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600A -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600A
KR20100023600A KR1020080082461A KR20080082461A KR20100023600A KR 20100023600 A KR20100023600 A KR 20100023600A KR 1020080082461 A KR1020080082461 A KR 1020080082461A KR 20080082461 A KR20080082461 A KR 20080082461A KR 20100023600 A KR20100023600 A KR 2010002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core
tank
cooling
co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600A/ko
Priority to US12/544,612 priority patent/US20100044013A1/en
Publication of KR2010002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28D1/0435Combination of units extending one behind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directly from main radi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1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longitudinal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01P2003/185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4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2009/0285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는 냉각수의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에 브레이징 결합된 헤더와, 상기 헤더에 일측면이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위치되어 복수의 코어부가 형성된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는 일측에 내연기관 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장시스템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가 가 구비됨으로 한 개의 탱크부에 전장용 코어부와 내연기관용 코어부 또는 에어컨용 코어부를 적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원가가 절감되고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달 차단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자동차, 라디에이터, 탱크, 내연기관, 전동기

Description

자동차의 라디에이터{CURTAIN AIR BAG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의한 전기모터와 가솔린과 같은 연료에 의한 내연기관에 의해 운행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내연기관과 전동측을 통합하면서도 열효율이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과 모터를 동시에 탑재하여 이를 동시에 구동하거나,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구동력을 얻는 차량이다.
여기서, 구동모터를 포함한 전기 부품은 작동시 열이 발생되고 부품들의 입출력 특성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부품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냉각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터리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충방전 효율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온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배터리의 충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적정온도를 유지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은 일본 Touota Motor(JP 1998-259721A)에서 일본 내 공지된 기술로써,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 냉각장치는, 내연 기관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 냉각수 순환통로(10)와, 전동기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제2 냉각수 순환통로(20)와, 제1 냉각수 순환통로(10)와 제2 냉각수 순환통로(20)에 대하여 설치되어 내연기관측을 냉각하는 냉각수(50)와 전동기측을 냉각하는 냉각수(50)가 동일 방향으로 유동하는 하나의 라디에이터(30)와, 제1 냉각수 순환통로(10)에 설치되는 제1 캡(40A) 및 제2 냉각수 순환통로(20)에 설치되는 제2 캡(40B)을 구비한다.
제1 냉각수 순환통로(10)는, 내연기관(11), 라디에이터(30), 워터펌프(12)를 냉각수 유동 방향에 따라 순서대로 연결하고있다. 냉각수를 충진 하기 위하여 물을 추가하는 것은 제1 캡(40A)을 떼내고 행해지고, 물을 부은 후에는 제1 캡(40A)이
라디에이터(30)에 다시 장착된다.
제2 냉각수 순환통로(20)는 차량의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21) 및 발전기(22), 라디에이터(30),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저장탱크(25), 직류와 교류를 변환하는 인버터(23), 워터펌프(24)를 냉각수의 유동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연결한다.
냉각수를 충진하기 위하여 물을 추가하는 것은 제2 캡(40B)을 때내고 행해지며, 물을 부은 후에는 제2 캡(40B)이 저장탱크(25)에 다시 장착된다.
한편, 상류측 탱크(31)와 하류측 탱크(32) 각각에는 제1 냉각수 순환통로(10)와 제2 냉각수 순환통로(20)를 나누는 칸막이(34)가 설치된다. 이것에 따라 코어부(33)도 제1 냉각수 순환통로를 흐르는 냉각수가 흐르는 부분(33A)와 제2 냉 각수순환통로를 흐르는 부분(33B)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조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 시스템에 의하면, 제1 냉각수 순환통로와 제2 냉각수 순환통로의 양쪽에 라디에이터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제1 냉각수 순환통로의 라디에이터와 제2 냉각수 순환통로의 라디에이터를 일체화했기 때문에 차량에 탑재시 공간활용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또한, 제1 냉각수 순환통로와 제 2 냉각수 순화통로와의 라디에이터 상류층 탱크와 하류측 탱크의 각각에 설치한 칸막이에 따라서 분류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냉각수가 서로 섞이지 않고 각 냉각수 순환통로의 냉각 수온을 각각의 목표 온도에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모딘의 글로벌 특허(US 6,124,644)에서 해외에 공지된 기술로써,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제1,2 섹션(60)(62)으로 나누어진 하나의 라디에이터(68)로 제 1섹션(60) 및 제 2섹션(62)은 유체의 유동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1 섹션(60)은 제 1열 교환기회로(64)와 유체 유동되도록 된 시스템과,
상기 제2 섹션(62)은 제 2열 교환기회로(66)와 유체 유동되도록 된 시스템을 채용한 차량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장 부하장치를 통과한 냉각수의 온도가 섭씨 70°C도 정도인데 엔진 라디에이터의 온도는 이보다 더 고온이므로, 전장 부하장치의 라디에이터가 엔진 라디에이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 으며, 엔진 라디에이터의 고온이 오히려 전장 부하장치 라디에이터로 전달되어 전장 부하장치의 냉각 효과가 상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장 부하장치 냉각장치가 엔진 라디에이터에 연결될 경우 엔진 라디에이터가 냉각이 아닌 발열을 일으키므로 전장 부하장치가 전혀 냉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대형 SUV ,RV 차량과 같이 엔진 배기량 및 차량 중량이 큰 경우 차량 패키지 제약으로 큰 용량의 열교환기 설정이 어려워 상 하부 구조와 좌 우측 (상부,좌측: 내연기관용 라디에이터, 하부,우측:전장용 라디에이터) 통합형 열교한기 사용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는 두 개의 열 교환기가 일체로 형성된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부 간의 열전달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도록하고,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탱크를 제외한 코어부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탱크는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일체형 라디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는 냉각수의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에 브레이징 결합된 헤더와, 상기 헤더에 일측면이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위치되어 복수의 코어부가 형성된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는 일측에 내연기관 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장시스템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가 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코어부와 제2 코어부가 한개의 탱크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부는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 코어부와 제2 코어부에 분리되어 각각의 시스템으로 유동시키도록 두 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열 전달 차단을 위한 에어포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탱크부는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 코어부와 제 2코어부에 분리되어 각각의 시스템으로 분리하여 유동되도록 격막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코어부와 상기 제2 코어부는 상호 접촉하거나 분리된다.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중 차량 전방에는 전장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하고 후방에는 내연기관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는 일측에 내연기관 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컨 시스템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코어부와 제2 코어부가 한개의 탱크부에 설치된다.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중 차량 전방에는 전장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하고 후방에는 에어컨 시스템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컨 시스템용 냉각계 코어부의 튜브 내부에는 전열량 증대를 위한 복수의 다공 홀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에 의하면, 한 개의 헤더와 탱크에 전장용 코어부와 내연기관용 코어부 또는 에어컨용 코어부를 적용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달 차단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A-A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B-B 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냉각 시스템은(300) 냉각수의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탱크부(140)와, 상기 탱크부(140)에 브레이징 결합된 헤더(150)와, 상기 헤더(150)에 일측면이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위치되어 복수의 코어부(110,120)가 형성된 라디에이터(130)와,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코어부(110,120)는 일측에 내연기관 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장시스템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형성된 각각의 코어부(110,120)는 상호 소정간격 이 격 되는 복수개의 튜브와 방열핀(Tube & Fin)으로 형성된다.
상기의 라디에이터(130)는 상기 제1 코어부(110)로 이루어진 내연기관(112)을 냉각하는 내연기관측 코어부(110)와 상기 제2 코어부(120)로 이루어진 전동기측을 냉각하는 전동측 코어부(120)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진행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코어부(110)(120)중 차량 전방에는 전장용 냉각계 코어부(120)가 위치하고 후방에는 내연기관용 냉각계 코어부(110)가 위치된다.
상기의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분리되어 위치되고 일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의 일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의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에 자동전송 냉각 시스템(80)이 구비되어 상기 자동변속기(자동전송)(81)의 오일 쿨러워터(82)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탱크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탱크부(140)는 상기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에는 각각 오일을 공급하는 캡이 구비되어 상기 기관측 코어부(110)에는 제1의 캡(144c)과 전동측 코어부(110)에는 제2의 캡(142c)이 마련된다.
상기 제1의 캡(144c)은 상기 기관측 코어부(110) 내부에 냉각 수압이 소정압 보다 상승한다면 열리고 상기 기관측 코어부(110) 내부의 냉각수를 구멍을 통하여 탱크부(140)로 흘리고 상기 기관측 코어부(110) 내의 냉각 수압이 상기 소정압 보다 낮은 곳 일정한 압력보다 저하된다면 열리고 상기 탱크부(140) 내의 냉각수를 구멍을 통하여 상기 기관측 코어부(110)내에 되돌린다.
상기 제2의 캡(142c)은 제1의 캡(144c)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단, 제1의 캡(144cc)의 설정압과 제2의 캡(142c) 설정압은 동일하다고 한하지 않다.
상기 탱크부(140)는 하단부와 나란하게 U자형 단면을 갖는 내판을 설치하여 냉각수 흐름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내판의 바깥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U자형 단면의 외판을 나란하게 설치하여 오일 배출구를 형성하여 오일 흐름통로로 오일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부(140)의 일측에는 개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코어부(110)(120)가 개방면에 헤더(150)가 구비된다.
상기 헤더(150)는 상기 개방면에 접합(브레이징)되어 밀폐된 냉각수 유동공간을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를 한 개의 탱크(140)와 한 개의 헤더(150)로 설치하고 상기 탱크부(140)와 상기 헤더(15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유동공간을 구획하는 격막 구조로 형성된 에어포켓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포켓(160)은 상기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탱크부(140)로 유입된 냉각수가 분리되어 유동된다.
즉, 상기 에어포켓(160)은 한 개의 탱크부(140)와 한 개의 헤더(150)를 전동측과 기관측으로 유동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전동측과 기관측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역할까지 겸하게 된다.
상기 탱크부(140)는 상기 격막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유동공간을 분리한 기관 측 탱크부(142)와 전동측 탱크부(144)로 구획되어 유동공간이 따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부(140)의 전동측 탱크부(142)는 상부에 유입구(142a)가 형성되어 고온의 오일이 오일 유입구를 통해 전동측 탱크부(142)로 유입된 후 전동측 코어부(120)로 순환되어 냉각되어 유출되는 유출구(142b)가 상기 탱크부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탱크부(140)의 기관측 탱크부(144)는 상부에 유입구(144a)가 형성되어 고온의 오일이 오일 유입구를 통해 기관측 탱크부(144)로 유입된 후 기관측 코어부(110)로 순환되어 냉각되어 유출되는 유출구(144b)가 상기 탱크부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조에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의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탱크부(140')와, 상기 탱크부(140')에 일측면이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위치되어 복수의 코어부(110',120')가 형성된 라디에이터(130')와,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코어부(110',120')는 일측에 실내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동측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형성된 각각의 코어부(110',120')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 되는 복수개의 튜브와 방열핀(Tube & Fin)으로 형성된다.
특히, 에어컨 시스템(90)을 냉각하는 제 1코어부(110')의 튜브에는 전열량 증대를 위하여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다공부(110a)가 형성된다.
상기의 라디에이터(130')는 상기 제2 코어부(120')로 이루어진 전동기측을 냉각하는 전동용 코어부(120')와 상기 제1 코어부(110')로 이루어진 에어콘측을 냉각하는 에어컨용 코어부(110')로 형성된다.
상기 전동용 코어부(120')와, 에어컨용 코어부(110')는 한 개의 탱크부(140')에 일측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탱크부는 상기 전동용 코어부(120')와 연결되는 전동측 탱크부(142')와 상기 에어컨용 코어부(110')와 연결되는 에어컨측 탱크부(144')가 분리되어 마련된다.
상기 탱크부(140')에는 상기 전동용 코어부(120')와 상기 에어콘용 코어부(110')가 전,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탱크부(14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유동공간을 구획하는 격막 구조로 형성된 에어포켓(160')이 설치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단면도로써, 상기 도 6의 구성과 같이 냉각수의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탱크부(140")와, 상기 탱크부(140")에 일측면이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위치되어 복수의 코어부(110",120")가 형성된 라디에이터(130")와, 상기 라디에이터(130")의 코어부(110",120")는 일측에 에어컨시스템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동기측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용 코어부(120")와, 에어컨용 코어부(110")는 두 개의 탱크부(140")에 일측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탱크부(140")는 상기 전동용 코어부(120")와 연결되는 전동측 탱크 부(142")와 상기 에어컨용 코어부(110")와 연결되는 에어컨측 탱크부(144")가 따로 분리된다.
상기 탱크부(140")는 두 개의 탱크부(140")에 각각 코어부를 설치하고 접합수단인 용접이나 압착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탱크부(140")의 전동측 탱크부(142")에 에어컨측 탱크부(144")가 겹접 되어 고정되고, 상기 에어컨 측 탱크부(144")에는 상기 전동측 탱크부(142")를 구획하는 막힘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전동측 탱크부(142")는 상기 에어컨측 탱크부(144")가 내삽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측 탱크부(144")의 막힘구조는 격막 구조로 형성된 열전달을 차단하고 구획하는 에어포켓(16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탱크부(140")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의 탱크부가 형성 가능하고 다만, 두 개의 코어부가 전후방으로 배치되고, 유동공간이 형성 되도록 구획된 한 개의 탱크부가 구비되어 한 개의 탱크부에 분리된 두 개의 코어부가 장착되고, 그에 따른 기능에 만족하면서 내연기관 이나 전동기 및 에어콘 시스템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분리하여 열 효율이 증대되면서 탱크부에 장착시켜 오일이 따로 순환되도록 설치된 제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의 작동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차용 냉각 시스템(300)은 내연 기관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1의 냉각수 순환 시스템(100)과 전동기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2의 냉각수 순환 시스템(200)이 따로 분리되어 순환되는 시스템을 가진 구조이다.
상기 제1의 냉각수 순환시스템(100)과 제2의 냉각수 순환시스템(200)에 대하여 두 개의 라디에이터(110)(120)를 설치하고, 제1의 냉각수 순환시스템(100)의 라디에이터(기관측 코어부:110)와 상기 제2의 냉각수 순환 시스템(200)의 라디에이터(전동측 코어부:120)를 따로 분리하였다.
상기 제1의 냉각수 순환 시스템(100)은 내연 기관용 구동 펌프(11), 내연기관(12), 라디에이터(10) 내연기관측으로 냉각수 흐름 방향에 순서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1의 냉각수 순환시스템(100)은 압력 상승시는 제1의 캡(142c)으로부터 냉각수를 기관측 탱크(142)에 붙기 시작하고 압력 하강시는 기관측 탱크(142)로부터 냉각수를 펴서 되돌리는 것에 따라 냉각수의 압력 변화를 흡수하는 간단함 밀폐형의 계통으로 되거나 또는 상기의 완전 밀폐형의 계통으로 된다.
상기 제2의 냉각수 순환 시스템(200)은 전동펌프(21)와 직류와 교류를 변환하는 인버터(122), 전동측 탱크부(144)와, 모터부(123)로 냉각수 흐름 방향에 순서로 접속하고 있다.
상기 제2의 냉각수 순환시스템(200)은 냉각수의 압력 변화를 인버터 탱크부(144) 내의 공기층이 팽창 수축으로 흡수하고 제2의 캡(144c)의 설정압 이하에서 는 냉각수를 계통측에 분출하지 않는 밀폐형의 계통으로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의 냉각수 순환시스템(100)과 상기 제2의 냉각수 순환시스템(200)은 라디에이터(130)의 전동측 코어부(120)와 기관측 코어부(110)가 각각 분리된 시스템으로 설치되고 상기 탱크부(140)에 설치된 칸막이(에어포켓:160) 에 따라서 분류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냉각수가 서로 썩이는 것이 억제되고 각 냉각수 순환 시스템(100)(200)의 냉각수온 때는 각각의 목표온도(예를 들면 제1의 냉각수 순환시스템(100)의 냉각수는 약 80~90°제2의 냉각수 순환시스템(200)의 냉각수는 약 40~60°도에 용이하게 효율이 유지된다.
또한, 두 개의 코어부(110)(120)를 한 개의 탱크(140)에 구획하는 유동공간을 분리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가 단순화되며 에어콘 시스템(90)에 대한 코어부에도 적용한다.
상기 에어콘 시스템(90)에 대한 압축기(91) 콘덴서(92), 팽창판(93),증발기(94)를 순차적으로 접속하면서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통합형 열 교환기 쿨링 시스템 설계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에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를 개선하여 내연기관 및 전동측과 에어컨측 코어부를 전,후 방향 배치하여 한 개의 탱크부에 설치되면서 열 효율이 증대되는 제품으로 특히, SUV, RV차량 대형 승용의 차량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A-A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B-B 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기관측 코어부 120:전동측 코어부
110':에어컨측 코어부 130: 라디에이터
140:탱크부 160:에어포켓

Claims (9)

  1. 냉각수의 흐름통로를 형성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에 브레이징 결합된 헤더와;
    상기 헤더에 일측면이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위치되어 복수의 코어부가 형성된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는 일측에 내연기관 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장시스템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가 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코어부와 제2 코어부가 한개의 탱크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 코어부와 제2 코어부에 분리되어 각각의 시스템으로 유동시키도록 두 개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열 전달 차단을 위한 에어포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제1 코어부와 제2 코어부에 분 리되어 각각의 시스템으로 분리하여 유동되도록 격막 구조로 형성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부와 상기 제2 코어부는 상호 접촉하거나 분리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중 차량 전방에는 전장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하고 후방에는 내연기관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는 일측에 내연기관 측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제 1 코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컨 시스템을 냉각하는 제 2코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코어부와 제2 코어부가 한개의 탱크부에 설치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코어부중 차량 전방에는 전장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하고 후방에는 에어컨 시스템용 냉각계 코어부가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시스템용 냉각계 코어부의 튜브 내부에는 전열량 증대를 위한 복수의 다공 홀이 형성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두 개의 탱크부에 각각 코어부를 설치하고 접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KR1020080082461A 2008-08-22 2008-08-22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KR20100023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461A KR20100023600A (ko) 2008-08-22 2008-08-22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US12/544,612 US20100044013A1 (en) 2008-08-22 2009-08-20 Radiator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461A KR20100023600A (ko) 2008-08-22 2008-08-22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600A true KR20100023600A (ko) 2010-03-04

Family

ID=4169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461A KR20100023600A (ko) 2008-08-22 2008-08-22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44013A1 (ko)
KR (1) KR201000236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1154B2 (en) 2010-12-03 2017-12-26 Hyundai Motor Company Condenser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872B4 (de) 2013-06-07 2023-09-21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 Kühler für Fahrzeug
TWI584973B (zh) * 2014-01-29 2017-06-01 Kwang Yang Motor Co Vehicle dual power cooling system
DE102015119408A1 (de) 2015-11-11 2017-05-11 Hanon Systems Wärmetauscher mit mehreren Kühlkreis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7845A (en) * 1935-08-12 1936-04-21 Young Radiator Co Radiator
JP3422036B2 (ja) * 1992-07-13 2003-06-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冷却装置
JP3810875B2 (ja) * 1997-01-24 2006-08-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一体型熱交換器
US6938675B2 (en) * 2000-10-11 2005-09-06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WO2004005827A1 (de) * 2002-07-05 2004-01-15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insbesondere verdampfer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FR2844041B1 (fr) * 2002-08-28 2005-05-06 Valeo Thermique Moteur Sa Module d'echange de chaleur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comportant ce module
JP4232750B2 (ja) * 2004-06-10 2009-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自動車用冷却システム
KR101202258B1 (ko) * 2006-02-13 2012-11-16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US7779893B2 (en) * 2006-08-22 2010-08-24 Delphi Technologies, Inc. Combination heat exchanger having an improved end tank assembly
US7669558B2 (en) * 2007-07-16 2010-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ntegrated vehicle cool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1154B2 (en) 2010-12-03 2017-12-26 Hyundai Motor Company Condenser for vehicle
US10753686B2 (en) 2010-12-03 2020-08-25 Hyundai Motor Company Condens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4013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871B1 (ko) 다구획 일체형 하이브리드 열교환기
JP4078766B2 (ja) 熱交換器
KR101202258B1 (ko) 일체형 열교환기
US8479855B2 (en) Cool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318643B1 (ko) 쿨링모듈
US20150167532A1 (en) Cooling module for vehicle
JP2010127508A (ja) 複合熱交換器
WO2008072730A1 (ja) 複合型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
KR101764611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101318620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1151627B1 (ko) 축냉 열교환기
KR20100023600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KR10128621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US11691498B2 (en) Vehicle radiator assembly and cooling system having the same
JP6296439B2 (ja) 車両用ラジエータ
KR20150017401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CN110915061A (zh) 电池冷却用换热器
JP5640875B2 (ja) 複合熱交換器
JP4175918B2 (ja) 車両用マルチタイプ熱交換器
KR20100103891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쿨링모듈
KR20130096589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일체형 열교환기
KR101935842B1 (ko) 차량용 쿨링모듈
KR20100027324A (ko) 통합형 라디에이터
CN111828158A (zh) 用于车辆的冷却系统和车辆
KR20120097618A (ko) 보조 라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