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099B1 -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099B1
KR102482099B1 KR1020200110713A KR20200110713A KR102482099B1 KR 102482099 B1 KR102482099 B1 KR 102482099B1 KR 1020200110713 A KR1020200110713 A KR 1020200110713A KR 20200110713 A KR20200110713 A KR 20200110713A KR 102482099 B1 KR102482099 B1 KR 10248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untry
terminal
information
suppl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77A (ko
Inventor
김용현
장건영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미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미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미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1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0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국가간 크로스보더(cross-boarder) 기반 이커머스(e-commerce)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제 1 국가의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자의 브랜드 및 상기 브랜드 별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관을 진행 할 국가와 상품 및 통관 구비 서류에 관한 통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상기 국가의 세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관이 통관을 승인하여 기 지정된 현지 창고에 배송함에 따라,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브랜드 별 상품의 인벤토리를 구성하고, 복수의 상품구성항목을 포함하는 게시물을 생성하여, 상기 각각의 상품구성항목에 적어도 하나의 인벤토리가 포함되도록 인벤토리와 상품구성항목을 연결한 후, 상기 게시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게시물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이 공급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 1국가 또는 제 2국가의 판매자 단말 및 제 2국가의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 내 상품구성항목 중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구성항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품구성항목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할당된 계정에 입력하여, 상기 계정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오픈마켓 형태로 각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이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결제완료정보를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에 따라 판매된 상품의 기 측정된 비율에 따른 판매 수수료를 포인트의 형식으로 상기 계정에 지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ROSS BORDER BASED E-COMMERCE SERVICE}
본 발명은 국가간 크로스보더(cross-boarder) 기반 이커머스(e-commerce)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가 급증하게 되었으며,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규모 역시 성장하게 되었다.
특히 다양한 물품이 거래 가능한, 전자상거래 소매 중개를 통한 온라인 쇼핑업계에 다수의 사업자와 소비자가 몰려 대규모 시장을 형성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각 온라인 쇼핑업계는 서로 방식을 혼용하여 차별화가 없어지고, 간접 판매든 직접 판매든 오픈 마켓 형식으로 귀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온라인 쇼핑업계는 오로지 가격 경쟁에 의존하는 무한 경쟁시대에 돌입하여, 대규모 적자를 감수해야 하는 레드오션의 상황에 직면하였다. 특히 가격 경쟁으로 인한 과대한 광고선전비와, 가격할인프로모션 등으로 대규모 온라인 쇼핑업계의 중개 수수료 역시 상당하다.
또한 기존의 오픈마켓 방식은 판매자가 상품을 중개 업체의 온라인에 등록하고, 소비자가 구매하는 일방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국내 중소기업들은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가지고도 약한 자본력으로 인하여 공격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애로사항이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한류 열풍 등으로 국가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대한민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해외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중소기업들은 마케팅, 수출활로, 해외영업담당의 부재가 심해, 섣불리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전자상거래를 통한 국내 제품의 효율적인 수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5066호 (발명의 명칭: 해외 온라인 쇼핑몰의 간편한 상품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일: 2017.09.27.)
등록된 상품 공급업체에 수출 절차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수출하려는 국가에서 판매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이 판매대행을 할 수 있도록 상품 공급업체와 개인 사용자들을 연계해주고, 해당 국가 내 온라인 오픈마켓을 개설하고 해당 국가의 소비자들에게 판매하여, 그 판매수익을 개인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것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국가간 크로스보더(cross-boarder) 기반 이커머스(e-commerce)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제 1 국가의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자의 브랜드 및 상기 브랜드 별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관을 진행 할 국가와 상품 및 통관 구비 서류에 관한 통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상기 국가의 세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관이 통관을 승인하여 기 지정된 현지 창고에 배송함에 따라,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브랜드 별 상품의 인벤토리를 구성하고, 복수의 상품구성항목을 포함하는 게시물을 생성하여, 상기 각각의 상품구성항목에 적어도 하나의 인벤토리가 포함되도록 인벤토리와 상품구성항목을 연결한 후, 상기 게시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게시물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이 공급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 1국가 또는 제 2국가의 판매자 단말 및 제 2국가의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 내 상품구성항목 중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구성항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품구성항목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할당된 계정에 입력하여, 상기 계정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오픈마켓 형태로 각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이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결제완료정보를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에 따라 판매된 상품의 기 측정된 비율에 따른 판매 수수료를 포인트의 형식으로 상기 계정에 지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벤토리는 SKU(stock keeping unit)를 포함하는 공급대상 물품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SKU란 기 설정된 수량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SKU마다 수량이나 상품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는,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제 1 국가의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자의 브랜드 및 상기 브랜드 별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관을 진행 할 국가와 상품 및 통관 구비 서류에 관한 통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상기 국가의 세관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세관이 통관을 승인하여 기 지정된 현지 창고에 배송함에 따라,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브랜드 별 상품의 인벤토리를 구성하고, 복수의 상품구성항목을 포함하는 게시물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품구성항목에 적어도 하나의 인벤토리가 포함되도록 인벤토리와 상품구성항목을 연결하고, 상기 게시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게시물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이 공급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 1국가 또는 제 2국가의 판매자 단말 및 제 2국가의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 내 상품구성항목 중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구성항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품구성항목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할당된 계정에 입력하고, 상기 계정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오픈마켓 형태로 각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이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결제완료정보를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에 따라 판매된 상품의 기 측정된 비율에 따른 판매 수수료를 포인트의 형식으로 상기 계정에 지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지급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계정 별 판매활동 성과에 관한 분석데이터를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a)단계는, 판매 후 정산 수수료율 및 정산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플랫폼 입점 계약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확정되거나 수정된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b)단계 이전에, (a-1)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입허가 절차 요청 및 진출하려는 제 2 국가의 SKU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SKU를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SKU로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및 (a-2) 상기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수입허가 절차에 수반되는 특정 양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완성된 상기 양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a-2) 단계 후, 상기 SKU의 상품이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상품인 경우, (a-3)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의 인증에 따라, 상기 제 2 국가의 식약처 서버에 상기 SKU의 상품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a-1)단계 내지 (a-3)단계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운송건의 입력 및 검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로 상기 운송건 검수의 승인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a)단계는, 상기 제 1 국가의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 정보 조회 서비스를 상기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상기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에 상품 배송 및 입고 요청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입력정보를 상기 제 2국가와의 물품유통을 수행하는 물류사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물류사 서버로부터 상기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 내 입고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급자 단말에 상기 제 2국가로의 가능한 출항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능한 출항일자 중 확정된 출항일자를 수신하여, 상기 확정된 출항일자를 상기 물류사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 지정된 현지 창고 내 상품 수량 정보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창고 내 각 상품별 재고 수량을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창고 내 상품 재고 수량이 기 지정한 범위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공급자 단말에 상기 상품의 추가 입고 요청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된 각 상품구성항목은 단일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단일 상품을 구성하거나, 복수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조합된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며,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구성항목 중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관한 지정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c)단계는, 상기 게시물에 상기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을 대표상품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d)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특정 상품의 키워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품과 관련된 공급자 및 판매자 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특정 공급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급자의 상품 및 상기 상품의 판매자 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특정 판매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 및 상기 상품의 공급자 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관 구비 서류는 상업송장, 패킹리스트, 원산지 증명서, 상품별 당국 언어라벨 및 허가등록증을 포함하고, 상기 (c)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게시물 정보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기간과 고유주소 및 상기 게시물 내 상품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오픈마켓은 국가 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는 물품 수출에 대한 과정을 하나의 온라인 시스템에서 처리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각 국가마다 상이한 수출 절차의 복잡함을 해결해 주고, 각 절차마다 상이한 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어, 중소기업의 원활한 해외 시장 개척을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우수한 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국내외 저변 확대를 통하여, 국가 산업 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는 판매자가 소비자가 되고, 소비자가 판매자가 될 수 있는 특성상, 상기 서비스에 참여하는 인터넷 사용자 모두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익 창출을 통하여 마케팅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과도한 광고 비용 및 프로모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인터넷 개인 사용자는 각자의 계정을 통하여 무비용 또는 저비용으로 쇼핑몰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고, 외부 소셜미디어 링크연동이나 라이브 스트리밍 등의 홍보를 통한 부가적인 수익 루트를 창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물류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SKU(stock keeping unit)"란, 기 설정된 수량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SKU마다 수량이나 상품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딸기맛 A과자-12개입"과 "딸기맛 A과자-6개입"이 다른 SKU일 수 있다. 또한 상품의 속성에 따라 "딸기맛 A과자-12개입"과 "쵸코맛 A-과자-12개입"이 다른 SKU일 수 있다. 이러한 SKU는 각 국가마다 정한 제품 분류 기준에 따라 요건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서버(100)에 입력된 SKU는 상기 분류 기준에 따라 특정 국가의 요건을 충족하는 SKU로 보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인벤토리"란, SKU를 포함하는 공급대상 물품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SKU 물품의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딸기맛 A과자-12개입"SKU의 상품명, 수량, 무게, 성분, 재료 등의 제원, 제조날짜, 제조방법, 유통기한, 제조사, 판매가격, 판매수수료 등 판매를 위한 정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각 인벤토리는 서버(100)의 데이스터베이스(300)내에 고유한 공간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국가"는 통상 상품을 수출하려는 공급업체의 소속 국가인 "수출국"을 의미하며, "제 2국가"는 상품이 수입되어 시장을 이루는 "수입국"을 의미한다. 물론 "제 1국가"및 "제 2국가"는 내수를 위한 판매인 경우에는, 같은 국가를 의미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서버(100),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자 단말(10), 판매자 단말(20), 소비자 단말(30)을 포함하며, 각 수출 절차를 수행하는 외부 서버인 제 2국가세관 서버(200), 수입허가 공공기관 서버(210), 물류사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부 서버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수출에 관련된 기관의 서버가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공급자, 판매자 및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공급자는 자신의 공급자 단말(10)을 통해 서버(100)가 제공하는 공급자 전용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자 단말(10)은 공급 업체의 정체성을 가지는 대표 단말일 수도 있고,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업체 스태프 개개인 단말일 수도 있다. 공급자 단말(10)은 진출하려는 국가에 따른 정책, 관리 방식 및 절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국가에 따라 공급자의 브랜드를 개설할 수 있다. 상기 브랜드를 통하여 상품 등록 및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판매자는 자신의 판매자 단말(20)을 통해 서버(100)가 제공하는 판매자 전용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20)은 제 1국가 및 제 2국가 소속의 인터넷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개인 판매자 뿐만 아니라 사업자 등록증을 가진 판매대행업체의 단말일 수도 있다. 판매자는 자신의 단말(20)을 통해 상기 등록된 공급자의 상품을 열람하여, 판매 욕구가 생기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서버(100)가 제공하는 온라인 몰에서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게시 및 판매할 수 있다. 서버(100)는 판매자가 판매한 상품의 기 설정된 판매수수료에 기초하여, 판매자에게 실시간 정산, 출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상품이 거래되는 제 2국가에서 오픈마켓 형태의 온라인 몰을 구축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소비자 단말(30)을 통해 상기 온라인 몰에서 판매자가 게시한 상품을 열람하고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30)은 소비자가 온라인 몰에서 상품을 열람하는 도중, 특정 상품에 대해 판매 욕구가 생기는 경우에는, 서버(100)가 제공하는 판매자 전용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판매자 단말(20)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는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직접 온라인 쇼핑몰의 주체가 되는 기회를 줄 수 있다. 상품 유통이나 도메인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이나 노력이 부담되어, 시도하기 어려운 개인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온라인 쇼핑물 구축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익의 욕구는 자연스럽게 훌륭한 광고 효과가 될 수 있어, 과도한 마케팅 비용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공급자 상품의 해외 수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공급자는 자신의 공급자 단말(10)을 통해 서버(100)가 제공하는 공급자 전용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진출하려는 국가의 수입 허가 절차를 수행 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입허가 내 각 절차에 관여하는 제 1국가 및 제 2 국가의 공공기관 서버(210)와 연계하여, 공급자 단말(10)에 각 절차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는 자신의 공급자 단말(10)을 통해 서버(100)가 제공하는 공급자 전용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해외 물류 절차를 수행 할 수 있다. 서버(100)는 기 계약된 물류사의 서버(230)와 연계하여, 공급자 상품의 배송, 입고에 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통관정보에 기초하여, 제 2국가의 세관 서버(200)와 연계를 통해, 공급자 단말(10)에 관세 처리 및 통관 절차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는 수출에 관한 각 절차를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처리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품은 우수하나, 약한 자본력으로 인해 마케팅, 수입활로, 해외영업담당의 부재가 심한 중소기업들에게 해외 시장 형성의 기회를 열어주어 중소기업의 매출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국가마다 정책 및 절차가 다르고, 수출 절차에 관여된 기관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해외 진출 경험이 적은 기업들에게 이러한 애로사항에 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서버(100)의 내부구성 및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장치로 정의될 수도 있다.또한, 서버(100)는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기능에 따라 서버(100)는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 오픈마켓 운영부(150), 소비자 회원 관리부(160)의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세부 구성요소들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서버(100)에 접속한 공급자들을 관리한다. 회원가입 요청수신, 회원정보 저장, 로그인 처리, 브랜드 및 물품 등록, 입점 요청수신, 계약정보수신, 계약 등록 등 공급자 회원 관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공급자 단말(10)로부터 해당 공급 업체의 업체 이름, 사업자 등록번호, 사업 영역 등의 필수 정보를 수신하고, 자동화된 검수를 통하여 진정한 사업자인지 여부를 가려 승인 또는 반려할 수 있다. 여기서 검수는 자체 데이터베이스(300)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업체 등록이 승인된 경우, 공급자 단말(10)로부터 활동하려는 국가에 따른 브랜드를 수신하고 등록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브랜드라도 국가에 따라 정책 및 절차가 다를 것에 대비하여 개별로 브랜드를 개설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키"와 "나이키코리아" 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브랜드 등록이 되면, 공급자 단말(10)로부터 브랜드 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해당 상품정보와 함께 수신하여 등록하고,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입점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입점 신청된 공급자의 브랜드 및 상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정산 수수로율 및 정산 주기 등 계약항목의 기준을 정하여 공급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0)로부터 공급자와 협의가 완료된 상기 계약항목에 대응하는 계약정보를 수신하고 입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진행된 상품판매에 따라,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에 대한 입금 요청을 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공급자와 서비스 관리자의 협의에 따라, 계약정보를 갱신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및 브랜드 별 상품의 전체 또는 분기별 판매분석데이터 및 판매자 별 전체 또는 분기별 판매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급자와의 협의에 따라 판매 이벤트 및 가격프로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급자는 상품 및 판매자 별 수익 루트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판매자의 상품 홍보 및 실적을 확인하여, 보다 나은 판매 실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단계 S310에서 공급자의 상품이 서버(100)에 게재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한 브랜드 및 상품에 기초하여, 브랜드 별 상품의 인벤토리를 서버(100)내 데이터베이스(300)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인벤토리에 포함된 정보 중 상품의 제원은 현지 도량형을 기준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인벤토리가 구성되면,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공급자용 게시물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0)은 소정의 카테고리 별 게시물 생성을 입력하고, 생성된 게시물에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의 브랜드 별 상품이 의류, 잡화, 악세서리의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경우, 각 카테고리 별로 별도의 게시물을 생성하여, 공급자 및 브랜드의 기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전체나 일부의 카테고리를 합치거나 하나의 카테고리를 분할하여 게시물을 생성할 수도 있다.
각 게시물이 생성되면, 공급자 단말(10)은 게시물 내에 복수의 상품구성항목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요청된 상품구성항목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각 상품구성항목에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각 인벤토리를 연결하여, 각 상품구성항목마다 판매할 상품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상품구성항목에 단일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단일 상품을 구성하거나, 복수의 인벤토리를 연결하여 조합 상품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의 상품 중 의류 카테고리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게시물이 생성된 경우, 공급자는 자켓, 상의, 하의, 세트의 상품구성항목을 개설할 수 있다. 인벤토리1가 A자켓, 인벤토리2가 B바지의 상품데이터라고 한다면, 인벤토리1을 자켓 상품구성항목에 연결하여 단일의 A자켓의 판매상품을 구성할 수 있고, 인벤토리1 및 2를 세트 상품구성항목에 연결하여 A자켓과 B바지 조합의 판매상품을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300) 내 저장된 해당 공급자의 인벤토리를 조합하여, 다양한 판매상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상품구성항목 중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관한 지정이 수신되는 경우,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상기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을 대표상품으로 표시하여, 해당 게시물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자는 제 2국가에서 유행하거나 수요가 많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상품인 경우, 이 상품을 대표상품으로 표시하여, 판매자의 판매 욕구 상승을 유발하고, 대표상품이 표시된 게시물을 열람하게 함으로써, 관련된 타 상품의 판매 효과도 기대하게 할 수 있다. 상품구성항목이 완료되면, 공급자 단말(10)은 공급자로부터 설정된 게시물의 게시 기간 및 고유 주소 등을 입력하고, 검수를 요청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공급자 회원 관리부(110)는 검수 요청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게시물 내 인벤토리가 진정한 공급자의 상품인가를 검토하고, 이상이 없을 시, 게시물 및 각 상품구성항목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승인처리와 함께 판매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가 원하는 시간에 서버(100)가 운영하는 오픈마켓 온라인 몰에 전송함으로써, 소비자는 자신의 소비자 단말(30)을 통하여 해당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320에서, 공급자 단말(10)은 공급하려는 SKU상품의 기본 정보와 함께 SKU 신규등록을 요청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는 이러한 입력을 수신하고, 국가별 제품 분류를 확인하여, 상기 SKU를 진출하려는 제 2국가에서 정한 제품 분류 요건에 맞춘 SKU보정을 수행하고, 보정된 SKU의 등록을 제공할 수 있다. SKU 등록이 되는 경우,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는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라 기 설정된, 후속 수입허가 절차 및 구비서류가 포함된 양식과 양식 작성 안내 정보를 공급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공급자 단말(10)은 상기 안내에 따라 공급자로부터 작성된 해당 구비서류를 입력할 수 있고,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는 입력된 구비서류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수입허가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수입허가 공공기관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입허가 공공기관은 제 2국의 국내 대사관 및 대한민국 외교부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절차에 관련된 소정의 공공기관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수입허가 인증절차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구비서류를 제 2국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의 번역 공증 실무를 수행하는 기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입허가 인증절차 및 번역 공증 완료를 해당 기관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뒤, 해당 상품이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의약품 등의 상품인 경우,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는 제 2국가의 식약처 서버(210)에 상품 전산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산품인 경우에도 제 2국가에서 별도의 등록을 요하는 경우, 해당 기관 서버에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위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수입허가절차 처리부(120)는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각 과정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공급자 단말(10)로 제공하여, 공급자에게 각 절차 확인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절차에서 미비된 사항이 발견될 시, 이를 공급자 단말(10)로 제공하여 추가입력을 요청하고, 추가입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각 절차에 관련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위 절차 수행이 완료되면 수입허가절차 완료를 표시하고, 단계 S330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상품에 관하여 외부에서 사전 수입허가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계 S320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다음 단계 절차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입허가에 관한 비용정산 등 수입허가절차에 필요한 기타 수행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물류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331에서 공급자 단말(10)은 제 2국가에 관한 통관정보를 서버(1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통관정보는 공급자가 통관을 진행하려는 국가와 상품, 해당 상품의 수량 및 배송 방식 등의 기본정보와 통관 절차에 필요한 통관 구비 서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관 구비 서류는 상업송장(C.I), 패킹리스트(P.L), 원산지증명서(CO), 상품별 당국 언어 라벨 및 허가등록증이 구성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국가의 통관 절차에 필요한 기타 서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32에서, 통관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공급자 단말(10)은 검수 요청 및 해당 운송건 등록 요청의 입력을 할 수 있다.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입력된 통관정보 및 해당 운송건의 상품정보들의 검수를 수행하고, 이상이 없을 시, 해당 운송건의 승인 및 등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33 및 단계 S334에서, 운송건이 등록되면, 공급자 단말(10)에 제 1국가의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에 관한 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세창고의 정보는 공급자가 수출하려는 상품 및 그 수량에 따라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국가가 국내이며 일반적인 상품 수출인 경우, 즉, 여러 공급자의 상품 화물이 혼합되어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LCL(Less than Container Load)수출인 경우, 컨테이너의 적입과 쇼링 및 적출의 작업이 수행되는 CFS(Container Freight Station)창고 정보의 조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출하려는 공급자의 상품이 대규모 화물을 구성하는 경우, 즉, 컨테이너 1개를 단위로 해서 수송되는 FCL(full container load)수출이 가능한 경우, 상기 CFS창고 정보에 더하여, CY(Container Yard)창고 및 기타 보세창고의 정보를 제공하여, 공급자에게 넓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공급자의 선택에 따른 제 1국가의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로 배송 및 입고 요청의 입력을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입력 및 수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 2국가와의 물품유통을 수행하는 물류사의 서버(230)에 전송하여,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에 배송 및 입고의 수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국가의 보세창고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국 세관에 신고가 필요한 경우,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신고에 필요한 절차 정보를 공급자 단말(10)에 제공하고, 공급자 단말(10)로부터 입력된 내용에 따라, 이를 제 1국가의 세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가 수행하는 제 1국가의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 정보 조회 서비스는 단지, 공급자에게 창고에 관한 정보 획득의 편의를 제공하고,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이므로, 공급자가 원하는 경우, 바로 물류사 서버(230)와 연계하여 해당 물류사의 기 설정된 작업 프로세스를 통하여,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에 배송 및 입고의 수행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자의 상품이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에 입고되면,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공급자 단말(10)에 제 2국가로의 가능한 출항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공급자 단말(10)로부터 공급자가 선택한 해당 상품의 출항 일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상기 물류사 서버(2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35에서, 공급자의 상품이 제 2국가의 세관에 도착하면,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이를 확인하여, 상품정보 및 통관 구비 서류가 포함된 통관정보를 제 2국가세관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36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 진행된 관세 처리및 통관 절차가 승인되는 경우, 제 2국가의 세관이 기 지정된 현지 창고에 공급자의 상품을 배송함에 따라,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입고된 상품과 수량을 확인하고, 해당 상품명 및 수량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입력한 후, 공급자 단말(10)에 입고완료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공급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 S330의 각 절차의 진행 과정 및 진행 결과를 공급자 단말(10)로 제공하여, 공급자에게 각 절차 확인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절차에서 미비된 사항이 발견될 시, 이를 공급자 단말(10)로 제공하여 추가입력을 요청하고, 추가입력된 정보를 수신하여, 각 절차에 관련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공급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 2국가의 현지 창고 내 각 상품별 재고 수량을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고 내 특정 상품의 수량이 일정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상품의 공급자 단말(10)에 추가 입고 요청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해외물류절차 처리부(130)는 현지 창고 내 기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창고 내 상품 보관 상태의 화면을 각 공급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공급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창고에 비치된 단말을 통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급자에게 세부적인 상품 상태의 점검을 위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계 S3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류사 및 관세비용처리, 현지내수물류 등 해외물류절차에 필요한 기타 수행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340에서,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서버(100)에 접속한 판매자들을 관리한다. 회원가입 요청수신, 회원정보 저장, 로그인 처리, 계정 생성, 판매 물품 구성, 판매 수수료 지급 등 판매자 회원 관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입력된 기본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판매자에게 계정을 생성하여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이란 서버(100)에 가입된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독자적인 URL이 부여된 웹 페이지 또는 앱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SNS의 개인 계정과 같이 모든 판매자들에게 동일한 포맷으로 제공되는 페이지일 수 있다. 해당 계정은 판매 상품 목록이 구성된 폐이지, 판매자 프로필 제공 페이지, 판매자 게시판 페이지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계정이 생성되면,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판매자의 조회 요청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공급자들의 브랜드 및 브랜드 별 상품의 정보가 포함된 공급자의 게시물들을 판매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의 조회는 특정 공급자를 검색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특정 브랜드나 특정 상품명을 검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300)의 분류 기준에 따라 전체 게시물의 조회가 수행될 수도 있다.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20)을 통하여, 조회한 게시물의 상품구성항목 중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포함된 상품구성항목을 선택하여 입력 할 수 있다.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수신한 상품구성항목을 해당 계정에 제공하여, 판매 상품 목록을 구성하는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판매자 단말은 게시물1의 상품구성항목1을 선택하여 인벤토리1 및 2에 대응하는 판매 상품 목록을 구성할 수 있으며, 게시물2의 상품구성항목2를 선택하여 인벤토리8에 대응하는 판매 상품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목록은 같은 페이지 또는 각각의 페이지에 구현될 수 있다. 상품구성항목 입력이 완료되면,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해당 상품구성항목을 각 국가마다 구축된 오픈마켓 형식의 온라인 몰에 전송함으로써,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30)을 통하여 이를 쇼핑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 계정은 독자적인 URL을 부여받고 있으므로, 판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계정에 포함된 상품을 홍보하고 마케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유동 사용자가 많은 외부 소셜 미디어에 다이렉트 링크 연동을 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계정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판매자에게 라이브 스트리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20)을 통하여 서버(100) 내 구축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접속하고 자신의 판매 상품을 실시간으로 홍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 단말(30)을 통하여 시청한 소비자는 온라인 몰 뿐만 아니라 판매자와의 협의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 어디서든 판매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60에서,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판매자 단말(20)을 통하여 판매자에게 판매수익에 따른 포인트의 지급을 수행할 수 있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해당 상품 판매 수수료율이지만, 공급자가 미리 설정한 금액범위 내에서 특정 비율만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예를 들어, 판매자의 해당 상품 매출액이 30만원 이상일 시, 공급자가 해당 상품 판매금액의 5%를 옵션으로 지급한다는 조건을 설정한 경우, 지급되는 포인트는 조정될 수 있다.
한편,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지급된 포인트를,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자 단말(20)로부터 기 입력된 판매자의 계좌에 송금하거나, 핀테크로 연결된 간편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입금함으로써, 현금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20)을 통하여, 개설된 오픈마켓에서 다른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지급된 포인트를 소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매자 단말(20)은 소비자 단말(30)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판매자 회원 관리부(140)는 지급된 포인트를 포함한 상품 별 전체 또는 분기별 판매분석데이터 및 공급자(브랜드) 별 전체 또는 분기별 판매분석데이터를 판매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판매자는 상품 및 공급자 별 수익 루트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현 시점 어떠한 공급자(브랜드)의 상품 수요 및 매출이 우세한지 나타내어, 보다 나은 판매 실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오픈마켓 운영부(150) 및 소비자 회원 관리부(160)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는 각 국가 별로 독립적인 오픈마켓을 구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마켓은 온라인 몰 웹페이지 또는 온라인 몰 앱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오픈마켓 운영부(150)는 구축된 각 오픈마켓 관리에 관한 모든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픈마켓의 도메인을 할당받고, 공급자, 판매자, 상품 등 카테고리 별 각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아웃은 일반적인 온라인 상거래가 채택하는 상품기본정보, 세부정보, 세부사진, 수량선택, 옵션선택, 판매금액제시, 포인트사용, 결제요청, 배송요청 및 소비자 평가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해당 국가에서 판매가 진행 중인 상품들을 판매자 별로 전시할 수 있으며, 해당 국가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단말(30)을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및 판매자 회원의 증감에 따른 공급자 브랜드 및 상품, 게시물, 판매자 계정 등의 데이터베이스(300)내 정보의 업데이트에 따라, 해당 오픈마켓의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및 판매자와 협의에 따라, 특정 상품에 관한 이벤트 및 프로모션이 진행되는 경우, 메인 페이지에 링크를 연동하고, 페이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벤트 및 프로모션에 관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오픈마켓 운영의 일련의 과정들은 예시일 뿐이며, 온라인 쇼핑몰구축 및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수행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소비자 회원 관리부(160)는 서버(100)에 접속한 소비자들을 관리한다. 여기서 소비자들은 오픈마켓이 구축된 제 2국가의 인터넷 사용자들일 수 있다. 소비자 회원 관리부(160)는 회원가입 요청수신, 회원정보 저장, 로그인 처리, 주문, 결제, 배송, 환불 등 소비자 회원 관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분류기준을 달리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30)로부터 특정 상품의 키워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상품의 공급자 및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공급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공급자의 상품 및 해당 공급자 상품의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특정 판매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 및 그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 별로 구분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분류기준의 검색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버(100) 또는 서버(100)가 구현된 장치는 상품의 수입허가 및 해외물류 절차와 상품의 공급, 판매, 구매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서버 10:공급자 단말
20: 판매자 단말 30:소비자 단말
200:제 2국가세관 서버 210:수입허가 공공기관 서버
230:물류사 서버

Claims (13)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국가간 크로스보더(cross-boarder) 기반 이커머스(e-commerce)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제 1 국가의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자의 브랜드 및 상기 브랜드 별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관을 진행 할 국가와 상품 및 통관 구비 서류에 관한 통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상기 국가의 세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세관이 통관을 승인하여 기 지정된 현지 창고에 배송함에 따라,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브랜드 별 상품의 인벤토리를 구성하고, 복수의 상품구성항목을 포함하는 게시물을 생성하여, 상기 각각의 상품구성항목에 적어도 하나의 인벤토리가 포함되도록 인벤토리와 상품구성항목을 연결한 후, 상기 게시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게시물의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이 공급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 1국가 또는 제 2국가의 판매자 단말 및 제 2국가의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 내 상품구성항목 중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구성항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품구성항목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할당된 계정에 입력하여, 상기 계정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오픈마켓 형태로 각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이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결제완료정보를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에 따라 판매된 상품의 기 측정된 비율에 따른 판매 수수료를 포인트의 형식으로 상기 계정에 지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단계는,
    (a-1)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입허가 절차 요청 및 진출하려는 제 2 국가의 SKU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SKU를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SKU로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a-2) 상기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수입허가 절차에 수반되는 특정 양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완성된 상기 양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a-3) 상기 SKU의 상품이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상품인 경우,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의 인증에 따라, 상기 제 2 국가의 식약처 서버에 상기 SKU의 상품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a-4) 상기 (a-1)단계 내지 (a-3)단계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입허가 절차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수입허가 내 각 절차에 관여하는 상기 제 1국가 및 제 2국가의 공공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에 상기 각 절차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국가 및 제 2국가의 공공기관 서버는 상기 제 2국가의 국내 대사관, 대한민국 외교부, 상기 제 2국가의 식약처 및 번역 공증 실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구성항목 중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관한 지정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c)단계는, 상기 게시물에 상기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을 대표상품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벤토리는 SKU(stock keeping unit)를 포함하는 공급대상 물품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SKU의 판매를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SKU란 기 설정된 수량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SKU마다 수량이나 상품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된 각 상품구성항목은 단일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단일 상품을 구성하거나, 복수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조합된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서버에 가입된 인터넷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되는 계정은, 독자적인 URL이 부여된 웹 페이지 또는 앱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각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구성항목에 대응하는 판매 상품 목록이 구성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상기 계정 별 판매활동 성과에 관한 분석데이터를 상기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판매 후 정산 수수료율 및 정산 주기를 포함하는 플랫폼 입점 계약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확정되거나 수정된 계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운송건의 입력 및 검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로 상기 운송건의 검수의 승인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a)단계는,
    상기 제 1 국가의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 정보 조회 서비스를 상기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설정된 상기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에 상품 배송 및 입고 요청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입력정보를 상기 제 2국가와의 물품유통을 수행하는 물류사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물류사의 서버로부터 상기 수출입 화물 보세창고 내 입고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급자 단말에 상기 제 2국가로의 가능한 출항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능한 출항일자 중 확정된 출항일자를 수신하여, 상기 확정된 출항일자를 상기 물류사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 지정된 현지 창고 내 상품 수량 정보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창고 내 각 상품별 재고 수량을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창고 내 상품 재고 수량이 기 지정한 범위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공급자 단말에 상기 상품의 추가 입고 요청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특정 상품의 키워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품과 관련된 공급자 및 판매자 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특정 공급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급자의 상품 및 상기 상품의 판매자 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및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특정 판매자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 및 상기 상품의 공급자 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관 구비 서류는 상업송장, 패킹리스트, 원산지 증명서, 상품별 당국 언어라벨 및 허가등록증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c)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게시물의 정보는 상기 게시물의 게시기간과 고유주소 및 상기 게시물 내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마켓은 국가 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13.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제 1 국가의 공급자 단말로부터 공급자의 브랜드 및 상기 브랜드 별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통관을 진행 할 국가와 상품 및 통관 구비 서류에 관한 통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상기 국가의 세관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세관이 통관을 승인하여 기 지정된 현지 창고에 배송함에 따라,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창고에 입고된 상품명과 수량을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브랜드 별 상품의 인벤토리를 구성하고,
    복수의 상품구성항목을 포함하는 게시물을 생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품구성항목에 적어도 하나의 인벤토리가 포함되도록 인벤토리와 상품구성항목을 연결하고,
    상기 게시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게시물의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이 공급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제 1국가 또는 제 2국가의 판매자 단말 및 제 2국가의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물 내 상품구성항목 중 판매자가 선택한 상품구성항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품구성항목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할당된 계정에 입력하고,
    상기 계정이 제공하는 상품정보를 오픈마켓 형태로 각 판매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이 선택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품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결제완료정보를 판매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결제완료정보에 따라 판매된 상품의 기 측정된 비율에 따른 판매 수수료를 포인트의 형식으로 상기 계정에 지급을 수행하고,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입허가 절차 요청 및 진출하려는 제 2 국가의 SKU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SKU를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SKU로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상기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수입허가 절차에 수반되는 특정 양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완성된 상기 양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SKU의 상품이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상품인 경우,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의 인증에 따라, 상기 제 2 국가의 식약처 서버에 상기 SKU의 상품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SKU를 국가별 제품 분류에 따른 SKU로 보정하는 과정,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완성된 상기 양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국가의 수입허가관련 공공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제 2 국가의 식약처 서버에 상기 SKU의 상품을 등록하는 과정의 진행 상태 및 결과를 실시간으로 상기 공급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상품정보 및 상기 통관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입허가 절차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수입허가 내 각 절차에 관여하는 상기 제 1국가 및 제 2국가의 공공기관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공급자 단말에 상기 각 절차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제 1국가 및 제 2국가의 공공기관 서버는 상기 제 2국가의 국내 대사관, 대한민국 외교부, 상기 제 2국가의 식약처 및 번역 공증 실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게시물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구성항목 중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관한 지정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상기 대표 상품구성항목에 대응하는 상품을 대표상품으로 표시하고,
    상기 인벤토리는 SKU(stock keeping unit)를 포함하는 공급대상 물품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SKU의 판매를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SKU란 기 설정된 수량의 상품을 포함하는 상품 판매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SKU마다 수량이나 상품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된 각 상품구성항목은 단일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단일 상품을 구성하거나, 복수의 인벤토리가 연결되어 조합된 상품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서버에 가입된 인터넷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되는 계정은, 독자적인 URL이 부여된 웹 페이지 또는 앱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각 단말에 의해 선택된 상품구성항목에 대응하는 판매 상품 목록이 구성된 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인,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00110713A 2020-09-01 2020-09-01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13A KR102482099B1 (ko) 2020-09-01 2020-09-01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13A KR102482099B1 (ko) 2020-09-01 2020-09-01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77A KR20220028977A (ko) 2022-03-08
KR102482099B1 true KR102482099B1 (ko) 2022-12-29

Family

ID=8081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13A KR102482099B1 (ko) 2020-09-01 2020-09-01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0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44A1 (ko) 2017-03-14 2018-09-20 주식회사 신스컴퍼니 해외 상품의 직접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중개 서버
KR102141139B1 (ko) * 2017-06-14 2020-08-04 황희찬 전자상거래 업무 통합 자동화 시스템
KR102175778B1 (ko) * 2018-08-29 2020-11-06 고의경 오픈 마켓의 상생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77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Business to business (b2b) and business to consumer (b2c) management
US7739148B2 (en) Reporting metrics for online marketplace sales channels
KR100756001B1 (ko)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직접 유통 시스템
US11720955B2 (en) Offline to online management system
KR101779759B1 (ko) 클라우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828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프렌차이즈 방법 및 그 광고 수단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1903769B1 (ko) 융복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시스템.
KR20130106165A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들의 통합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415064A (zh) 一种整合零售供应链与销售链的利益共同体系统
TWM544679U (zh) 加盟式商務雲端服務系統
KR101221364B1 (ko) 판매자간 물품을 공유하여 패키지 물품을 제공하는 맞춤형 구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3009B1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287970B1 (ko) 지역 기반 통합 마케팅과 회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482099B1 (ko) 국가간 크로스보더 기반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06041B1 (ko) 온라인 쇼핑몰 임대 및 유무형 가치 거래를 위한 쇼핑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900769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Worldwide Warehouse via an electronic network
KR101864538B1 (ko) 키워드 코딩 매매시스템.
KR20030012161A (ko) 온라인 전자상거래 대행 서비스 및 통합 커머스 서비스제공 시스템
KR20110000192U (ko) 비투비 연동시스템을 통한 상품관리와 데이터 수집 및 재등록 방법
US201900737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 purchasing
Pinto et al. Model of funciona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B2B E-Commerce solutions
KR102653234B1 (ko)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72171B1 (ko) 산업재 및 소비재 통합 구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5033539B2 (ja) 職域販売処理システム、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