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131A -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131A
KR20100023131A KR1020080081739A KR20080081739A KR20100023131A KR 20100023131 A KR20100023131 A KR 20100023131A KR 1020080081739 A KR1020080081739 A KR 1020080081739A KR 20080081739 A KR20080081739 A KR 20080081739A KR 20100023131 A KR20100023131 A KR 2010002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producer
server
property r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선
Original Assignee
(주)이씨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로드 filed Critical (주)이씨로드
Priority to KR102008008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3131A/ko
Publication of KR2010002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캐릭터 등의 지적재산권 소유자가 자신의 지적재산권을 온라인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상품으로 제공하면, 생산자가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여 다시 온라인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제공하고,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의 소유자가 분배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B2B E-commerce service system us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캐릭터 등의 지적재산권 소유자가 자신의 지적재산권을 온라인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상품으로 제공하면, 생산자가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여 다시 온라인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제공하고,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의 소유자가 분배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은 지적창작물에 부여된 재산권에 준하는 권리를 나타내는데, 특허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디자인권과 같은 산업분야의 창작물에 관련된 산업재산권과, 문화예술분야의 창작물에 관련된 저작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반도체 배치설계나 온라인디지털콘텐츠와 같이 전통적인 지적재산권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을 따로 분류하여 '신지적재산권'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는 이러한 신지적재산권도 통상의 지적재산권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지적재산권은 소정의 수익을 발생시킬 목적으로 발명/창작되고 있지만, 지적재산권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관리 및 사용이 부족하여, 대다수의 개인 지적재산권 보유자나 기업들에 있어서 지적재산권의 활용도는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다. 그로 인해 대부분의 지적재산권은 시장에서 실시되지 않은 채로 묶여 있다가 존속기간 만료로 소멸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고, 이는 인력과 자원의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해, 실제로 그 지적재산권을 필요로 하는 다른 사람/기업이 적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는 소정의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고, 지적재산권의 이용자는 필요한 지적재산권을 직접 어렵게 발명/창작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인터넷의 발전과 그에 따른 네트워크 망의 발전은 유통과 물류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고, 그 대표적인 예가 인터넷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크게 기업과 기업 사이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기업과 소비자 사이에 거래가 이루어지는 B2C 전자상거래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2C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인터넷 쇼핑몰과 온라인 이마켓플레이스 등을 통해 판매자가 직접 소비자에게 온라인상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최근,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IT 인프라를 이용하여 많은 기업들이 B2C 또는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자본으로 운영되는 대부분의 국내 유통 산업은 재래화된 생산, 수급, 유통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내외적인 경쟁업체의 출현으로 산업 전반에 걸친 효율성 제고의 현실에 닥쳐 있다. 또한 재래화된 유통산업은 유통과 물류의 정보화 부재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인적자원과 비용을 낭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런 인적자원과 비용의 낭비는 유통업체의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어, 유통산업 전반에 걸친 비효율의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활용되고 있는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살펴보면, 전자상거래 방식을 통해 판매업자들이 생산업자로부터 물건을 구입하고, 다시 자신의 오프라인 점포 또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온라인 이마켓플레이스 업체를 통해 소매업자 또는 소비자들에게 그 구입한 물건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연구 개발 및 마케팅 능력이 없는 영세한 소규모 생산업자들은 특징이 없는 획일화된 물건을 온라인 시장에 내놓고 있는데, 이러한 획일화된 물건들은 품질이나 광고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영세한 생산업자들이 독자적으로 물건의 혁신을 위한 연구 개발이나 광고 활동을 수행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영세한 생산업자들이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물건을 생산할 수 있다면, 생산업자들은 적은 비용을 들이고도 경쟁력 있는 물건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해 그 지적재산권을 필요로 하는 다른 사람/기업이 적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는 소정의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고, 지적재산권의 이용자는 필요한 지적재산권을 직접 어렵게 발명/창작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물건을 제공하는 생산업자들이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을 들이고도 경쟁력 있는 물건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지적재산권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미지, 문서, 계약 조건 등을 포함하는 IP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등록하는 IP 단말; 생산자가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 정보와, 계약 체결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생산된 물건의 이미지와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매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등록하는 생산자 단말; 판매자가 상기 생산자가 판매하는 물건의 주문을 위한 수량 및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 다수의 회 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그리고 판매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각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 관리부, IP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IP 정보를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IP 정보 처리부, 생산자들이 IP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IP 정보 검색부,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IP 정보 및 생산자가 입력하는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IP 단말 및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IP 계약 처리부, 생산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도매 정보를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도매정보 처리부, 판매자들이 도매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도매정보 검색부, 판매자가 입력하는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의 도매 정보를 등록한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주문 처리부,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의 비용을 과금하고 결제하는 결제 처리부,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중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는 정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B2B 서버; 각 회원들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저장부, IP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IP 정보가 저장되는 IP 등록정보 저장부,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체결된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IP 계약정보 저장부, 생산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도매 정보가 저장되는 도매정보 저장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주문 정보가 저장되는 주문정보 저장부,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및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송금한 금액 정보가 저장되는 결제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회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미지, 문서, 계약 조건 등을 포함하는 IP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2B 서버가 상기 등록된 IP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하는 단계; 회원 가입된 생산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접속하여, B2B 서버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IP 정보를 확인하고, 계약하고자 하는 지적재산권을 선택한 후,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2B 서버가 생산자가 선택한 지적재산권의 IP 정보 및 생산자가 입력하는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 생산자가 계약 체결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의 이미지와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매 정보를 B2B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2B 서버가 상기 등록된 도매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하는 단계; 회원 가입된 판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접속하여, B2B 서버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도매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할 물건을 선택한 후, 물건의 주문을 위한 수량 및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주문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B2B 서버가 판매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을 등록한 생산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생산자가 상기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을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따라 그 판매자가 입력한 주소지로 배송하는 단계; B2B 서버가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중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의하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해 실제로 그 지적재산권을 필요로 하는 다른 사람/기업이 적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는 소정의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고, 지적재산권의 이용자는 필요한 지적재산권을 직접 어렵게 발명/창작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물건을 제공하는 생산업자들이 타인의 지적재산권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을 들이고도 경쟁력 있는 물건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해외 생산자와 국내의 지적재산권자 및 판매자 사이에도 지적재산권 또는 물건의 거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캐릭터 등의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와,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는 생산자, 그리고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자로부터 구매한 후 다시 다른 구매자들에게 재판매하는 판매자 사이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B2B 서버(50)와, 지적재산권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하는 IP(Intellectual Property) 단말(10), 생산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하는 생산자 단말(20), 판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하는 판매자 단말(30), 그리고 다수의 회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및 판매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하는 웹 서버(40)와, B2B 서버(50)에 입력되는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 서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IP 단말(10)과 생산자 단말(20) 및 판매자 단말(30)은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PC,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생산자에는 내국인 및 외국인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지적재산권자 및 판매자는 내국인으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적재산권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각종 정보를 IP 단말(10)을 통해 B2B 서버(50)에 등록하게 되는데, 이처럼 지적재산권자가 IP 단말(10)을 통해 B2B 서버(50)에 등록하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이하에서는 'IP(Intellectual Property) 정보'라 칭한다. 여기서 지적재산권자가 B2B 서버(50)에 등록하는 IP 정보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미 지, 문서, 계약 조건 및 지적재산권자 정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약 조건에는 지적재산권의 사용 범위, 사용 기간, 사용 대가 등과 같이 계약을 위한 여러 조건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생산자는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각종 정보와, 온라인 상에서 판매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B2B 서버(50)에 등록하게 되는데, 이처럼 생산자가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B2B 서버(50)에 등록하는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각종 정보를 이하에서는 '계약 정보'라 칭하고, 판매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이하에서는 '도매 정보'라 칭한다. 한편, 상기 생산자가 판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B2B 서버(50)에 등록하는 물건은,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 사이에 이용 계약이 체결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생산된 물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생산자가 B2B 서버(50)에 입력하는 계약 정보에는 사용 범위 및 기간, 대가 등의 계약 조건과, 해당 지적재산권을 사용하고자 하는 생산자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생산자가 B2B 서버(50)에 등록하는 도매 정보에는 판매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한 이미지 정보와 가격 정보, 배송 기간 정보, 최소 판매 수량 정보 및 생산자 정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자는 상기 생산자가 B2B 서버(50)에 등록한 물건의 주문을 위한 각종 정보를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B2B 서버(50)에 입력하게 되는데, 이처럼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B2B 서버(50)에 입력하는 물건의 주문을 위한 각종 정보를 이하에서는 '주문 정보'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가 B2B 서버(50)에 입력하는 주문 정보에는 주문하고자 하는 물건에 대한 라벨(명칭), 수량, 배송 정보, 그리고 판매자 정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자는 B2B 서버(50)를 통해 상기 생산자에게 주문한 물건을 배송받은 후, 해당 물건을 오프라인 점포 또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을 통해 다시 구매자들에게 재판매하게 된다.
이처럼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지적재산권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등의 각종 지적재산권에 대한 IP 정보를 B2B 서버(50)에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IP 정보는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다. 그리고 생산자가 B2B 서버(50)의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되는 다양한 지적재산권들 중에서 IP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지적재산권을 선택한 후, 생산자 자신이 원하는 계약 조건을 포함하는 계약 정보를 B2B 서버(50)에 입력하면, B2B 서버(50)는 지적재산권자가 등록한 IP 정보와 생산자가 입력한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IP 단말 및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만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모두가 B2B 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계약서의 계약 내용에 만족하면,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이 그대로 체결되고, 생산자는 계약 체결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물건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중 어느 일방이라도 B2B 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계약서의 계약 내용에 만족하지 못하면,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 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은 체결되지 못한다. 이때, B2B 서버(50)로부터 전송받은 계약서의 계약 내용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지적재산권자 또는 생산자는,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계약 조건을 다시 B2B 서버(50)에 입력할 수 있고, B2B 서버(50)는 새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계약서 양식을 다시 생성하여 IP 단말 및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한 생산자는,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고, 그 물건에 대한 각종 이미지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도매 정보를 B2B 서버(50)에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도매 정보는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다. 그리고 판매자가 B2B 서버(50)의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되는 다양한 물건들 중에서 도매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물건을 선택한 후 B2B 서버(50)에 주문 정보를 입력하면, B2B 서버(50)는 상기 입력된 주문 정보를 그 물건을 등록한 생산자에게 전송하고, 생산자는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을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따라 그 판매자가 입력한 주소지로 배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B2B 서버(50)와 저장 서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B2B 서버와 저장 서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2B 서버(50)는, 각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 관리부(51), IP 단말(10)을 통해 입력되는 IP 정보를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IP 정보 처리부(52), 생산자들이 B2B 서버(50)의 웹 페이지에서 IP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IP 정보 검색부(53),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IP 정보 및 생산자가 입력하는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IP 단말(10) 및 생산자 단말(20)로 전송하는 IP 계약 처리부(54),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되는 도매 정보를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도매정보 처리부(55), 판매자들이 도매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도매정보 검색부(56),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되는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의 도매 정보를 등록한 생산자 단말(20)로 전송하는 주문 처리부(57),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의 비용을 과금하고 결제하는 결제 처리부(59),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중 B2B 서버(50)의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가 체결한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는 정산 처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 관리부(51)는 각 회원들의 로그인 접속을 인증하기 위한 아이디/패스워드 정보, 각 회원들의 주소 및 연락처, 신용도, 계좌 정보 등을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B2B 서버(50)의 회원은 회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및 판매자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적재산권자가 IP 단말(10)을 통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IP 정보를 B2B 서버(50)에 등록하면, 상기 IP 정보 처리부(52)가 그 등록된 IP 정보를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하게 된다. 그리고 생산자들은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한 후,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다양한 지적재산권들 중 자신에게 필요한 지적재산권을 찾게 되는데, 이때 생산 자들은 상기 IP 정보 검색부(53)를 통해 특정한 IP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생산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지적재산권을 선택한 후, 생산자 자신이 원하는 계약 조건을 포함하는 계약 정보를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B2B 서버(50)에 입력하면, 상기 IP 계약 처리부(54)가 지적재산권자가 등록한 IP 정보와 생산자가 입력한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IP 단말(10) 및 생산자 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IP 계약 처리부(54)는 지적재산권자 또는 생산자가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계약 조건을 다시 B2B 서버(50)에 입력할 때마다, 새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계약서 양식을 다시 생성하여 IP 단말(10) 및 생산자 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한 후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한 생산자가, 그 물건에 대한 도매 정보를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B2B 서버(50)에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도매 정보는 도매정보 처리부(55)에 의해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다. 그리고 판매자들은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한 후,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다양한 물건들 중 자신에게 필요한 특정 주제의 물건을 찾게 되는데, 이때 판매자들은 상기 도매정보 검색부(56)를 통해 특정한 도매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매자가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도매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할 물건을 선택한 후, 물건의 주문을 위한 수량 및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B2B 서버(50)에 입력하면, 상기 주문 처리 부(57)가 판매자가 입력하는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의 도매 정보를 등록한 생산자 단말(2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B2B 서버(5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자는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따라 그 판매자가 입력한 주소지로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을 배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물건을 주문한 판매자는 그 물건의 주문 비용을 결제해야 하는데, 상기 결제 처리부(59)가 과금 및 결제를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중 B2B 서버(50)의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정산 처리부(60)가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가 사전에 체결한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게 된다. 이때,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정산 처리부(60)는 판매자에게 물건의 배송이 완료된 후에 생산자 및 지적재산권자에게 송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B2B 서버(50)는,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되는 외국어 도매 정보를 한글로 변환하여 판매자 단말(30)이 접속하는 B2B 서버(50)의 한글 웹페이지에 게시하고, IP 단말(10)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 IP 정보 및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 주문 정보를 생산자가 속한 나라의 외국어로 변환하여 생산자 단말(2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생산자 단말(20)이 접속하는 B2B 서버(50)의 외국어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자동 번역부(5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생산자가 외국인이고 지적재산권자 또는 판매자가 내국인인 경우, 외국인 생산자와 내국인 지적재산권자/판매자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 신의 국어가 아닌 다른 나라의 언어로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외국인 생산자와 내국인 지적재산권자/판매자 모두에게 대단히 어려운 일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외국인 생산자는 자신의 나라 언어로 이루어지는 외국어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나라 언어(외국어)로 도매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 번역부(58)가 상기 외국어로 입력된 도매 정보를 한글로 번역하여 내국인 판매자가 접속하는 한글 웹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내국인 판매자가 쉽게 도매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국인 지적재산권자 또는 판매자가 한글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한글로 IP 정보 또는 주문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 번역부(58)가 한글로 입력된 IP 정보 또는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을 등록한 외국인 생산자가 속한 나라의 언어(외국어)로 번역하여 그 외국인 생산자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외국인 생산자가 접속하는 외국어 웹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외국인 생산자가 쉽게 IP 정보 또는 주문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외국인 생산자가 입력하는 외국어 도매 정보와, 내국인 지적재산권자/판매자가 입력하는 한글 IP 정보/주문 정보는 모두 B2B 서버(50)가 미리 설정한 정형화된 체계에 따라 입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서버(70)는, 각 회원들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저장부(71), IP 단말(10)을 통해 입력되는 IP 정보가 저장되는 IP 정보 저장부(72),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체결된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IP 계약정보 저장부(73), 생산자 단말(20)을 통해 입력되는 도매 정보가 저장되는 도매정보 저장부(74), 판매자 단말(30)을 통해 입력되는 주문 정보가 저장되는 주문정보 저장부(75),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및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송금한 금액 정보가 저장되는 결제정보 저장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캐릭터 등의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와,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는 생산자, 그리고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자로부터 구매한 후 다시 다른 구매자들에게 재판매하는 판매자 사이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B2B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미지, 문서, 계약 조건 등을 포함하는 IP 정보를 B2B 서버(50)에 등록한다(S10). 이후, B2B 서버(50)는 상기 등록된 지적재산권자의 IP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한다(S12).
그리고 회원 가입된 생산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하여,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IP 정보를 확인하고, 계약하고자 하는 지적재산권을 선택한 후,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 정보를 B2B 서버(50)에 입력한다(S14).
이후, B2B 서버(50)는 생산자가 선택한 지적재산권에 대해 지적재산권자가 입력한 IP 정보 및 생산자가 입력한 계약 정보를 바탕으로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한 후,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에게 전송한다(S16).
이때 B2B 서버(50)로부터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전송받은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가 모두 해당 계약서의 조건에 만족하여 동의하면(S18),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이 체결된다(S22). 그러나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중 어느 일방이라도 계약 조건에 동의하지 않으면,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의 지적재산권 이용 계약은 체결되지 않는다. 한편, 지적재산권자 또는 생산자가 B2B 서버(50)에 새로운 계약 조건을 입력할 수도 있고(S20), 이처럼 새로운 계약 조건이 입력될 때마다, B2B 서버(50)는 새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계약서 양식을 다시 생성하여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에게 전송한다(S16).
그리고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한 생산자는 해당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온라인 상에서 판매자에게 판매하기 위해, 해당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의 이미지와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매 정보를 B2B 서버(50)에 등록한다(S24). 이후, B2B 서버(50)는 상기 등록된 생산자의 도매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한다(S26).
그리고 회원 가입된 판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50)에 접속하여, B2B 서버(50)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도매 정보를 확인한다(S28). 그리고 주문할 물건을 선택한 후, 물건의 주문을 위한 수량 및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B2B 서버(50)에 입력하고, 주문 비용을 결제한다(S30).
이후, B2B 서버(50)는 판매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을 등록한 생산자에게 전송하고(S32), B2B 서버(50)로부터 주문 정보를 전송받은 생산자는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따라 판매자에게 물건을 배송하게 된다(S34). 그리고 생산자가 판매자에게 물건의 배송을 완료하면, B2B 서버(50)는 판매자가 물건의 주문을 위해 결제한 금액 중 B2B 서버(50)의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게 된다(S36).
이후, 상기 B2B 서버(50)를 통해 생산자로부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구매한 판매자는, 오프라인 점포 또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 등을 통해 다른 소매업자나 소비자들에게 재판매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생산자가 입력하는 외국어 도매 정보를 한글로 변환하여 판매자가 접속하는 B2B 서버(50)의 한글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와, 지적재산권자가 입력하는 한글 IP 정보 및 판매자가 입력하는 한글 주문 정보를 생산자가 속한 나라의 외국어로 변환하여 생산자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생산자가 접속하는 B2B 서버(50)의 외국어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외의 외국인 생산자는 자신의 나라 언어로 이루어지는 외국어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나라 언어(외국어)로 도매 정보를 입력하면, B2B 서버(50) 가 상기 외국어로 입력된 도매 정보를 한글로 번역하여 내국인 판매자가 접속하는 한글 웹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판매자가 쉽게 도매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국인 지적재산권자/판매자가 한글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한글로 IP 정보/주문 정보를 입력하면, B2B 서버(50)가 상기 한글로 입력된 IP 정보/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을 등록한 해외 생산자가 속한 나라의 언어(외국어)로 번역하여 그 해외 생산자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해외 생산자가 접속하는 외국어 웹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해외 생산자가 쉽게 IP 정보/주문 정보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B2B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저장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IP 단말 20; 생산자 단말
30; 판매자 단말 40; 웹 서버
50; B2B 서버 70; 저장 서버

Claims (6)

  1.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캐릭터 등의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와,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는 생산자, 그리고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자로부터 구매한 후 다시 다른 구매자들에게 재판매하는 판매자 사이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B2B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지적재산권자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미지, 문서, 계약 조건 등을 포함하는 IP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등록하는 IP 단말;
    생산자가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 정보와, 계약 체결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생산된 물건의 이미지와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매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등록하는 생산자 단말;
    판매자가 상기 생산자가 판매하는 물건의 주문을 위한 수량 및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
    다수의 회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그리고 판매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각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 관리부, IP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IP 정보를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IP 정보 처리부, 생산자들이 IP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IP 정보 검색부,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IP 정보 및 생산자가 입력하는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IP 단말 및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IP 계약 처리부, 생산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도매 정보를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도매정보 처리부, 판매자들이 도매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도매정보 검색부, 판매자가 입력하는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의 도매 정보를 등록한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주문 처리부,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의 비용을 과금하고 결제하는 결제 처리부,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중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는 정산 처리부를 포함하는 B2B 서버;
    각 회원들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저장부, IP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IP 정보가 저장되는 IP 등록정보 저장부,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체결된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IP 계약정보 저장부, 생산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도매 정보가 저장되는 도매정보 저장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주문 정보가 저장되는 주문정보 저장부,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및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송금한 금액 정보가 저장되는 결제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2B 서버는,
    생산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외국어 도매 정보를 한글로 변환하여 판매자 단말이 접속하는 한글 웹페이지에 게시하고, IP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 IP 정 보 및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한글 주문 정보를 생산자가 속한 나라의 외국어로 변환하여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생산자 단말이 접속하는 외국어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자동 번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P 계약 처리부는, 지적재산권자 또는 생산자가 새로운 계약 조건을 입력할 때마다, 새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계약서 양식을 다시 생성하여 IP 단말 및 생산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4. 특허, 디자인, 상표, 저작물, 캐릭터 등의 지적재산권을 소유한 지적재산권자와,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하는 생산자, 그리고 상기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을 생산자로부터 구매한 후 다시 다른 구매자들에게 재판매하는 판매자 사이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는 B2B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회원 가입된 지적재산권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미지, 문서, 계약 조건 등을 포함하는 IP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2B 서버가 상기 등록된 IP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하는 단계;
    회원 가입된 생산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접속하여, B2B 서버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IP 정보를 확인하고, 계약하고자 하는 지적재산권을 선택한 후, 지적재산권자와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계약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2B 서버가 생산자가 선택한 지적재산권의 IP 정보 및 생산자가 입력하는 계약 정보에 따라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 체결을 위한 계약서 양식을 생성하여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 사이에 지적재산권의 이용 계약이 체결되는 단계;
    생산자가 계약 체결된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물건의 이미지와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매 정보를 B2B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2B 서버가 상기 등록된 도매 정보를 웹페이지를 통해 게시하는 단계;
    회원 가입된 판매자가 인터넷을 통해 B2B 서버에 접속하여, B2B 서버의 웹페이지에 게시된 도매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할 물건을 선택한 후, 물건의 주문을 위한 수량 및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 주문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B2B 서버가 판매자가 입력한 주문 정보를 해당 물건을 등록한 생산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생산자가 상기 판매자가 주문한 물건을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 정보에 따라 그 판매자가 입력한 주소지로 배송하는 단계;
    B2B 서버가 판매자가 결제한 금액 중 중개 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계약 내용에 따라 생산자와 지적재산권자에게 분배하여 송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생산자가 입력하는 외국어 도매 정보를 한글로 변환하여 판매자가 접속하는 한글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
    지적재산권자가 입력하는 한글 IP 정보 및 판매자가 입력하는 한글 주문 정보를 생산자가 속한 나라의 외국어로 변환하여 생산자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생산자가 접속하는 외국어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2B 서버는, 지적재산권자 또는 생산자가 새로운 계약 조건을 입력할 때마다, 새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새로운 계약서 양식을 다시 생성하여 지적재산권자와 생산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80081739A 2008-08-21 2008-08-21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00023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39A KR20100023131A (ko) 2008-08-21 2008-08-21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39A KR20100023131A (ko) 2008-08-21 2008-08-21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31A true KR20100023131A (ko) 2010-03-04

Family

ID=4217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739A KR20100023131A (ko) 2008-08-21 2008-08-21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31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289B1 (ko) * 2014-03-24 2015-01-22 정민규 쌍방향 상품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방법
CN106056500A (zh) * 2016-08-10 2016-10-26 江苏信众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应用于技术交易市场的知识产权服务平台
KR20210081607A (ko) * 2019-12-24 2021-07-02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제공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289B1 (ko) * 2014-03-24 2015-01-22 정민규 쌍방향 상품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방법
CN106056500A (zh) * 2016-08-10 2016-10-26 江苏信众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应用于技术交易市场的知识产权服务平台
KR20210081607A (ko) * 2019-12-24 2021-07-02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텐츠 제공에 따른 온오프라인 연계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01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CN101208716A (zh) 动态、实时环境下的数字商品投放的方法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KR102221227B1 (ko) 공급자 연동과 다국어 지원 기능을 구비한 쇼핑몰 플랫폼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4008484A (zh) 一站式电子商务及综合运营服务系统
Aithal A Review on various E-business and M-business models & Research Opportunities
TW202147200A (zh) 使用產品或服務作為多層次行銷樹之開始
Shafiyah et al. Review on electronic commerce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20100023129A (ko)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N110415064A (zh) 一种整合零售供应链与销售链的利益共同体系统
Kaliannan et al. ICT to enhance administrative performance: a case study from Malaysia
KR20100023131A (ko) 지적재산권을 이용한 b2b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TW201310374A (zh) 二手物品交換之線上交易方法
Yakasai The relevance of E-Commerce in Nigeria
Burda Defining electronic commerce as a practical concept.
KR102621193B1 (ko) 온라인 재판매 커머스 리셀러 시스템
Pandey et al. E-commerce and mobile commerce technologies
KR102550817B1 (ko) 셀럽을 통한 온라인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enysenko Development trends of the global e-commerce market
Seipalla et al. A Review of E-commerce As Part From the Excelence Movement Theory in Hospital Management System
KR20100021058A (ko) B2b와 b2c의 통합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andhro et al. Electronic commerce: online platform for managing structures and issues
KR20080072107A (ko) 온라인 상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1127A (ko) 동일한 상품의 반복 구매에 따라 가격을 할인해 주는 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