오프전압으로 설정된 스캔펄스의 로우논리전압으로써 게이트 구동회로(13)에 공급된다.
백라이트 구동회로(21)는 시스템모듈(30)로부터 입력되는 제2 구동전원(DP2)을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22)을 구동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신호(BLD)를 발생한다. 특히, 백라이트 구동회로(21)는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에서 제2 제어기(18)로부터 입력되는 디밍신호(Dimming)를 참조하여 백라이트 구동신호(BLD)를 발생한다. 이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에서의 백라이트 구동신호(BLD)는 노멀 구동 모드에 비해 백라이트의 휘도를 줄이도록 발생된다. 백라이트 구동회로(21)는 백 라이트 유닛(22)을 구성하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인버터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2)은 다수의 램프들 또는 LED들, 사이드 서포터, 보텀 커버, 확산판, 반사시트, 및 광학 시트들을 구비한다. 백라이트로 이용되는 램프로는 주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ouscent Lamp: EEFL)가 사용된다. 램프로 공급되는 백라 이트 구동신호(BLD)는 인버터를 통해 발생된다. 한편, 백라이트로 LED가 이용될 때, LED로 공급되는 백라이트 구동신호(BLD)는 LED 드라이버를 통해 발생된다.
조도 센싱부(23)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광센서를 포함하여 액정모듈(10)이 배치된 환경의 외부 조도를 센싱하여 조도 정보(Illuminance Signal : IS)를 발생 한다. 조도 센싱부(23)를 구성하는 광센서는 액정모듈(10)의 외부에 노출되어 부착되거나, 또는 TFT 공정을 통해 액정패널(11)의 일측에 실장될 수 있다.
시스템모듈(30)은 마이콤(31), 스케일러부(32), 저장부(33) 및 파워 유닛(34)을 구비한다.
마이콤(31)은 리모콘 및 선택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Mode)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맞추어 전원 공급을 제어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를 발생한다. 다시 말해, 마이콤(31)은 노멀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신호(Mode)가 입력되면, 파워 유닛(34)을 제어하여 액정모듈(10)과 시스템모듈(30)로 공급되는 전원(DP1 내지 DP3)을 포함한 모든 전원을 ON 시킴과 아울러 제1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를 발생한다. 반면, 마이콤(31)은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 모드신호(Mode)가 입력되면, 파워 유닛(34)을 제어하여 액정모듈(10)로 공급되는 전원(DP1,DP2)을 제외한 모든 전원(예컨대, 스케일러부(32)를 구동시키는 전원(DP3)과 음향장치를 구동시키는 전원(DP4) 등)을 OFF 시킴과 아울러 제1 논리레벨과 반대되는 제2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를 발생한다. 다만, 마이콤(31)은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에서도 스케일러부(32)에 주기적으로 전원을 공급되도록 파워 유닛(34)을 제어하여 데이터 갱신에 사용되는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가 저장부(33)로부터 독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마이콤(31)은 구동 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 주기마다 갱신 타이밍을 지시하는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카운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마이콤(3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신호(Mode)가 입력되지 않으면, 파워 유닛(34)을 제어하여 액정모듈(10)과 시스템모듈(30)로 공급되는 전원을 포함한 모든 전원을 OFF 시켜 액정표시장치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시킨다.
스케일러부(32)는 인터페이스 회로 및 그래픽 처리회로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DVD, CD 및 HDD 등의 저장매체, TV 수신회로 등으로부터의 다양한 속성의 영상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회로로 연계한다. 그래픽 처리회로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or),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표시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는 스케일러(Scaler), 해상도 변환에 따른 화질저하를 신호보간법을 통해 보상하는 이미지 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액정패널(11)에 맞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로 변환한다. 또한, 그래픽 처리회로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합 영상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복합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의 해상도에 맞는 제1 동기신호(SYNC1)를 생성한다. 제1 동기신호(SYNC1)에는 제1 도트클럭(DCLK1), 제1 수직 동기신호(Vsync1), 제1 수평 동기신호(Hsync1), 및 제1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1)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 및 제1 동기신호(SYNC1)는 액정모듈(10)의 제1 제어기(16)에 공급된다. 한편, 스케일러부(32)는 마이콤(31)의 제어하에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 중 일정 시간을 주기로 데이터 갱신에 사용되는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저장부(33)로부터 독출하여 액정모듈(10)의 제2 제어기(18)에 공급한다.
저장부(33)는 데이터의 갱신 및 소거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또는 EDID ROM(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ROM)을 포함하여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에서 표시화상의 갱신에 사용되는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저장한다. 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업 데이트 될 수 있다.
파워 유닛(34)은 외부 전원회로로서 DC-DC 변환기(20)의 동작에 필요한 제1 구동전원(DP1), 백라이트 구동회로(21)의 동작에 필요한 제2 구동전원(DP2), 스케일러부(32)의 동작에 필요한 제3 구동전원(DP3) 및 그외의 음향장치 등에 필요한 구동전원(DP4)을 발생한다. 이 파워 유닛(34)은 마이콤(31)의 제어하에 구성 각부로의 전원 공급을 허여 또는 차단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제2 제어기(18)를 상세히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제어기(18)는 제2 동기신호 생성부(181), 디밍비 제어부(182), 및 메모리 제어부(183)을 구비한다.
제2 동기신호 생성부(181)는 제2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액정패널(11)의 해상도 정보(Resolution Information: RI)와 함께 오실레이터(19)로부터의 오실레이션 클럭(OSC)을 기반으로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제2 동기신 호(SYNC2)를 생성한다. 만약, 노멀 구동시 액정패널(11)이 F 값을 갖는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된다면, 이 제2 동기신호(SYNC2)는 소비전력 저감을 위해 F/2의 프레임 주파수 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플리커가 시인되지 않는 최소 구동 주파수로 액정패널(11)이 구동되도록 한다. 예컨대, 노멀 구동시 액정패널(11)이 120Hz의 프레임 주파수로 구동되는 경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제2 동기신호(SYNC2)는 플리커를 유발하지 않는 최소 구동 주파수인 50Hz의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동기신호 생성부(181)는 도 6과 같이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PLL") 회로(1811), 및 동기신호 생성회로(1812)를 구비한다.
PLL 회로(1811)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분주기(Divider), TCXO(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 챠지 펌프(Charge Pump), 및 루프 필터(Loop Filter)를 포함하는 공지의 PLL을 포함한다. PLL 회로(1811)는 오실레이션 클럭(OSC)을 이용하여 제2 도트클럭(DCLK2)을 발생한다.
동기신호 생성회로(1812)는 제2 도트클럭(DCLK2)과 해상도 정보(RI)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의 해상도에 부합되는 제2 동기신호(SYNC2) 즉, 제2 도트클럭(DCLK2), 제2 수직 동기신호(Vsync2), 제2 수평 동기신호(Hsync2), 및 제2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2)를 생성한다. 여기서, 해상도 정보(RI)는 총 수평기간(H_Total), 총 수직기간(V_Total), 수평 유효기간(H_Valid), 수직 유효기간(V_Valid), 수평 폭(H_Width), 수직 폭(V_Width), 수평 백 포치(H_BP), 수직 백 포치(V_BP) 및 리셋신호(reset)를 포함한다.
디밍비 제어부(182)는 제2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백라이트 유닛(22)의 휘도를 낮추기 위한 디밍신호(Dimming)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디밍비 제어부(182)는 조도 센싱부(23)로부터의 조도 정보(IS)를 리드 어드레스로 하여 메모리(17)로부터 해당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Dimming)를 독출한다. 이러한 디밍신호(Dimming)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22)의 광원들은 노멀 구동시 최대 디밍비를 갖는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100%로 가정했을 때,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의 밝기를 가지되, 시인성 확보를 위해 외부 조도가 밝을 수록 더 큰 밝기를 갖는다.
메모리 제어부(183)는 제2 논리레벨을 갖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메모리(17)를 제어함으로써 제2 동기신호(SYNC2)에 동기되는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독출한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183)는 시스템모듈(30)로부터 일정 기간(예컨대, 수십초 ~ 수분)을 주기로 입력되는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이용하여 메모리(17)에 기 저장된 데이터(R2G2B2)를 갱신한다.
도 7은 각 모드 상태에서의 표시영상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모든 전원이 ON 된 노멀 구동 모드 상태에서, 시스템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제1 동기신호에 맞추어 액정모듈에 표시한다. 통상적인 TV 시청 상태에서의 구동방법으로서 소비전력이 매우 높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모든 전원이 OFF 되어 영상이 전혀 표시되지 않는 스탠바이 모드 외에, 액정모듈로 공급되는 전원만 ON 되는 셀프 스크린 모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이 셀프 스크린 모드에서, 액정모듈의 내부 오실레이션 클럭등을 통해 발생된 제2 동기신호에 맞추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인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액정모듈에 표시함으로써, 액정모듈을 시스템모듈과 독립 구동시킨다. 그리고, 초절전 백라이트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생성하여 백라이트 광원을 구동시킴으로써 백라이트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줄인다. 이러한 셀프 스크린 구동은 노멀 구동에 비해 소비전력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최소한의 소비전력으로 액자와 같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TV 시청(노멀 구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실내 인테리어에 기여할 수 있어, 초절전 인테리어 기능을 겸비한 TV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시스템 모듈과 액정 모듈간 인터페이스 방식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회선은 노멀 구동시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회선과 동일하다. 도 8에서 Hi-Z 는 인터페이스 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없는 구간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노멀 구동모드로 동작되는 기간 동안, 제1 제어기(16)는 시스템 모듈(30)로부터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제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1G1B1)를 제1 동기신호(SYNC1)에 맞춰 액정패널(11)에 표시한다. 이때, 셀프 스크린 구동모드로의 동작을 지시하는 모드신호의 입력에 동기하여, 제2 제어기(18)는 화면 노이즈 제거용 블랙 영상(Black) 을 액정패널(11)에 표시하면서 시스템 모듈(30)로부터 상기 LVDS 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메모리(17)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2 제어기(18)는 시스템 모듈(30)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신호(SEL)가 제1 논리레벨이(L)에서 제2 논리레벨(H)로 반전된 직후로부터 k 프레임 후의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데이터 축약을 통해 메모리(17)에 저장한다. 특히, 제2 제어기(18)는 선택신호(SEL)의 반전시 발생될 수 있는 화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선택신호(SEL)의 라이징 에지를 기준으로 전후 k 프레임 기간동안 블랙 데이터(BD)를 삽입하거나 백라이트를 소등시켜 액정패널(11)에 블랙 영상(Black)을 표시한다. 이렇게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가 메모리(17)에 저장되고 나면, 제2 제어기(18)는 저장된 이미지 영상을 노멀 구동시에 비해 낮은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되는 제2 동기신호(SYNC2)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에 표시함과 아울러 초절전 디밍신호를 이용하여 백라이트를 구동시킨다.
한편, 셀프 스크린 구동모드로 동작되는 중에도, 시스템 모듈(30)로부터 입력되는 선택신호(SEL)는 이미지 영상의 교체를 위해 그 논리레벨이 주기적으로 가변된다. 제2 제어기(18)는 화면 노이즈 제거용 블랙 영상(Black) 을 액정패널(11)에 표시하면서 시스템 모듈(30)로부터 상기 LVDS 회선을 통해 입력되는 갱신용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를 메모리(17)에 저장한다. 이렇게 갱신용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2'G2'B2')가 메모리(17)에 저장되고 나면, 제2 제어기(18)는 저장된 이미지 영상을 노멀 구동시에 비해 낮은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되는 제2 동기신호(SYNC2)를 이용하여 액정패널(11)에 표시함과 아울러 초절전 디밍신호를 이용하여 백라이트를 구동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신호가 입력되면, 이 모드신호가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지를 판단한다.(S11,S12)
모드신호 판단결과,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이면, 이 구동방법은 파워 유닛을 제어하여 액정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외의 모든 전원 즉, 스케일러부로 공급되는 전원 및 음향장치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13) 그리고, 이 구동방법은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에 부합되는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액정모듈을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로 전환한다.(S14)
이어서, 이 구동방법은 액정모듈 내에 구비된 오실레이션 클럭을 이용하여 셀프 스크린 동기신호인 제2 동기신호를 생성한다.(S15) 그리고, 제2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액정모듈 내에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함과 아울러, 노멀 구동에 비해 매우 낮은 소비전력으로 백라이트 광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초절전 백라이트 디밍비를 설정하고, 이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생성한다.(S16) 그리고, 이 구동방법은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제2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액정패널에 표시함과 동시에 디밍신호에 따른 디밍비로 백라이트 광원을 구동시킨다.(S17)
이어서, 이 구동방법은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 상태에서, 구동시간을 카운트 하여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S19)
초과 여부 판단결과,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이전에 저장된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초과하면 메모리에 기 저장된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로 갱신한다.(S21) 새로운 제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는 시스템모듈내의 저장장치로부터 출력된 후 시스템모듈의 스케일러부 및 액정모듈의 제2 제어기를 거쳐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를 위해, 이 구동방법은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 상태에서 시스템모듈 중 스케일러부로의 전원 공급을 항상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갱신 데이터의 출력을 위해 일정주기마다 간헐적으로 스케일러부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모드신호 판단결과, 셀프 스크린 구동 모드가 아니면 이 구동방법은 입력 모드신호가 노멀 구동 모드를 지시하는지를 재차 판단한다.(S22) 재차 판단결과, 노멀 구동 모드이면 이 구동방법은 파워 유닛을 제어하여 액정모듈 및 시스템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ON 시켜 액정표시장치를 노멀 구동시킨다.(S23,S24) 반면, 재차 판단결과, 노멀 구동 모드가 아니면 이 구동방법은 파워 유닛을 제어하여 액정모듈 및 시스템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OFF 시켜 액정표시장치를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시킨다.(S25,S26)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
도 2는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영상의 표시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노멀 구동 모드에서의 영상의 표시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제2 제어기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제2 동기신호 생성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각 모드 상태에서의 영상의 표시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시스템 모듈과 액정 모듈간 인터페이스 방식을 보여주는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모듈 11 : 액정패널
12 : 데이터 구동회로 13 : 게이트 구동회로
14 : 타이밍 콘트롤러 15 : 멀티플렉서
16 : 제1 제어기 17 : 메모리
18 : 제2 제어기 19 : 오실레이터
20 : DC-DC 변환기 21 : 백라이트 구동회로
22 : 백라이트 유닛 30 : 시스템모듈
31 : 마이콤 32 : 스케일러부
33 : 저장부 34 : 파워 유닛

Claims (18)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입력되는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회로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노멀 구동에 비해 낮은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발생하고,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독출하는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
    상기 노멀 구동을 위한 외부 영상신호 및 외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스케일러부;
    구동모드에 따른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의 출력 및 상기 스케일러부의 출력 중 어느 한 출력을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에 공급하는 선택부;
    상기 구동회로들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 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을 발생하는 내부 전원회로;
    상기 내부 전원회로에 입력되는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스케일러부를 구성하는 회로들의 전원을 발생하는 외부 전원회로;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시,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차단하고,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는 마이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의 갱신에 이용되는 제2 내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상태에서의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허여하여, 상기 외부 저장부의 제2 내부 영상신호가 상기 스케일러부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를 거쳐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의 생성에 이용되는 오실레이션 클럭을 발생하는 내부 오실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액정패널의 해상도 정보와 상기 오실레이션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내부 타이밍신호 생성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기 위한 상기 디밍신호를 발생하는 디밍비 제어부; 및
    내부 영상신호의 독출 및 갱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비 제어부는, 노멀 구동시 최대 디밍비를 갖는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100%로 가정했을 때, 상기 디밍신호를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의 밝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 조도를 센싱하기 위한 조도 센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신호는 상기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 상기 외부 조도가 밝을 수록 높은 디밍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 생성부는, F 값의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되는 외부 타이밍신호에 대응하여, F/2 값보다 작은 프레임 주파수들 중 플리커가 시인되지 않는 최소 구동 주파수에 동기되는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모드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마이콤에서 생성되며, 구동모드 및 데이터 갱신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선택신호의 논리레벨이 반전된 직후로부터 k 프레임 후의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 제어기는 상기 선택신호의 반전시 발생될 수 있는 화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선택신호의 라이징 에지를 기준으로 전후 k 프레임 기간동안 블랙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백라이트를 소등시켜 상기 액정패널에 블랙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은 상기 노멀 구동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회선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데이터 구동회로, 상기 액정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시키는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 공급함과 아울러 입력되는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회로들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노멀 구동을 위한 외부 영상신호 및 외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스케일러부, 상기 구동회로들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들을 발생하는 내부 전원회로, 및 상기 내부 전원회로에 입력되는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스케일러부를 구성하는 회로들의 전원을 발생하는 외부 전원회로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모드신호가 셀프 스크린 구동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드신호가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지시하면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차단하고, 내부 타이밍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해 미리 저장된 제1 내부 영상신호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며, 상기 노멀 구동에 비해 낮은 디밍비를 갖는 디밍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을 위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와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에 공급하여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를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디밍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낮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스크린 구동상태에서의 구동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때마다 상기 스케일러부에 공급되는 상기 외부 전원회로의 출력을 허여하여, 상기 제1 내부 영상신호의 갱신에 이용될 제2 내부 영상신호가 상기 스케일러부에 접속된 외부 저장부로부터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신호, 상기 노멀 구동시 최대 디밍비를 갖는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100%로 가정했을 때,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의 밝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신호는 상기 10%의 소비전력 범위내에서 외부 조도가 밝을 수록 높은 디밍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타이밍신호는, F 값의 프레임 주파수에 동기되는 외부 타이밍신호에 대응하여, F/2 값보다 작은 프레임 주파수들 중 플리커가 시인되지 않는 최소 구동 주파수에 동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80097274A 2008-08-26 2008-10-02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54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130452A TWI419128B (zh) 2008-10-02 2009-09-09 液晶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200910177688XA CN101714342B (zh) 2008-08-26 2009-09-30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US12/588,051 US8552968B2 (en) 2008-10-02 2009-10-0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308 2008-08-26
KR1020080083308 200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73A true KR20100024873A (ko) 2010-03-08
KR101354347B1 KR101354347B1 (ko) 2014-01-23

Family

ID=4217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274A KR101354347B1 (ko) 2008-08-26 2008-10-02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4347B1 (ko)
CN (1) CN10171434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6658A (ko) * 2011-10-04 201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79233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14822436A (zh) * 2022-04-13 2022-07-29 山东蓝贝思特教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光电检测功能的液晶书写装置及方法
WO2024075965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33B1 (ko) * 2010-11-30 2017-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08479B1 (ko) 2010-12-31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출력 동기 신호의 동기화 방법 및 회로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그 구동 방법
KR101857806B1 (ko) * 2011-08-11 2018-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000040B1 (ko) 2011-12-01 2019-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출력 동기 신호의 동기화 회로와, 그를 이용한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3195869A (ja) * 2012-03-22 2013-09-30 Japan Display West Co Ltd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560240B1 (ko) * 2012-05-29 2015-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그 구동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N105280126B (zh) * 2014-07-22 2018-12-21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
KR102237039B1 (ko) * 2014-10-06 2021-04-0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소오스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03567A (ko) * 2015-02-24 2016-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116963A (zh) * 2015-07-31 2015-12-02 山东超越数控电子有限公司 一种aio主机模式与显示模式自动切换方法
CN111009220B (zh) * 2018-10-08 2021-05-25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适用于显示器背光的区域调光系统与方法
CN109410894B (zh) * 2019-01-08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生成差分输出信号的方法及模块、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0499B1 (en) * 2000-11-22 2004-02-10 Displaytech, Inc. Multi-state light modulator with non-zero response time and linear gray scale
KR100965597B1 (ko) * 2003-12-29 201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JP2005338262A (ja) * 2004-05-25 2005-12-08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287202B1 (ko) * 2006-04-28 2013-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상 표시장치
KR20080000058A (ko) * 2006-06-26 2008-01-0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Lcd 자동 밝기 제어 방법
CN101290414B (zh) * 2007-04-20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背景光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6658A (ko) * 2011-10-04 2013-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79233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14822436A (zh) * 2022-04-13 2022-07-29 山东蓝贝思特教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光电检测功能的液晶书写装置及方法
CN114822436B (zh) * 2022-04-13 2023-12-08 山东蓝贝思特教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光电检测功能的液晶书写装置及方法
WO2024075965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4342A (zh) 2010-05-26
KR101354347B1 (ko) 2014-01-23
CN101714342B (zh)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34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18755B1 (ko) 액정표시장치
US855296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459092B (zh) 液晶顯示裝置及其掃描背光驅動方法
JP4918007B2 (ja) 液晶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の製造方法
US7978170B2 (en) Driving apparatus of backlight and method of driving backlight using the same
KR10150148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구동 방법
JP4933520B2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TWI452566B (zh) 液晶顯示器及其掃描背光驅動方法
KR10176140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1875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2253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9700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9664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00133185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80084150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77106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1546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14283B1 (ko) 액정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24592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02583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70003018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1005174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110379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동 장치
KR20050064913A (ko) 자동 휘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