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980A - 예비단계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예비단계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980A
KR20100021980A KR1020090075599A KR20090075599A KR20100021980A KR 20100021980 A KR20100021980 A KR 20100021980A KR 1020090075599 A KR1020090075599 A KR 1020090075599A KR 20090075599 A KR20090075599 A KR 20090075599A KR 20100021980 A KR20100021980 A KR 2010002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alue
character
consona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박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수 filed Critical 박영수
Publication of KR2010002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문자입력시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입력하되, 문자판 중앙부에 배치된 공간키(특수한 공간키) 등을 이용하여 적은 숫자의 키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키가 자음값과 모음값을 구비하며 상기 기본키를 다수 포함하는 문자판(키패드)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문자를 형성할때,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 후, 두번째로 선택된 기본키로부터는 모음값을 선택하여,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과 나중 선택된 모음값을 합쳐서 최종문자를 확정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확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문자판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공간키(특수한 공간키)를 더 구비하며, 기본키가 선택된 후 공간키가 연이어 선택될 경우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본키의 공간값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예비단계에서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된 후, 상기 공간키가 선택된다면, 디스플레이 된 상기 자음값이 상기 중간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일본어, 문자판, 예비단계, 확정단계, 공간키

Description

예비단계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preliminary step}
본 발명은 하나의 문자입력시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입력하되, 문자판 중앙부에 배치된 공간키(특수한 공간키) 등을 이용하여 적은 숫자의 키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소형 단말기에서 일본어 입력 방식은 하나의 키를 많게는 다섯 번까지 선택하여 모음 변환시키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이 방식은 배우기 쉽지만 누르는 횟수가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검색키로 모음 변환을 시키는 방식도 있으나 동선이 길어 번거롭다.
터치패드형 단말기에서는 하나의 키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모음 변환을 시키는 방식도 있으나 접촉 오류가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표준 키보드 방식이면서 크기만을 작게 하여 만든 자판도 사용되지만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크기를 작게 하면 입력 버튼이 작아져 잘못 누르기 쉽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음값을 입력하는 예비단계와, 모음값을 입력하되 상기 자음값과 병합하여 최종 문자를 확정짖는 확정단계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하나의 문자입력시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입력하되, 문자판 중앙부에 배치된 공간키(특수한 공간키) 등을 이용하여 적은 숫자의 키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본키가 자음값과 모음값을 구비하며 상기 기본키를 다수 포함하는 문자판(키패드)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문자를 형성할때,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 후, 두번째로 선택된 기본키로부터는 모음값을 선택하여,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과 나중 선택된 모음값을 합쳐서 최종문자를 확정하여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확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문자판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공간키(특수한 공간키)를 더 구비하며, 기본키가 선택된 후 공간키가 연이어 선택될 경우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본키의 공간값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예비단계에서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된 후, 상기 공간키가 선택된다면, 디스플레이 된 상기 자음값이 상기 공간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판은 한칸띄움(space) 키를 포함하는 보조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키는 상기 보조키를 한번 선택시 얻어지는 문자인 기본값과 상기 보조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시 얻어지는 문자인 중복값, 상기 보조키를 한번선택후, 공간키를 선택함에 의해 얻어지는 보조키의 공간값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문자판은 일문을 입력하기위한 문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음값은 빈값인 " ", "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 중의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음값은 "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は" 중의 하나가 선택된 후, 연이어서,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값의 탁음으로 변환되어 입력되는(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は" 가 선택된 후, 연이어서, 공간키를 두번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값의 반탁음인 "ぱ"로 변환되어 입력되는(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あ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あ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い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い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う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う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え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え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お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お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や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에 ゃ가 첨부된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ゆ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에 ゅ가 첨부된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よ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에 ょ가 첨부된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비단계 이전에 공간키를 선택하면, 예비단계 없이 확정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여, 상기 확정단계에서 선택된 모음값이 그대로 최종문자로 입력되는(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음부호인 "―", "ん", "っ", 히라카나 카타카나 변환키("ア")는
기본키 또는 보조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연이서 공간키를 선택하여 생성시키거나, 보조키를 중복하여 생성시키거나, 별도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판은 4행3열(4×3) 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기본키는 1행, 2행, 3행1열, 3행3열에 위치되는 8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로 이루어지며, 공간키는 3행2열에 위치되는 1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며, 보조키는 4행에 위치되는 3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판은 4행3열(4×3) 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기본키는 1행, 2행1열, 2행3열, 3행에 위치되는 8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로 이루어지며, 공간키는 2행2열에 위치되는 1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며, 보조키는 4행에 위치되는 3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판은 4행3열(4×3) 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기본키는 1행, 2행1열, 2행3열, 3행1열, 3행3열, 4행2열에 위치되는 8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로 이루어지며, 공간키는 2행2열, 3행2열에 위치되는 2개의 문자키(문자 자 판)를 구비하며, 보조키는 4행1열, 4행2열에 위치되는 2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판은 4행3열(4×3) 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기본키는 1열과 2열에 위치되는 8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로 이루어지며, 공간키는 2행3열에 위치되는 1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며, 보조키는 1행3열, 3행3열, 4행3열에 위치되는 2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은 자음값을 입력하는 예비단계와, 모음값을 입력하되 상기 자음값과 병합하여 최종 문자를 확정짖는 확정단계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적은 숫자의 키로도 보다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은 하나의 문자입력시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입력하되, 문자판 중앙부에 배치된 공간키(특수한 공간키) 등을 이용하여 적은 숫자의 키로도 많은 다양한 키를 나타낼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판 및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PDA, 단말기 등등의 키패드에서 사용되는 문자입력방식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방식도 터치식, 누름식 등의 여러가지 방식에 다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문자에서 자음과 모음을 분리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의 해 적은 숫자의 키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PDA, 단말기 등등의 키패드에서 사용되는 문자입력방식으로, 입력되는 방식으로는 터치식, 누름식 등의 여러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을 망라하여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설명의 편의상 "선택한다"라고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키, 공간키(특수한 공간키), 보조키를 구비한다.
기본키는 일문자(일문 알파벳)을 만드는 키로, 기본키들은 자음값, 모음값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기본키들 중 일부는 공간값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를 형성할때,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며(이하, 이를 예비단계라 함), 두번째로 선택된 기본키로부터는 모음값을 선택하여, 먼저 선택된 자음값과 나중 선택된 모음값을 합쳐서 최종문자를 확정하여 디스플레이한다(이하, 이를 확정단계라 함).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단계후 일정한 시간단위 동안 키입력이 없으면, 예비단계의 문자로 입력이 확정된다.
자음값은 빈값인 " ", "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 중의 하나이다. 자음값은 본 발명에서 앞단에서 선택된다는 의미로 앞값이라고도 한다. 또한 앞값을 선택후 공간키를 선택하여 탁음 또는 반탁음의 자음으로 변환된 값을 공간값(중간값)이라 한다.
모음값은 "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 중의 하나이다. 모음값은 본 발명에서 뒷단에서 선택된다는 의미로 뒷값이라고도 한다.
공간값은 기본키, 보조키를 선택한 후, 공간키를 선택하게됨에 따라 얻어지 게 되는 문자를 말한다.
공간키는 기본키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탁음, 반탁음, 장음, "わ", "を",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이하 "ア"로 표기함)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기본키, 보조키를 선택한 후 공간키를 선택함으로써, 탁음, 반탁음, 장음, "わ", "を",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이하 "ア"로 표기함)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값 생성시, 공간키를 연이어서 두 번 선택한 다음 기본키를 선택하여 모음을 선택하면, 모음의 크기를 작게 생성할 수 있다.
보조키는 보조문자(예롤, "っ", "ん"), 특수문자(예로 *, #), 한칸띄움(space) 키,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 등을 입력하기위한 키로, 기본값, 중복값, 공간값을 가진다.
기본값은 보조키를 한번 선택시 얻어지는 문자이다.
중복값은 보조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시 얻어지는 문자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는 자음부는 わ,か,さ,た,な,は,ま,ら인 8개의 값으로 대표되고, 모음부는 あ,い,う,え,お,や,ゆ,よ인 8개의 값으로 대표되어, 상기 값들이 배정된 8개의 기본키는 각각 예비 단계와 확정 단계로 구분되어 모음부와 자음부의 값들을 번갈아가며 생성한다.
또한, 장음부호인 ―, ん, っ, 히라카나 카타카나 변환부호인 ア는 기본키 또는 보조키를 선택하고 연이서 공간키를 선택하여 생성시키거나, 보조키를 중복하여 생성시키거나, 별도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한편 편리에 따라 わ와 を도 기본키와 공간키를 눌러 생성시킬 수 있다.
예비 단계에는 8개의 자음부 대표값이 자음값(앞값)으로 생성되고, 확정 단계에는 8개의 모음부 대표값이 모음값(뒷값)으로 생성되면서 동시에 도 2에 따라 자음값과 모음값이 조합된 하나의 문자(일문 알파벳)를 완성한다.
도 2는 자음값과 모음값이 조합하여 완성되는 문자(일문 알파벳)의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의 1행은 모음값(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을 나타내며, 1열은 자음값(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자음값으로 "か"를 선택하고, 모음값으로 "い"를 선택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き"문자를 완성한다.
도 2의 첫칸이 빈칸인 것은 자음값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2에서 자음값(앞값)이 わ인 기본키의 위의 값인 빈값 " "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예비단계에 상기 기본키를 선택하여 빈값이 생성되고 이어지는 확정단계에 선택된 뒷값 만을 그대로 확정하여 입력값으로 완성시킨다. 예를들어 자음값으로 상기 빈값 즉, " "를 선택하고, 모음값으로 "い"를 선택하면, 도 2에서와 같이, 최종적으로 "い"문자를 완성한다.
추가로 구비된 공간키는 각 단계의 값들을 변환하여 입력값을 추가로 발생시킨다. 일예로, 예비 단계에서, "は"를 생성후 공간키를 선택하면, 변환단계에 의해 탁음인 ば 또는 파열음 ぱ와 같은 중간값으로 변환되어 자음값을 생성하며, 이어지는 확정 단계를 기다리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자음부의 앞값 또는 중간값은 이어지는 확정단계에서 생성된 모음값(뒷값)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일문 알파벳)가 완성된다.
탁음 변환하는 자음부의 값에는 か,さ,た,は가 있다. 앞값이 わ,な,ま,ら인 기본키는 탁음 변환이 필요 없기 때문에 앞값이 생성 뒤 바로 이어서 공간키를 누룸으로써, 히라카나와 카타카나의 변환 키(도 2에서 히라카나와 카타카나의 변환 부호는 ア로 나타냄), ん, っ, 장음부호인 - 등의 키(공간값)를 입력시킨다.
또한 예비단계에서 공간키만을 눌러서 특정 값이 없는 빈값을 생성시키고, 확정단계의 모음값(뒷값)을 생성시키는 방식으로 입력값을 추가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뒷값은 그대로 입력값으로 완성된다. 즉,이렇게 별도의 자음값을 위한 키를 추가하지 않고도 あ,い,う,え,お,や,ゆ,よ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간키는 다음 세가지 방법으로 이용된다.
쳇째. 예비 단계에서 앞값을 대신하여 눌러서 특정값이 없는 빈값을 생성한다.
둘째, 예비단계 이후에 선택하여 앞값을 중간값으로 변환시켜 이어지는 확정단계의 뒷값을 기다리거나, 중간값으로 확정하여 탁음, 반탁음 등을 완성시킨다.
셋째, 기본키나 보조키의 값을 생성한 다음에 자극하여 미리 설정된 공간값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공간키의 가장 좋은 위치는 8개 기본키의 정중앙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4×3(4행3열)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8개의 기본키, 하나의 공간키, 3개의 보조키로 구성되며, 보조키는 제일 하단 행에 위치되고, 공간키는 기본키로 둘러싸여 있다.
제1행1열 키(제1키)의 자음값(앞값)은 "わ"이며, 모음값(뒷값)은 "あ"이며, 공간값은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를 나타내는 "ア"이다. 즉, 제1키를 한번 선택하면 "わ"가 생성되고, 제1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わ"와 "あ"가 합쳐져서된 "わ"가 생성된다. 제1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히라카나 모드 또는 카다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제1행2열 키(제10키)의 자음값은 "か"이며, 모음값은 "い"이다. 즉, 제10키를 한번 선택하면 "か"가 생성되고, 제10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か"와 "い"가 합쳐져서된 "き"가 생성된다.
제1행3열 키(제9키)의 자음값은 "さ"이며, 모음값은 "う"이다. 즉, 제9키를 한번 선택하면 "さ"가 생성되고, 제9키를 두번 선택하면, "さ"와 "う"가 합쳐져서된 "す"가 생성된다.
제2행1열 키(제2키)의 자음값은 "た"이며, 모음값은 "え"이다. 즉, 제2키를 한번 선택하면 "た"가 생성되고, 제2키를 두번 선택하면, "た"와 "え"가 합쳐져서된 "て"가 생성된다.
제2행2열 키(제11키)는 공간키로서, 기본키를 선택하기전에 공간키를 선택하면 자음값이 빈값 " "으로 인식된다. 제11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를 선택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탁음으로 인식되며, 또한, 자음값으로 は 를 선택후 공간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반탁음으로 인식된다. 제11키(공간키)에 있어서, 제7키를 1번 누르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또한, 제8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ん"가 생성된다. 또한, 제12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っ"가 생성된다.
제2행3열 키(제8키)의 자음값은 "な"이며, 모음값은 "お"이며, 공간값은 "ん"이다. 즉, 제8키를 한번 선택하면 "な"가 생성되고, 제8키를 두번 선택하면, "な"와 "お"가 합쳐져서된 "の"가 생성되고, 제8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를 선택하면 "ん"가 생성된다.
제3행1열 키(제3키)의 자음값은 "は"이며, 모음값은 "や"이다. 즉, 제3키를한번 선택하면 "は"가 생성되고, 제3키를 두번 선택하면, "は"와 "や"가 합쳐져서된 "ひゃ"가 생성된다.
제3행2열 키(제12키)의 자음값은 "ま"이며, 모음값은 "ゆ"이고, 공간값은 "っ"이다. 즉, 제12키를 한번 선택하면 "ま"가 생성되고, 제12키를 두번 선택하면, "ま"와 "ゆ"가 합쳐져서된 "みゅ"가 생성되고, 제12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っ"가 생성된다.
제3행3열 키(제7키)의 자음값은 "ら"이며, 모음값은 "よ"이고, 공간값은 장음부호 "―"이다. 즉, 제7키를 한번 선택하면 "ら"가 생성되고, 제7키를 두번 선택하면 "ら"와 "よ"가 합쳐져서된 "りょ"가 생성되고, 제7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제4행1열 키(제4키)은 보조키중의 하나로, 기본값은 한칸띄움(space)을 나타내는 "
Figure 112009049971317-PAT00001
"이다.
또한 제4키는 한자 변환키로도 사용된다. 제4키는 기본값 또는 중복값 또는 공간값 중 어느 하나로 한자 변환키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4키는 생성된 일본어 문자를 한자로 변환할 때 변환의 시작과 확정에 사용되는데, 변환이 시작되면 제5키와 제6키는 커서이동을 이용한 문자 선택을 위한 방향키로 사용되고, 환자변환의 확정은 다시 제4키를 눌러 실행한다. 한자변환을 확정하기 전까지 작동될 수 있다.
일예로 제4키를 눌러 한자변환이 시작되어 화면에 예상한자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제5키(▶) 를 눌러 다음 한자로 이동하고, 제6키(◀)를 눌러 직전 한자로 이동한다. 확정을 위해 제4키를 다시 누른다. 이때 제4키를 처음 누르고 바로 제4키를 누르면 이미 생성된 일본어가 그대로 확정되고 원래의 한칸띄움 기능이 시작된다 .
제4행2열 키(제5키)는 보조키중의 하나로, 기본값은 일본어모드/영어모드 변환키를 나타내는 "J/E"이다. 한번 누르면 나머지 자판이 영문키로 변환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자판이 일문키로 변환된다. 추가 예로, 제5키는 숫자모드/문자모드 변환키로도 사용되는데, 제5키를 길게 눌러서 자판이 숫자 입력모드(숫자키)로 변환되고, 다시 한번 길게 눌러서 원래의 문자모드로 돌아온다.
제4행3열 키(제6키)는 보조키중의 하나로, 기본값은 문장부호 변환키(문장부호 변환지시)를 나타내는 "?"이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의 문자판의 문자키들은 「. 」, 「, 」, 「?」, 「 “」, 「。」, 「! 」등등을 포함한다.
제6키를 한 번 선택하면 문장부호 모드로 바뀌어 나머지 문자판이 문장부호로 변환되고, 다시 제 6키를 선택하면 원래의 문자 모드로 돌아온다. 추가 예로, 키를 길게 눌러서 나머지 자판이 숫자키로 변환되고, 다시 한번 길게 눌러서 원래의 문자모드로 돌아온다.
도 1에서 생성되는 자음값(앞값)과 모음값(뒷값)은 도 2에 따라 그 조합인 하나의 일문자(일문 알파벳)로 완성되며, 기본키들의 중앙에 위치한 공간키(제11키)는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예비단계에서 제1키를 선택하여 생성된 앞값 わ는 확정단계에서 선택된 기본키의 뒷값과의 조합으로 각각 わ(제1키), い(제10키), う(제9키), え(제2키), を(제8키), や(제3키), ゆ(제5키), よ(제7키)인 값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 예비단계에서 기본키 제10키를 선택한 뒤 생성된 앞값 か는 확정단계에서 선택된 기본키의 뒷값과의 조합으로 각각 か(제1키), き(제10키),く(제9키), け(제2키), こ(제8키), きゃ(제3키), きゅ(제5키), きょ(제7키)인 값을 생성한다.
예비단계에서 공간키를 선택하여 생성된 빈값은 확정단계에서 선택된 기본키의 뒷값인 あ(제1키), い(제10키), う(제9키), え(제2키), お(제8키), や(제3키), ゆ(제5키), よ(제7키)를 그대로 8개의 모음값으로 완성시킨다.
모음값 생성시 공간키를 두 번 자극한 다음 기본키를 자극하여 모음의 크기를 작게 생성시킨다. 일예로 공간키(제11키), 공간키(제11키), 제10키를 순서대로 자극할 때 "い"가 아닌 "ぃ"가 생성된다.
"わ"의 경우에는 확정단계에 제1키를 길게 눌러서(자극하여) 작은 "ゎ"로 변환시킨다. 또는 제1키를 누른뒤 제10키를 눌러서 작은 "ゎ"로 변환시킨다.
예비단계에 기본키를 선택하고 이어서 공간키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공간값으로 히라카나와 카타카나의 변환부호인 ア(제1키)와 が(제10키), ざ(제9키), だ(제2키), ん(제8키), ば(제3키), っ(제5키), 장음부호인 "―"(제7키)등이 있다.
이러한 공간값은 경우에 따라 기본키 또는 보조키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예로 ん에 대해 제5키에 っ 또는 ん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간값인 が(제10키), ざ(제9키), だ(제2키), ば(제3키)는 예비단계에서 생성된 값으로 다음에 올 확정단계의 뒷값을 기다린다. ば(제3키)는 공간키를 한번 더 선택하여 ぱ로 변환되어 확정단계의 뒷값을 기다린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4×3(4행3열)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8개의 기본키, 하나의 공간키, 3개의 보조키로 구성되며, 보조키는 제일 하단 행, 즉 4행에 위치되고, 공간키는 3행2열에 위치되어 기본키와 보조키로 둘러싸여 있다.
기본키들은 각기 자음값과 모음값들을 가지고 있는데, 처음에 눌러지는 기본키로 자음값이 생성되며(예비단계), 다음에 눌러지는 기본키로 모음값이 생성되며, 이렇게 생성된 대표 자음값과 모음값이 합쳐져 최종적으로 문자(일문 알파벳)를 결정한다(확정단계).
기본키들은 자음값으로 わ,か,さ,た,な,は,ま,ら 중의 하나를 가지며, 모음 값으로 あ,い,う,え,お,や,ゆ,よ 중의 하나를 가진다. 즉, 기본키를 1번 누르면 그 기본키가 가지고 있는 대표 자음값이 생성되며, 탁음일 경우는 그 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자음의 탁음을 형성하며, 반탁음일 경우는 공간키를 연속 두번 선택하면 반탁음을 형성한다. 이렇게 자음이 결정되면, 다음은 모음을 형성하기위한 기본키를 선택하며, 이에 따라 생성된 자음값과 모음값이 합쳐져 최종적으로 문자를 완성하는데, 이때 완성되는 문자는 도 2에 따라 정하여 진다.
도 3의 4×3(4행3열)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에서 기본키는 전부 8개의 키로 이루어져 있다.
제1행1열 키(이하, 제1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빈값 " "이며, 모음값은 "あ"이다. 즉, 제1키를 한번 선택하면 빈값 " "가 생성되고, 제1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 "와 "あ"가 합쳐져서된 "あ"가 생성된다.
제1행2열 키(이하, 제10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か"이며, 모음값은 "い"이다. 즉, 제10키를 한번 선택하면 "か"가 생성되고, 제10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か"와 "い"가 합쳐져서된 "き"가 생성된다.
제1행3열 키(이하, 제9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さ"이며, 모음값은 "う"이다. 즉, 제9키를 한번 선택하면 "さ"가 생성되고, 제9키를 두번 선택하면, "さ"와 "う"가 합쳐져서된 "す"가 생성된다.
제2행1열 키(이하, 제2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た"이며, 모음값은 "え"이다. 즉, 제2키를 한번 선택하면 "た"가 생성되고, 제2키를 두번 선택하면, "た"와 "え"가 합쳐져서된 "て"가 생성된다.
제2행2열 키(이하, 제11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な"이며, 모음값은 "お"이며, 공간값은 "―"이다. 즉, 제11키를 한번 선택하면 "な"가 생성되고, 제11키를 두번 선택하면, "な"와 "お"가 합쳐져서된 "の"가 생성되고, 제11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누르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즉 "―"가 생성된다.
제2행3열 키(이하, 제8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は"이며, 모음값은 "や"이다. 즉, 제8키를 한번 선택하면 "は"가 생성되고, 제8키를 두번 선택하면, "は"와 "や"가 합쳐져서된 "ひゃ"가 생성된다.
제3행1열 키(이하, 제3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ま"이며, 모음값은 "ゆ"이다. 즉, 제3키를 한번 선택하면 "ま"가 생성되고, 제3키를 두번 선택하면, "ま"와 "ゆ"가 합쳐져서된 "みゅ"가 생성되고, 제3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わ"가 생성된다.
제3행2열 키(이하, 제12키 이라 함)는 공간키로서, 기본키를 선택하기전에 공간키를 선택하면 자음값이 빈값 " "으로 인식된다.
제12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를 선택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탁음으로 인식되며, 또한,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를 선택후 공간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반탁음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제12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와 소정의 모음값이 합쳐져 도 2에 따른 문자가 선택된 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문자의 탁음이 되며, 또한,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와 소정의 모음값이 합쳐져 도 2에 따른 문자가 선택된 후, 공간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그 문자의 반탁음이 된다.
제12키(공간키)에 있어서, 제11키를 1번 누르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또한, 제3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わ"가 생성된다. 또한, 제7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を"가 생성된다. 또한, 제6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를 나타내는 "ア"가 생성되어, 히라카나 모드 또는 카다카나 모드로 전환된다.
제3행3열 키(이하, 제7키 이라 함)의 자음값은 "ら"이며, 모음값은 "よ"이다. 즉, 제7키를 한번 선택하면 "ら"가 생성되고, 제7키를 두번 선택하면, "ら"와 "よ"가 합쳐져서된 "りょ"가 생성되고, 제7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を"가 생성된다.
제4행1열 키(이하, 제04키 이라 함)의 기본값은 "*"이며, 중복값은 한칸띄움(space)을 나타내는 "
Figure 112009049971317-PAT00002
"이다. 즉, 제4키를 한번 선택하면 "*"가 생성되고, 제4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스페이스(한칸띄움)가 생성된다.
제4행2열 키(이하, 제5키 이라 함)의 기본값은 "っ"이며, 중복값은 "ん"이다. 즉, 제5키를 한번 선택하면 "っ"가 생성되고, 제5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ん"이 생성된다.
제4행3열 키(이하, 제6키 이라 함)의 기본값은 "#"이며, 공간값은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를 나타내는 "ア"이다. 즉, 제5키를 한번 선택하면 "#"가 생 성되고, 제5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히라카나 모드 또는 카다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만약, 현재가 히라카나 모드일 경우, 제5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카다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만약, 현재가 카다카나 모드일 경우, 제6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히라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다시말해, 도 3에서는, 8개의 기본키(제1키, 제2키, 제3키, 제7키, 제8키, 제9키, 제10키, 제11키)와 하나의 공간키(제12키), 3개의 보조키(04,05,06)로 구성된다. 8개의 기본키는 키의 눌림에 의하여 예비단계에는 앞값이 생성되고 확정단계에는 뒷값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예비단계에 제1키를 선택하고 확정단계에 8개의 기본키중 하나를 선택하면 각각 뒷값인 あ, い, う, え, お, や, ゆ,よ가 완성되어 8개의 모음값이 입력된다. 한편 예비단계에 제10키를 선택하고, 제1키를 누르면 앞값인 か와 뒷값인 あ가 조합하여 か가 완성되어 입력된다. 앞값이 か인 제10키, さ인 제9키, た인 제2키, は인 제8키인 기본키를 먼저 선택한 다음 공간키(제12키)를 선택하면 탁음부호 ˝이 추가된 중간값인 が,ざ,だ,を,ば로 각각 변환되고, 그 중간값 중에서 ば는 공간키(제12키)를 다시 한번 선택한다면 파열음 “°”이 추가된 중간값인 ぱ로 변환된다. 앞값이 な, ま, ら인 기본키를 선택한 다음 공간키(제12키)를 누르면 각각 장음부호인 ―, わ, を로 변환된다. 보조키로서 제4키는 한칸 띄움(스페이스) 기능을 하고, 제5키는 한번 눌러 값이 생성되고, 두 번 눌러 값으로 변환되어 생성되며, 06키는 눌릴 때마다 번갈아가며 히라카나와 카타카나의 모드변환을 일으킨다.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도 2는 자음값과 모음값이 조합하여 완성되는 문자(일문 알파벳)의 예를 나타내는 표로, 제1열에는 앞값인 " ", "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와 공간키에 의해 생성된 중간값 "が", "ざ", "だ", "ば", "ぱ"가 있고. 1행에는 뒷값인 " ", "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가 있으며, 이들 앞값과 뒷값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입력값은 도표의 행과 열이 만나는 지점의 값으로 나타난다. 그밖에 장음부호인 ―,ん,っ, 히라카나 카타카나 변환부호인 ア는 기본키 또는 보조키를 선택하고 연이서 공간키를 선택하여 생성시키거나, 보조키를 중복하여 생성시키거나, 별도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한편 편리에 따라 わ와 を도 기본키와 공간키를 눌러 생성시킬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4×3(4행3열)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8개의 기본키, 2개의 공간키, 2개의 보조키로 구성되며, 보조키는 제4행1열 키와 제4행3열 키로 이루어지며, 공간키는 제2행2열 키와 제3행2열 키로 이루어진다.
제1행1열 키(제1키)의 자음값(앞값)은 "わ"이며, 모음값(뒷값)은 "あ"이며, 공간값은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를 나타내는 "ア"이다. 즉, 제1키를 한번 선택하면 "わ"가 생성되고, 제1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わ"와 "あ"가 합쳐져서된 "わ"가 생성된다. 제1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히라카나 모드 또는 카다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제1행2열 키(제10키)의 자음값은 "か"이며, 모음값은 "い"이다. 즉, 제10키 를 한번 선택하면 "か"가 생성되고, 제10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か"와 "い"가 합쳐져서된 "き"가 생성된다.
제1행3열 키(제9키)의 자음값은 "さ"이며, 모음값은 "う"이다. 즉, 제9키를 한번 선택하면 "さ"가 생성되고, 제9키를 두번 선택하면, "さ"와 "う"가 합쳐져서된 "す"가 생성된다.
제2행1열 키(제2키)의 자음값은 "た"이며, 모음값은 "え"이다. 즉, 제2키를 한번 선택하면 "た"가 생성되고, 제2키를 두번 선택하면, "た"와 "え"가 합쳐져서된 "て"가 생성된다.
제2행2열 키(제11키)는 기본값을 가지는 공간키(제1공간키)로서 사용되며, 기본값은 "*"이다. 제11키를 한번 선택하면 "*"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제11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를 선택후 공간키(제11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탁음으로 인식된다. 제4키와 제11키를 연속으로 눌러 특수문자로 모드 변환할수 있으며, 다시 제4키와 제11키를 연속으로 누룸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즉 특수문자 변환키는 토굴되는 키이다.
제2행3열 키(제8키)의 자음값은 "な"이며, 모음값은 "お"이며, 공간값은 "ん"이다. 즉, 제8키를 한번 선택하면 "な"가 생성되고, 제8키를 두번 선택하면, "な"와 "お"가 합쳐져서된 "の"가 생성되고, 제8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 하나)를 선택하면 "ん"가 생성된다.
제3행1열 키(제3키)의 자음값은 "は"이며, 모음값은 "や"이다. 즉, 제3키를한번 선택하면 "は"가 생성되고, 제3키를 두번 선택하면, "は"와 "や"가 합쳐져서 된 "ひゃ"가 생성된다.
제3행2열 키(제12키)는 기본값을 가지는 공간키(제2공간키)로서 사용되며, 기본값은 "#"이다. 제12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は를 선택후 공간키(제2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인 は의 반탁음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와 소정의 모음값이 합쳐져 도 2에 따른 문자가 선택된 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문자의 탁음이 되며, 또한, 자음값으로 は와 소정의 모음값이 합쳐져 도 2에 따른 문자가 선택된 후, 공간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は의 반탁음이 된다. 또한, 제4키와 제12키를 연속으로 눌러 숫자와 일어의 모드 변환을 하며, 제6키와 제12키를 연속으로 눌러 영문자로 모드 변환하게 할 수 있다.
공간키에 있어서, 제7키를 1번 누르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또한, 제8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ん"가 생성된다. 또한, 제5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っ"가 생성된다.
제3행3열 키(제7키)의 자음값은 "ま"이며, 모음값은 "ゆ"이고, 공간값은 장음부호 "―"이다. 즉, 제7키를 한번 선택하면 "ま"가 생성되고, 제7키를 두번 선택하면, "ま"와 "ゆ"가 합쳐져서된 "みゅ"가 생성되고, 제7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제4행1열 키(제4키)은 보조키중의 하나로, 기본값은 한칸띄움(space)을 나타내는 "
Figure 112009049971317-PAT00003
"이다. 즉, 제4키를 한번 선택하면 스페이스(한칸띄움)가 생성된다. 도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제4키는 한자 변한키, 특수문자 변환키, 일문/숫자 변환키, 영문 변환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본어 문자 작성후 누르면 한자 생성을 위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4키와 제11키를 연속으로 눌러 특수문자로 모드 변환을 하고, 제4키와 제12키를 연속으로 눌러 숫자와 일어의 모드 변환을 하며, 제6키와 제12키를 연속으로 눌러 영문자로 모드 변환하게 할 수 있다.
제4행2열 키(제5키)는 기본키중의 하나로, 자음값은 "ら"이며, 모음값은 "よ"이고, 공간값은 장음부호 "っ"이다. 즉, 제5키를 한번 선택하면 "ら"가 생성되고, 제5키를 두번 선택하면, "ら"와 "よ"가 합쳐져서된 "りょ"가 생성되고, 제5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11키 또는 제12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っ"가 생성된다.
제4행3열 키(제6키)는 보조키중의 하나로, 기본값은 빈값 " "이다.
도 4는 2개의 공간키(제11키, 제12키)는 8개의 기본키(제1키. 제2키, 제3키, 제5키, 제7키, 제8키, 제9키, 제10키)와 2개의 보조키(제4키, 제6키)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구성된다. 단계에 따른 앞값과 뒷값의 생성과 조합 방법은 도 1과 같다. 공간키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 1에서 공간키(제11키)를 이용하는 방식과 같이 변환단계에 중간값을 생성하거나, 공간키를 먼저 눌러 빈값을 생성한다. 추가로 배치된 공간키는 더욱 다양한 입력값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일예로, 제3키의 앞값인 は는 제11키를 눌러 ば로 변환되고, 제12키를 눌러 ぱ로 변환 된다. 제11키와 제12키를 한번씩 누르면 공간키를 두 번 누른 것과 같다. 예비단계 이전에 이렇게 두 번 공간키를 누른 다음 기본키를 눌러 생성되는 뒷값으로는 크기가 작은 모음값이 생성된다. 공간값의 생성방식과 보조키의 이용방식은 도 3의 방식과 같다. 보조키인 제4키는 공간키와 조합하여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평소 제4키는 한 칸 띄움 기능을 하다가 일본어 문자 작성후 누르면 한자 생성을 위한 변환을 시작하게 한다. 또한 제4키와 제11키를 연속으로 눌러 특수문자로 모드 변환을 하고, 제4키와 제12키를 연속으로 눌러 숫자와 일어의 모드 변환을 하며, 제4키와 제12키를 연속으로 눌러 영문자로 모드 변환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4×3(4행3열)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1열과 2열에 8개의 기본키가 배치되며, 2행3열에 1개의 공간키가 배치되고, 1행3열, 3행3열, 4행3열에 3개의 보조키가 배치된다.
제1행1열 키(제1키)의 자음값은 빈값 " "이며, 모음값은 "あ"이다. 즉, 제1키를 한번 선택하면 빈값 " "가 생성되고, 제1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 "와 "あ"가 합쳐져서된 "あ"가 생성된다.
제1행2열 키(제10키)의 자음값은 "な"이며, 모음값은 "お"이다. 즉, 제10키를 한번 선택하면 "な"가 생성되고, 제10키를 두번 선택하면, "な"와 "お"가 합쳐져서된 "の"가 생성된다.
제1행3열 키(제9키)는 보조키중의 하나로, 기본값은 "っ"이며, 중복값은 "ん"이다. 즉, 제9키를 한번 선택하면 "っ"가 생성되고, 제9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 하면, "ん"이 생성된다.
제2행1열 키(제2키)의 자음값은 "か"이며, 모음값은 "い"이다. 즉, 제2키를 한번 선택하면 "か"가 생성되고, 제2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か"와 "い"가 합쳐져서된 "き"가 생성된다.
제2행2열 키(제11키)의 자음값은 "は"이며, 모음값은 "や"이며, 공간값은 "わ"이다. 즉, 제11키를 한번 선택하면 "は"가 생성되고, 제11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は"와 "や"가 합쳐져서된 "ひゃ"가 생성되며, 제11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8키)를 누르면 "わ"가 생성된다.
제2행3열 키(제8키)는 공간키로서, 기본키를 선택하기전에 공간키를 선택하면 자음값이 빈값 " "으로 인식된다.
제8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를 선택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탁음으로 인식되며, 또한,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를 선택후 공간키를 두번 연이어 선택하면 그 선택한 자음값의 반탁음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제8키(공간키)는 자음값으로 か,さ,た,は중 하나와 소정의 모음값이 합쳐져 도 2에 따른 문자가 선택된 후,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그 문자의 탁음이 되며, 또한, 자음값 は와 소정의 모음값이 합쳐져 도 2에 따른 문자가 선택된 후, 공간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그 문자의 반탁음이 된다.
제8키(공간키)에 있어서, 제11키를 1번 누르고 연이어서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わ"가 생성된다. 또한, 제12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또한, 제5키를 1번 선택하 고 연이어서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を"가 생성된다.
제3행1열 키(제3키)의 자음값은 "さ"이며, 모음값은 "う"이다. 즉, 제9키를 한번 선택하면 "さ"가 생성되고, 제9키를 두번 선택하면, "さ"와 "う"가 합쳐져서된 "す"가 생성된다.
제3행2열 키(제12키)의 자음값은 "ま"이며, 모음값은 "ゆ"이고, 공간값은 장음부호인 "-"이다. 즉, 제12키를 한번 선택하면 "ま"가 생성되고, 제12키를 두번 선택하면, "ま"와 "ゆ"가 합쳐져서된 "みゅ"가 생성되고, 제12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장음부호 "-"가 생성된다.
제3행3열 키(제7키)의 기본값은 "#"이며, 공간값은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를 나타내는 "ア"이다. 즉, 제7키를 한번 선택하면 "#"가 생성되고, 제7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히라카나 모드 또는 카다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만약, 현재가 히라카나 모드일 경우, 제7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카다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만약, 현재가 카다카나 모드일 경우, 제7키를 선택하고 연이어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히라카나 모드로 변환된다. 여기서 히라카나와 카다카나의 변화 키를 공간값으로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이를 중복값으로 할 수 있다.
제4행1열 키(제4키)의 자음값은 "た"이며, 모음값은 "え"이다. 즉, 제4키를 한번 선택하면 "た"가 생성되고, 제4키를 두번 선택하면, "た"와 "え"가 합쳐져서된 "て"가 생성된다.
제4행2열 키(제5키)의 자음값은 "ら"이며, 모음값은 "よ"이며, 공간값은 " を"이다. 즉, 제5키를 한번 선택하면 "ら"가 생성되고, 제5키를 두번 선택하면, "ら"와 "よ"가 합쳐져서된 "りょ"가 생성되고, 제5키를 1번 선택하고 연이어서 공간키(제8키)를 선택하면 공간값인 "を"가 생성된다.
제4행3열 키(제6키)의 기본값은 "*"이며, 중복값은 한칸띄움(space)을 나타내는 "
Figure 112009049971317-PAT00004
"이다. 즉, 제6키를 한번 선택하면 "*"가 생성되고, 제6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하면, 스페이스(한칸띄움)가 생성된다.
도 5에 있어서는 8개의 기본키(제1키, 제2키, 제3키, 제4키, 제5키, 제10키, 제11키, 제12키)는 4x2로 배열되고, 그밖에 한 개의 공간키(제8키)와 3개의 보조키(제6키, 제7키, 제9키)로 구성된다. 단계에 따른 앞값과 뒷값의 생성과 조합 방법, 공간키의 이용 방법, 보조키의 기능은 도 1과 같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 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자음값과 모음값이 조합하여 완성되는 문자(일문 알파벳)의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본어 문자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Claims (20)

  1. 기본키가 자음값과 모음값을 구비하며 상기 기본키를 다수 포함하는 문자판(키패드)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문자를 형성할때,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비단계;
    상기 예비단계 후, 두번째로 선택된 기본키로부터는 모음값을 선택하여,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과 나중 선택된 모음값을 합쳐서 최종문자를 확정하여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확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판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공간키(특수한 공간키)를 더 구비하며,
    기본키가 선택된 후 공간키가 연이어 선택될 경우 나타내어지는 상기 기본키의 공간값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예비단계에서 처음 선택된 기본키로부터 자음값을 선택된 후, 상기 공간키가 선택된다면, 디스플레이 된 상기 자음값이 상기 공간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문자판은 한칸띄움(space) 키를 포함하는 보조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보조키는
    상기 보조키를 한번 선택시 얻어지는 문자인 기본값;
    상기 보조키를 연이어 두번 선택시 얻어지는 문자인 중복값;
    상기 보조키를 한번선택후, 공간키를 선택함에 의해 얻어지는 보조키의 공간값;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은 일문을 입력하기위한 문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자음값은 빈값인 " ", "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 중의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모음값은 "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は" 중의 하나가 선택된 후, 연이어서, 공간키를 한번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값의 탁음으로 변환되어 입력되는(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は" 가 선택된 후, 연이어서, 공간키를 두번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값의 반탁음인 "ぱ"로 변환되어 입력되는(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あ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あ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い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い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う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 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う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え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え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わ,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お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의 お행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や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에 ゃ가 첨부된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ゆ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에 ゅ가 첨부된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예비단계에서 자음값으로 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 중의 하나가 선택되고, 확정단계에서 모음값으로 よ가 선택되어, 얻어지는 최종문자는 예비단계에서 선택된 자음값에 ょ가 첨부된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예비단계 이전에 공간키를 선택하면, 예비단계 없이 확정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여,
    상기 확정단계에서 선택된 모음값이 그대로 최종문자로 입력되는(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19. 제5항에 있어서,
    장음부호인 "―", "ん", "っ", 히라카나 카타카나 변환키("ア")는
    기본키 또는 보조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연이서 공간키를 선택하여 생성시키거나,
    보조키를 중복하여 생성시키거나,
    별도의 보조키를 이용하여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은 4행3열(4×3) 개의 키를 구비한 문자판으로 이루어지되,
    기본키는 1행, 2행1열, 2행3열, 3행에 위치되는 8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로 이루어지며,
    공간키는 2행2열에 위치되는 1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며,
    보조키는 4행에 위치되는 3개의 문자키(문자 자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방법.
KR1020090075599A 2008-08-18 2009-08-17 예비단계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00021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0486 2008-08-18
KR1020080080486 2008-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980A true KR20100021980A (ko) 2010-02-26

Family

ID=4201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599A KR20100021980A (ko) 2008-08-18 2009-08-17 예비단계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044766A (ko)
KR (1) KR20100021980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8262A (ja) * 1992-04-17 1993-11-12 Sharp Corp 仮名文字入力装置
JP4750986B2 (ja) * 2001-09-27 2011-08-17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日本語の入力装置、日本語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98998B2 (ja) * 2002-03-04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44766A (ja)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7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en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JP2007287158A (ja) 日本語文字入力法及びシステム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766717B1 (ko) 문자입력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100021980A (ko) 예비단계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020011299A (ko)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1869B1 (ko)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823307B1 (ko) 문자입력방법
KR100434668B1 (ko) 한글 입력장치
KR20110088311A (ko) 전자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71280B1 (ko)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4669B1 (ko) 한글 입력장치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