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263A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263A
KR20100024263A KR1020080083033A KR20080083033A KR20100024263A KR 20100024263 A KR20100024263 A KR 20100024263A KR 1020080083033 A KR1020080083033 A KR 1020080083033A KR 20080083033 A KR20080083033 A KR 20080083033A KR 20100024263 A KR20100024263 A KR 20100024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uty
image
face
process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263A/ko
Publication of KR2010002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된 영상을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한 후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을 별도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83033
영상촬영, 뷰티처리, 뷰티처리전 얼굴영상 저장, 원 영상 복원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eauty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된 영상을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미지 센서로서 CCD나 MOS형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의 센서는 사람의 눈과는 차이가 있어서, 작고 희미한 반점이나 기미등이 매우 강조되어 촬영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피사체 피부의 작은 색상 차이도 강조되어 나타나게 되어, 사용자의 영상 출력에 대한 희망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영상 촬영 시에 특정 모드에서 얼굴의 거친부분을 부드럽고 소프트하게 처리하는 뷰티처리 모드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뷰티처리하여 촬영한 영상에 대해 뷰티처리된 정도를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원 영상으로의 복원도 불가능하여 재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된 영상으로부터 뷰티처리전 얼굴을 별도로 저장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영역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한 후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별도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한 후 상기 뷰티처리를 재수행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 굴영역에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덮어쓰기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에 대한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하는 뷰티처리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과 상기 얼굴인식부가 검출한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하는 복원부; 및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검출된 얼굴영역을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복원된 원 영상의 뷰티처리 재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영역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별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d)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과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검출된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하는 단계; 및 (e) 상기 복원된 원 영상의 뷰티처리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 영상 복원 시에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을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삽입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 영상 복원 시에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덮어쓰기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된 영상으로부터 뷰티처리전 얼굴을 별도로 저장하고 뷰티처리된 얼굴영역을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으로 변환시켜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고, 복원된 원영상에 대해 뷰티처리 정도를 수정하여 뷰티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기는 포커스를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포커스가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도 2의 2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포커스가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기가 자동으로 포커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들(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 또는 메뉴 선택 및 실행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 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한 후,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을 별도로 저장하고,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 인식부(39-1), 뷰티처리부(39-2), 복원부(39-3) 및 제어부(39-4)를 포함한다.
얼굴 인식부(39-1)는 제어부(39-4)의 제어 하에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한다. 얼굴 인식부(39-1)는 특징 기반 얼굴 검출 방법으로 얼굴의 불변하는 특징(눈, 코, 입과 같은 얼굴 요소, 질감, 살색)들을 찾는다. 얼굴의 여러 가지 특징들 중에서 특히 살색은 얼굴의 이동, 회전, 크기 변화 등에 덜 민감한 특성을 가지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 이외에 얼굴 인식부(39-1)는 얼굴 형판(template) 기반 검출 방법은 얼굴에 대한 몇 가지의 표준 패턴을 만든 뒤에 패턴을 얼굴 검출을 위해 저장한다. 그런 뒤에 패턴들은 영상의 탐색 윈도우 안에서 영상과 하나씩 비교되어 얼굴이 검출된다. 얼굴 검출의 방법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에 기반을 둔 얼굴 검출방법이 있다. SVM 기반 방법들은 영상으로부터 각기 다른 영역들을 서브 샘플링(sub-sampling)하여 학습기를 통해 얼굴과 비 얼굴(얼굴이 아닌 부분)에 대해 학습시킨 뒤 입력 영상에서 얼굴을 찾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얼굴 인식부(39-1)의 얼굴 정보 검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뷰티처리부(39-2)는 검출된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하는데, 제어부(39-4)의 제어 하에 선택된 뷰티처리 조정정도 만큼 선택된 얼굴에 뷰티처리를 수행한다. 뷰티처리부(39-2)는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기 위해 먼저 검출된 얼굴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선택된 뷰티처리 조정정도 만큼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한다.
뷰티처리부(39-2)는 검출된 얼굴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검출된 얼굴을 소정개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의 휘도값 및 전체 블록의 평균휘도값을 산출한다. 얼굴의 거친 부분 즉, 기미, 잡티, 점 주름이 포함된 블록들의 휘도값은 평균 휘도값 보다 낮게 산출된다. 뷰티처리부(39-2)의 뷰티처리수행은 거친부분이 포함된 블록들의 휘도값이 평균 휘도값 보다 낮게 산출되므로, 거친부분이 포함된 블록의 휘도값을 평균휘도값으로 변환시켜 거친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뷰티처리부(39-2)는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산출된 피부보정용 기준 휘도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다. 뷰티처리부(39-2)는 거친부분이 포함된 블록의 휘도값을 기준 휘도값으로 변환시켜 거친 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뷰티처리가 수행된 후 제어부(39-4)는 영상파일을 저장하는데, 이때 제어부(39-4)는 뷰티처리 수행을 위해 검출된 얼굴영역 즉,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영상파일의 임의의 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39-4)는 얼굴영역의 좌표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영상이 촬영되면, 영상파일 즉 Exif 파일이 생성되는데, Exif 파일은 SOI(start of imgae), APP(application data), DQT(define quantization table), DHT(define Huffman table), SOF(start of frame), SOS(start of scan), 및 EOI(end of frame)를 포함하는 마커들과, 압축된 데이터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압축된 데이터를 제외한 마커들은 헤더라고도 불리우며, 상기 마커 중 APP 영역에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촬영정보가 저장된다. Exif 파일 중 APP (application marker segment) 영역에는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촬영 일시나, 제품명 등의 부가 정보 또는 섬네일(thumbnail)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다시 APP 영역 중 APP1 Marker 영역에는 제조사 별로 각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MakerNote data 영역이 있는데, 제어부(39-4)는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재생되는 뷰터처리된 영상을 보고 원 영상으로 복원하고 싶거나 뷰티처리 정도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39-4)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복원부(39-3)를 동작시킨다.
복원부(39-3)는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과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한다. 뷰티처리된 얼굴영역의 크기와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이 동일하므로, 복원부(39-3)는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을 삭제하고 추출된 얼굴영역에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삽입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복원부(39-3)는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덮어쓰기 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원 영상으로 복원되면, 제어부(39-4)는 복원된 원 영상을 저장하거나, 뷰티 처리부(39-2)를 제어하여 뷰티처리 정도를 조정하게 하여 새로운 뷰티처리 영상이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도 4a에는 촬영시 입력되는 영상이, 도 4b에는 얼굴 인식부(39-1)가 검출한 얼굴 영역이, 도 4c에는 뷰티처리가 완료되어 저장될 영상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39-4)는 도 4c의 뷰티처리가 완료된 영상파일의 MakerNote data 영역에 도 4b의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저장하여, 추후 원영상으로 복원할 때 이를 이용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501단계), 디지털 신호처리부(39)는 사용자로부터 셔터-릴리즈 버튼(11)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촬영한다(503단계).
영상이 촬영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한다(50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특징 기반 얼굴 검출 방법, 얼굴 형판 기반 검출 방법, SVM에 기반을 둔 얼굴 검출방법 등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는데, 얼굴 검출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뷰티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검출한 얼굴 영역 즉,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임시로 저장한다(507단계).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의 임시저장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검출된 얼굴영역의 뷰티처리를 수행한다(509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검출된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하는데, 선택된 뷰티처리 조정정도 만큼 선택된 얼굴에 뷰티처리를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기 위해 먼저 검출된 얼굴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선택된 뷰티처리 조정정도 만큼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검출된 얼굴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검출된 얼굴을 소정개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의 휘도값 및 전체 블록의 평균휘도값을 산출한다. 얼굴의 거친 부분 즉, 기미, 잡티, 점 주름이 포함된 블록들의 휘도값은 평균 휘도값 보다 낮게 산출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뷰티처리수행은 거친부분이 포함된 블록들의 휘도값이 평균 휘도값 보다 낮게 산출되므로, 거친부분이 포함된 블록의 휘도값을 평균휘도값으로 변환시켜 거친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산출된 피부보정용 기준 휘도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고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거친부분이 포함된 블록의 휘도값을 기준 휘도값으로 변환시켜 거친 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뷰티처리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뷰티처리된 영상파일을 저장하고, 임시저장한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을 상기 영상파일의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한다(511단계). MakerNote data 영역은 영상파일(Exif 파일) 중 제조사 별 로 각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영역으로,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재생되는 뷰터처리된 영상을 보고 원 영상으로 복원하고 싶거나 뷰티처리 정도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513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과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한다(515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을 삭제하고 추출된 얼굴영역에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삽입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된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덮어쓰기 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원 영상으로 복원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복원된 원 영상을 저장하거나, 509단계로 점프하여 뷰티처리 정도를 조정하게 하여 새로운 뷰티처리 영상이 생성되도록 한다.
도 4a에는 촬영시 입력되는 영상이, 도 4b에는 얼굴 인식부(39-1)가 검출한 얼굴 영역이, 도 4c에는 뷰티처리가 완료되어 저장될 영상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39-4)는 도 4c의 뷰티처리가 완료된 영상파일의 MakerNote data 영역에 도 4b의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저장하여, 추후 원영상으로 복원할 때 이를 이용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뷰티처리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11)

  1.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얼굴영역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한 후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별도로 저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뷰티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한 후 상기 뷰티처리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덮어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영상에 대한 얼굴 인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는 얼굴 인식부;
    상기 검출된 얼굴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하는 뷰티처리부;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과 상기 얼굴인식부가 검출한 뷰티처리전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하는 복원부; 및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검출된 얼굴영역을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복원된 원 영상의 뷰티처리 재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인 뷰티처리 장치.
  7.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얼굴영역의 거친부분을 보정하는 뷰티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별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티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영상 파일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 MakerNote data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d)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과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검출된 얼굴영역을 합성하여 원 영상으로 복원하는 단계; 및
    (e) 상기 복원된 원 영상의 뷰티처리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 영상 복원 시에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을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에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 영상 복원 시에
    상기 뷰티처리된 영상의 얼굴영역에 상기 뷰티처리 수행전 얼굴영역을 덮어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티처리 방법.
KR1020080083033A 2008-08-25 2008-08-25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00024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33A KR20100024263A (ko) 2008-08-25 2008-08-25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33A KR20100024263A (ko) 2008-08-25 2008-08-25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263A true KR20100024263A (ko) 2010-03-05

Family

ID=421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033A KR20100024263A (ko) 2008-08-25 2008-08-25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2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8339A (zh) * 2017-10-12 2019-04-19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8339A (zh) * 2017-10-12 2019-04-19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CN109658339B (zh) * 2017-10-12 2023-12-08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36839B1 (ko) 사람 수 체크를 이용한 셀프타이머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7568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JP5009204B2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における画像合成方法
KR20080044132A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
KR20090067913A (ko) 영상 트리밍 장치 및 방법
KR101396355B1 (ko) 연사촬영된 영상들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25967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동영상 파일 미리보기 장치 및 방법
JP520082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00024263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96335B1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1131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200901053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썸네일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0002426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뷰티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10146787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11316B1 (ko) 메모영상을 추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KR10137301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저광량 시의 손떨림 방지 장치 및방법
KR101445610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42765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396338B1 (ko)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동작 방법
KR20100001271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저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