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753A -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753A
KR20100024753A KR1020080083456A KR20080083456A KR20100024753A KR 20100024753 A KR20100024753 A KR 20100024753A KR 1020080083456 A KR1020080083456 A KR 1020080083456A KR 20080083456 A KR20080083456 A KR 20080083456A KR 20100024753 A KR20100024753 A KR 20100024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erial
area
line
ratio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욱
김종호
임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Priority to KR102008008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753A/ko
Publication of KR2010002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22Investigating thin films, e.g. matrix isolation meth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74Taking dimensions of defect into accou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은 광학 필름을 촬상하여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에 마련된 이물을 검출하는 이물 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영상은 상기 이물에 대응되는 이물부와, 배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와 상기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단계; 상기 이물부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넓이의 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값과 상기 넓이의 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물부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in line type}
본 발명은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필름을 촬상하여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광학 필름에 마련된 이물의 형태를 판단할 수 있는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최전방에 조립되는 편광판으로 광학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은 방현(防眩)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액정 화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태양광, 외광(外光), 형광등 등의 광에 의한 반영(反映)이나 눈부심을 억제하여 액정 화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PDP(Plasma Display Panel)의 최전방 표면에도, 광학 필름으로서 유리의 표면에 반사 방지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학 필름을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하는 경우, 광학 필름의 내부에 기포나 이물이 존재하면 표시 특성에 지장을 초래한다. 광학 필름의 내부 기포 등의 이물을 검출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롤(roll) 상태 또는 시트(sheet) 상태의 광학 필름에 광을 조사하고, 광학 필름에 의해 반사된 광 또는 광학 필름을 투 과한 광을 이용하여 광학 필름상에서 이물 부위의 영상을 획득한 후 그 영상에서 그레이레벨(gray level)을 분석하여 광학 필름의 이물을 검출하는 것이다.
최근 광학 필름의 제조공정 중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공공정에서 실오라기 형태의 이물이 광학 필름 내에 포함되어 광학 필름 제품의 불량율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공공정뿐만 아니라, PVA필름 및 TAC 필름의 연신공정, 이형필름의 합지공정 등에서도 실오라기 형태의 이물이 광학 필름 내에 포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물 검출방법은 단순히 이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만을 수행할 뿐, 어떠한 형태의 이물인가에 대하여 판단(예컨대, 검출된 이물이 실오라기 형태(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 부위를 촬상한 영상에서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와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이용하여, 그 이물부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은, 광학 필름을 촬상하여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에 마련된 이물을 검출하는 이물 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영상은 상기 이물에 대응되는 이물부와, 배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와 상기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단계; 상기 이물부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넓이의 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값과 상기 넓이의 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물부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하는 단계는, 상기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에 대한 상기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넓이의 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물부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곡선은, 상기 이물부 내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두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화소가 상기 이물부 또는 상기 배경부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각 화소의 그레이레벨(gray level)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폐곡선 내의 넓이는 상기 직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이고, 상기 이물부의 넓이는 상기 이물부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넓이를 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따르면, 촬상한 영상 내의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와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이용함으로써, 그 이물부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따르면, 촬상한 영상을 그레이레벨(gray level)의 차이에 의해 이물부와 배경부로 구분하고 대응되는 화소들의 넓이를 더함으로써 폐곡선 내의 넓이 및 이물부의 넓이를 구할 수 있으므로, 폐곡선 내의 넓이와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계산 과정을 신속,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의 순서도이 고, 도 2는 도 1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라인 형태의 이물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둥근 형태의 이물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은 광학 필름에서 이물 부위를 촬상하여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그 영상에 존재하는 이물이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예컨대 실오라기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물 검출방법이다.
우선 광학 필름에서 이물 부위를 촬상하여 얻은 영상(110)에서 각 화소의 그레이레벨(gray level)을 분석하고 그레이레벨의 차이를 이용하여 영상(110) 중 어느 화소들이 이물에 해당하고, 어느 화소들이 배경(background)에 해당하는지를 구분한다(S110). 촬상한 영상(110)에서 이물에 해당하는 화소들의 집합을 이물부(111)라 하고, 이물부(111)에 해당하지 않는 그외의 화소들의 집합을 배경부(113)라고 정의한다. 이물부(111)와 배경부(113)를 구분하는 그레이레벨 차이의 기준값은 작업자의 임의로 설정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8비트의 그레이레벨의 환경 하에서, 배경부(113)의 그레이레벨을 기준으로 배경부(113)의 그레이레벨과 12 이상의 차이가 나는 그레이레벨을 가지고 있는 부분을 이물부(111)로 구분한다.
이물부(111)와 배경부(113)의 구분이 완료되면, 이물 부위를 촬상한 영상(110)에서 이물부(111)를 포함하는 폐곡선(115) 내의 넓이와 이물부(111)의 넓이를 각각 구한다(S120). 상기 폐곡선(115)은 이물부(111)를 포함하면 다각형, 원, 타원 등 어떠한 형태의 폐곡선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부(111) 내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두 위치(P)를 연결하는 직선(117)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형태가 폐곡선(115)의 형태로 가장 바람직하다.
우선 폐곡선(115) 내의 넓이는 상기 두 위치(P)를 연결하는 직선(117)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를 구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이물부(111)의 넓이는 이물부(111)에 포함되는 화소들만의 넓이를 더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폐곡선(115) 내의 넓이와 이물부(111)의 넓이가 구해지면, 폐곡선(115) 내의 넓이와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를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곡선(115) 내의 넓이를 분모로 위치시키는,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를 구한다(S130).
이후, 이물부(111)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계산된 넓이의 비를 비교한다(S140). 이물부(111)에 해당하는 형태가 라인 형태냐 둥근 형태냐에 따라 위에서 구한 넓이의 비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부(111)가 실오라기와 같은 라인 형태라면 폐곡선(115)에서 배경부(113)에 비해 이물부(111)가 차지하는 넓이가 작아서,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는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부(111)가 둥근 형태라면 폐곡선(115)에서 배경부(113)와 비교하여 이물부(111)가 차지하는 넓이가 커서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는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촬상한 영상(110) 내의 이물부(111)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에 관한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고, 실제 계산된 넓이의 비와 기준값을 비교한다.
이후, 기준값과 넓이의 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물부(111)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50). 본 실시예에서는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를 구하였으므로, 폐곡선(115)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그 이물부(111)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결정한다. 예컨대, 촬상한 영상(110) 내의 이물부(111)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0.2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가 0.1이라면 이 넓이의 비는 기준값보다 작으므로 해당 이물부(111)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결정한다(S161).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115)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111)의 넓이의 비가 0.9라면 이 넓이의 비는 기준값보다 크므로 해당 이물부(111)를 라인 형태의 이물이 아닌 것으로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은, 촬상한 영상 내의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와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이용함으로써, 그 이물부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은, 촬상한 영상을 그레이레벨(gray level)의 차이에 의해 이물부와 배경부로 구분하고 장축과 단축을 이용하여 폐곡선 내의 넓이 및 이물부의 넓이를 구할 수 있으므로, 폐곡선 내의 넓이와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계산 과정을 신속,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곡선 내의 넓이를 분모로 위치시키는, 폐곡선 내의 넓이에 대한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였지만, 이물부의 넓이를 분모로 위치시키는, 이물부의 넓이에 대한 폐곡선 내의 넓이의 비를 구할 수도 있다. 이때, 넓이의 비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이물부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의 형태로 다각형, 원, 타원 등의 여러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물부를 완전히 포함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의 폐곡선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물부의 넓이를 구하는데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이용하여 넓이를 구하였으나, 폐곡선 내의 넓이는 폐곡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부 및 배경부가 차지하는 화소들의 넓이를 더함으로써 구할 수 있고, 이물부의 넓이는 이물부가 차지하는 화소들만의 넓이를 더함으로써 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라인 형태의 이물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에 있어서 둥근 형태의 이물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영상 111: 이물부
113: 배경부 115: 폐곡선

Claims (4)

  1. 광학 필름을 촬상하여 얻은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광학 필름에 마련된 이물을 검출하는 이물 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영상은 상기 이물에 대응되는 이물부와, 배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와 상기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는 단계;
    상기 이물부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넓이의 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값과 상기 넓이의 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이물부가 라인 형태의 이물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하는 단계는, 상기 이물부를 포함하는 폐곡선 내의 넓이에 대한 상기 이물부의 넓이의 비를 구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넓이의 비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물부를 라인 형태의 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은,
    상기 이물부 내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두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구성하는 화소가 상기 이물부 또는 상기 배경부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각 화소의 그레이레벨(gray level)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폐곡선 내의 넓이는 상기 직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이고,
    상기 이물부의 넓이는 상기 이물부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넓이를 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KR1020080083456A 2008-08-26 2008-08-26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KR20100024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56A KR20100024753A (ko) 2008-08-26 2008-08-26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56A KR20100024753A (ko) 2008-08-26 2008-08-26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53A true KR20100024753A (ko) 2010-03-08

Family

ID=4217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456A KR20100024753A (ko) 2008-08-26 2008-08-26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7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62B1 (ko) * 2013-05-16 2014-0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KR20150120761A (ko) 2014-04-18 2015-10-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KR20160026400A (ko) 2014-09-01 2016-03-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 필름의 결함 모니터링 방법
KR20160145997A (ko) 2015-06-11 2016-12-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62B1 (ko) * 2013-05-16 2014-0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KR20150120761A (ko) 2014-04-18 2015-10-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CN105044130A (zh) * 2014-04-18 2015-11-11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光学膜的缺陷判别方法
KR20160026400A (ko) 2014-09-01 2016-03-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 필름의 결함 모니터링 방법
KR20160145997A (ko) 2015-06-11 2016-12-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필름의 결함 판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58258B (zh)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竹条表面缺陷检测方法
US20200082788A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generating picture compensation signal, and restoring system
JP2009171318A5 (ko)
MY151339A (en) Multi-imaging automated inspection methods and systems for wet ophthalmic lenses
CN109406529B (zh) 一种aoi缺陷检测系统的性能调节方法
JP2009175041A (ja) 表示画像のギラツキ評価方法
KR101702841B1 (ko) 편광 필름의 결함 모니터링 방법
WO2009055464A3 (en) Detecting ambient light levels in a vision system
KR20100024753A (ko) 라인 형태의 이물 검출방법
JP2010019868A (ja) ディスプレーの多角度計測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329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 of optical film
CN105092473A (zh) 一种多晶硅薄膜的质量检测方法和系统
JP2009229197A (ja) 線状欠陥検出方法および線状欠陥検出装置
JP5842373B2 (ja) 表面欠陥検出方法、および表面欠陥検出装置
KR20160084212A (ko)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6646939B (zh) 一种Mura缺陷检出方法
KR20170067079A (ko) 얼룩결함 검사장치 및 얼룩결함 검사방법
WO2017049863A1 (zh) 液晶滴注系统及控制方法
JP5634390B2 (ja) ガラス容器の欠陥検査方法及び装置
TWI548871B (zh) Plate glass inspection apparatus, plate glass inspection method, plate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late glass manufacturing method
CN114764779A (zh) 运算装置及用于近眼显示装置的缺陷检测方法
CN116503324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黑胶模组外观检测方法及系统
JP2006201523A (ja) 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TW200839220A (en) Surface morphology defect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JP2013235579A (ja) 光学フィルムの欠陥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