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559A - 팬티라이너 - Google Patents

팬티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559A
KR20100019559A KR1020107000057A KR20107000057A KR20100019559A KR 20100019559 A KR20100019559 A KR 20100019559A KR 1020107000057 A KR1020107000057 A KR 1020107000057A KR 20107000057 A KR20107000057 A KR 20107000057A KR 20100019559 A KR20100019559 A KR 20100019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sheet
pantiliner
core
barrier layer
absorben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토 다다리오
이바노 가글리아르디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0001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5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air-pervious or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65Dimensions
    • A61F2013/15373Calliper, i.e. thickness
    • A61F2013/15382Reduced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8Panty-l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부직 상면시트(26), 부직 배면시트(22) 및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20)를 포함하는 팬티라이너(10)가 개시된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24)이 흡수 코어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된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은 상면시트 또는 배면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시적인 착색 패턴(34)을 포함한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 외측의 팬티라이너의 구역은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의 적어도 20%를 나타내는 통기성 대역(32)이다.

Description

팬티라이너{PANTILINER}
본 발명은 여성용 위생용품, 특히 팬티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팬티라이너는 생리 기간 중에 또는 생리 기간이 아닌 때에 사용자의 내의 및 의류가 질 분비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디자인된 비교적 얇은 여성용 위생용품이다. 많은 여성은 경미한 비뇨기 분비물을 비롯한 임의의 질 분비물과 때때로 항문 분비물로부터 그들의 의류를 보호하기 위해 그들의 생리 기간들 사이에 흡수용품을 착용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다. 생리대는 지속적으로 착용하기에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팬티라이너를 이용한다.
대부분의 팬티라이너는 통상 배면시트(backsheet)로 지칭되는 비-통기성 배킹 층(backing layer)을 갖는다. 전형적인 팬티라이너의 배면시트는, 예컨대 유체 불투과성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유체 불투과성 층은 용품 내부로 흡수된 유체가 이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내의를 젖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유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는 또한 흡수 코어(absorbent core) 내에 포집된 습기로 인해 팬티라이너를 덥고 불편하게 할 수 있다.
1977년 11월 22일자로 리차드스(Richard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059,114호는 유체 불투과성이지만 증기 투과성인 블로운 미세섬유 웨브(blown microfiber web)로 구성된 습기 장벽 플라이(barrier ply)를 갖는 일회용 의복 쉴드(shield)를 개시한다. 또한, 1987년 7월 21일자로 앤더슨(Ander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81,587호는 팬티라이너가 착용하기에 더욱 편안하도록 냉각 및 건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증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 면적이 제공된 팬티라이너와 같은 흡수용품을 개시한다. 국제 출원 공개 WO2004/006818호는 신체 접촉 표면을 통해 가시적인 그래픽을 갖는 흡수용품을 개시한다.
국제 출원 공개 WO2005/084597호는 유체 투과성 상면시트(topsheet), 유체 투과성 배면시트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팬티라이너를 개시한다. 상면시트와 배면시트가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부직 재료를 포함하고, 코어 주연부(periphery)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용품 주연부를 형성한다. 코어 주연부와 용품 주연부 사이의 구역은 통기성 대역(breathable zone)이다. 용품은 배면시트와 흡수 코어 사이의 유체 불투과성 장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유체 불투과성 장벽은 코어 주연부 내에 배치된다.
국제 출원 공개 WO2005/084597호에 개시된 여성용 위생용품이 통기성 및 보호성 면에서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을 포함하는 용품의 모든 층이 실질적으로 백색이기 때문에, 코어 아래에 위치된 장벽 층의 존재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배면시트와 상면시트가 대개 상대적으로 유체 투과성인 부직 재료로 제조될 때, 그에 따라 예상되는 사용자는 용품이 누출에 대항하는 개선된 보호성을 갖는다는 것을 실감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유체 불투과성 장벽 재료가 가시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코어 자체의 전체 크기 및 배치를 판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팬티라이너를 조기에 교환하게 하거나 심지어는 예상되는 사용자가 이러한 팬티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을 단념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팬티라이너의 유체 불투과성 장벽 재료를 더욱 가시적이게 하고자 하는 지금까지 인식하지 못했던 요구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부직 상면시트, 부직 배면시트 및 상기 상면시트와 상기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팬티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면시트와 배면시트는 결합되어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을 형성한다. 팬티라이너는 흡수 코어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을 포함한다. 흡수 코어는 코어 주연부를 형성한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은 상면시트 또는 배면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시적인 착색 패턴(coloured pattern)을 포함한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 외측의 팬티라이너의 구역은 통기성 대역이고, 상기 통기성 대역은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의 적어도 20%를 나타낸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은 유리하게는 코어 주연부를 넘어서 연장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도 1]
대체로 달걀 형상의 흡수 코어를 갖는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2a]
도 1에 도시된 팬티라이너의 일 실시예의 단면 2-2의 단면도이다.
[도 2b]
도 1에 도시된 팬티라이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2-2의 단면도이다.
[도 3]
상이한 형상의 코어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팬티라이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4]
배면시트가 채색된 본 발명의 다른 팬티라이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5]
배면시트가 채색된 본 발명의 다른 팬티라이너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6]
도 4의 팬티라이너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팬티라이너(10)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가 도 1의 부분 절결된 사시도 및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2개의 택일적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팬티라이너(10)는 2개의 단부 영역(12, 14)과 중간 영역(16)을 갖는다. 팬티라이너(10)는 신체측 면(15)과 의복측 면(17)을 갖는다.
상부에서 하부로, 도시된 예시적인 팬티라이너(10)는 하기의 층들을 포함한다: 상면시트(26), 흡수 코어(20),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 및 배면시트(22). 용품의 "상부"는 라이너가 사용 중일 때 신체측 면(15)으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며, "하부"는 용품의 반대편 표면, 즉 의복측 표면(17)이다.
팬티라이너(10)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전형적인 형상은 단부 영역들 중 하나의 일부분의 상대적으로 더 넓은 횡방향 폭으로부터 중간 영역의 상대적으로 더 좁은 횡방향 폭으로 내향으로 테이퍼진 대체로 "모래시계" 형상이다. 횡방향 폭은 종방향 중심선(L)에 평행하게 단부 영역(12)으로부터 단부 영역(14)까지 연장하는 길이로서 정의된 치수에 수직한 치수로서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의복측 면(17)은 착용자의 내의에 부착하기 위한 감압(pressure sensitive) 접착제를 그 상에 가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접착제는 내의에 부착하기 전에 제거되는 이형 스트립(release strip)으로 덮인다.
팬티라이너에는 또한 사용자의 내의의 가랑이 영역의 팬티 탄성체(elastic) 위로 연장하여 이를 덮도록 된, "플랩"(flap) 또는 "날개"(wing)(도시 안됨)로서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측방향 연장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날개는 대개 팬티라이너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
많은 상업적으로 제안된 팬티라이너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인 백색의 외관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전체적으로 백색인 점이, 특히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적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표면을 갖는 흡수 코어를 가진 용품의 경우 및/또는 팬티라이너가 비교적 얇을 때, 사용자가 코어의 전체 크기 및 배치를 식별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일부 사용자가 비교적 얇은 팬티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을 단념하게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흡수된 유체가 코어의 측면에 가까이 접근하고 있을 때 및/또는 용품이 측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교환되어야 할 때를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약 4 ㎜ 미만의 두께를 갖는 비교적 얇은 용품의 경우 문제가 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놀랍게도 배면시트 및/또는 상면시트가 부직 재료로 제조될 때 다른 문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부직물은 대개 유체 불투과성이 아니며, 사용자가 유체 장벽 층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이는 제품의 누출 방지 능력에 대한 근거 없는 신뢰 부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인식하지 못했던 이들 문제에 대한 비용 효과적인 해결책은 상면시트(26)(대개 신체측 면(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함) 또는 배면시트(22)(대개 의복측 면(1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함) 또는 이 둘 모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시적인 착색 패턴(34)을 갖는 유체 불투과성 장벽(24)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함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이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착색 패턴(34)이, 그렇지 않을 경우 비가시적이었을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층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강조하거나 나타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점은 착색 패턴이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착색 패턴이 사용자의 피부 또는 사용자의 의복과의 착색된 층의 직접 접촉 없이 용품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 사용자는 착색된 층이 그들의 피부 또는 그들의 내의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싫어한다. 세 번째 이점은 특히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이 코어와 접해 있을 때, 그렇지 않을 경우 특히 비교적 얇은 팬티라이너의 경우에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는 코어의 위치와 크기의 윤곽이 드러난다는 것이다.
착색 패턴(34)은 용품(10)의 신체측 면(15) 및/또는 의복측 면(17)을 통한 투명성에 의해 가시적이다. "가시적이다"라는 것은 백열등으로 밝게 조명된 실내에서 약 50 ㎝의 거리에서 용품을 보유하고 있는 좋은 양안 시력(10/10)의 실험 대상자가 인쇄 패턴(34)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어가 일반적으로 비교적 불투명할 수 있지만, 코어는 대개 팬티라이너의 경우에 아래의 인쇄된 유체 불투과성 층(24)이 코어와 상면시트를 통해 보일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얇고 투명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패턴"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형상, 형태, 그래픽, 심볼 및 이들의 조합을 지칭한다. 패턴의 예는 완전하게 추상적인 기하학적 형상, 예컨대 원형 또는 파형(wave)일 수 있고/있거나 자연적인 요소를 연상시키는 것, 예컨대 꽃 패턴일 수 있고/있거나 소정의 직물 또는 천을 연상시키는 것, 예컨대 레이스(lace)일 수 있다. "패턴"은 또한 균일하게 착색된 표면을 포함한다. "착색된"이라는 것은 백색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착색 패턴(34)을 갖는 장벽 층(24)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방식은 장벽 층(24)의 표면 중 하나에 착색 패턴을 인쇄하는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인쇄 방법은 플렉소(flexo) 인쇄 및 로토 그라비어(roto gravure) 인쇄를 포함한다. 인쇄된 장벽 층(24)의 면은 의복측 면, 신체측 면 또는 이 둘 모두일 수 있다. 장벽 층(24)은 장벽 재료의 어느 면 상에 착색 패턴이 인쇄되는 지가 중요하지 않도록 충분히 투명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20)가 어느 정도 불투명한 경우, 장벽 층(24)의 신체측 면 상에 인쇄하여, 상면시트(26)와 코어(20)를 통한 인쇄 패턴(34)의 더 양호한 가시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착색 패턴(34)은 상면시트 또는 배면시트 또는 이 둘 모두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적이기에 충분히 강렬한 잉크로 인쇄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착색 패턴(34)은 도 1 및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둘 모두를 통해 가시적이다. 색상은 임의의 색조의 것, 예를 들어 흑색, 분홍색, 보라색, 녹색, 자주색, 청색 또는 황색, 또는 심지어 상이한 색상의 잉크들의 조합일 수 있다.
착색 패턴(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패턴(34) 내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일련의 분산된 불연속적인 인쇄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것들과는 다른 불연속적인 요소들, 예를 들어 꽃 장식 요소(꽃, 잎), 별, 또는 임의의 다른 장식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착색 패턴(34)은 또한 불연속적인 요소들이 아닌 연속적인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벽 층(24)이 균일하게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본래부터 착색되어 있는 유체 불투과성 장벽 재료가 장벽 층(24)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가 필름의 제조 중에 중합체 내에 직접 혼입된 채색된 폴리올레핀 재료가 있다.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본 명세서에서, "장벽 층")은 대개 흡수 코어(20)와 배면시트(22) 사이에 개재된다. 장벽 층(24)의 기능 중 하나는 흡수 코어(20)에 의해 보유된 유체가 팬티라이너(10)의 의복측 면(17)을 통과해 나가서 인접한 의복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장벽 층(24)은 대개 통기성이 아니며, 장벽 층 외측의 팬티라이너의 면적이 대개 통기성 대역(32)을 구성한다.
충분히 넓은 통기성 대역이 유지된다면, 장벽 층(24)은 다양한 형상 및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장벽 층(24)은 팬티라이너(10)의 코어 주연부(30)를 넘어서 연장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장벽 층(24)은 전체적으로 흡수 코어(20) 아래에 그리고 흡수 코어(20)의 주연부(30)에 의해 형성된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장벽 층(24)은 코어(20)와 접해 있을 수 있어서, 장벽 층(24)과 코어(20)가 대략 동일한 표면적과 배치를 갖는데, 이 경우에 장벽 층(24)은 코어 주연부(20)까지 연장하지만 그를 넘지는 않는다. 장벽 층(24')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의 표면보다 더 작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코어의 표면적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경우에 장벽 층(24')이 코어(20')와 접해 있다면, 통기성 대역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단지 제한된 통기성 이점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장벽 층(24')은 적어도 팬티라이너의 중간 영역(16) 내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중간 영역은 2개의 단부 영역(12, 14)에 비해 질 분비물에 상대적으로 더 노출된다.
또한, 장벽 층(24)이 또한 코어 주연부(30)를 넘어서 연장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는 않지만, 장벽 층(24)은 용품 표면의 전체를 덮도록(그에 따라 부 배면시트(secondary backsheet)를 형성하도록) 연장하지는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경우에는 통기성 대역(32)이 없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장벽 층(24)은 유체가 통과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유체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이 대개 적합하며, 특히 폴리에틸렌(PE) 필름이 적합하다. 이들 필름은 예를 들어 약 10 gsm 내지 약 40 gsm으로 비교적 얇을 수 있다. 인쇄된 잎 패턴을 가진 구매가능한 필름의 일례는 대동 컴퍼니 리미티드(Daedong Co. LTD)로부터 DNF0417C-Leaves-PG476(두께 0.06 ㎜)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인쇄된 PE 필름(24 gsm)이다.
장벽 층(24)은 흡수 코어(20)와 직접 접촉할 수 있거나, 다른 층에 의해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장벽 층은, 예를 들어 접착제와 같은 종래의 접착 수단에 의해 흡수 코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수단이 사용되는 경우, 장벽 층의 전체에 또는 그의 일부에만 접착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흡수 코어(20)의 기능은 배출된 체액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흡수 코어(2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여러 겹의 크레이프된 셀룰로오스 와딩(creped cellulose wadding), 플러프된 셀룰로오스 섬유(fluffed cellulose fiber), 에어펠트(airfelt)로도 알려진 목재 펄프 섬유(wood pulp fiber), 방직 섬유(textile fiber), 섬유들의 블렌드, 섬유들의 매스(mass) 또는 배트(batt), 중합체 섬유들의 웨브, 및 중합체 섬유들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20)는 상대적으로 친수성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친수성"이라는 것은 코어(20)가 상대적으로 소수성일 수 있는 통기성 대역(32) 내의 팬티라이너(10)의 부분에 비해 친수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친수성은 표면 상의 유체의 접촉각(contact angle)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수의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 친수성이 더 적절한 인자로서 고려될 수 있어서, 팬티라이너/유체 시스템 내의 표면 장력이 팬티라이너의 신체 표면 상에 침착된 유체를 흡수 코어(20) 내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흡수 코어(20)는, 예를 들어 약 2 ㎜ 미만의 두께, 또는 약 1 ㎜ 미만, 또는 심지어 약 0.5 ㎜ 미만의 두께로 비교적 얇을 수 있다. 흡수 코어는 흡수성 젤화 물질(absorbent gelling material; AGM)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AGM 섬유가 포함된다. 흡수 코어(20)의 특정한 예는 약 50 gsm 내지 약 100 gsm의 평량(basis weight)을 가진 에어레이드(airlaid) 셀룰로오스 재료일 수 있다. 예시적인 흡수 코어는 독일 소재의 콘체르트 게임베하(Concert GmbH)로부터 입수가능한 63 gsm(60 gsm 에어레이드 + 5 중량% AGM(섬유 형태))의 상표명 VH063.200.B001이다. 다른 특정한 예는 내닝 퀴아오홍 뉴 머티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Nanning Qiaohong New Materials Co. LTD)로부터 BJA080T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TBAL(열 접합된 에어레이드)(80 gsm)이다. 예시적인 코어는 또한 약 50 gsm 내지 약 100 gsm의 평량을 갖는 에어레이드 카디드(carded) 부직 재료, 예를 들어 샌들러(Sandler)로부터 사와본드(Sawabond) 24-00-32라는 명칭으로 입수가능한, 2.2 dtex 친수성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10 dtex 초흡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80 gsm 카디드 에어레이드 부직 웨브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 코어(20)는 그의 가장자리(edge)가 코어 주연부(30)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절단된다. 코어 주연부(3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예컨대 직사각형, 원형, 달걀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등을 가질 수 있다. 흡수 코어(20)는 팬티라이너(10) 내에서 대체로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는 대개 팬티라이너(10)의 신체측 층(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부직 상면시트(26)를 포함한다. 상면시트(26)는 사람의 피부에 대해 편안하고 질 분비물이 통과할 수 있는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유연한 다공성 부직 재료일 수 있다. 부직 상면시트(26)는 2성분 및 이형단면 섬유(bicomponent and shaped fiber)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과 같은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상면시트 재료의 일례는 체코 공화국 소재의 페가스 에이에스(Pegas a.s.)로부터 10XXN008005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시스 코어(sheath core) 유형(PP/PE)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20 gsm 스펀본디드(spunbonded) 부직 웨브이다.
배면시트(22)는 대개 팬티라이너(10)의 의복측 면(1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층이다. 배면시트(22)는 부직 재료로 제조되며, 일정 정도의 부드러움과 증기 투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직 웨브는 대개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유연한 증기 투과성 재료이며, 소음을 적게 생성하여 움직임이 원하지 않는 소리를 내지 않게 한다. 배면시트(22)는, 예를 들어 약 15 gsm 내지 약 50 gsm의 평량을 갖는 부직 웨브, 예컨대 파이버웨브 노이베르거(Fiberweb Neuberger)로부터 F102301001이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4 데니어(denier)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23 gsm 스펀본디드 부직 웨브일 수 있다. 비록 그러한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배면시트 자체가 팬티라이너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및/또는 용품의 유체 장벽 층과 나머지 사이의 대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착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색된 부직 재료가 도 4,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시트(2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채색된 녹색 배면시트의 일례는 파이버텍스 노이베르거(Fibertex Neuberger)로부터 입수가능한 애플그린(Applegreen) F1XXX66001(여기서, XXX는 예컨대 10 gsm 내지 50 gsm인 평량을 나타냄)이다.
상면시트(26)와 배면시트(22) 둘 모두가 소수성인 유체 투과성 부직 웨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소수성이거나, 소수성이 되도록 하여, 유체 방울이 웨브의 표면에 대하여 적어도 약 75도의 접촉각을 형성하게 한 경우, 부직물은 유체 반발성(fluid repellent)일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실제로는 유체 투과성일지라도 유체 장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면시트(26)와 배면시트(22) 중 적어도 하나, 대개 둘 모두는 그 가장자리가 팬티라이너(10)의 주연부(28)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시트(26)와 배면시트(22) 둘 모두는 함께 팬티라이너 주연부(28)를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층은, 예를 들어 모든 구성요소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팬티라이너의 구조로 조합된 후에 다이 커팅될(die cut) 수 있다. 팬티라이너(10)의 주연부(28) 내의 표면은 본 명세서에서 전체 팬티라이너 표면으로서 지칭된다.
팬티라이너 주연부(28)는 코어 주연부(30)보다 실질적으로 더 클 수 있으며, 장벽 층(24)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주연부(30)와 접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어 주연부(30)와 팬티라이너 주연부(28) 사이의 팬티라이너(10)의 영역은 통기성 대역(32)을 형성하는데, 이는 상면시트와 배면시트(22)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대역(32)은 코어 주연부(30)로부터 팬티라이너 주연부(28)로 측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최소 수준의 통기성이 상면시트 및/또는 배면시트에 대해 다공성 부직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통기성 대역이 상면시트와 배면시트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또한 고온 용융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 수단과 같은 2개의 시트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시트 및/또는 배면시트를 완전하게 비-다공성이 되도록 적용되지는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20)는 종방향 중심선(L)과 횡방향 중심선(T)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어는 제1 단부 영역(12) 또는 제2 단부 영역(14) 중 어느 하나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많은 통기성 대역(32)이 예컨대 착용자의 항문 영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대개 장벽 층(24)에 의해 덮이지 않은 팬티라이너(10)의 대역인 통기성 대역(32)은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약 20%를 나타낸다. 통기성 대역(32)은 유리하게는 20%보다 더 넓을 수 있으며,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약 25%, 30%, 40%, 50% 또는 60%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약 73 ㎠의 전체 팬티라이너 표면적에 대해, 흡수 코어(20)는 약 35 ㎠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통기성 대역은 약 38 ㎠의 표면적을 갖는다.
상대적으로 넓은 통기성 대역(32)을 갖는 것의 이점은 용품의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내의에 대한 더욱 효과적인 적용범위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즉, 흡수 코어(20)를 팬티라이너의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 영역으로 집중시킴으로써, 부피가 감소된다. 흡수 코어(20)를 둘러싸는 통기성 대역(32)을 가짐으로써, 팬티라이너 배면시트(22)의 의복측 면(17)은 또한 내의에 접착되는 접착제 부착에 이용가능한 더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더 넓은 흡수 대역, 더 높은 흡수 용량 또는 이 둘 모두를 갖는 팬티라이너(10')를 제공하기 위해, 코어(20')가 수평 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넓은 표면적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주연부(30)는 그러한 경우에 거의 팬티라이너 주연부(28)까지 연장할 수 있거나, 어떤 경우에는 심지어 바로 팬티라이너 주연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코어가 용품의 전체 표면에서 상대적으로 큰 비율을 나타낼 때, 흡수 코어(20')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부 영역(12, 14) 내의 흡수 코어 아래의 면적의 일부는 충분한 크기의 통기성 대역(32)을 제공하기 위해 유체 불투과성 장벽이 없는 상태로 남겨질 수 있다. 대부분의 액체가 팬티라이너의 중앙 영역 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단부 영역(12, 14) 중 하나를 통한 누출 위험은 제한된다.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의 치수는 팬티라이너에 대한 통상적인 치수를 포함하여 비교적 소형으로부터 비교적 대형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종축(L)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팬티라이너(10)의 길이 치수에 대한 예시적인 값은 약 6 ㎝(소위 "마이크로"(micro) 제품)로부터 약 25 ㎝(소위 "엑스트라롱"(extralong) 제품)일 수 있다. 횡축(T)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팬티라이너(10)의 최대 폭 치수는 또한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3 ㎝로부터 약 10 ㎝까지 다양할 수 있다. 대체로 모래시계 형상의 팬티라이너에 대한 예시적인 값은 중간에서의 최소 폭 치수가 약 5 ㎝이고, 단부 영역들에서의 최대 폭 치수가 약 6.5 ㎝이며, 길이 치수는 약 14 ㎝이다.
팬티라이너(10) 및 흡수 코어(20)의 팬티라이너 최소 및 최대 전체 표면적(즉, 평평한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의 팬티라이너의 면적)은 착용자의 내의의 상대 크기를 포함하여 의도하는 용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팬티라이너 전체 표면적은 적어도 약 60 ㎠, 또는 적어도 약 75 ㎠, 또는 적어도 약 90 ㎠일 수 있으며, 적어도 약 100 ㎠일 수 있다. 유사하게, 흡수 코어(20)는 적어도 약 20 ㎠, 또는 적어도 약 25 ㎠, 또는 적어도 약 35 ㎠의 면적을 덮을 수 있으며, 적어도 약 45 ㎠ 또는 그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는, 특히 일반적으로 생리대로 지칭되는 부피가 큰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여성용 위생용품이다.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는 약 5 ㎜ 미만, 또는 약 4 ㎜ 미만, 또는 심지어 약 3 ㎜ 미만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를 측정하는 예시적인 한 가지 방법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제공된다.
팬티라이너의 모든 구성요소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고온 용융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종래의 수단을 사용하여 함께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다이나파이버 에이치티더블유 시스템(Dynafiber HTW system) 또는 서미트 시스템 노드슨(Summit System Nordson)을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사바레(Savare)의 PM 17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 대역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대역을 비-통기성이 되게 하지 않아야 하는데, 즉 상면시트 또는 배면시트 중 어느 것도 비-다공성이 되게 하지 않아야 한다. 통기성 대역을 다공성으로 유지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팬티라이너가 착용자의 피부에 달라붙고 그럼으로써 불편함을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면시트(26)와 배면시트(22)는 유리하게는 소수성이거나 소수성이 되도록 한 외향측 표면을 갖는다. 소수성이라는 것은 표면 상에 배치된 물방울이 부직물 내부로 쉽게 젖어 들어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소수성 신체측 표면은 유체 반발성이어서, 그 상에 배치된 물방울이 장시간, 예컨대 10 내지 30분 동안 표면 상에 남아 있게 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친수성인 흡수 코어(20) 위에 놓인 상면시트의 부분 상에 침착된 유체는 상면시트를 통해 흡수 코어 내부로 용이하게 흡인된다. 반면에, 대개 통기성 대역(32) 내인 흡수 코어 위에 놓인 영역 외측에 침착된 유체는 쉽게 흡수되지 않으며, 팬티라이너(10)의 의복측 면을 쉽게 통과해 나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용 중에,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10)는 유체 반발성 통기성 대역(32)에 의해 둘러싸인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에 배치된 친수성 "포켓"(pocket)을 갖는 매우 얇고 가요성이며 편안한 팬티라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소수성인 통기성 대역(32)은 흡수 코어(20)의 영역 밖으로의 유체 이동에 대한 효과적인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 중에, 신체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으며, 팬티라이너로부터 사용자의 의복 상에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대개 장벽 층(24)에 의해 덮이지 않은 용품의 대역인 통기성 대역(32)은 흡수 코어(20)를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다. 즉, 팬티라이너(10)의 어느 부분에서도 코어 주연부(30)가 팬티라이너 주연부(28)와 일치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2개의 주연부는 통기성 대역(32)의 영역에 의해 항상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기성 대역(32)은 흡수 코어(20)를 완전하게 에워싸거나 둘러싸는 통기성 대역의 연속적인 밴드이다.
흡수 코어(20) 내부로의 유체의 보다 신속한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상면시트(26)와 흡수 코어(20)는 소정량의 섬유 얽힘(entanglement)을 갖도록 처리될 수 있다. 얽힘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계적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20)와 상면시트(26)는 엠보싱에 의해 얽히게 될 수 있어서, 상면시트(26)의 섬유가 흡수 코어(20)의 섬유 내로 가압되게 된다. 통상 "링 롤링"(ring rolling)으로 지칭되는 것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계적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다른 수단이 섬유 얽힘을 달성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엠보싱과 같은 섬유 변형 유도 처리(fiber deformation-inducing treatment)는 침착된 유체를 흡수 코어 내의 친수성 섬유에 대해 노출시키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팬티라이너 상에 침착된 유체를 친수성 흡수 코어(20)의 "포켓" 위로 수용하는 것을 돕는 작은 규모의 "언덕"(hill) 및 "골"(valley)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께 측정
하기의 특정한 방법이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의 두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팬티라이너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얇고 부피가 크지 않아서, 측정은 예컨대 두꺼운 패드와 같은 부피가 큰 용품과 비교할 때 적용되는 압력에 비교적 독립적이다.
장비는 0.01 ㎜ 허용오차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장비의 상업적 공급업체는, 예를 들어 오노 소키(Ono Sokki)(www.onosokki.net)이며, 예컨대 이의 캘리퍼 게이지(Caliper Gauge) GS-503 및 디지털 판독기(digital readout) DG 2610이 사용될 수 있다. 캘리퍼 게이지에는 예시적인 24.13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풋(foot)이 장착된다. 측정이 이루어질 때 가해지는 적합한 압력은 0.689 ㎪이다.
시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미터(micrometer)가 0에 맞춰진 것을 확인한다. 용품을 해제 커버 없이 상면시트가 위를 향하도록 기부 판 상에 배치한다. 용품이 압축된 상태(때때로 소정의 포장된 상태인 경우와 같이)로 제공되었다면, 두께를 측정하기 전에 용품을 약 10분 동안 그대로 둔다. 마찬가지로, 용품이 접힌 상태로 제공되었다면, 용품을 먼저 펼치고, "평평한" 형상으로 약 10분 동안 그대로 둔다. 풋이 하강할 때 풋이 용품의 중앙에 놓이도록 용품을 기부 판 상에 위치시킨다. 5 ㎜/초 ± 2 ㎜/초의 속도로 풋 자체를 용품 상으로 완만하게 하강시킨다. 풋이 정지하고 10초 후에 마이크로미터 다이얼을 판독하여 용품 캘리퍼(caliper)를 결정한다. 샤프트 및 풋은 24.13 ㎜의 직경을 갖는 전술한 풋에 의해 0.69 ± 0.02 ㎪의 압력에 대해 대략 32 그램의 힘을 샘플에 가할 것이다.

Claims (10)

  1. (a) 부직 상면시트(26),
    (b) 부직 배면시트(22),
    (c) 상기 상면시트(26)와 상기 배면시트(22)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20), 및
    (d) 상기 흡수 코어(20)와 상기 배면시트(22)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
    을 포함하는 팬티라이너(10)로서,
    상기 상면시트(26)와 상기 배면시트(22)가 결합되어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흡수 코어(20)가 코어 주연부(30)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이 상기 상면시트(26) 또는 상기 배면시트(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시적인 착색 패턴(34)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 외측의 팬티라이너의 구역이 통기성 대역(32)이고,
    상기 통기성 대역(32)이 팬티라이너의 전체 표면적의 적어도 20%를 나타내는 팬티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이 코어 주연부(30)를 넘어서 연장하지 않는 팬티라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이 흡수 코어(20)와 접해 있는 팬티라이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 주연부(30)가 대체로 달걀 형상을 형성하는 팬티라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유체 불투과성 장벽 층(24)의 표면적이 흡수 코어(20)의 표면적보다 더 작으며, 유체 불투과성 장벽(24)이 팬티라이너(10)의 중간 영역(16) 내에서 대체로 중앙에 위치되는 팬티라이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불투과성 장벽(24)이 적어도 하나의 그의 면 상에 착색 패턴(34)이 인쇄된 폴리올레핀 필름인 팬티라이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팬티라이너가 약 4 ㎜ 미만의 두께를 갖는 팬티라이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시트와 배면시트가 공통 주연부(28)를 갖는 팬티라이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시트와 코어가 그들 각각의 섬유의 일부의 기계적 얽힘에 의해 결합되는 팬티라이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면시트가 채색된 부직 재료로 제조되는 팬티라이너.
KR1020107000057A 2007-07-06 2008-07-02 팬티라이너 KR20100019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1972A EP2011460A1 (en) 2007-07-06 2007-07-06 Pantiliner
EP07111972.1 2007-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559A true KR20100019559A (ko) 2010-02-18

Family

ID=3862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057A KR20100019559A (ko) 2007-07-06 2008-07-02 팬티라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12491A1 (ko)
EP (1) EP2011460A1 (ko)
JP (1) JP2010531195A (ko)
KR (1) KR20100019559A (ko)
CN (1) CN101686883A (ko)
MX (1) MX2009013915A (ko)
WO (1) WO20090078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367A (ko) 2020-01-02 2021-07-12 (주)레머디랩 바이오매스 그래핀을 이용한 팬티 위생 커버
KR20220013478A (ko) 2020-07-25 2022-02-04 (주)레머디랩 셀룰로스 섬유의 친수성 차를 활용하여 고흡수와 투습방수 기능을 갖춘 결합분리형 멀티레이어 다회용 요실금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2800A1 (en) * 2005-12-20 2007-06-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partially visible graphic
US8927801B2 (en) 2009-04-13 2015-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wetness indicators
US20110028929A1 (en) * 2009-08-03 2011-02-03 Heidi Bauerlein Hopkins Absorbent Products with Beneficial Indicia
US20130165880A1 (en) 2010-09-17 2013-06-27 David T. Amos Antimicrobi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N103179936B (zh) * 2010-10-28 2015-01-21 宝洁公司 压花吸收制品
CN103298437B (zh) * 2010-11-30 2016-05-11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提供功能提示的非对称印刷图案的吸收性物品
JP5711515B2 (ja) * 2010-12-14 2015-04-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83738B2 (ja) * 2011-02-04 2015-09-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93273B2 (ja) * 2011-02-04 2015-04-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063139A (ja) * 2011-09-16 2013-04-11 Kao Corp 吸収性物品
JP5973706B2 (ja) * 2011-09-30 2016-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289331B2 (en) * 2011-12-23 2016-03-22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elastic leg opening regions and related methods
US9814401B2 (en) * 2012-07-06 2017-11-14 Covidien Lp Angiosome-based perfusion monitoring system
US8946500B2 (en) 2012-08-30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passive barrier
US9011397B2 (en) 2012-08-30 2015-04-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
US9308137B2 (en) 2013-03-28 2016-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ansitional absorbent pad and pantiliner
US20170035624A1 (en) * 2015-08-06 2017-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US11523944B2 (en) * 2016-05-05 202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sheets integrated with heterogenous mass layer
KR102016053B1 (ko) * 2016-09-30 2019-08-29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EP3618791A1 (en) 2017-05-03 2020-03-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multiple zones
CN111601576B (zh) 2017-11-06 2022-11-25 宝洁公司 具有节点和支柱的结构
EP3628293A1 (en) * 2018-09-26 2020-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aptable absorbent article
EP3628292A1 (en) * 2018-09-26 2020-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daptable absorbent article
WO2020242356A1 (en) * 2019-05-29 2020-12-03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pad with elastic elements
JP7480358B2 (ja) 2020-05-28 2024-05-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高度に認識可能なパターン及び鮮明なグラフィックを呈する積層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DE112021003009T5 (de) 2020-05-28 2023-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ptionsartikel mit eine Wahrnehmung auffälliger Grafiken ermöglichenden Laminat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114A (en) * 1976-05-12 1977-1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arment shield
US4627791A (en) * 1982-11-10 1986-12-09 Marshall Andrew C Aeroelastically responsive composite propeller
EP0125400B1 (de) * 1983-04-18 1987-07-01 EBERL, Tertulin Brustprothese
JPS6025239Y2 (ja) * 1983-05-31 1985-07-29 ユニ・チヤ−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4623340A (en) * 1983-09-16 1986-11-18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product with color contrasted cover pattern
US4566801A (en) * 1984-10-18 1986-01-28 General Signal Corporation Submersible mixer alignable in a horizontal or vertical mode
US4681578A (en) * 1985-03-08 1987-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iliner with ventilation areas
US4671872A (en) * 1986-03-18 1987-06-09 Air-O-Lator Corporation Aerator mast with azimuth lock and bottom stop
EP0850627A1 (en) * 1996-12-23 1998-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self shaping in use for secure topical adhesive attachment to the skin of a wearer
US6444064B1 (en) * 1997-12-19 2002-09-03 Procter & Gamble Company Registration system for phasing simultaneously advancing webs of material having variable pitch lengths
US6719742B1 (en) * 1998-12-30 2004-04-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 embossed multilayer microporous films
JP3652263B2 (ja) * 2000-04-19 2005-05-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972010B2 (en) * 2001-04-17 2005-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gent able to convey a perception to the wearer, without the need to create the external condition perceived
DE60118737T2 (de) * 2001-09-19 2006-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Farbbedruckte Mehrschichtstruktur, ein damit hergestellter absorbierender Artikel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G103382A1 (en) * 2002-01-11 2004-04-29 Uni Charm Corp Colored absorbent article
US20040015145A1 (en) * 2002-07-16 2004-0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graphic visible through body contacting surface
US8314285B2 (en) * 2004-03-01 2012-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ntiliner
CA2585455A1 (en) * 2004-10-28 2006-05-11 Mcneil-Ppc,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viewable indicia
EP1779874A1 (en) * 2005-10-26 2007-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article with ink to increase the hydrophobicity of certain are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367A (ko) 2020-01-02 2021-07-12 (주)레머디랩 바이오매스 그래핀을 이용한 팬티 위생 커버
KR20220013478A (ko) 2020-07-25 2022-02-04 (주)레머디랩 셀룰로스 섬유의 친수성 차를 활용하여 고흡수와 투습방수 기능을 갖춘 결합분리형 멀티레이어 다회용 요실금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2491A1 (en) 2009-01-08
JP2010531195A (ja) 2010-09-24
MX2009013915A (es) 2010-01-28
WO2009007882A1 (en) 2009-01-15
EP2011460A1 (en) 2009-01-07
CN101686883A (zh)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559A (ko) 팬티라이너
ES2368352T3 (es) Artículo de higiene femenina con un diseño impreso y un diseño estampado.
KR100810803B1 (ko) 팬티라이너
KR100597967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물품
KR100702281B1 (ko) 신체 접촉면을 통하여 볼 수 있는 그래픽을 가지는 흡수물품
KR101124917B1 (ko) 부직포 측방향 구역을 갖는 흡수용품
JP5650322B2 (ja) 改善されたレッグカフ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100005139A (ko) 여성용 위생용품
JP3812812B2 (ja) 吸収性物品
KR101274971B1 (ko) 시각적 표시기를 구비한 여성용 위생 용품
JP2020525243A (ja) 使い捨ての衛生用吸収性製品
JPH10500048A (ja) 流体透過性周囲マスキング部材を備えた衛生ナプキン
JP2018164627A (ja) 吸収性物品
JP2004298329A (ja) 生理用ナプキン
CA2496328A1 (en) Fluid management article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