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050A -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050A
KR20100024050A KR1020080082723A KR20080082723A KR20100024050A KR 20100024050 A KR20100024050 A KR 20100024050A KR 1020080082723 A KR1020080082723 A KR 1020080082723A KR 20080082723 A KR20080082723 A KR 20080082723A KR 20100024050 A KR20100024050 A KR 2010002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id
liposomes
liposome
biologically active
ves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815B1 (ko
Inventor
심종원
김미진
김용진
안은정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82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8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내상에 포집하고 특정 pH 환경에서 약물을 급속히 방출하는 새로운 다중소포성의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알려진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크게 개선하고 특정 pH에서 약물을 급속하게 방출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다중소포성 리포좀*급속 방출*전이온도

Description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Multi-Vesicular liposome, the method preparing thereof and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내상에 포집하고 특정 pH 환경에서 약물을 급속히 방출하는 새로운 다중소포성의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및 화장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물을 투여하기 가장 편리한 경로는 경구를 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의약품으로 제조되는 경구용 약물 제제를 비롯, 보조적 성격의 생물학적 활성 물질들을 경구로 투여하는데 있어 극복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선결 조건을 꼽는다면 물질의 변성을 막는 것과 물질의 체내 흡수도를 증가시키는 것의 2가지 요건을 꼽을 수 있다. 이 2가지 요건은 모두 약물 및 기타 생물학적 활성 물질들의 생체 유용성(Bioavailability)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적은 양의 약물을 사용하여 기존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거나 지속적인 약물의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많은 약물들에 있어서 장기간의 약물농도 유지를 위해 사용된 방법 중 하나는 약물을 리포좀으로 포집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리포좀은 단일의 이중막으로 이루어진 SUV(single unilamellar vesicle) 및 동심원 구조를 갖는 다층의 이중막으로 이루어진 MLV(Multi-lamellar vesicle) 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김신일 외 연구자 들에 의해 개발된 다중 소포성 리포좀(Multi-Vesicular Liposome: MVL)은 이와는 매우 다른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단일 이중막 리포좀 혹은 다층막 리포좀과는 달리 MVL은 비 동심구조를 갖는 다수의 독립된 공간을 지니고 있는데, 내부에 수성물질의 포집이 가능하다. 이미 알려져 있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제조 선행기술은 1983년 Biochim. Biophys, Acta에 보고 되었는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중에 1종 이상의 양극성 지질 및 1종의 중성 지질을 함유하는 지질 성분을 용해시키는 단계, 캡슐화 되는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불혼화성 제 1 수성 성분과 상기 지질 성분을 혼합시키는 단계, 두개의 불혼화성 성분들로부터 유중수(water-in-oil) 유액을 형성 시키는 단계, 유중수 (water-in-oil) 유액을 용매 소구체를 형성시키는 제 2 불혼화성 수성성분으로 전이시켜 침지시키는 단계, 및 증발에 의해서 용매 소구체로부터 유기용매를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극성 지질은 알짜 음전하를 갖는 양극성 지질, 스테롤 및 양성 이온성 지질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다중 소포성 리포좀은 수용성 물질의 포집에 매우 유리한데, 약 89%의 포집 효율을 나타낸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생체 액에서 활성물질의 조절 방출이 가능한 리포좀 조 성물로서 캡슐화된 수성상의 삼투 몰농도는 염산 또는 산이 없는 환경에서 캡슐화된 활성 물질의 지속적인 방출을 나타내도록 하는 방법이다. 생체 액 및 생체 내로의 캡슐화된 활성물질 분자의 방출속도는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삼투압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또는 증가된 물질 및 삼투 스페이서를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이 같은 방법은 양성자 발생체, 또는 이온 발생체를 리포좀 내부에 포집시켜 막전위를 형성시킴으로써 리포좀으로부터 수성환경에로의 캡슐화된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방출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고 한 특허(미국 특허 제 5077056호) 및 유럽특허 출원 (EP 0126580호)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 한계, 즉 방출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약물이 방출되는 매질의 삼투 몰농도가 변해야 한다는 약점을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은 그 제조방법이 매우 까다롭다. 실제로 이를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재현하여 보면, 무엇보다 수-유-수 이중 유화상태를 구축한 후 유상에 해당하는 유기 용매의 제거를 위해서 가온한 질소기류를 액상표면에 불어넣어 유기용매를 최대한 서서히 제거하는 방법이 이 리포좀의 다중막의 파괴를 막기 위해 필수적이다. 1996년 공개된 특허(WO 1996/08235)에 명기된 제조방법에서는 이 유기 용매가 상기 기체의 살포 이외에 감압 하 증발 및 분무건조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 용매 제거 시스템으로도 제거될 수 있다고 명기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제조예가 없을뿐더러 실제로 감압 증발을 이용하여 제조해보면 유기용매의 증발로 인한 막의 파괴를 막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매우 미세한 수준의 압력을 사용하여 장 시간 동안 용매를 제거해야 하며, 제거하는 동안에 일부 액적 입자의 합일을 억제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은 대량제조하에는 적합하지 않고, 더욱이 에너지 소비가 크기 때문에 공정단가가 높게 책정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통해 종래의 다중소포성 리포좀 제조방법이 가지는 제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손쉽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지질 기반 다중 소포성 리포좀으로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3가지의 지질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지질막과, 상기 지질막의 내상에 함입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정 pH에 노출시 상기 지질막이 파괴되어 함입된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외부로 급속히 방출되는 특징을 갖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a) 1종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삼투 몰농도를 측정하여 제 1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b) 비대칭성 분자형태를 갖는 지질성분, 대칭성 분자형태를 갖는 지질성분 및 말단에 전자공여부를 가지고 있는 산성 양친매성물질의 지질 혼합물을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a)와 (b)의 산물을 혼합하여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캡슐화시켜 유중-수 유액(W/O emulsion)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이 유중-수(W/O) 유액을 다시 제 2수상에 혼합하여 수-유-수 유액(W/O/W emulsion)을 제조하거나 또는 이 유중-수(W/O) 유액을 제2 수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e) 상기 수-유-수(W/O/W) 유액 또는 제2 수상에 분산된 유중-수(W/O) 유액을 유액의 지질 이중막의 전이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 및 (f) 상기 냉각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다중소포성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표면을 고분자로 코팅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은 종래의 다중소포성이 약물(생물학적 활성물질)의 지속적인 치료적 방출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반하여, 주변 pH 환경변화에 의해 원하는 부위에서 순간적으로 약물을 방출시킴으로써, 빠른 효과가 필요한 약물의 흡수 및 즉각적인 효과발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함께 대부분의 리포좀이 가지고 있는 장기보관에 따른 구조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표면을 고분자로 코팅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 캡슐은 장기 보관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방출되는 약물의 속도가 감소되어 지연방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은 (a) 1종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삼투 몰농도를 측정하여 제 1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b) 비대칭성 분자형태를 갖는 지질성분, 대칭성 분자형태를 갖는 지질성분 및 말 단에 전자공여부를 가지고 있는 산성 양친매성물질의 지질 혼합물을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a)와 (b)의 산물을 혼합하여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캡슐화시켜 유중-수 유액(W/O emulsion)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이 유중-수(W/O) 유액을 다시 제 2수상에 혼합하여 수-유-수 유액(W/O/W emulsion)을 제조(균질 혼합)하거나 또는 이 유중-수(W/O) 유액을 제2 수상에 분산(비균질 혼합)시키는 단계; (e) 상기 수-유-수(W/O/W) 유액 또는 제2 수상에 분산된 유중-수(W/O) 유액을 유액 지질 이중막의 전이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 및 (f) 상기 냉각된 결과물로부터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다중소포성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질 혼합물을 용해시키는 유기용매는 휘발성 유기용매로서, 에테르,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CO2를 포함하는 초임계 유체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이 유기용매들의 제거에 있어서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은 제 2수상에 분산된 유기용매 소구체(W/O)(유기용매 소구체란 작은 크기의 유중-수 유액이 포도처럼 여러개 뭉쳐져 큰 크기의 둥근 소포체를 형성하는 형태임)를 감압증발하기 전에 지질혼합물이 구성하는 지질 이중막의 전이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단계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개별 구획을 이루고 있는 지질 이중막의 지질 분자들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그 결과 이중막이 강화되어, 이후 감압증 발에 의한 유기용매의 급격한 제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질막의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단, 지나친 냉각으로 인해 지질막 내 얼음결정이 생성되거나 지질 이중막의 유동성을 과도하게 저해하여 입자가 파괴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냉각온도의 설정이 필수적이다. 적절한 냉각 온도는 지질막 내 얼음결정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예를 들어 0~30℃, 바람직하게는 4~30℃이다.
지질막의 전이온도 이하로 냉각 후에는 감압증발을 통해 유기용매상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다시 온도를 서서히 올려 나머지 용매를 제거해 낸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질소기류를 불어넣거나 감압의 세기를 미세하게 조절하지 않아도 빠른 시간 안에 수득율 높게 다중 소포성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지질혼합물은 비대칭성 지질성분, 대칭성 지질성분 및 산성 양친매성 물질의 혼합물로서, 여기서 상기 비대칭성 지질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대칭성 지질성분은 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및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중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성 양친매성물질은 특정 pH 조건하에서 이온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스테그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올레익산, 디파미토일숙시닐글리세롤 및 디올레오일숙시닐글리세롤 중 1종 이상이다.
종래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은 양성 이온성 지질과 스테롤 및 중성지질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지질혼합물은 비대칭성 지질 및 대칭성 지질 성분에 특정 pH 조건하에서 이온화가 되는 약산성 양친매성 물질을 도입하여 제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1983년 발표된 김신일의 연구(Biochimica Biophysica Acta 1983 Mar. 9 728 (3) 339-348) 및 2002년 Mantripragada의 연구논문(Progress of Lipids Research 41 (2002) 392-406), 2007년 Wafa의 연구논문(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331 (2007) 182-185)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에 있어서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구획된 미소 소포체가 한 덩어리의 마이크로 클러스터를 유지하는 원리는 개개 소포체의 지질막 사이에서 트리올레인(triolein) 등의 중성지질 혹은 스테롤류가 접촉하는 지질막의 급격한 커브 변화에서도 이중막이 파괴되지 않고 흩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도 2 참조).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은 스테롤류 혹은 지질성분 중에 특정 범위의 pH에서 이온화가 되는 양친매성 물질을 혼합한 지질 혼합물을 사용하여 지질막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다중소포성 리포좀은 산성 및 중성 조건에서는 도 3의 왼쪽 그림과 같은 상태로 존재하다가, 특정 염기 조건에서 이온화되어 내부 미소소포체의 표면이 음이온성을 띠게 되므로 다중소포성리포좀의 미소 소포체 표면이 서로 반발하거나 일부 파괴되어 내상의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급속한 방출을 유도하게 된다(도 3의 오른쪽 그림).
이러한 지질막 구조의 파괴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방출거동은 혼합하는 지질성분 중 산성 양친매성지질 성분이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에 의해 조절가능한 데,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숙시네이트의 pKa 값은 약 4.5근방으로 pH 4.5에서 전자공여의 평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다중소포 리포좀의 미소소포체의 산개는 미소소포체의 표면이 충분히 음이온을 띠게 될 때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약 pH 7.0~10.0, 바람직하게는 약 pH 9.0~10.0 근방에서 나타나게 된다. 미소 소포체의 산개 시점의 조절은 적절한 pKa 값을 갖는 지질성분이나 이에 혼합가능한 약물, 혹은 기타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된다(실험예 2 참조).
최종적인 다중소포성리포좀의 성상은 액상에 분산된 상태이거나 단순한 원심분리, 혹은 동결건조에 의해 분리된 파우더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액상인 경우 상온에서 내상에 존재하는 미소소포체 사이의 합일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리포좀 입자의 내부가 불안정해지지만 완전히 합일되지 않고 내부의 소포체 크기가 어느 정도 성장하고 나면 외벽이 완전해 져서 구획된 다중소포성리포좀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입자 불안정성은 제조된 직후 다중소포성리포좀을 다시 고분자로 포집하여 마이크로입자를 만드는 것으로 해소할 수 있는데, 이는 분리된 다중소포성리포좀을 고분자가 적절히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혼합하고 입자화하여 표면을 가교하여 제조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는 젤라틴, 알긴산, 한천, 콜라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 또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락틱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입자는 안정성 효과 이외 에도 pH 조건에 따라 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방출되는 속도가 감소하여 지연방출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내상에 함입되는 생물학적 활성 물질은 경구투여가 가능한 약물 또는 장내 유익균으로서 장관 내 전달 및 흡수를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은 피부 외용이 가능한 약물로서 미백증진 또는 노화방지용 성분일 수도 있으며, 또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은 그 크기가 1~1000 ㎛로서 종래의 기존 리포좀보다는 그 크기가 다소 크다.
또한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조되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입자의 크기는 500~10,00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중소포성 리포좀 또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중소포성 리포좀 또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가능한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용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식음료 제제는 분말, 현탁액, 반고형 제제, 정제 또는 캡슐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중소포성 리포좀 또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턴, 팩, 파우더, 메이컵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바디크립,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염모제, 샴푸, 린스, 치약, 구강청정제, 정발제, 야모제, 로션, 연구, 젤, 크림, 패취, 팩, 마스크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3] 다중소포성리포좀 제조
1) 깨끗한 유리용기에 메틸렌클로라이드 50ml을 넣고 여기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지질 혼합물 각각을 넣어 녹인다.
2) 정제수 50ml에 코직산 5g을 녹인다. 이 약물의 이온화도로부터 이온에 의한 삼투압을 계산한다.
3) 1)에서 제조한 지질혼합물 용액에 2)에서 제조한 정제수 약물혼합물 50ml을 넣어 고속균질혼합기로 3분간 교반하여 수중유(W/O)상을 제조한다.
4) 정제수 900ml에 2)에서 계산한 삼투압에 맞추어 AminocoatTM을 적당량 첨가하여 녹인다.
5) 3)에서 제조한 수중유상을 4)에서 제조한 900ml 정제수 용액에 서서히 교반하여 집어넣는다.
6) 리피드 스페룰라이트 분산액을 약 4℃ 근방으로 교반하며 냉각시킨 후, 감압증류기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온도를 37℃ 로 상승시켜 잔여 용매를 제거해 낸다.
7) 용매가 제거된 다중소포성리포좀 분산액을 저온에서 침전시키거나 원심분리기로 가라앉혀 상등액을 제거하고 리포좀을 수득한다.
지질 혼합물 조성
1군 (비대칭구조 리피드) % 2군 (대칭구조 리피드) % 3군 (전자공여 양친성지질) %
실시예1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4 콜레스테롤/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0.5/0.5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0.5
실시예2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4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1 디스테아로일숙시닐글리세롤 0.5
실시예3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4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1 디올레일숙시닐글리세롤 0.5
[실시예 4~6] 다중소포성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캡슐 제조
1) 정제수 100ml에 알긴산 1%을 넣고 가온하여 녹인다.
2)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농축된 다중소포성리포좀 각각을 1)에서 제조한 알긴산용액에 넣고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한다.
3) 정제수 200ml에 칼슘클로라이드 5mM을 녹인 후 2)에서 제조한 다중소포성리포좀 분산용액을 마이크로니들을 통해 액적을 분사시키며 교반하여 표면을 가교한다.
4) 제조된 마이크로입자는 체에 걸러내고 정제수로 2~3회 세척하고 적절한 방부용액에 넣어 보관한다.
[제형예 1~6] 피부외용제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 또는 다중소포성이 포집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피부 외용제를 이하 [표2]와 같이 제조하였다.
리포좀 함유 크림 제형
성분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제형예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폴리솔베이트 60 1.0 1.0 1.0 1.0 1.0 1.0
세토스테아레이트 2.5 2.5 2.5 2.5 2.5 2.5
밀납 1.0 1.0 1.0 1.0 1.0 1.0
스쿠알란 2.0 2.0 2.0 2.0 2.0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0.5 0.5 0.5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0.5 0.5 0.5 0.5 0.5 0.5
유동파라핀 5.0 5.0 5.0 5.0 5.0 5.0
유효성분혼합물 5.0 5.0 5.0 5.0 5.0 5.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실시예 1 10
실시예 2 10
실시예 3 10
실시예 4 5.0
실시예 5 5.0
실시예 6 5.0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산성도 조건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중소포성리포좀 분산액 200㎕을 용출시험기의 한쪽 구획에 채워진 수상에 넣는다. 이때 용출시험기에는 MWCO 값이 20000인 삼투막을 사용한다. 용출시험기의 반대쪽 구획에 등장액 8ml를 채우고 전체의 온도를 체 내 온도인 36.5℃로 유지한다. 각각의 구획에는 마그네틱바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교반한다. 용출시험기 내 수상의 pH를 2~12로 변화시키되, 1N 농도의 HCL을 마이크로피펫으로 점적하여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채취시료는 매 0.5시간마다 1ml을 채취하고 총 3시간동안 6회 채취한다. 시료 채취 후 감소된 용출시험기의 등장액은 매 회마다 전체를 같은 pH의 등장액으로 새로 교체한다. 채취된 시료는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결과를 도 6에 기재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pH감응성 다중소포성리포좀은 pH 약 7.0부근에서 불안정해지기 시작하여 pH 8.0 이상영역에서 급속도로 약물을 방출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실험예 2] 산성양친매성물질의 종류에 따른 약물방출거동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다중소포성리포좀 분산액 200㎕을 각각 용출시험기의 한쪽 구획에 채워진 수상에 넣는다. 이때 용출시험기에는 MWCO 값이 20000인 삼투막을 사용한다. 용출시험기의 반대쪽 구획에 등장액 8ml를 채우고 전체의 온도를 체 내 온도인 36.5도로 유지한다. 각각의 구획에는 마그네틱바를 이용하여 200rpm으로 교반한다. 용출시험기 내 수상의 pH를 2~12로 변화시키되, 1N 농도의 HCL을 마이크로피펫으로 점적하여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채취시료는 매 0.5시간마다 1ml을 채취하고 총 3시간동안 6회 채취한다. 시료 채취 후 감소된 용출시험기의 등장액은 매 회마다 전체를 같은 pH의 등장액으로 새로 교체한다. 채취된 시료는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결과를 도 7에 기재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3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은 사용된 리피드의 종류가 달라짐에 따라서 서로 다른 약물 방출거동을 나타내는데, pH 6.5~8.5 범위에서 불안정해지면서 각기 다른 방출거동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광학현미경 사진으로서, 도 1b는 도 1a의 200배 확대 사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특정 pH 조건에서의 약물 방출 기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캡슐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캡슐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의 산성도(pH) 조건에 따른 약물 방출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소포성 리포좀 막의 구성성분인 산성양친매성 물질 종류에 따른 약물 방출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36)

  1. (a) 1종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삼투 몰농도를 측정하여 제 1 수상을 제조하는 단계;
    (b) 비대칭성 분자형태를 갖는 지질성분, 대칭성 분자형태를 갖는 지질성분 및 말단에 전자공여부를 가지고 있는 산성 양친매성물질의 지질 혼합물을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c) (a)와 (b)의 산물을 혼합하여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을 캡슐화시켜 유중-수 유액(W/O emulsion)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이 유중-수(W/O) 유액을 다시 제 2수상에 혼합하여 수-유-수 유액(W/O/W emulsion)을 제조하거나 또는 이 유중-수(W/O) 유액을 제2 수상에 분산시키는 단계;
    (e) 상기 수-유-수(W/O/W) 유액 또는 제2 수상에 분산된 유중-수(W/O) 유액을 유액 지질 이중막의 전이온도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 및
    (f) 상기 냉각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다중소포성 리포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성 지질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 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성 지질성분은 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및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양친매성물질은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스테그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올레익산, 디파미토일숙시닐글리세롤 및 디올레오일숙시닐글리세롤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은 경구투여가 가능한 약물 또는 장내 유익균으로서 장관 내 전달 및 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은 피부 외용이 가능한 약물로서 미백증진 또는 노화방지용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의 냉각온도는 지질 이중막에 얼음결정이 생 기지 않는 범위의 온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온도는 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소포성 리포좀은 그 크기가 1~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다중 소포성 리포좀은 pH 7.0~10.0 사이에서 리포좀 막이 파괴되어 내부의 생물학적 활성 물질이 급속히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11. (a) 고분자를 정제수에 넣고 가온하여 녹이는 단계;
    (b) 제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제조된 다수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을 상기 (a)에서 제조한 고분자 용액에 넣고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혼합액적의 표면을 가교하여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소포성 리포좀이 포집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500~10,000 ㎛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는 젤라틴, 알긴산, 한천, 콜라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락틱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15. 지질 기반 다중 소포성 리포좀으로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3가지의 지질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지질막과, 상기 지질막의 내상에 함입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정 pH에 노출시 상기 지질막이 파괴되어 함입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이 외부로 급속히 방출되는 특징을 갖는 다중소포성 리포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3가지 지질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비대칭성 지질성분; 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및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중 1종 이상인 대칭성 지질성분; 및 콜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스테그마스테릴헤미숙시네이트, 올레익산, 디파미토일숙시닐글리세롤 및 디올레오일숙시닐글리세롤 중 1종 이상인 산성 양친매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소포성 리포좀.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은 경구투여가 가능한 약물 또는 장내 유익균으로서 장관 내 전달 및 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활성물질은 피부 외용이 가능한 약물로서 미백증진 또는 노화방지용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소포성 리포좀은 그 크기가 1~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pH는 pH 7.0~1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이 복수개 포집된 마이크로캡슐.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500~1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는 젤라틴, 알긴산, 한천, 콜라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는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락틱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25. 제 15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26. 제 15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27. 제 15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8. 제 21항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29. 제 21항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30. 제 21항의 다중 소포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3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3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중소포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4. 제 1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35. 제 1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36. 제 1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 물.
KR1020080082723A 2008-08-25 2008-08-25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723A KR101566815B1 (ko) 2008-08-25 2008-08-25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723A KR101566815B1 (ko) 2008-08-25 2008-08-25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050A true KR20100024050A (ko) 2010-03-05
KR101566815B1 KR101566815B1 (ko) 2015-11-06

Family

ID=4217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723A KR101566815B1 (ko) 2008-08-25 2008-08-25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8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2847A (zh) * 2015-01-15 2015-05-20 华侨大学 一种微胶囊包埋多囊脂质体药物载体及其制备方法
WO2015156572A1 (ko) * 2014-04-07 2015-10-15 에스케이케미칼(주) 약물함유 고분자미립구 제조방법
KR20180101234A (ko) * 2017-03-02 2018-09-12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면역억제인자 제어물질을 포함하는 다중도메인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조절 조성물
KR20210114152A (ko) *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토아스 항산화 활성을 갖는 왁스애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572A1 (ko) * 2014-04-07 2015-10-15 에스케이케미칼(주) 약물함유 고분자미립구 제조방법
CN104622847A (zh) * 2015-01-15 2015-05-20 华侨大学 一种微胶囊包埋多囊脂质体药物载体及其制备方法
KR20180101234A (ko) * 2017-03-02 2018-09-12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면역억제인자 제어물질을 포함하는 다중도메인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조절 조성물
KR20180101233A (ko) * 2017-03-02 2018-09-12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면역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다중도메인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조절 조성물
KR20210114152A (ko) *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토아스 항산화 활성을 갖는 왁스애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815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5379A (en) Lipid particle forming matrix,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5766627A (en) Multivescular liposomes with controlled release of encapsulated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U697484B2 (en) Preparation of multivesicular liposomes for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agents
US103073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smeceutical ingredients containing epi-dermal delivery mechanisms
RU2462236C2 (ru) Липосомальная нанокапсула
KR101497055B1 (ko)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843566B2 (ja) 塩酸塩の存在下で生理活性物質を包みこんだ多胞性リポソーム
JPS5931707A (ja) 両親媒性脂質成分を含む微粉状混合物の製造方法
JP2007522205A (ja) 多重層リポソ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28230B2 (ja) リポソーム懸濁液の製造方法及びリポソームを用いた用途
AU645143B2 (en) Lipid formulation system
JPS6185312A (ja) 多相リポソーム薬剤送達系
Gupta et al. Glycerosomes: Advanced Liposomal Drug Delivery System.
KR20100024050A (ko) 다중소포성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의약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EP3241565A2 (en) Hybrid-type multi-lamellar nanostructure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liposo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en et al. Liposomes and niosomes
CA2089494C (en) Vesicles in non-polar media
Waghmare et al. Novasome: advance in liposome and niosome
EP237453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Vesikelbildung, insbesondere unter Verwendung von Block-Coplymeren
KR100778903B1 (ko) 과량의 친수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 농축 캡슐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8094723A (ja) 組成物
KR102291413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나노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7378929B2 (ja) 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Chaves et al. Current Applications of Liposomes for the Delivery of Bioactives: A Review on the Encapsulation of Vitamins
KR102611802B1 (ko) 인슐린유사성장인자와 리포좀의 하이브리드형 다중층 나노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